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57U -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57U
KR20160001857U KR2020140008569U KR20140008569U KR20160001857U KR 20160001857 U KR20160001857 U KR 20160001857U KR 2020140008569 U KR2020140008569 U KR 2020140008569U KR 20140008569 U KR20140008569 U KR 20140008569U KR 20160001857 U KR20160001857 U KR 2016000185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ipe
level switch
shaped strap
support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0838Y1 (ko
Inventor
박광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8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838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5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5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는, 석션 파이프와; 레벨 스위치와; 상기 레벨 스위치를 상기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레벨 스위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한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는, 선저면에 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며, 레벨 스위치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Level switch assembled suction pipe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same}
본 고안은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벨 스위치를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빗물이나 파도 등에 의해 갑판 등에 고인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방법으로서, 선박 내 바닥에 웰(well) 또는 햇(hat)이라고 하는 구멍을 파서, 그 구멍에 물이 차면 그 고인 물을 빼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선박 구조는 매우 복잡하여 주변 구조물과의 간섭이 많기 때문에, 선박 내 위치에 따라 선저면에 웰 또는 햇 등의 구멍을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아서 효율적으로 선박 내 고인 물을 배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1786 (공개일:2014년 3월 27일)
본 고안의 목적은, 레벨 스위치를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는, 석션 파이프와; 레벨 스위치와; 상기 레벨 스위치를 상기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레벨 스위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석션 파이프의 배관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거치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U자형 스트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레벨 스위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U자형 스트랩과 함께 상기 석션 파이프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석션 파이프에 밀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U자형 스트랩과 함께 상기 석션 파이프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의 배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가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위치 조정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아래에서 상기 지지부를 받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석션 파이프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복수 개 구성되어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레벨 스위치의 설치구조는,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결합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석션 파이프의 배관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거치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를 지지하는 U자형 스트랩과;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고정되어 상기 U자형 스트랩을 받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복수 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배선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선저면에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며, 레벨 스위치에 의해 물 고임 여부가 자동으로 감지되어 석션 파이프를 통해 배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레벨 스위치가 석션 파이프 상에 위치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레벨 스위치가 항상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될 수 있어, 레벨 스위치에 의해 배수가 방해될 염려가 없고, 따라서 레벨 스위치의 설치 작업이 잘못될 염려가 없다.
또한 본 고안은, 레벨 스위치의 설치 위치 확보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레벨 스위치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은, 석션 파이프 상에 케이블 트레이를 결합시킴으로써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 배선 작업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고정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위치고정수단의 평면도이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설치 상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위치고정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는, 상하 수직하게 배관된 석션 파이프(suction pipe; 10)와, 레벨 스위치(level switch; 20)와, 위치고정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레벨 스위치(20)에 의해 상기 석션 파이프(10)로의 배수가 방해되지 않기 위해 상기 레벨 스위치(20)가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위치고정수단(50)에 의해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석션 파이프(10)는 펌프에 연결되어 선박 내부에 물이 고이면 그 고인 물이 상기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서,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상에 배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벨 스위치(20)는 선박 내 물이 일정 높이 이상 고여는지 여부를 센싱(sensing)하며, 상기 펌프와 전기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구동 여부 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상기 레벨 스위치(20)에 의해 물 고임이 감지되면, 상기 레벨 스위치(20)가 상기 펌프로 구동신호를 보내며, 상기 펌프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되어 고인 물이 상기 석션 파이프(10)로 흡입되게 한다.
상기 위치고정수단(50)은, 지지부(60)와, 고정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60)는, 일측이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배관을 따라 상하 이동 가능토록 거치되며, 타측이 상기 레벨 스위치(20)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다만, 상기 지지부(60)는 다음과 같이 U자형 스트랩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지지부(60)는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끼워지는 U자형 스트랩(strap; 62)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부(60)는 제1지지부재(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64)는 상기 U자형 스트랩(62)과 함께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U자형 스트랩(62)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석션 파이프(10)에 밀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지지부재(64)는 상하 수직하게 세워진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60)재는 제2지지부재(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6)는 상기 U자형 스트랩(62)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20)가 고정된다. 이러한 제2지지부재(66)는 상하 수직하게 세워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66)는 상기 레벨 스위치(20)가 주변과 간섭없이 용이하게 상기 제2지지부재(66)에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64)보다는 상기 U자형 스트랩(62)의 끝단에 가깝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지지부재(64)와 상기 제2지지부재(66) 사이에 상기 레벨 스위치(20)에 연결된 케이블(22)이 배선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지지부재(64)와 일정 간격(g)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지지부(60)에 의해 지지되는 레벨 스위치(20)를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무방하다. 다만, 상기 고정부(7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지지부(60)보다 밑에 위치되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60) 아래에서 상기 지지부(60)를 받치는 스토퍼(stopper; 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고정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72)는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외주면에 용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상하 위치 조정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석션 파이프(10)를 따라 이동 가능토록 끼워지며 볼트 등에 의해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일정 위치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70)는 상기 스토퍼(72) 대신 다음과 같이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60) 아래에서 상기 지지부(60)를 받치는 클램프(clamp; 74)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클램프(74)는 C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끼워지는 클램프 본체(74a)와, 상기 클램프 본체(74a)가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프 본체(74a)의 양단 사이에 체결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74a)를 조이는 클램프 볼트(74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는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케이블(22)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 30)가 상하 복수 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30)는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30)는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케이블(22) 종류에 따라 그 구조가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케이블(22)의 납작한 막대 모양(flat bar)인 경우, 상기 케이블 트레이(30)는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케이블(22)이 거치되는 부분이 직사각형 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석션 파이프(10) 일체형 레벨 스위치(20)의 설치 작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석션 파이프(10)의 배관 작업을 먼저 한 후, 상기 석션 파이프(10)에 상기 위치고정수단(50)의 고정부(70)를 결합시킨 다음, 상기 위치고정수단(50)의 지지부(60)를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에 결합시킨다. 그리고,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케이블(22)을 상기 석션 파이프(10) 상의 케이블 트레이(30)를 따라 배선작업하면, 상기 레벨 스위치(2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석션 파이프
20; 레벨 스위치
30; 케이블 트레이
50; 위치고정수단
60; 지지부
62; U자형 스트랩
64; 제1지지부재
66; 제2지지부재
70; 고정부
72; 스토퍼
74; 클램프

Claims (12)

  1. 석션 파이프와;
    레벨 스위치와;
    상기 레벨 스위치를 상기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되도록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레벨 스위치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석션 파이프의 배관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거치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U자형 스트랩을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지며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고, 상기 레벨 스위치가 고정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U자형 스트랩과 함께 상기 석션 파이프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석션 파이프에 밀착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U자형 스트랩과 함께 상기 석션 파이프의 전둘레를 둘러싸도록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와의 사이에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의 배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U자형 스트랩의 양단에 가로질러 결합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가 고정되는 제2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7.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위치 조정 가능토록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 아래에서 상기 지지부를 받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8.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석션 파이프에 착탈 가능토록 결합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복수 개 구성되어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의 배선을 안내하는 케이블 트레이를 더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10. 석션 파이프의 하단보다 일정 높이 이상 높게 위치될 수 있도록, 위치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결합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설치구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수단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기 석션 파이프의 배관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거치되며, 상기 레벨 스위치를 지지하는 U자형 스트랩과;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고정되어 상기 U자형 스트랩을 받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설치구조.
  12.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레벨 스위치의 케이블은 상기 석션 파이프 상에 상하 복수 개 구성된 케이블 트레이를 따라 배선되는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의 설치구조.
KR2020140008569U 2014-11-21 2014-11-21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KR200480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69U KR200480838Y1 (ko) 2014-11-21 2014-11-21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69U KR200480838Y1 (ko) 2014-11-21 2014-11-21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57U true KR20160001857U (ko) 2016-05-31
KR200480838Y1 KR200480838Y1 (ko) 2016-07-22

Family

ID=56098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69U KR200480838Y1 (ko) 2014-11-21 2014-11-21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838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707A (ja) * 2003-03-31 2004-10-28 Keyence Corp 検出装置
KR20100080101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가스안전공사 배관 진단 장치
KR20120076353A (ko) * 2009-09-11 2012-07-09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환원제 이송 장치
KR101312641B1 (ko) * 2006-08-21 201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센서홀더
KR20140001786U (ko) 2012-09-18 2014-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01707A (ja) * 2003-03-31 2004-10-28 Keyence Corp 検出装置
KR101312641B1 (ko) * 2006-08-21 2013-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센서홀더
KR20100080101A (ko) * 2008-12-31 2010-07-08 한국가스안전공사 배관 진단 장치
KR20120076353A (ko) * 2009-09-11 2012-07-09 에미텍 게젤샤프트 퓌어 에미시온스테크놀로기 엠베하 환원제 이송 장치
KR20140001786U (ko) 2012-09-18 2014-03-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갑판 배수구용 배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0838Y1 (ko) 201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0226B1 (ko) 오동작방지 맨홀펌프장 수위감지 스위치
WO2017074245A1 (en) A shaft pipe collection module
KR200480838Y1 (ko) 석션 파이프 일체형 레벨 스위치 및 그 설치구조
KR20120132169A (ko) 해양구조물의 윈드월 구조
KR20140093204A (ko) 트레이수단을 구비한 배관지지가대
JP6859065B2 (ja) 悪臭防止型排水設備
KR20150000857U (ko) 배관 지지장치
KR20150001037U (ko) 선체의 블록 서포트
JP4816956B2 (ja) 浴室ユニット
KR20140025698A (ko) 해양 구조물의 이중 바닥 시스템
KR100928592B1 (ko) 태양열 전지모듈 고정장치
KR200483076Y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JP2007138859A (ja) 水中ポンプのポンプガイド機構
KR20130078051A (ko) 해저 스풀 보호용 구조체
JP7217361B2 (ja) 防振支持脚部材及び防振支持脚部材を備えるエアポンプ
RU25160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2152926B1 (ko) 비닐하우스용 장치판
KR101576059B1 (ko) 공동구 공사 구조물
KR200481030Y1 (ko) 선박용 발판 장치
KR200472187Y1 (ko) 유틸리티라인 지지구
CN106826004B (zh) 齿轮齿条升降系统安装架的制作方法
JP5995026B1 (ja) 配管支持具
JP5995025B1 (ja) 配管支持具
CN204269444U (zh) 用于制作钉连接节点试验用试件的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