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66U -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 Google Patents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66U
KR20160001866U KR2020140008585U KR20140008585U KR20160001866U KR 20160001866 U KR20160001866 U KR 20160001866U KR 2020140008585 U KR2020140008585 U KR 2020140008585U KR 20140008585 U KR20140008585 U KR 20140008585U KR 20160001866 U KR20160001866 U KR 201600018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display unit
housing
inclined surface
advertisemen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355Y1 (ko
Inventor
송광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렌즈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렌즈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렌즈미
Priority to KR2020140008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35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3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35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02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jewellery, dentures, watches, eye-glasses, lens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11/00Arrangements in shop windows, shop floors or show cases
    • A47F11/06Means for bringing about special optical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Display Rack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택트 렌즈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수용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변동 가능한 다양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에게 다양한 콘택트 렌즈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함과 아울러 콘택트 렌즈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에 소비자의 얼굴 및 선택 가능한 콘택트 렌즈를 표시하여 이를 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소비자에게 적합한 콘택트 렌즈의 선택을 돕고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SHOWCASE FOR CONTACT LENSES HAVING ADVERTISEMENT DISPLAYING DEVICE}
본 고안은 콘택트 렌즈 진열장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택트 렌즈 진열장 하우징의 상부에 실시간으로 변동 가능한 다양한 광고를 표시할 수 있어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함과 아울러 콘택트 렌즈의 광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택트 렌즈는 시력이 좋지 않은 사람이 사용상 번거로운 안경을 착용하지 않고 얇은 플라스틱 재질의 렌즈를 안구(眼球)에 밀착시켜 시력을 교정하는 것으로서, 안경의 착용에 따른 일상생활이나 운동시의 불편함이 없고, 육안으로 착용여부가 구별되지 않아 미용상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콘택트 렌즈는 근시용, 원시용, 난시용 등 그 기능에 따라 다양한 렌즈가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단순히 시력을 보정하기 위하여 콘택트 렌즈를 사용하였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이 부가된 렌즈, 써클 렌즈 등 시력 보정용이 아닌 미용을 위한 콘택트 렌즈의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콘택트 렌즈는 보관액이 담겨져 있는 유리 재질의 용기 내에 수용되어 콘택트 렌즈의 손상이 없도록 한 상태에서 유통 및 보관이 이루어져 있다가, 소비자가 자신의 시력 보정 또는 미용에 적합한 콘택트 렌즈를 선택하여 용기를 개봉한 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었던 콘택트 렌즈는 단순히 보관 용기 내에 수용된 채로 밀폐된 박스 등에 담겨져 보관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따라서 소비자가 자신이 원하는 콘택트 렌즈를 직접 확인하고 결정할 수 없었다.
특히, 안경 제품은 안경 진열대에서 마음에 드는 제품을 소비자가 직접 착용한 후 구매 여부를 결정하기 때문에 안경 진열대상에서의 진열 상태 뿐만이 아니라소비자의 착용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콘택트 렌즈는 보건 위생상 법률적으로 샘플 착용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소비자는 단순히 콘택트 렌즈 진열 상태만을 보고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을 결정하고 구매하게 된다.
따라서, 현재 소비자의 주요 구매 포인트인 콘택트 렌즈의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각각의 소비자가 자신에게 적합한 제품인지 여부를 직접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한 실정이며, 콘택트 렌즈 착용시의 느낌이 무엇보다도 중요함에도 착용 상태를 확인하지 못하고 렌즈를 구매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에는 소비자의 콘택트 렌즈 선택을 돕기 위하여 콘택트 렌즈가 수용된 용기를 진열하여 소비자가 직접 고를 수 있는 방식이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방식은 수많은 종류의 콘택트 렌즈 중 어떤 색상 및 모양의 콘택트 렌즈를 구매하여야 하는지 여부를 쉽게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이 어렵고, 각각의 콘택트 렌즈에 대한 장단점 및 특징 등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6301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57884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0131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소비자가 콘택트 렌즈 용기를 직접 확인하고 선택할 수 있는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제공함에 있어,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상부에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소비자에게 다양한 콘택트 렌즈의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전달함과 아울러,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에 소비자의 얼굴 및 선택 가능한 콘택트 렌즈를 표시하여 이를 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각의 소비자에게 적합한 콘택트 렌즈의 선택을 돕고 소비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많은 종류의 콘택트 렌즈가 진열되고, 판매 상황에 따라, 교체되는 판매환경을 고려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를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용이한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구성은, 소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수용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 구조가 대칭되도록 동일하게 형성되며, 지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11);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도록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2); 및 상기 상부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될 수 있는 돌출부(13);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에는 개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노출되며,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은 돌출 형성되고 배면은 벽에 밀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며, 지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16);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도록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7); 및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7)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될 수 있는 돌출부(18);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경사면에는 개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렌즈 수용부(20)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는 받침대(21); 상기 받침대(21)의 상부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렌즈 용기(26)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대(22); 상기 렌즈 지지대(22)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렌즈 용기(26)가 관통되도록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25)이 형성된 렌즈 고정대(23);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과 고정 결합되는 투명 재질의 렌즈 보호대(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31); 상기 거치대(31)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31)는, 전면에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a)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영상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경사면의 일부가 관통된 형태의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면 경사면에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방 경사면과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인쇄물(34)이 삽입되는 인쇄물 삽입부(33)를 형성하는 투명재질의 전방 판체(31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방 판체(31b)의 상부의 중앙은 반원 형태의 절단부분이 가공되고, 상기 이격 부재(31c)는 상부 끝단이 상기 전방 판체의 끝단과 일정 간격을 가지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b)의 경사면에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노출될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은 경사면을 구성하는 부분과 후방 지지부분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분과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a)를 가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분을 통해 돌출부의 경사면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어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돌출부의 전방 개방부분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은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고정 판체(31d)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의 관통부분에 대응되어 거치대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효과는, 렌즈 수용부에 다양한 콘택트 렌즈를 보관 및 전시함과 아울러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각각의 콘택트 렌즈가 가지는 특징 및 장단점 등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가 직접 콘택트 렌즈를 선택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광고 디스플레이부 및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각 구성이 착탈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되는 광고를 교체하거나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광고 디스플레이부와 콘택트 렌즈를 보관 및 전시하는 렌즈 수용부의 부품을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을 가지는 렌즈 용기에 적합하도록 빠르고 쉽게 보관 및 전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고 디스플레이부에 삽입되는 인쇄물과 광고 디스플레이부에 포함된 전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다양한 콘택트 렌즈 정보 및 소비자의 착용 컷 등을 상세히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정확하고 빠른 렌즈 선택이 가능하며, 전자 디스플레이를 통해 행사 및 제품 정보 등 필요로 하는 다양한 정보를 다양한 형태로 소비자에게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2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3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4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5 및 도7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렌즈 수용부를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6 및 도8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렌즈 수용부에 수용되는 렌즈 용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9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10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 도면
도11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12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13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시제품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1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3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은 다양한 색상 및 모양을 가지는 최근의 콘택트 렌즈를 소비자가 보다 쉽게 편리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각의 콘택트 렌즈가 가지는 장단점 및 특징들을 소비자가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콘택트 렌즈를 진열하여 소비자가 직접 고를 수 있도록 한다.
즉,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소비자에 따라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수용부(20);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은 소비자가 콘택트 렌즈를 파악하고 고를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방으로는 돌출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를 보관하고 수용할 수 있는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며, 상기 렌즈 수용부(20)의 상부에는 소비자의 선택을 용이하게 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태의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결합된다.
도1 내지 도3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 구조가 대칭되도록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이 넓은 안경점 공간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소비자는 본 고안의 정면 및 배면 어느쪽에서도 진열된 콘택트 렌즈를 살펴보고 선택할 수 있으며, 특히 많은 소비자가 한꺼번에 안경점을 방문할 경우 수요를 분산시켜 보다 쾌적한 선택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지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제1 하부 하우징(11);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도록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제1 상부 하우징(12); 및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될 수 있는 제1 돌출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1)은 소비자의 눈높이 또는 렌즈 진열장이 설치되는 곳의 환경에 따라 다양한 높이로 설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본 고안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1)이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안경점의 인테리어, 렌즈 진열장의 설치 위치, 소비자에게 주는 심미감 등에 따라 원형, 다각형, 기둥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는 별도의 서랍이나 저장 공간을 형성하여 콘택트 렌즈나 각종 용품을 보관하도록 사용하는 것이 공간 활용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는 제1 상부 하우징(12)이 고정 결합되는데, 콘택트 렌즈가 진열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기 위하여 제1 상부 하우징(12)은 본 고안의 정면 및 배면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양 측면은 수직 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본 고안을 좌우 양측 방향을 따라 다수개 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에는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13)가 형성되는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으로부터 일정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돌출되어 상기 경사면에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면 및 배면 양쪽 방향에서 모두 콘택트 렌즈를 진열하고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돌출부(13)는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으로 서로 대칭인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경사면은 가구부분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끼워져 전방에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개방된 개방부분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개방부분의 내부 공간에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전면이 개방부분을 통해 노출되는 형태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도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의 경사면은 일정한 각도(a)를 가지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 또는 도 10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0)를 구성하는 거치대(31) 또는 이를 구성하는 본체 프레임(31a)은 상기 제1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a)의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제작된다.
도4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며, 특히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에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결합되는 것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내었다.
상기 렌즈 수용부(20)는,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의 일측면에 받침대(21)가 고정 결합되며, 상기 받침대(21)의 상부에는 렌즈 지지대(22)가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렌즈 용기(2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받침대(21)는 기본적으로 렌즈 지지대(22) 및 그 상부의 렌즈 고정대(23)의 결합체를 지지하며, 그 하부 공간에는 렌즈 지지대(22) 및 그 상부의 렌즈 고정대(23)에 조명을 위한 빛을 제공하는 조명장치(미도시) 및 상기 조명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다. 따라서, 받침대(21)는 조명장치로부터의 빛을 투과할 수 있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재질로 제작되며, 조명장치로부터 도광판의 역할을 수행하여 발산되는 빛을 고르게 분산 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반투명 재질의 판 예컨대 백색 반투명 아크릴 판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별도의 조명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받침대(21)의 네변 중 하나 이상의 변에 바(bar) 형 LED 모듈을 설치하여, 상기 받침대(21) 자체가 조명장치 및 도광판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지지대(22)의 상부에는 렌즈 고정대(23)가 고정 결합되는데, 상기 렌즈 고정대(23)에는 렌즈 용기(26)가 관통되면서 끼워질 수 있는 홀(25)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렌즈 고정대(23)와 렌즈 지지대(22)는 일정한 거리가 이격된 채로 결합되어 상기 렌즈 용기(26)가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홀(25)에 끼워질 경우 렌즈 용기(26)를 지지함과 동시에 렌즈 용기(26)의 일부 높이가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상측으로 보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렌즈 용기(26)의 보관 및 콘택트 렌즈의 선택을 가능하게 한다.
즉, 도5 및 도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홀(25)에 렌즈 용기(26)가 삽입되면 하부에 결합된 상기 렌즈 지지대(22)에 상기 렌즈 용기(26)가 맞닿아 지지되며, 상기 렌즈 용기(26)의 상부는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상측면으로 일부 높이가 돌출되도록 위치하여 콘택트 렌즈를 선택할 때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는 상기 렌즈 용기(26)는 도6 및 도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렌즈 용기(26)의 형태에 따라 상기 렌즈 고정대(23)에 형성된 홀(25)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21) 및 렌즈 지지대(22)는 동일하게 구성된 채로 상기 렌즈 고정대(23)만 교체하여 결합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렌즈 지지대(22) 및 렌즈 고정대(23)가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에 고정 결합되는 방식을 사용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상기 렌즈 지지대(22) 및 렌즈 고정대(23)를 서랍 형식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의 정면을 향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상부에는 렌즈 보호대(24)가 위치하는데,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의 높이와 동일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좋으며, 특히 상기 렌즈 보호대(24)의 하단에 위치하는 콘택트 렌즈를 소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유리 또는 아크릴 등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 는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10 은 본 고안인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을 구성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제1 돌출부(13)의 경사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거치대(31)가 결합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출부(13) 및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평평한 직사각형 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인 렌즈 진열장이 설치되는 곳의 환경 및 소비자에게 주는 심미감을 고려하여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제1 돌출부의 경사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31), 상기 거치대(31)의 일부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여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전달하는 전자 디스플레이(3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영상은 정지영상 및/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장치(미도시)를 초함하여, 상기 영상과 함께 음향이 재생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10a을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31)는 전면에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a)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영상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경사면의 일부가 관통된 형태의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방 경사면에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면 경사면과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인쇄물(34)이 삽입되는 인쇄물 삽입부(33)를 형성하는 투명재질의 전방 판체(31b)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판체(31b)에는 상기 전방 판체를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면 경사면과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 부재(31c)가 결합된다.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은 경사면을 구성하는 부분과 후방 지지부분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분과 상기 경사면은 상술한 제1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a)를 가지도록 일체로 제작되거나 별도 제작되어 결합 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분을 통해 독자적으로 제1 돌출부의 경사면의 내부 공간의 상면(미도시)에 밀착 지지되어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전방으로 노출되어 제1 돌출부의 전방 개방부를 구성하는 개방부분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제작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10b에서와 같이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의 경사면에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노출될 관통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물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전방 판체(31b)의 상부의 중앙은 반원 형태의 절단부분이 가공되고, 상기 이격 부재(31c)는 상부 끝단이 상기 전방 판체의 끝단과 일정 간격을 가지는 길이로 연장되며, 상기 이격 부재(31c)는 투명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0b를 참조하면, 상기 거치대(31) 또는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의 후방에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전자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고정 판체(31d)가 결합되며, 상기 고정 판체(31d)는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전용으로 제작된 전자 디스플레이 기기, 기존 전자 액자, 스마트 기기 등 다양한 형태의 전자 디스플레이 및/또는 터치 입력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기기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거치대의 관통부분에 대응되어 고정하도록 거치대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며, 후방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전원 배선의 인입을 위한 구명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 전자 디스플레이 기기가 화면이 관통부분에 대응되어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도 10c에서와 같이, 삽입부(33)에 인쇄물(34)이 삽입되어 본 고안의 착탈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30)의 제작이 완료된다.
제작이 완료된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제1 돌출부의 경사면의 개방부분에 광고 디스플레이부(30)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끼워져 내부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결합되며, 위와 같은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착탈가능한 구조를 통해 전자 디스플레이(32) 또는 인쇄물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전면 개방된 공간에 결합된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32)를 통하여 필요한 다양한 영상 정보 즉, 다양한 콘택트 렌즈의 정보, 소비자가 선택하는 콘택트 렌즈의 착용 컷 등을 영상 정보를 인쇄물에 인쇄된 정보와 연관하여 또는 별도로 표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별도의 카메라(35)를 추가함으로써 소비자의 콘택트 렌즈 선택이 보다 정확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콘택트 렌즈를 선택함에 있어 소비자 각각의 얼굴 형태, 얼굴 색, 눈동자의 크기, 눈동자의 색 등이 모두 달라 어떤 콘택트 렌즈가 개별 소비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알기 어려우며, 특히 콘택트 렌즈는 안경과 달리 시제품을 착용할 수 없이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 때문에 콘택트 렌즈의 선택이 어렵고 시간이 오래 걸리며 만족도가 떨어졌다. 그러나, 전자 디스플레이(32)와 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카메라(35)를 부가하는 구조를 통하여, 카메라(35)로 각각의 소비자의 얼굴 및 눈동자를 촬영하고 상기 촬영된 소비자의 얼굴 및 눈동자의 이미지에 다양한 콘텍트 렌즈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디스플레이 하도록하여 소비자가 착용상태를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32)로 직접 보면서 다양한 종류의 콘택트 렌즈 중 자신에게 적합한 콘택트 렌즈를 쉽고 정확하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 만족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31)에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쇄물이 삽입되는 인쇄물 삽입부(33)가 형성되며, 인쇄물(35)는 상기 디스플레이(32)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거치대(31)의 전자 디스플레이가 표시되는 부분 이외의 영역에 표시될 수 있는 크기와 형태로 쉽게 교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인쇄물 삽입부에 삽입된다.
상기 인쇄물 삽입부(33)에 삽입되는 인쇄물(34)에는 다양한 콘택트 렌즈의 장단점, 특징 등을 인쇄하여 상기 거치대(31)에 끼워질 수 있으며, 전자 디스플레이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연관을 가지는 정보가 인쇄되어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는 업체는 보다 많은 정보를 쉽고 효율적으로 전달하여, 우수한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는 동시에 콘택트 렌즈를 선택하는 소비자는 정확한 특징 및 장단점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렌즈 선택을 돕고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대(31)의 일측면에 모터 또는 롤러(미도시) 등을 결합하면, 다양한 종류의 삽입부(33) 인쇄물이 주기적으로 자동 교체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리하게 미리 설정된 주제별 또는 콘택트 렌즈의 종류별로 광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도록 변형 실시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소비자는 상기 디스플레이(32)에서 표시되는 영상 정보 및 상기 인쇄물 삽입부(33)에 삽입된 인쇄물에 표시되는 정보를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각종 이벤트 및 행사 정보 등을 수시로 변경하여 소비자가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렌즈 진열장이 위치할 수 없는 좁은 공간이나 벽면에 밀착되어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도11 및 도1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렌즈 수용부(20) 및 광고 디스플레이부(30)의 기능 및 구성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나, 하우징의 형상 및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은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배면은 벽에 밀착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외의 제2 하부 하우징(16), 제2 상부 하우징(17) 및 제2 돌출부(18)의 구성, 크기, 기능, 결합 방법 등은 앞서 설명한 제1 하부 하우징(11), 제1 상부 하우징(12) 및 제1 돌출부(13)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32) 및 삽입부(33)의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 및 제2 상부 하우징(17)의 내부에는 전원 공급부가 형성되고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에는 전원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 하우징(12) 및 제2 상부 하우징(17)으로부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로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한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제1 하우징 11 : 제1 하부 하우징
12 : 제1 상부 하우징 13 : 제1 돌출부
15 : 제2 하우징 16 : 제2 하부 하우징
17 : 제2 상부 하우징 18 : 제2 돌출부
20 : 렌즈 수용부 21 : 받침대
22 : 렌즈 지지대 23 : 렌즈 고정대
24 : 렌즈 보호대 25 : 홀
26 : 렌즈 용기
30 : 광고 디스플레이부 31 : 거치대
31a : 거치대 본체 프레임 31b : 전방 투명판
31c : 이격 부재 31d: 고정 부재
32 : 전자 디스플레이 33 : 인쇄물 삽입부
34 : 인쇄물 35 : 카메라

Claims (10)

  1. 미리 설정된 높이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콘택트 렌즈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렌즈 수용부(20);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위치하는 광고 디스플레이부(30); 를 포함하며,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정면 및 배면 구조가 대칭되도록 동일하게 형성되며,
    지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11);
    상기 하부 하우징(11)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도록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2); 및
    상기 상부 하우징(12)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될 수 있는 돌출부(13);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에는 개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의 정면은 돌출 형성되고 배면은 벽에 밀착되도록 평평하게 형성되며,
    지면과 맞닿아 지지하는 하부 하우징(16);
    상기 하부 하우징(16)의 상단에 결합되어 콘택트 렌즈가 보관되도록 상기 렌즈 수용부(20)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7); 및
    상기 제2 상부 하우징(17)으로부터 돌출된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가 탈착될 수 있는 돌출부(18);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돌출부의 경사면에는 개방부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분을 통해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수용부(20)는,
    상기 상부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는 받침대(21);
    상기 받침대(21)의 상부에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렌즈 용기(26)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대(22);
    상기 렌즈 지지대(22)의 상부에 고정 결합되며, 렌즈 용기(26)가 관통되도록 끼워질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홀(25)이 형성된 렌즈 고정대(23);
    상기 렌즈 고정대(23)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부 하우징(12)과 고정 결합되는 투명 재질의 렌즈 보호대(2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거치대(31); 상기 거치대(31)에 결합되어 전자적인 방식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디스플레이(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31)는,
    전면에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a)을 가지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가지고 영상을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상기 경사면의 일부가 관통된 형태의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면 경사면에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의 전방 경사면과 이격된 사이 공간에 인쇄물(34)이 삽입되는 인쇄물 삽입부(33)를 형성하는 투명재질의 전방 판체(3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판체(31b)의 상부의 중앙은 반원 형태의 절단부분이 가공되고, 상기 이격 부재(31c)는 상부 끝단이 상기 전방 판체의 끝단과 일정 간격을 가지는 길이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b)의 경사면에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의 렌즈 부분이 노출될 관통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은 경사면을 구성하는 부분과 후방 지지부분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분과 상기 경사면은 상기 돌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a)를 가지도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분을 통해 돌출부의 경사면의 내부 공간의 상면에 밀착 지지되어 광고 디스플레이부의 전면이 돌출부의 전방 개방부분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은 후방에 결합되는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를 고정하는 고정 판체(31d)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전자 디스플레이의 화면이 거치대 본체 프레임(31a)의 관통부분에 대응되어 거치대 본체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KR2020140008585U 2014-11-24 2014-11-24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KR2004813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85U KR200481355Y1 (ko) 2014-11-24 2014-11-24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85U KR200481355Y1 (ko) 2014-11-24 2014-11-24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838U Division KR200480948Y1 (ko) 2016-07-01 2016-07-01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66U true KR20160001866U (ko) 2016-06-01
KR200481355Y1 KR200481355Y1 (ko) 2016-09-19

Family

ID=56135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85U KR200481355Y1 (ko) 2014-11-24 2014-11-24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35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73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메이크힐 디스플레이 타입 상품 진열 및 광고용 스텐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090Y1 (ko) 2020-09-01 2022-11-01 주식회사 렌즈미 콘택트렌즈 표지부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판매용 전시대 및 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149A (ja) * 2005-11-10 2007-05-31 Ryoin Co Ltd ディスプレイ架台
JP2010060785A (ja) * 2008-09-03 2010-03-18 Toppan Printing Co Ltd 広告表示体
KR200463014Y1 (ko) 2012-05-03 2012-10-16 송민섭 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33149A (ja) * 2005-11-10 2007-05-31 Ryoin Co Ltd ディスプレイ架台
JP2010060785A (ja) * 2008-09-03 2010-03-18 Toppan Printing Co Ltd 広告表示体
KR200463014Y1 (ko) 2012-05-03 2012-10-16 송민섭 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4873A (ko)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메이크힐 디스플레이 타입 상품 진열 및 광고용 스텐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355Y1 (ko) 201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1023B2 (en) Wearable computing device frame
KR200463014Y1 (ko) 렌즈 진열대 및 그 진열장
US10782540B2 (en) Method for demonstrating optical properties of lenses for spectacle glasses
US10444549B2 (en) Eyewear with a pair of light emitting diode matrices
KR200481355Y1 (ko)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CA2283922C (en) Vision tester
KR200480948Y1 (ko) 탈착 가능한 광고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된 콘택트 렌즈 진열장
US7568798B2 (en) Display for eyeglasses with multiple optical center distances and method for displaying such eyeglasses
WO1998041138A9 (en) Vision tester
TW201434512A (zh) 模組化近視泳鏡之銷售系統及其方法
KR200483148Y1 (ko) 접이식 렌즈 진열대
JP3215395U (ja) 眼鏡用陳列器
US6257724B1 (en) Tester for near vision
TWM470598U (zh) 模組化近視泳鏡銷售平台
KR200466283Y1 (ko) 콘택트렌즈 진열장
KR101830920B1 (ko) 전자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장치
KR200494414Y1 (ko) 콘택트렌즈 디스플레이 장치
JP3214462U (ja) 眼鏡レンズ用レンズホルダー
KR200470737Y1 (ko) 콘택트렌즈 드라이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83506Y1 (ko) 복수의 진열용 투명 렌즈케이스가 장착된 콘텍트 렌즈 진열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진열용 투명 렌즈케이스
KR200363184Y1 (ko) 편광렌즈 진열대
KR20190003113U (ko) 투명의 콘택트렌즈의 용기부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대
KR20180101731A (ko) 페이스큐브 안경전시장치
JP3201979U (ja) 簡易式老眼鏡選択器具
KR20220000567U (ko) 콘택트렌즈 표지부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판매용 전시대 및 이를 포함하는 콘택트렌즈 진열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