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9558Y1 -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 Google Patents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9558Y1
KR200439558Y1 KR2020080001010U KR20080001010U KR200439558Y1 KR 200439558 Y1 KR200439558 Y1 KR 200439558Y1 KR 2020080001010 U KR2020080001010 U KR 2020080001010U KR 20080001010 U KR20080001010 U KR 20080001010U KR 200439558 Y1 KR200439558 Y1 KR 200439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ller
lead wire
hole
shuttlec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10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김성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준 filed Critical 김성준
Priority to KR20200800010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9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9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9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97Feathered missiles with special functions, e.g. light emission or sound gen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18Badminton or similar games with feathered missiles
    • A63B67/183Feathered missiles
    • A63B67/187Shuttlec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9Protective housings covering the working parts of the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04Badmint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엘이디(LED)에 의한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그의 구성은; 날개부(2),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헤드부(4), 날개부(2)와 헤드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6), 및 발광부(8)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8)는 리드선(12)의 단부에 표면실장형 LED 램프(16)가 부착된 형태이며; 상기 연결부(6)는 발광부의 케이스(26)가 면밀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7)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7)의 중심에는 상기 리드선(12)과 램프(16)가 일체로 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필러홀(9, filler hole)이 세로방향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필러홀(9)에는 세로방향으로 리드선관통공(10)이 타공되어 있는 필러(11)가 끼워지며; 속이 빈 반구(半球)형의 빛투과성이 양호한 탄성체로서 상기 연결부(6)의 선단 외주연에 상기 헤드부(4)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shuttlecock having electric lighting means}
본 고안은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두운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엘이디(LED)에 의한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바람이 심하지 않은 넓지 않은 공간과 간단한 도구만 있으면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배드민턴은 야외에서 행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날이 저물어 어두운 곳에서는 배드민턴을 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종래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배드민턴용 셔틀콕(shuttlecock)이 여러 차례 제시되어 왔다.
이러한 셔틀콕은 대체로 깃털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날개부;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헤드부; 날개부와 헤드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발광부를 포함한다.
종래의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셔틀콕은 휘도가 약하다는 문제, 무게가 공인규격을 넘게 되는 문제, 가격이 지나치게 상승된다는 문제 등이 있었다. 그러나 엘이디(LED) 램프의 지속적인 개발 및 저렴한 가격으로의 공급에 의해 이러한 문제는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고 본다.
그러나 위에 언급한 문제가 부분적으로 잔존하고 있으며, 나아가 엘이디 램프가 라켓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기 쉽거나 충격흡수를 만족스럽게 할 수 없는 등의 구조상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03595호에 개시된 셔틀콕에 의하면, 반구형으로 된 헤드부의 평균두께가 두꺼워 밝기가 저하된다. 중요한 단점으로서 램프가 원통형 공간 내에 단순 설치되어 있어 지지되는 부분이 없고, 스위치부분이 연결부의 배면에 단순 접착되어 있으므로 오랜 사용,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스위치부분이 셔틀콕으로부터 떨어져 나가거나 램프가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를 가진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원 고안자는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7-0015784호, 제20-2007-0015683호를 제시한 바 있다. 출원된 셔틀콕에 의해 언급된 전반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지만 또다시 다음과 같은 새로운 문제가 대두되었다. 즉, 전자의 경우 발광부의 접착력이 약하여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문제가 생겼으며, 램프의 무게가 셔틀콕의 무게를 증가시키는 문제가 생겼다. 셔틀콕에 있어서 미소한 중량 차이는 제품의 성능 및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문제이다. 또한 후자의 경우 리드선의 램프를 나중에 납땜으로 부착시켜야 하는 구조로서, 납땜이 어려울 뿐더러 납땜 후 소정 길이로 삐죽 튀어나온 리드선의 처리 문제가 용이하지 않았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한 본 고안의 목적은, 셔틀콕은 밝기를 만족할 만큼 유지할 수 있으며,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으며, 라켓과의 충격에 의해 부품이 떨어져 나가는 등 파손되지 않도록 하며, 충격흡수를 만족스럽게 할 수 있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개선된 형태의 배드민턴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나아가 셔틀콕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발광부가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도록 하는 개선된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작업성이 개선된 배드민턴 셔틀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문제는, 깃털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날개부(2),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헤드부(4), 날개부(2)와 헤드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6), 및 발광부(8)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8)는 리드선(12)의 단부에 표면실장형 LED 램프(16)가 부착된 형태이며; 상기 연결부(6)는 이브이에이(EVA) 또는 코르크와 같은 재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완충부재로서 발광부의 케이스(26)가 면밀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7)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7)의 중심에는 상기 리드선(12)과 램프(16)가 일체로 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필러홀(9, filler hole)이 세로방향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필러홀(9)에는 세로방향으로 리드선관통공(10)이 타공되어 있는 필러(11)가 끼워지며; 속이 빈 반구(半球)형의 빛투과성이 양호한 탄성체로서 상기 연결부(6)의 선단 외주연에 상기 헤드부(4)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필러(11)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필러(11)는 납작한 단위 필러(11')가 여러개 합체되어 일체가 된 층구조인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헤드부를 얇게 할 수 있어 셔틀콕의 밝기를 만족스럽게 유지할 수 있으며, 램프의 크기를 작게 하여 무게의 증가가 거의 없는 셔틀콕이 제공된다. 또한, 헤드부 내면에 설치되는 뼈대에 의해 라켓과의 충격에 의해 파손되지 않으며; 코르크 또는 이브이에이(EVA)로 된 연결부의 중공부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충격흡수에 지장이 없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개선된 형태의 배드민턴 셔틀콕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이하 기술되는 내용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시각을 더욱 자극하게 되어 셔틀콕의 위치판단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셔틀콕이 제공된다. 또한 스위치부위가 오랜 사용 또는 큰 충격에도 연결부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되는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으며 간단히 조립만 하면 되는 구성이어서 작업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셔틀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취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필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일부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날개부 4 ; 헤드부
6 ; 연결부 7 ; 안착부
8 ; 발광부 9 ; 필러홀(filler hole)
10, 10' ; 리드선관통공 11 ; 필러 (filler)
12 ; 리드선
16 ; 램프 18 ; 뼈대(rib)
20 ; 온/오프 스위치 24 ; 전지
28 ; 지지판 30 ; 커버부재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내용을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셔틀콕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A 방향에서 취한 것으로서 특히 조립된 상태에서의 일부 단면도이다(다만 커버부재(30)가 더 부가됨). 도 3은 본 고안의 필러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일부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러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배드민턴 셔틀콕은 기본적으로 깃털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날개부(2),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헤드부(4), 날개부(2)와 헤드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6), 및 발광부(8)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셔틀콕의 각 구성요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에 취지가 있다.
연결부(6)는 원기둥 형태의 완충부재로서 이브이에이(EVA) 또는 코르크와 같은 소재로써 사출성형된다. 날개부(2)의 각 대(2a)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연결부(6)에 매립되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보통이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날개부(2)의 형태 및 연결부(6)와의 연결방식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발광부(8)는 온/오프 스위치(20, 이하 '스위치'라 한다), 램프(16) 및 전지(24, battery)를 포함한다. 스위치(2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노브(20a)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개폐된다. 전지(24)는 케이스(26) 내에 내장된 상태로 제공되며, 여기서 케이스(26)의 구비 여부는 선택적 사항이다.
전지(24)는 두께가 얇은 버튼(button)형으로서 수은전지, 니켈-카드뮴전지 또는 알카라인전지 등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스위치(20) 및 전지(24)는 상기 연결부(6)의 뒷면에 접착 설치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날개부(2)를 통해 손가락을 집어넣고 스위치(20)를 임의로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램프(16)는 표면실장형 또는 칩형태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바람직하다. 램프(16)는 리드선(12)에 의해 전지(24)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된다. 즉, 램프(16)는 사전에 리드선에 납땜으로 부착될 수 있으므로 연결부(6)를 먼저 조립한후 사후에 납땜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도 3 참조).
연결부(6)에는 세로방향으로 발광부의 케이스(26)가 면밀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7)가 마련된다. 안착부(7)의 중심에는 필러홀(9, filler hole)이 세로방향으로 타공되어 있다. 이 필러홀(9)에는 필러(11)가 끼워지게 된다. 필러(11)는 코르크, 이브이에이(EVA) 등 경량의 재질이 선택된다.
필러(11)에는 세로방향으로 리드선관통공(10)이 타공되어 있다. 리드선관통공(10)은 리드선(12) 및 이와 일체로 부착된 램프(16)를 어렵지 않게 끼울 수 있는 정도의 공간을 제공한다.
필러(11)는 원기둥 형태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기둥의 형태가 될 수 있으며(도 4(b)(c) 참조), 필러홀(9)은 이에 부합되는 형태가 될 것이다. 필러가 다각기둥인 경우 필러홀(9)과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필러(11)와 필러홀(9)의 접촉면(F)에는 접착제가 가해지게 된다. 접촉면적이 넓어질수록 접착제가 도포되는 면적이 넓어지므로 연결부(6)와 필러(11)의 접착력은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곧 발광부(8), 연결부(6) 및 필러(11)의 결속을 필요한만큼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과 상통한다.
또한 필러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일체형으로 될 수도 있으며,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납작한 단위 필러(11')가 여러개 합체되어 일체가 된 층구조일 수 있다.
필러(11)의 리드선관통공(10)은 도 4(b)(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타공될 수도 있다. 도 4(b)(d)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리드선관통공(10)은 필러(11)의 측벽으로 개방되도록 타공 또는 성형될 수 있다. 작업자는 램프(16)와 연결된 리드선(12)을 약간 벌린 후 필러(11)를 그 사이에 끼워 넣고서 이를 연결부(6)에 결합시키면 된다. 즉, 작업순서가 다른 필러(도 4(a)(c))에 의한 것과 차이가 있게 된다.
필러(11)의 저면에는 빛반사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지지판(28)이 선택적으로 부가될 수 있다. 지지판(28) 역시 리드선관통공(10')이 타공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램프(16)의 표면에 빛투과성이 양호한 합성수지 재질의 얇은 커버부재(30, 도 2 참조)가 절연 가능하게 접착 고정될 수 있다.
이하, 헤드부(4)에 대하여 설명한다. 헤드부(4)에 관련한 사항은 종래기술이므로 간략하게 설명한다. 헤드부(4)는 속이 빈 반구형의 빛투과성이 양호한 탄성체로서 상기 연결부의 선단 외주연에 끼워져 접착식으로 고정 설치된다. 헤드부와 날개부의 연결지점에는 소정의 테잎(미도시됨)이 접착되어 마감될 수 있다.
헤드부(4)는 통상 실리콘 또는 고무 등 탄성이 우수한 재질이 선택된다. 헤드부(4)의 필수적 요건은 빛투과성이 양호해야 한다는 것이다. 헤드부(4)는 빛이 산란되도록 하여 전체가 밝게 보이도록 반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부(6)의 선단에 지지되도록 상기 헤드부(4)의 내주면으로부터 원주방향을 따라 1개 이상의 뼈대(18, ri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Claims (3)

  1. 깃털 또는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날개부(2), 라켓에 충격되는 부위인 헤드부(4), 날개부(2)와 헤드부(4)를 연결하는 연결부(6), 및 발광부(8)를 포함하는 배드민턴 셔틀콕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8)는 리드선(12)의 단부에 표면실장형 LED 램프(16)가 부착된 형태이며; 상기 연결부(6)는 이브이에이(EVA) 또는 코르크와 같은 재질에 의한 원기둥 형태의 완충부재로서 발광부의 케이스(26)가 면밀하게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7)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부(7)의 중심에는 상기 리드선(12)과 램프(16)가 일체로 된 상태로 끼워질 수 있는 필러홀(9, filler hole)이 세로방향으로 타공되어 있으며; 상기 필러홀(9)에는 세로방향으로 리드선관통공(10)이 타공되어 있는 필러(11)가 끼워지며; 속이 빈 반구(半球)형의 빛투과성이 양호한 탄성체로서 상기 연결부(6)의 선단 외주연에 상기 헤드부(4)가 끼워져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11)는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11)는 납작한 단위 필러(11')가 여러개 합체되어 일체가 된 층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2020080001010U 2008-01-23 2008-01-23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39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010U KR200439558Y1 (ko) 2008-01-23 2008-01-23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1010U KR200439558Y1 (ko) 2008-01-23 2008-01-23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9558Y1 true KR200439558Y1 (ko) 2008-04-18

Family

ID=4134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1010U KR200439558Y1 (ko) 2008-01-23 2008-01-23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95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29U (ko) 2014-11-20 2016-05-30 안영진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829U (ko) 2014-11-20 2016-05-30 안영진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1244A1 (en) Illuminating ball
US20070281811A1 (en) Ball with lighting device
US20050261083A1 (en) Modified ball structure
KR200439558Y1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37701Y1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200437700Y1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JP2005224420A (ja) 発光ボール
US20070047222A1 (en) [umbrella with light-emitting indicator]
CN209809452U (zh) 一种发光羽毛球
KR20100103282A (ko) 발광수단을 가지는 배드민턴 셔틀콕
KR100861141B1 (ko) 배드민턴 셔틀콕
KR200333646Y1 (ko) 발광장치를 갖춘 배드민턴 셔틀콕
CN210963829U (zh) 一种拆卸式发光羽毛球
CN204050854U (zh) 一种闪光球
CN209679445U (zh) 一种新型的发光羽毛球球托
KR200333712Y1 (ko) 발광 배드민턴 셔틀콕
KR200256517Y1 (ko) 발광 배드민턴공
CN217426362U (zh) 发光口哨及发光球
KR200374885Y1 (ko) 탈 부착형 발광셔틀콕
KR200204709Y1 (ko) 야간 레저용 배드민턴 공
KR200303858Y1 (ko) 발광형 셔틀콕
JP3234974U (ja) 発光ボール
KR200366622Y1 (ko) 셔틀콕
CN218923733U (zh) 一种发光羽毛球
CN201507902U (zh) 高尔夫球旗杆的发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