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641U - 바베큐용 꽂이 기구 - Google Patents

바베큐용 꽂이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641U
KR20160001641U KR2020140008157U KR20140008157U KR20160001641U KR 20160001641 U KR20160001641 U KR 20160001641U KR 2020140008157 U KR2020140008157 U KR 2020140008157U KR 20140008157 U KR20140008157 U KR 20140008157U KR 20160001641 U KR20160001641 U KR 201600016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becue
stand
support plate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자
Original Assignee
(주)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상건 filed Critical (주)상건
Priority to KR2020140008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641U/ko
Publication of KR20160001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641U/ko

Links

Image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세워서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고, 바베큐 요리가 끝난 후에는 꽂이 기구에서 분리함이 없이 그대로 편리하게 육질을 즐기며 고기를 뜯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바베큐용 꽂이 기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바베큐용 꽂이 기구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관통하고 남을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꽂이용 수직대와; 상기 꽂이용 수직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나가 꽂이용 수직대를 입설시키는 복수개 이상의 방사형 지지다리; 및 상기 꽂이용 수직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꽂이 기구를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수직대 연결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바베큐용 꽂이 기구{Barbecue stick standing implement}
본 고안은 생닭 및 생오리를 바베큐 요리하는데 사용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세워서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고, 바베큐 요리가 끝난 후에는 꽂이 기구에서 분리함이 없이 그대로 편리하게 육질을 즐기며 고기를 뜯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바베큐용 꽂이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베큐 요리는 각종 재료를 꼬챙이에 꿰거나 석쇠에 얹어 놓고 불에 직접 구워서 원하는 소스와 함께 먹는 야외요리를 의미한다. 바베큐의 굽는 방법을 살펴보면, 꼬챙이에 꿰어 굽는 법, 석쇠에 얹어 굽는 법, 알루미늄박에 싸서 굽는 법 등 특별히 정해진 방법이 없기 때문에 재료와 취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적당한 방법을 택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 바베큐 닭을 먹을 때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져 나오게 된다. 이같이 여러 조각으로 잘라 나오는 경우 육질을 살려 고기를 길게 뜯어먹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작게 잘라 나오는 경우 먹기는 쉽지만 시각적인 흥미는 유발시키지 못한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15185호(바베큐기용 보조꽂이대)로서, 꽂이대 단면형상과 일치하는 고정공을 갖는 고정구의 일측으로 톱니형상의 이탈방지돌기를 갖는 한 쌍의 고정편이 마주보는 형태로서 돌출형성되는 바베큐기용 보조꽂이대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볼트고정이 없이 꽂이대에 고정설치되도록 꽂이대 단면형상과 동일한 고정공을 갖는 고정구를 형성하여 장탈착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그러나 전자의 배경기술은 꽂이대와 보조꽂이대가 상호 일축상에 수평으로 배치, 설치되어져 생닭을 세워서 바베큐요리를 하기가 어렵고, 바베큐 닭의 몸통을 세워놓고 뜯어 먹을 수도 없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31825호(음식물 꽂이대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후단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삽입 연결공이 형성되며 고열을 이용한 조리 시에 반복적으로 이용되는 조리용 자루대; 상기 삽입 연결공에 선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되는 가늘고 긴 바 형태의 것으로 조리 대상의 음식물 조각이 꿰어지는 조리용 꽂이대; 및 조리 완료 후에 상기 조리용 꽂이대로부터 상기 음식물 조각이 옮겨져 꿰어지는 가늘고 긴 바 형태로 취식자에게 일회용으로 제공되는 취식용 꽂이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조리 시에 함께 이용되는 조리용 자루대와 조리용 꽂이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고열을 이용한 조리 시에 전혀 탈 염려가 없어 얼마든지 화력을 높여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음식물을 완전하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도 음식물을 세워서 바베큐를 할 수 있는 구성적 수단이 없으므로 생닭을 세워서 바베큐 요리하기가 어렵고, 또한 세워놓고 고기를 길게 뜯어 먹을 수 없기는 마찬가지다.
한국 등록실용 등록번호 제20-0215185호(바베큐기용 보조꽂이대) 한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0-0031825호(음식물 꽂이대 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세워서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고, 바베큐 요리가 끝난 후에는 꽂이 기구에서 분리함이 없이 그대로 편리하게 육질을 즐기며 고기를 뜯어 섭취할 수 있도록 한 바베큐용 꽂이 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바베큐용 꽂이 기구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관통하고 남을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꽂이용 수직대와;
상기 꽂이용 수직대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나가 꽂이용 수직대를 입설시키는 복수개 이상의 방사형 지지다리; 및
상기 꽂이용 수직대의 상단에 구비되어 꽂이 기구를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수직대 연결고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꽂이용 수직대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환형의 걸침홈을 갖는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 중 선택된 것의 걸침홈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바베큐 몸통 지지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베큐 몸통 지지판은 원형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 형태를 이루고, 그 원형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가 상기 걸침홈에 끼워지는 지지판 슬롯홀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베큐 몸통 지지판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기름 배출홀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대 연결고리는 꽂이용 수직대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는 U자 형 또는 원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대 연결고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원형 단면을 이루며, 꽂이용 수직대에 삽입되는 꽂이대 결합홀과, 상기 꽂이대 결합홀에서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간 블록 슬롯홀을 갖는 꽂이블록과;
상기 꽂이블록의 둘레에 일정 간격마다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삼겹살 꽂이바늘로 구성된 삼겹살 꽂이구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꽂이용 수직대의 하단에는 기름배출홀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바베큐 몸통 지지판이 일체로 용접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베큐용 꽂이 기구에 따르면, 꽂이용 수직대를 통해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세워서 바베큐할 수 있고, 바베큐 요리가 끝난 후에는 꽂이 기구에서 분리함이 없이 그대로 편리하게 뜯어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꽂이용 수직대에 조립 또는 일체형의 바베큐 몸통지지판을 통해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처짐 없이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고, 부가적으로 삼겹살 꽂이구에 의해 삼겹살 바베큐를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례에 따른 바베큐용 꽂이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에 적용되는 바베큐 몸통 지지판이 분리된 바베큐용 꽂이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조립상태도 및 바베큐 닭의 구이된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삼겹살 꽂이구가 분리된 바베큐용 꽂이 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조립상태도 및 바베큐 닭 그리고 삼겹살의 구이된 사용상태도.
아래에서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례는 본 고안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베큐용 꽂이 기구(10)는 꽂이용 수직대(12), 방사형 지지다리(14) 및 수직대 연결고리(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꽂이용 수직대(12)는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도 4와 같이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100)을 관통하고 남을 수 있는 충분한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다. 즉, 꽂이용 수직대(12)는 생닭의 몸통(100)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례에서 꽂이용 수직대(12)는 스테인레스 소재의 원형 선재로 제작되어 있다.
방사형 지지다리(14)는 꽂이용 수직대(12)를 수직으로 입설되도록 지지한다. 방사형 지지다리(14)는 꽂이용 수직대(12)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θ)를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나간 복수개 이상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례에서 방사형 지지다리(14)는 꽂이용 수직대(12)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된다. 방사형 지지다리(14)는 본 예시에서 3개로 구성하였으나 4~6개까지 구성할 수도 있다. 방사형 지지다리(14)의 길이는 생닭 및 생오리 몸통의 무게에 따른 꽂이용 수직대(12)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강도를 발휘하는 범위내에서 결정될 수 있다. 이는 방사형 지지다리(14)의 길이가 너무 길면 버팀력이 약해지고 너무 짧으면 꽂이용 수직대(12)의 세워진 균형을 쉽게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수직대 연결고리(16)는 꽂이용 수직대(12)의 상단에 구비된다. 수직대 연결고리(16)는 꽂이 기구(10)를 바베큐 요리시 여기에 도시는 안된 바베큐 기구에 거치시켜 놓을 수 있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수직대 연결고리(16)는 꽂이용 수직대(12)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는 U자 형태로 구성하였으나 원형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바베큐용 꽂이 기구(10)는 꽂이용 수직대(12)에 꽂혀지는 생닭 및 생오리의 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하기 위해 도 3 및 도 4와 같이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원형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 형태를 이루고 있다.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그 크기가 생닭 및 생오리 몸통의 둘레 단면과 대략 동일하거나 이보다 약간 작거나 클 수 있다.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꽂이용 수직대(12)에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꽂이용 수직대(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환형의 걸침홈(13a)을 갖는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13)이 형성된다. 또한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에는 원형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가 상기 걸침홈(13a)에 끼워지는 지지판 슬롯홀(1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13) 중 선택된 것의 걸침홈(13a)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끼워져 꽂이용 수직대(12)에 조립되어 설치된다. 이때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기름배출홀(15b)이 고르게 분포되어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지지판 슬롯홀(15a)이 없이 꽂이용 수직대(12)의 하단에 용접되어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베큐용 꽂이 기구(10)에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삼겹살 꽂이구(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삼겹살 꽂이구(20)는 꽂이블록(21)과 다수개의 삼겹살 꽂이바늘(22)로 구성된다.
꽂이블록(21)은 수직대 연결고리(16)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원형 단면을 이루는 원통형을 이룬다. 꽂이블록(21)은 꽂이용 수직대(12)에 삽입되는 꽂이대 결합홀(21a)과, 꽂이대 결합홀(21a)에서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간 블록 슬롯홀(21b)을 갖는다. 블록 슬롯홀(21b)의 폭은 꽂이용 수직대(12)의 직경보다 작게 구성된다. 따라서 삼겹살 꽂이구(20)는 블록 슬롯홀(21b)을 통해 강제적으로 삽입되어 꽂이용 수직대(12)에 꽂이대 결합홀(21a)이 위치되어 조립 설치된다.
삼겹살 꽂이바늘(22)은 꽂이블록(21)의 둘레에 일정 간격마다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다. 다수개의 삼겹살 꽂이바늘(22)은 첨단이 예리하게 형성되어 있다. 삼겹살 꽂이바늘(22)은 바베큐 삼겹살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바베큐용 꽂이 기구(10)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준비된 생닭 및 생오리를 도 4 및 도 6과 같이 꽂이용 수직대(12)에 꽂아 바베큐할 준비를 한다. 이때 수직대 연결고리(16)가 생닭 및 생오리 몸통(100)의 하부에서 상부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수직대 연결고리(16)는 U자 또는 원형으로 둥근 형태이기 때문에 꽂이용 수직대(12)에 생닭 및 생오리 몸통이 쉽게 꽂아진다.
여기서, 생닭 및 생오리일 경우는 그냥 물로 가볍게 씻어서 피를 제거해서 사용하고, 냉동닭의 경우는 물로 씻고 우유에 1시간정도 담궈 잡내를 제거한 후 물로 씻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수직대 연결고리(16)를 이용하거나 또는 방사형 지지다리(14)를 이용하여 바베큐 구이기(미도시)에 꽂이용 수직대(12)에 꽂아진 생닭 및 생오리 몸통을 집어넣고, 적당한 온도와 시간을 가지고 바베큐 요리를 실시한다. 일반적으로 전기 오븐에서는 230도에서 50~60분간 구우면 완성이 된다. 물론 숯불을 이용하여 훈제 방식으로 바베큐를 할 수도 있다.
이때 도 4와 같이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을 사용하게 되면, 바베큐 완성 후 바베큐용 꽂이 기구(10)의 꽂이용 수직대(12)를 바베큐 구이기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도 4와 같이 그대로 내놓게 되면, 바베큐된 닭 및 오리를 뜯어먹는데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을 잡고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요리 방법에 따라 생닭 및 생오리에 소금과 후추 등 각종 양념이 뿌려질 수 있고, 소스가 수회 발라지면서 바베큐 요리가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생닭 및 생오리 몸통의 내부에 다양한 보양물(한약재나 대추, 밤 등)을 넣고 바베큐를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삼겹살 꽂이구(20)를 사용하는 경우 꽂이용 수직대(12)의 상부에 조립한 후 삼겹살(200)을 삼겹살 꽂이바늘(22)에 꽂아 생닭 및 생오리와 함께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삼겹살 꽂이구(20)만을 다수개 사용하여 삼겹살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바베큐용 꽂이 기구(10)를 사용하여 생닭 및 생오리 그리고 부가적으로 생삼겹살을 바베큐한 후 바베큐 요리를 바베큐용 꽂이 기구(10)에서 분리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그대로 접시에 올려놓고 사용하게 되어, 바베큐 구이 닭 및 오리를 뒤집을 필요 없이 길게 찢어지는 육질을 음미해가면서 뜯어먹을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되고, 바베큐 요리시에는 생닭 및 생오리가 서있게 되어 고르게 익고, 훈제에도 유리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은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례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고안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꽂이용 수직대
14: 지지다리
15: 바베큐 몸통 지지판
15a: 지지판 슬롯홀
15b: 기름배출홀
16: 수직대 연결고리
20: 삼겹살 꽂이구
21: 꽂이블록
22: 삼겹살 꽂이바늘

Claims (6)

  1. 하단으로부터 상단까지 생닭 및 생오리의 몸통을 관통하고 남을 수 있는 길이를 갖고 수직으로 입설되어 있는 꽂이용 수직대(12)와;
    상기 꽂이용 수직대(12)의 하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받침 바닥면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반경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뻗어나가 꽂이용 수직대(12)를 입설시키는 복수개 이상의 방사형 지지다리(14); 및
    상기 꽂이용 수직대(12)의 상단에 구비되어 꽂이 기구(10)를 거치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한 수직대 연결고리(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용 수직대(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환형의 걸침홈(13a)을 갖는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13)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기름받침판 걸침턱(13) 중 선택된 것의 걸침홈(13a)을 통해 삽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이 더 구비되고;
    상기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은 원형으로 상면이 하방으로 오목한 접시 형태를 이루고, 그 원형의 중심에서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가 상기 걸침홈(13a)에 끼워지는 지지판 슬롯홀(15a)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기름배출홀(15b)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 연결고리(16)는 꽂이용 수직대(12)의 상단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는 U자 형 또는 원형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 연결고리(16)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를 갖고 원형 단면을 이루며, 꽂이용 수직대(12)에 삽입되는 꽂이대 결합홀(21a)과, 상기 꽂이대 결합홀(21a)에서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뻗어나간 블록 슬롯홀(21b)을 갖는 꽂이블록(21)과;
    상기 꽂이블록(21)의 둘레에 일정 간격마다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는 다수개의 삼겹살 꽂이바늘(22)로 구성된 삼겹살 꽂이구(2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꽂이용 수직대(12)의 하단에는 기름배출홀(15b)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바베큐 몸통 지지판(15)이 일체로 용접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베큐용 꽂이 기구.
KR2020140008157U 2014-11-07 2014-11-07 바베큐용 꽂이 기구 KR2016000164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57U KR20160001641U (ko) 2014-11-07 2014-11-07 바베큐용 꽂이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157U KR20160001641U (ko) 2014-11-07 2014-11-07 바베큐용 꽂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641U true KR20160001641U (ko) 2016-05-17

Family

ID=5609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157U KR20160001641U (ko) 2014-11-07 2014-11-07 바베큐용 꽂이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64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59B1 (ko) * 2020-12-28 2022-07-05 전유학 다기능 화덕그릴 오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459B1 (ko) * 2020-12-28 2022-07-05 전유학 다기능 화덕그릴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67399B1 (en) Meat and poultry roaster
US6192792B1 (en) Apparatus for cooking reduced fat poultry or meat
US6125739A (en) Device for supporting and steaming fowl
US6502501B1 (en) Poultry cooking apparatus
US5069117A (en) Multi-purpose poultry roaster and baking rack
US5057331A (en) Cooking food in a food preparation kit in a microwave and in a thermal oven
US6119585A (en) Apparatus for roasting and grilling of foodstuffs
US5575198A (en) Ceramic meat cooker
US6502503B1 (en) Cooking system
US20120107476A1 (en)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y and using
US10041277B1 (en) Outdoor cooking apparatus
US6945161B1 (en) Vertical cooking rack
US20120067902A1 (en) Volcano chicken pan
KR101434156B1 (ko) 플레이트가 구비된 냄비뚜껑
US20140120215A1 (en) Suspension device and seasoning
KR101562498B1 (ko) 구이용 화덕
US11547241B1 (en) Skewer holder
US20060219101A1 (en) Birdcage chicken roasting/grilling machine and accessories
KR20160001641U (ko) 바베큐용 꽂이 기구
US3952644A (en) Food serving device
US20140099419A1 (en) Food suspension device
US20180125302A1 (en) Cooking utensil for flavoring poultry
CN212698583U (zh) 一种多组可定时温控无烟烧烤机
US20140113037A1 (en) Seasoning and suspension device package
KR200444331Y1 (ko) 바비큐 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