KR20160002018U - 가방형 포장상자 - Google Patents

가방형 포장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018U
KR20160002018U KR2020140009452U KR20140009452U KR20160002018U KR 20160002018 U KR20160002018 U KR 20160002018U KR 2020140009452 U KR2020140009452 U KR 2020140009452U KR 20140009452 U KR20140009452 U KR 20140009452U KR 20160002018 U KR20160002018 U KR 2016000201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pport surface
upper outer
bag
re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94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155Y1 (ko
Inventor
조준구
한대종
Original Assignee
조준구
한대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준구, 한대종 filed Critical 조준구
Publication of KR201600020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0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08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 B65D5/46056Handle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body made of co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1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a single blank to U-shape to form the base of the container and opposite sides of the body portion, the remaining sides being formed primarily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of these opposite sides, e.g. flaps hing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9/00Envelopes, wrappers, and paperboard boxes
    • Y10S229/939Container made of corrugated paper or corrugated paper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품의 보관을 위한 가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후면지지면과 전면지지면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제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전면지지면과 후변지지면에 제1 및 제2 끈연결공을 구비하고, 각각의 끈연결공에 끈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 또는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어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가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방형 포장상자{BAG-TYPE PACKING BOX}
본 고안은 제품의 보관을 위한 가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후면지지면과 전면지지면이 상호 대향되게 구비되어 그 사이에 제품이 보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전면지지면과 후변지지면에 제1 및 제2 끈연결공을 구비하고, 각각의 끈연결공에 끈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파지 또는 어깨에 메고 다닐 수 있어 휴대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가방형 포장상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을 보호 및 진열하는 포장상자는 별도의 가방에 투입되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포장상자를 넣을 별도의 가방을 따로 준비해야 하고, 포장상자의 크기에 맞게 다양한 가방을 준비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포장상자에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끈 등을 구비한 기술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먼저 이러한 기술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063호 『거울을 구비한 가방겸용 포장상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내부에 상면만을 개구한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선물을 수납하도록 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구된 상면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회전되게 연결되어 그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한 덮개, 상기 덮개의 하면 일측에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어, 덮개가 개구된 상면을 폐쇄하면 절첩 되었다가 개구된 상면을 개방하면 전개되어 덮개가 본체로부터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 거울 및 상기 본체와 덮개를 가로질러 감겨 덮개가 본체로부터 개방되지 않도록 고정하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탈부착이 가능한 리본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거울을 구비한 가방겸용 포장상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포장상자에 고정되는 리본테이프의 길이를 조절하여 손잡이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손잡이가 쉽게 탈락될 수 있으며, 암, 수 똑딱이 단추를 이용하여 고정함에 따라 단추 삽입을 위한 별도의 후가공 공정이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0-0041306호 『가방형 지제 상자의 조립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앞판과 뒷판 및 바닥판과 뚜껑판이 단일판 상에 이루어진 본판 그리고 밑판에서 각각 위로 직각되게 세워 접히는 앞판과 뒷판의 양단부 사이에 조립되는 좌우 측판 등 모두 3장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앞판과 각 측판의 접속생태 유지용으로서 앞판의 위쪽 모서리 부분 단 한 곳을 제외하고는 분리가 쉬운 타부위 조립용 결속요소(리벨)가 겉으로 전혀 드러나지 않아 산뜻한 외관을 자랑하는 가방형 지제 조립식 상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복수개의 분체로 구성된 판을 리벧이나 캡너트 등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는 것으로서, 보관되는 제품에 따라 각 분체가 중량에 의해 분리될 수 있고, 각 분체를 별도로 제작함에 따라 제작 공정이 일원화 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0669호 『손잡이 끈이 부착된 선물상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선물상자의 겉면에 리본장식을 한 후 내외통 결합부에 상자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리본을 연결시켜 상자를 들고 다닐 수 있게끔 하고 별도의 포장 끈으로 묶거나 테이프로 붙일 필요 없이 선물상자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리본장식을 손잡이 형태로 빼서 들게 되면 상자 뚜껑이 열리지 않아 선물 포장을 더욱 쉽게 할 수 있는 선물상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일반적인 포장상자에 단순히 손잡이를 결합하는 기술로서, 뚜껑과 본체를 별도로 고정하는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포장상자가 쉽게 개봉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2894호 『끈 손잡이 조립상자』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바닥면을 기준으로 종이원단이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날개가 있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체결용 체결공의 형성되며 날개가 없는 정면과 배면은 타공으로 형성되어서 여러 종류의 재질과 형태의 끈으로 체결을 하며 해체 시에도 바닥면을 기준으로 모든 면을 위, 아래로 접어서 바닥면만큼 부피를 최소화하여 이동과 보관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며 깨끗하게 재사용할 수 있는 끈 손잡이 조립상자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가 개방되어 제품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방형 포장상자에 있어서,
보관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후면지지면 및 전면지지면에 있어서, 각각에 구비되는 제1 끈연결공과 제2 끈연결공에 어깨끈, 손잡이 등으로 이루어진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포장상자를 손쉽게 휴대할 수 있는 가방형 포장상자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지지면이 후면지지면을 덮을 경우, 후면지지면의 측벽면을 감싸 결합될 수 있는 측면덮개면을 구비하되, 상기 측면덮개면에는 삽입돌기를, 측벽면에는 삽입돌기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여 포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가방형 포장상자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을 구성하는 후면지지면, 상부외벽면, 측벽면, 공간형성면, 전면지지면, 측면덮개면을 모두 절첩가능하게 연장성형함으로서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각각의 구성을 서로 조립가능하게 구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가방형 포장상자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는
후면지지면;
상기 후면지지면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벽;
상기 후면지지면 좌,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
상기 후면지지면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과 수직을 이루어 절첩되는 공간형성면;
상기 공간형성면에 수직으로 절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과 이격되어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형성하는 전면지지면;
상기 전면지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벽을 감싸는 측면덮개면; 및
상기 전면지지면에 구비되는 제1 끈연결공과, 상기 후면지지면에 구비되는 제2 끈연결공에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는 제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보관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포장상자에 손잡이, 어깨끈 등으로 이루어지는 걸이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포장상자를 휴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면지지면을 통하여 보관부를 감싸는 경우, 전면지지면 양측에 구비되는 측면덮개면과 후면지지면 양측에 구비되는 측벽면에 상호 결합되는 삽입돌기와 삽입홀을 구비함에 따라 포장상자를 휴대하는 경우에도 전면지지면이 보관부를 견고하게 덮어 고정될 수 있어 제품이 떨어져 파손되거나 분실될 위험이 없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포장상자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들을 하나의 분체를 절첩가능하게 연장 형성하여 구성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구조가 간단하며, 제품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각각의 구성들이 절첩되어 상호 결합됨에 따라 별도의 고정장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작과정에서 구성품의 분실 우려가 없으며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의 전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의 조립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의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의 전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의 조립 실시도에 관한 것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는 보관부(11)를 형성하는 후면지지면(20)과 전면지지면(60), 상부외벽(30), 측벽(40), 공간형성면(50), 측면덮개면(70), 걸이부재(8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후면지지면(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후면지지면(20)의 상부에는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벽(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외벽(30)은 상기 후면지지면(20)의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외벽(30)은 상기 후면지지면(20)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벽면(31)과, 상기 상부외벽면(31)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면(33), 상기 상부지지면(33)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외벽면(31) 내측에 대향되는 내부외벽면(35) 및 상기 내부외벽면(35)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20) 일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면(33)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접이면(3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후면지지면(20)의 상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20)과 직각을 이루어 내측으로 절첩되는 상부외벽면(31)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외벽면(31)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외벽면(31)에 직각을 이루어 절첩됨으로서 상기 후면지지면(20)과 이격되어 평행을 이루는 상부지지면(33), 상기 상부지지면(33)에 연장형성되어 직각을 이루어 절첩되어, 상기 상부외벽면(31)과 평행을 이루어 대향됨으로서 상기 보관부(11)의 내측벽(40)면을 형성하는 내부외벽면(35) 및 상기 내부외벽면(35)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20) 일측에 접하여 상기 상부지지면(33)과 수평을 이루는 접이면(3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외벽(30)은 그 단면이 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보관부(11)의 상부에 위치함에 따라 완충효과를 가미하여 안전한 제품 보관을 야기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후면지지면(20)의 양측으로는 측벽(40)이 형성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벽(40)은 상기 후면지지면(20)의 좌우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수직으로 절첩 가능하게 구비되는 외측벽형성면(41)과, 상기 외측벽형성면(41)으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180도 절첩되어 상기 외측벽형성면(41) 내측에 접하는 내측벽형성면(4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상부외벽(30)과 측벽(40)이 상호간에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외측벽형성면(41)의 일측(상기 상부외벽(30)과 인접하는 부분)에는 제1 받침면(411)이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외벽(30)과 측벽(40)을 후면지지면(20)으로부터 절첩시켰을 경우, 상기 제1 받침면(411)이 상기 상부외벽면(31)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내구성을 확보하고, 상기 내측벽형성면(43)의 일측에도 제2 받침면(431)을 구비하여, 상기 제2 받침면(431)이 내부외벽면(35)의 내측을 지지할 수 있어 상호간의 결합력 및 내구성을 보다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내측벽형성면(43)에는 끼임공(433)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외벽면(35) 양측에는 상기 끼임공(433)에 결합되는 끼임면(3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외벽(30)과 측벽(40)을 결합하는 경우, 상기 끼임면(351)이 끼임공(433) 내에 삽입되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 받침면(431)과 외측벽형성면(41) 사이에는 제3 받침면(41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3 받침면(413)이 상기 상부지지면(33)의 내측을 지지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외벽면(31)의 내측을 제1 받침면(411)이, 상부지지면(33)의 내측을 제3 받침면(413)이, 상기 내부외벽면(35)의 내측을 제2 받침면(431)이 각각 지지하여 상호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다시 상기 후면지지면(20)의 하부에는 공간형성면(50)이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공간형성면(50)의 하부에는 상기 전면지지면(60)이 절첩 가능하게 연장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면지지면(20)의 하부에는 공간형성면(50)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간형성면(50)이 절첩되고, 공간형성면(50)에 연장 형성되는 전면지지면(60)이 절첩되어 'ㄷ' 자 형상을 이루어 상기 전면지지면(60)과 후면지지면(20)이 공간형성면(50)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대향됨에 따라 그 내부에 제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관부(11)가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외측벽형성면(41)의 하부에는 제4 받침면(417)이 더 구비되어 상기 공간형성면(50)의 내측을 지지함에 따라 내구성을 확보하고 틈새가 생기는 것을 막아 제품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전면지지면(60)이 상기 후면지지면(20)과 이격됨에 따라 상호간의 결합으로 보관부(11)에 있는 제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전면지지면(60)의 양측에는 측면덮개면(70)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덮개면(70)에는 삽입돌기(71)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면지지면(60)의 양측에는 측면덮개면(70)이 연장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면덮개면(70)은 상기 전면지지면(60)으로부터 절첩되어 상기 측벽(40) 외면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벽형성면(41)과 후면지지면(20)의 경계에는 삽입홀(415)이 더 구비되어, 상기 측면덮개면(70)이 측벽(40)을 감싼 후 상기 측면덮개면(70)에 구비되는 삽입돌기(71)가 상기 삽입홀(415)에 끼임으로서 상기 전면지지면(60)과 후면지지면(20)을 이격시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전면지지면(60)의 일측에는 경사부(61)가 형성되어 있어 디자인적 요소를 가미할 수 있으며 미관이 수려하여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에 심미적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는 사용자가 손쉽게 휴대할 수 있도록 걸이부재(80)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걸이부재(80)는 손잡이끈, 어깨끈 등 다양한 형상 및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다시 상기 걸이부재(80)는 상기 전면지지면(60) 및 후면지지면(20)에 결합되게 되는데, 상기 전면지지면(60)에는 제1 끈연결공(63)이 복수개로 구비되고(바람직하게는 두 개로 구비된다.) 상기 후면지지면(20)에는 제2 끈연결공(21)이 복수개로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끈연결공(63)과 제2 끈연결공(21)에는 각각 걸이부재(80)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손쉽게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를 휴대하기 수비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가방형 포장상자(10)는 하나의 분체를 각각 연장 형성하여 이루어짐에 따라(걸이부재(80)는 제외하도록 한다.)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제작이 간편하며, 그 재질은 견고하되, 절첩이 용이한 종이, 특히 하드보드지와 같은 두꺼운 재질의 종이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구성요소 사이에 절첩되는 경계는 오시가공, 타공가공 등의 후가공이 이루어져 조립을 보다 편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보다 견고한 결합을 위하여 양면테이프, 접착제와 같은 접착제품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가방형 포장상자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포장상자 11 : 보관부
20 : 후면지지면 21 : 제2 끈연결공
30 : 상부외벽 31 : 상부외벽면
33 : 상부지지면 35 : 내부외벽면
351 : 끼임면 37 : 접이면
40 : 측벽 41 : 외측벽형성면
411 : 제1 받침면 413 : 제3 받침면
415 : 삽입홀 417 : 제4 받침면
43 : 내측벽형성면 431 : 제2 받침면
433 : 끼임공 50 : 공간형성면
60 : 전면지지면 61 : 경사부
63 : 제1 끈연결공 70 : 측면덮개면
71 : 삽입돌기 80 : 걸이부재

Claims (4)

  1. 후면지지면;
    상기 후면지지면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벽;
    상기 후면지지면 좌, 우측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측벽;
    상기 후면지지면 하부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과 수직을 이루어 절첩되는 공간형성면;
    상기 공간형성면에 수직으로 절첩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과 이격되어 제품을 보관하는 보관부를 형성하는 전면지지면;
    상기 전면지지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측벽을 감싸는 측면덮개면; 및
    상기 전면지지면에 구비되는 제1 끈연결공과, 상기 후면지지면에 구비되는 제2 끈연결공에 결합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형 포장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벽은
    상기 후면지지면 상부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외벽면과, 상기 상부외벽면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는 상부지지면, 상기 상부지지면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상부외벽면 내측에 대향되는 내부외벽면 및 상기 내부외벽면에 절첩 가능하게 연장형성되어, 상기 후면지지면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지지면과 대향되게 구비되는 접이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형 포장상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외벽의 양측에는 끼임면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에는 상기 끼임면이 결합되는 끼임공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외벽과 측벽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형 포장상자.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측면덮개면에는 상기 삽입홈에 결합되는 삽입돌기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형 포장상자.
KR2020140009452U 2014-12-03 2014-12-22 가방형 포장상자 KR20048115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863 2014-12-03
KR2020140008863 2014-12-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018U true KR20160002018U (ko) 2016-06-13
KR200481155Y1 KR200481155Y1 (ko) 2016-08-23

Family

ID=5613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9452U KR200481155Y1 (ko) 2014-12-03 2014-12-22 가방형 포장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55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661A (zh) * 2016-07-20 2016-10-12 聚金龙彩印包装兴化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品包装的快速折叠组装包装盒
CN106829112A (zh) * 2017-01-19 2017-06-13 上海浅月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礼品盒
KR20180064008A (ko) * 2016-12-05 2018-06-14 김수일 포장용 상자
KR102093728B1 (ko) * 2019-03-29 2020-03-30 김병열 일체형 포장용 가방
KR102113760B1 (ko) * 2019-05-21 2020-05-21 김병열 포장용 가방
KR102182711B1 (ko) * 2019-07-22 2020-11-25 김병열 포장용 상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030U (ko) * 1975-01-30 1976-08-04
KR200378625Y1 (ko) * 2004-12-31 2005-03-17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용 상자
KR101339438B1 (ko) * 2012-05-03 2013-12-10 김용진 보강 프레임 구조를 갖는 포장케이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97030U (ko) * 1975-01-30 1976-08-04
KR200378625Y1 (ko) * 2004-12-31 2005-03-17 주식회사 태평양 포장용 상자
KR101339438B1 (ko) * 2012-05-03 2013-12-10 김용진 보강 프레임 구조를 갖는 포장케이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05661A (zh) * 2016-07-20 2016-10-12 聚金龙彩印包装兴化有限公司 一种应用于物品包装的快速折叠组装包装盒
KR20180064008A (ko) * 2016-12-05 2018-06-14 김수일 포장용 상자
KR101878197B1 (ko) * 2016-12-05 2018-07-13 김수일 포장용 상자
CN106829112A (zh) * 2017-01-19 2017-06-13 上海浅月印刷包装有限公司 一种新型礼品盒
KR102093728B1 (ko) * 2019-03-29 2020-03-30 김병열 일체형 포장용 가방
KR102113760B1 (ko) * 2019-05-21 2020-05-21 김병열 포장용 가방
KR102182711B1 (ko) * 2019-07-22 2020-11-25 김병열 포장용 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155Y1 (ko) 2016-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155Y1 (ko) 가방형 포장상자
USD692756S1 (en) Container lid
USD655153S1 (en) Folded pack
USD664427S1 (en) Plastic container
USD698639S1 (en) Package
USD698642S1 (en) Box for a package
USD641549S1 (en) Bag structure for holding reusable bags
USD676740S1 (en) Container
USD671426S1 (en) Canister box
USD668474S1 (en) Storage chest
USD641106S1 (en) Cosmetic case
USD730749S1 (en) Packaging box for small-sized electronic device
USD699411S1 (en) Laundry basket
USD679198S1 (en) Clam shell with divider package
KR20110005544U (ko) 접이식 정리함
USD662708S1 (en) Vanity bag
USD653449S1 (en) Container
USD673414S1 (en) Zipper cover for a mattress enclosure
KR200440723Y1 (ko) 선물세트용 포장박스
KR101420287B1 (ko) 수납기능이 구비된 포장박스
USD683524S1 (en) Combination jacket and bag
USD665534S1 (en) Flossing apparatus
USD634540S1 (en) Storage bag
USD623513S1 (en) Box for packaging
USD677894S1 (en) Child backpack strap decorative cov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