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829U -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 Google Patents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829U
KR20160001829U KR2020140008529U KR20140008529U KR20160001829U KR 20160001829 U KR20160001829 U KR 20160001829U KR 2020140008529 U KR2020140008529 U KR 2020140008529U KR 20140008529 U KR20140008529 U KR 20140008529U KR 20160001829 U KR20160001829 U KR 2016000182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amp
switch member
cas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5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056Y1 (ko
Inventor
안영진
Original Assignee
안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진 filed Critical 안영진
Priority to KR20201400085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05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8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8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0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7/00Solid balls; Rigid hollow balls; Marbles
    • A63B37/0003Golf balls
    • A63B37/007Characteristics of the ball as a wh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1/00Hollow inflatable balls
    • A63B41/08Ball covers; Closur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6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with illuminating devices ; with reflectiv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1/00Stringing tennis, badminton or like rackets; Strings therefor; Maintenance of racket st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17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에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그 구성이 간단하고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한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발광장치(50)는 엘이디(LED)로 한 발광램프(25)로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의 리드선(22,22-1)과 건전지(40)가 장착되는 케이스(1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120)내에서 스위치장치부(30)의 조작부(21)를 외부로 노출시켜 온/오프가 용이하고 라켓과 충격에서 견고히 지지되어 고장이 없도록 상기 발광장치(50)를 이루는 케이스(10)는 탄성재질의 헤드부(120)내로 밀폐되게 수납구성하는 셔틀콕(100)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Radiation badminton shuttlecock}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에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그 구성이 간단하고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한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에 관한 것이다.
배드민턴은 셔틀콕과 라켓의 간단한 기구를 이용하여 넓은 실내와 함께 야외에서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운동이다.
이러한 배드민턴은 가족, 친구 등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쉽고 재미로 할 수 있는 특징의 운동기구로서 아파트, 주택가에서 가족단위로 많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날이 저물어 어두운 곳에서는 비상하는 셔틀콕을 확인할 수 없게 됨으로 배드민턴을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통상의 배드민턴용 셔틀콕(shuttlecock)에 발광수단을 더 구비하여 야간에도 발광빛에 의한 셔틀콕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서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발광기능의 셔틀콕은 비상을 위한 날개로의 깃털과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탄성층인 헤드로 구분되어 구성됨과 함께 상기 발광수단으로 엘이디(LED)램프를 결합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로 실용신안 등록 제 20-0439558호에서의 발광부는 리드선과 연결되는 LED 램프를 이브이에이(EVA) 또는 코르크와 같은 재질에 의한 헤드부를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내에 마련된 공간부로 원기둥 형태의 완충부재를 구성하고 이 완충부재에 온/오프스위치와 연결된 램프를 장착함과 함께 필러(filler)로 상기 램프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발생이 많고 제조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램프가 헤드부내로 구성됨으로 라켓과의 충돌에서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공개 특허 제10-2005-0056818호는 날개부로부터 연장된 체결수단과 헤드부내로 장착되는 발광부로서 전원으로 연결된 램프가 상기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수단과 결합되는 구성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체결구조는 라켓과의 충돌에서 상기 체결부의 이탈이 쉽고 건전지 또한 충격에 의한 요동으로 접속불량이 발생하고 있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제 20-0303858호는 상기 헤드부와 램프를 장착하는 장착부를 나사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러한 경우에도 나사풀림이 발생하고 단점이 발생된다.
이와 달리 등록실용신안 제20-0244769호는 상기 헤드부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고 이 수납공간에 램프와 함께 충격스위치를 장착된 기판을 끼워고정시키고 있으나 상기 충격스위치는 그 작동의 불량이 많고 사용자가 스스로 온/오프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함께 다수의 선행기술에서 발광장치를 구성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을 제안하고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가 어려운 단점 및 고장 또는 온/오프가 어려운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것이다.
실용신안 등록 제 20-0439558호 공개 특허 제10-2005-0056818호 등록실용신안 제 20-030385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244769호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에 발광수단을 구비하되, 그 구성이 간단하고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한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날개(110)와 헤드부(120)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헤드부(120)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엘이디(LED) 발광램프(25)를 구성하는 배드민턴 셔틀콕(100)을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120)내로 수용되는 케이스(10)는, 경첩부(11)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케이스부재(12)를 체결봉(13)과 함께 체결공(14)으로 착탈하고 상부로 발광램프(25)를 노출 및 고정하기 위한 램프고정부(15)와,
온/오프스위치의 조작부(21)를 노출과 이동가능한 장공(16)과 근접하여 경첩부(1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스위치부재(20),
상기 스위치부재(20)에 "+""-"극 리드선(22,22-1)단부가 고정되고, 조작부(21)를 온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안착홈(23)이 구성되는 스위치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스(10);
상기 램프고정부(15)에 결합되는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1)이 건전지(40)저면과 접점되고, "+"극 리드선(22)은 수평상태로 절곡되어 스위치부재(20)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극 리드선(22)에 권선되어 건전지(40)와 단락되는 접점봉(31)을 구비하고, 타측은 장공(16)을 거쳐 케이스(10)외부로 노출과 절곡된 후 단부가 스위치부재(20)에 고정되는 조작부(21)로 한 스위치장치부(30)로 구성되는 발광장치(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100)에 발광장치(50)을 구비하되, 구성이 간단하고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한 효과의 배드민터 셔틀콕(100)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발광장치(50)는 엘이디(LED)로 한 발광램프(25)로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의 리드선(22,22-1)과 건전지(40)가 장착되는 케이스(1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120)내에서 스위치장치부(30)의 조작부(21)를 외부로 노출시켜 온/오프가 용이하고 라켓과 충격에서 견고히 지지되어 고장이 없도록 한 효과를 발휘하는 셔틀콕(100)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중요부분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본 고안 도 2의 결합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도 3의 전원 온/오프 조작설명도.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100)에 발광장치(50)을 구비하되, 구성이 간단하고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용이하면서 제조가 간단한 배드민턴 셔틀콕(100)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비상을 위한 날개(110)의 깃털내로 발광램프(25)가 구성됨과 함께, 라켓과 충격되는 부위인 탄성부재로 구성된 헤드부(120)내에 발광장치(50)가 밀폐되게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발광장치(50)는 엘이디(LED)로 한 발광램프(25)로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극의 리드선(22,22-1)과 건전지(40)가 장착되는 케이스(10)로 구성되되, 상기 헤드부(120)내에서 스위치장치부(30)의 조작부(21)를 외부로 노출시켜 온/오프가 용이하고 라켓과 충격에서 견고히 지지되어 고장이 없도록 구성하는 셔틀콕(100)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경첩부(11)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케이스부재(12)를 개폐시키기 위한 체결봉(13)과 체결공(14)이 대응되게 구성되고, 상부 중앙에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램프(25)를 노출과 고정하기 위한 램프고정부(15),
그리고 온/오프스위치의 조작부(21)를 외부로 노출과 이동가능한 장공(16)이 형성되고, 장공(16)과 근접하여 경첩부(11)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극 리드선(22) 단부가 고정됨과 함께 조작부(21) 단부가 고정되고 조작부(21)를 온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조작부(21) 안착홈(23)이 구성되는 스위치부재(20)를 구비하는 케이스(10)와,
상기 램프고정부(15)에 발광램프(25)가 결합되고 케이스(10)내 하부측으로 건전지(40)를 수납시켜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1)이 건전지(40)외부를 지나 저면에서 접점시키고,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은 수평상태로 절곡되어 상기 스위치부재(20)에 고정하되, 상기 "+"극 리드선(22)에 권선되어 건전지(40)와 단락되는 접점봉(31)을 구비하고, 타측은 상기 장공(16)을 거쳐 케이스(10)외부로 노출 및 절곡된 후 단부가 스위치부재(20)에 고정되는 조작부(21)로 한 스위치장치부(30)로 구성되는 발광장치(50),
상기 발광장치(50)를 이루는 케이스(10)는 탄성재질의 헤드부(120)내로 밀폐되게 수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야간에도 배드민턴을 할 수 있도록 배드민턴 셔특콕(100)에 발광장치(50)을 구비하되, 충격에도 고장이 없고, 온/오프 조작이 날개(110)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깃털로 구성된 날개(110)내에서 발광램프(25)가 발광함으로써 안정된 발광과 충격등에서도 고장이 없도록 함과 함께 탄성부재로 구성된 헤드부(120)내에 발광장치(50)가 밀폐되게 수용됨으로서 보다 견고하면서 밀폐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배드민터 셔틀톡(100)을 이용하여 공지와 같이 배드민턴을 할 수 있고 야간에는 셔틀콕(100)을 발광시켜 발광빛으로 그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발광장치(50)의 엘이디(LED)로 한 발광램프(25)에 전원을 온시키게 된다.
즉, 도 3과 도4에서 도시한바와 같이 날개(110)내로 노출된 조작부(21)을 이동시켜 조작부(21)가 스위치부재(20)에 형성된 안착홈(23)에 걸림으로서 상기 조작부(21)가 전원 온상태로 유지하게 되며,
이러한 조작으로 연동하는 상기 조작부(21)는 케이스(10)내에 구성된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에 권선되고 상기 조작부(21)와 일체로 형성된 끝단이 건전지(40)와 근접된 상태에서 접점봉(31)을 하강함으로서 하강위치에 구성된 건전지(40)와 접점됨으로 전원이 온 된다.
이때 상기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1)은 건전지(40)외부를 지나 저면에서 접점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상기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 발광램프(25)는 빛을 발광함으로서 비산하는 셔틀콕(100)의 위치를 사용자가 극히 쉽게 파악됨으로서 배드민턴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드민턴을 그만하고자 할때에는 상기에서 온 상태로 이동한 조작부(21)를 안착홈(23)에서 이탈시키면 탄성에 의해 최초 위치로 이동하고 이러한 이동은 조작부(21)와 권선부 그리고 건전지(40)와 접점상태의 접점봉(31)을 상부로 이송하여 건전지(40)와 이탈 분리하게 됨으로써 전원의 공급이 중단되어 발광램프(25)는 소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경첩부(11)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케이스부재(12)를 체결봉(13)과 체결공(14)으로 간단히 체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 조립이 용이하고 이러한 체결로 상부 중앙에 구성된 램프고정부(15)에 의해 엘이디(LED)로 이루어지는 발광램프(25)를 상부로의 노출과 함께 견고한 고정을 이룰 수 있어 충격에도 발광램프(25)가 이탈되는 단점을 개선하고 있다.
특히 상기 발광램프(25)는 공지와 같이 하단에 외향 돌출띠부재가 형성되고 이를 상기 램프고정부(15)에서 압착고정함으로서 보다 견고한 결합성을 발휘한다.
그리고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극의 리드선(22,22-1)은 케이스(10)에서 돌출된 스위치부재(20)에 일단부가 고정됨으로 견고성을 충족하고 "-"극 리드선(22-1)은 건전지(40) 외부를 지나 저면에서 접점되는 간단한 구성과 함께 "+"극 리드선(22)에는 연장된 조작부(21)가 권선되어 건전지(40)와 단락되는 접점봉(31)을 구성하고, 타측은 연장부에서 권선된 후 케이스(10)의 장공(16)을 거쳐 케이스(10)외부로 노출과 절곡되는 조작부(21)를 이룸으로써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한 효과와 고장이 없고 조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발광장치(50)를 이루는 케이스(10)가 탄성재질의 헤드부(120)내로 밀폐되게 수납되도록 구성시켜 충격에도 고장이 없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고안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케이스 11 : 경첩부 12 : 좌우케이스부재
13 : 체결봉 14 : 체결공 15 : 램프고정부
16 : 장공 20 : 스위치부재 21 : 조작부
22 : "+"극 리드선 22-1 : "-"극 리드선 23 : 안착홈
25 : 발광램프 30 : 스위치장치부 31 : 접점봉
40 : 건전지 50 : 발광장치 100 : 셔특콕
110 : 날개 120 : 헤드부

Claims (2)

  1. 날개(110)와 헤드부(120)로 구성됨과 함께 상기 헤드부(120)내에 빛을 발광하기 위한 엘이드(LED) 발광램프(25)를 구성하는 배드민턴 셔틀콕(100)을 구성하되,

    상기 헤드부(120)내로 수용되는 케이스(10)는, 경첩부(11)에 의해 좌우로 개폐되는 좌우케이스부재(12)를 체결봉(13)과 체결공(14)으로 착탈하고 상부로 발광램프(25)를 노출과 고정하기 위한 램프고정부(15)와,
    온/오프스위치의 조작부(21)를 노출과 이동가능한 장공(16)과 근접하여 경첩부(11)로부터 상향 돌출되는 스위치부재(20),
    상기 스위치부재(20)에 "+""-"극 리드선(22,22-1)단부가 고정되고, 조작부(21)를 온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안착홈(23)이 구성되는 스위치부재(20)를 구성하는 케이스(10);

    상기 램프고정부(15)에 결합되는 발광램프(25)의 "-"극 리드선(22-1)이 건전지(40)저면과 접점되고, "+"극 리드선(22)은 수평상태로 절곡되어 스위치부재(20)에 고정됨과 함께 상기 "+"극 리드선(22)에 권선되어 건전지(40)와 단락되는 접점봉(31)을 구비하고, 타측은 장공(16)을 거쳐 케이스(10)외부로 노출과 절곡된 후 단부가 스위치부재(20)에 고정되는 조작부(21)로 한 스위치장치부(30)로 구성되는 발광장치(5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장치(50)를 이루는 케이스(10)는 탄성재질의 헤드부(120)내로 밀폐되게 수납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KR2020140008529U 2014-11-20 2014-11-20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82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29U KR200482056Y1 (ko) 2014-11-20 2014-11-20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529U KR200482056Y1 (ko) 2014-11-20 2014-11-20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829U true KR20160001829U (ko) 2016-05-30
KR200482056Y1 KR200482056Y1 (ko) 2016-12-09

Family

ID=5609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529U KR200482056Y1 (ko) 2014-11-20 2014-11-20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056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69Y1 (ko) 2001-04-04 2001-10-10 김섬욱 발광장치를 갖는 셔틀콕
KR200303858Y1 (ko) 2002-09-19 2003-02-12 이재복 발광형 셔틀콕
KR200377949Y1 (ko) * 2004-11-05 2005-03-11 전승규 발광형 배드민턴 셔틀콕
KR20050056818A (ko) 2003-12-10 2005-06-16 배경득 발광 셔틀콕
KR200439558Y1 (ko) 2008-01-23 2008-04-18 김성준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100861141B1 (ko) * 2007-06-11 2008-09-30 김상욱 배드민턴 셔틀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4769Y1 (ko) 2001-04-04 2001-10-10 김섬욱 발광장치를 갖는 셔틀콕
KR200303858Y1 (ko) 2002-09-19 2003-02-12 이재복 발광형 셔틀콕
KR20050056818A (ko) 2003-12-10 2005-06-16 배경득 발광 셔틀콕
KR200377949Y1 (ko) * 2004-11-05 2005-03-11 전승규 발광형 배드민턴 셔틀콕
KR100861141B1 (ko) * 2007-06-11 2008-09-30 김상욱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39558Y1 (ko) 2008-01-23 2008-04-18 김성준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056Y1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72469T3 (es) Dispositivos de iluminación eléctrica que simulan una llama parpadeante
US20130039051A1 (en) Structure of light tube
KR200482056Y1 (ko)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KR101744852B1 (ko) 높은 주광성 효과를 유도하는 집어등
US20150049472A1 (en) Lamp stand with faux flame
KR101217095B1 (ko) 전자기 유도에 의해 발광하는 라켓 및 그 발광 방법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KR101709853B1 (ko) 발광 차단봉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CN104421651A (zh) 登山杖电筒
US6758767B1 (en) Equipment for croquet
KR2014009058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JP5270311B2 (ja) 発光する飛行ゴム風船
KR2014009073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KR102148501B1 (ko) 전자발광 기능을 갖춘 낚시찌
KR200323973Y1 (ko) 어신감지용 발광장치를 갖춘 초릿대
CN207137294U (zh) 新型实用空竹可变七彩灯光器
KR200437718Y1 (ko) 발광 라켓
KR200439558Y1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AU2018100808A4 (en) Bug-repelling device and bug-repelling device with lighting function
KR200376544Y1 (ko) 배드민턴용 발광 셔틀콕
JP2001107641A (ja) 自動ドア
KR200374885Y1 (ko) 탈 부착형 발광셔틀콕
KR200333646Y1 (ko) 발광장치를 갖춘 배드민턴 셔틀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