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414A -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414A
KR20160001414A KR1020140079912A KR20140079912A KR20160001414A KR 20160001414 A KR20160001414 A KR 20160001414A KR 1020140079912 A KR1020140079912 A KR 1020140079912A KR 20140079912 A KR20140079912 A KR 20140079912A KR 20160001414 A KR20160001414 A KR 201600014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ireless
saving condition
power saving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406B1 (ko
Inventor
박용현
이지운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0406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10Access point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e.g. multi-mode access p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무선 모듈이 구비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2개의 무선 모듈 중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POWER OF DUAL-BAND AP}
본 발명은 듀얼밴드 AP의 전력을 관리하는 기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듀얼 밴드 AP로의 단말의 접속 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을 분석하여 계산한 환경 측정값에 의거하여 두 무선 모듈 중 어느 한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선택적으로 온/오프 제어하는데 적합한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기존의 와이파이(Wi-Fi) 환경에 있어서, 일반 AP(Access Point)의 와이파이 무선 모듈(Radio Module)의 경우에는 단말에게 AP의 정보(예컨대, SSID, 제공 가능한 데이터양(Data rate), 802.11 모드(mode) 등)를 비콘 프레임(Beacon Frame)에 포함해 100ms 주기마다 보내고, 단말이 보내는 프로브 요구 메시지(Probe request message)를 수신하기 위해 상시 접속(Always-on)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즉, 일반 AP의 와이파이 무선 모듈은 주변의 단말이 없는 상황이거나 혹은 트래픽이 없는 경우에도 단말(STA)처럼 절전 모드(Sleep mode)로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켜져 있는 상태를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이 없는 시간만큼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일반 AP와는 달리 절전 모드와 활성 모드(awake mode) 기능을 모두 적용하는 경우에는 AP와 단말 모두 별도의 모니터링용 하드웨어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기존의 단말 및 AP들은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 기능이 적용된 경우일지라도 절전과 활성의 기준이 되는 것은 단말의 접속 시도로, 단말의 접속 시도(wake-up signal)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절전 모드 온/오프 제어하는 경우 단순히 접속 시도만 있고 실제로는 트래픽이 없는 경우에도 무선 모듈을 온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802.11n을 지원하는 듀얼밴드 AP(예컨대, 2.4GHz 대역, 5GHz 대역)의 경우, 기존의 절전 모드와 활성 모드를 적용한 경우에도 양 대역의 개별 제어가 불가능하고 대역 구분 없이 양 대역을 모두 온/오프 제어함으로써 한쪽의 무선 모듈로 단말에게 충분한 품질(QoS)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모든 대역을 온하여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그와 반대로, 양 대역을 모두 오프한 상황에서 새로운 접속 시도가 있는 경우, 무선 모듈의 전력을 온한 후 실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데 까지 지연 시간이 발생하게 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유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66709호, 공개일자 2006년 06월 16일.
본 발명은, 단말의 접속이나 트래픽 양과 무관하게 AP의 무선 모듈을 온 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듀얼밴드 AP에서 두 주파수 대역을 따로 제어하지 못함으로써 서비스 제공까지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 있는 새로운 전력 관리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무선 모듈이 구비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2개의 무선 모듈 중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무선 모듈이 구비된 AP로부터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획득부와,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는 상태 정보 분석부와, 상기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절전 조건 관리부와, 상기 절전 조건 관리부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이 통지될 때 상기 2개의 무선 모듈 중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상기 AP에 제공하는 전력 관리 실행부를 포함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선 환경 상태 정보의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듀얼밴드 AP의 양 대역이 모두 온 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모든 주파수 대역의 무선 모듈의 전원을 온 시키고, 한 주파수 대역만 온 해도 되는 경우에는 다른 주파수 대역의 무선 모듈이 전원을 오프함으로써,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소모를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운 단말이 접속을 시도할 때에도 두 주파수 대역의 무선 모듈 중 한 주파수 대역의 무선 모듈은 항상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접속 지연이 생기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별도의 하드웨어 장비를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작은 비용으로 듀얼밴드 AP에서의 저전력 관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장치가 적용된 전력 관리 시스템 계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이 충족될 때 듀얼밴드 AP의 두 무선 모듈 중 한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의 충족이 해제될 때 전원 공급 차단 상태의 무선 모듈로 전원 공급을 재개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범주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 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인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 등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쳐 기술되는 기술사상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장치가 적용된 전력 관리 시스템 계통도로서, 듀얼밴드 AP(110), AP 전력 관리 모듈(120) 및 데이터베이스 모듈(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AP 전력 관리 모듈(120)과 데이터베이스 모듈(130)은 실질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듀얼밴드 AP는, 예컨대 와이파이 AP를 의미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듀얼밴드 AP(110)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대한 무선 서비스를 각각 담당하는 제 1 무선 모듈(112)과 제 2 무선 모듈(114)을 포함하는데, 제 1 무선 모듈(112)은, 예컨대 2.4GHz 대역에 대한 무선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고, 제 2 무선 모듈(114)은, 예컨대 5GHz 대역에 대한 무선 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대적으로 넓은 지역까지 서비스가 가능한 제 1 무선 모듈(112)을 항상 전원 온 모드(활성 상태)로 유지하는 메인 무선 모듈로 설정하고, 상대적으로 좁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갖는 제 2 무선 모듈(114)을 전력 절감을 위해 전원이 온/오프 제어되는 서브 무선 모듈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항상 전원 온 모드를 유지한다는 것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예컨대, 수 분 내지 수 십분 주기 등)로 듀얼밴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AP 전력 관리 모듈(120)로 보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무선 모듈(112)은, 자신이 메인 무선 모듈로 설정된 경우일 때,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듀얼밴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AP 전력 관리 모듈(120)로 전송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는, 예컨대 듀얼 밴드 AP에 접속하는단말의 갯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채널 이용률은 해당 채널이 얼마나 비지(Busy)한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활용된다.
그리고, 제 2 무선 모듈(114)은, 자신이 서브 무선 모듈로 설정된 경우일 때, AP 전력 관리 모듈(120)로부터 전원 공급 차단을 위한 제어 지령이 수신되면 전원 공급 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전원 오프 모드로 전환되고,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AP 전력 관리 모듈(120)로부터 전원 공급 재개를 위한 제어 지령이 수신되면 전원 공급 제어기(도시 생략)에 의해 전원 온 모드로 복귀될 수 있다.
다음에, AP 전력 관리 모듈(120)은 정보 획득부(121), 상태 정보 분석부(123), 절전 조건 관리부(125), 전력 관리 실행부(127) 및 통계 관리부(1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획득부(121)는 듀얼밴드 AP(110) 내 임의의 무선 모듈, 예컨대 제 1 무선 모듈(112)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전송되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 모듈(130) 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태 정보 분석부(123)는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의거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상태 정보 분석부(123)는 접속 수 분석부(1232), 트래픽 분석부(1234), 채널 분석부(1236) 및 측정값 산출부(1238)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대한 분석 실행은,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실행될 수 있는데, 일정 주기는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누적된 이전 무선 환경 상태 통계 정보에 의거하여, 예컨대 시간대(주간 시간대, 야간 시간대, 심야 시간대 등)별로 다른 주기로 설정되거나 요일별로 서로 다른 주기로 설정되거나 혹은 계절별로 서로 다른 주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대한 분석 실행의 주기가 시간대별로 다르게 설정된 경우라고 가정할 때, 각 주파수 대역별 무선 모듈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분석을 실행, 예컨대 주간 시간대에는 1H 내지 2H 정도의 주기(간격)로 분석을 실행하고, 야간 시간대에는 0.5H 내지 1H 정도의 주기로 분석을 실행하며, 심야 시간대에는 5분 내지 30분 정도의 주기로 분석을 실행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먼저, 접속 수 분석부(1232)는, 절전 조건의 체크(또는 모니터링) 주기가 될 때,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AP에 접속하는 단말의 갯수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접속 단말의 갯수를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측정값 산출부(123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트래픽 분석부(1234)는, 절전 조건의 체크(또는 모니터링) 주기가 될 때,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 양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트래픽 양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측정값 산출부(123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트래픽 분석부(1234)는, 절전 조건의 체크(또는 모니터링) 주기가 될 때,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채널 이용률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채널 이용률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를 측정값 산출부(1238)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측정값 산출부(1238)는 분석된 접속 단말의 갯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에 의거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환경 측정값을 절전 조건 관리부(125)로 전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산된 환경 측정값은 통계자료로의 활용을 위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듀얼밴드 AP로부터 수집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설정된 특정 무선 모듈의 전원을 온/오프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관련 알고리즘 및 설정 기준이 필요한데, 일례로서 기준시간(T) 동안 접속 단말의 갯수(N), 트래픽 양(α), 채널 이용률(β)을 측정하여 각 값을 곱하고, 각 AP마다 정해진 최대 접속 단말의 갯수(NMAX),최대 지원 트래픽 양(αMAX), 채널 이용률 최대값(βMAX)으로 나누어 값을 스케일링(scaling)함으로써, 아래의 수학식에서와 같이 환경 측정값(P)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상기한 수학식 1에서 a는 스케일링 상수를, b는 접속 단말의 갯수를, c는 트래픽 양을 각각 의미하며, 채널 이용률의 최대값은 주어진 AP의 성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절전 조건 관리부(125)는, 제 1 무선 모듈(112)과 제 2 무선 모듈(114)이 모두 활성 상태(전원 온 모드)일 때, 측정값 산출부(1238)로부터 전달되는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체크)하고, 모니터링 결과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절전 조건 관리부(125)는, 제 1 무선 모듈(112)만이 활성 상태(전원 온 모드)이고 제 2 무선 모듈(114)이 전원 오프 모드일 때, 측정값 산출부(1238)로부터 전달되는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의 충족으로부터 해제되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체크)하고, 모니터링 결과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 통지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은 각 듀얼밴드 AP들의 전력 관리 정책에 따라 설정 또는 가변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력 관리 정책과 관련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30) 내 전력 정책 정보 DB(134)에 저장(등록)되어 유지 관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 정책 정보 DB(134)에는 각 듀얼밴드 AP 내 각 무선 모듈들에 대한 전력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가 저장되어 관리된다.
다음에, 전력 관리 실행부(127)는 절전 조건 관리부(125)로부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이 통지될 때 특정 무선 모듈, 예컨대 제 2 무선 모듈(114)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듀얼밴드 AP(110)에 제공하고, 절전 조건 관리부(125)로부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 해제가 통지될 때, 예컨대 제 2 무선 모듈(11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듀얼밴드 AP(110)에 제공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력 관리 실행부(127)는 듀얼밴드 AP의 제 2 무선 모듈(114)에 대한 전력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정보)를 전력 정책 정보 DB(134)에 저장한다.
따라서, 듀얼밴드 AP(110)에서는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지령(즉, 제 2 무선 모듈에 대한 전원 오프 제어 지령 또는 전원 온 제어 지령)에 의거하여 제 2 무선 모듈(114)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게 될 것이다.
한편, 통계 관리부(129)는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 환경 상태 정보와 환경 측정값을 무선 환경 상태 통계 정보로서 누적 관리하는 등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듀얼밴드 AP에서의 소모 전력을 관리하는 일련의 과정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이 충족될 때 듀얼밴드 AP의 두 무선 모듈 중 한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제 1 무선 모듈(112)이 듀얼밴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무선 모듈로 설정되고, 제 2 무선 모듈(114)이 전원 온/오프 제어되는 서브 무선 모듈로 설정되며, 제 1 무선 모듈(112)과 제 2 무선 모듈(114)이 모두 활성 상태(전원 온 모드)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획득부(121)에서는 듀얼밴드 AP(110) 내 제 1 무선 모듈(112)로부터 기 설정된 일정 주기로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가 전송될 때마다 이를 수집하여(단계 202),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한다(단계 204). 여기에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는, 예컨대 해당 듀얼 밴드 AP에 접속하는 단말의 갯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상태 정보 분석부(123)에서는 현재 시간(또는 일시)이 절전 조건의 모니터링을 위해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해야 하는 주기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06).
상기 단계(206)에서의 체크 결과, 절절 조건의 체크 주기인 것으로 판단되면, 접속 수 분석부(1232)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접속 단말의 갯수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접속 단말의 갯수를 분석하여 측정 값 산출부(1238)로 전달하고, 트래픽 분석부(1234)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트래픽 양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트래픽 양을 분석하여 측정 값 산출부(1238)로 전달하며, 트래픽 분석부(1234)에서는 기 설정된 기준시간 동안 수집되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되어 있는 듀얼밴드 AP(110)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포함된 채널 이용률 정보들을 인출하여 듀얼 밴드 AP에서의 채널 이용률을 분석하여 측정 값 산출부(1238)로 전달한다.
이후, 측정값 산출부(1238)에서는 분석된 접속 단말의 갯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에 의거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고, 이 계산된 환경 측정값을 절전 조건 관리부(125)로 전달한다(단계 208). 여기에서, 계산된 환경 측정값은 통계자료로의 활용을 위해 통계 정보 DB(132)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절전 조건 관리부(125)에서는, 측정값 산출부(1238)로부터 전달되는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단계 210). 여기에서,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은 각 듀얼밴드 AP들의 전력 관리 정책에 따라 설정 또는 가변 설정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력 관리 정책과 관련한 정보들은 데이터베이스 모듈(130) 내 전력 정책 정보 DB(134)에 저장(등록)되어 유지 관리될 수 있다.
상기 단계(210)에서의 체크 결과,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면, 전력 관리 실행부(127)에서는 제 2 무선 모듈(114)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듀얼밴드 AP(110)에 제공하며(단계 212), 그 결과 듀얼밴드 AP(110)에서는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지령에 의거하여 제 2 무선 모듈(114)의 전원을 오프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의 충족이 해제될 때 전원 공급 차단 상태의 무선 모듈로 전원 공급을 재개 제어하는 주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와 이해의 증진을 위해, 제 1 무선 모듈(112)이 듀얼밴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메인 무선 모듈로 설정되고, 제 2 무선 모듈(114)이 전원 온/오프 제어되는 서브 무선 모듈로 설정되며, 제 1 무선 모듈(112)은 활성 상태(전원 온 모드)이고, 2 무선 모듈(114)는 비활성 상태(전원 오프 모드)인 경우라고 가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302 내지 308의 각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대응하는 202 내지 208의 각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명세서의 간결화를 위한 불필요한 중복 기재를 피하기 위하여 302 내지 308의 각 단계들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즉, 무선 환경 상태 정보의 분석을 통해 환경 측정값이 계산되면, 절전 조건 관리부(125)에서는 측정값 산출부(1238)로부터 전달되는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의 충족으로부터 해제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단계 310), 체크 결과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 통지한다.
다음에, 전력 관리 실행부(127)는 절전 조건 관리부(125)로부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 해제가 통지될 때 제 2 무선 모듈(11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시키기 위한 제어 지령을 생성하여 듀얼밴드 AP(110)에 제공하며(단계 312), 그 결과 듀얼밴드 AP(110)에서는 전력 관리 실행부(127)로부터 제공되는 제어 지령에 의거하여 제 2 무선 모듈(114)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시킨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등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후술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무선 모듈이 구비된 듀얼밴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가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킬 때 2개의 무선 모듈 중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듀얼밴드 AP의 전력 관리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은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시간대에 불필요하게 듀얼밴드 AP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121 : 연결 실행부 123 : 상태 정보 분석부
125 : 절전 조건 관리부 127 : 전력 관리 실행부
129 : 통계 관리부 132 : 통계 정보 DB
134 : 전력 정책 정보 DB 1232 : 접속 수 분석부
1234 : 트래픽 분석부 1236 : 채널 분석부
1238 : 측정값 산출부

Claims (5)

  1.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각각 지원하는 2개의 무선 모듈이 구비된 AP의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환경 측정값을 계산하는 과정과,
    상기 계산된 환경 측정값이 기 설정된 AP 절전 조건을 충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과정과,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이 충족될 때 상기 2개의 무선 모듈 중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과정
    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는,
    상기 AP에 접속하는 단말의 갯수, 트래픽 양 및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을 포함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된 무선 환경 상태 정보에 대한 분석은,
    누적된 이전 무선 환경 상태 통계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2개의 무선 모듈에 대해 서로 다른 주기로 실행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무선 모듈은,
    상대적으로 좁은 서비스 커버리지를 갖는 무선 모듈인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 여부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상기 기 설정된 절전 조건의 충족이 해제될 때 상기 특정 무선 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재개시키는 과정
    을 더 포함하는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0140079912A 2014-06-27 2014-06-27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KR10210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2A KR102100406B1 (ko) 2014-06-27 2014-06-27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912A KR102100406B1 (ko) 2014-06-27 2014-06-27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414A true KR20160001414A (ko) 2016-01-06
KR102100406B1 KR102100406B1 (ko) 2020-04-13

Family

ID=55165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912A KR102100406B1 (ko) 2014-06-27 2014-06-27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040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0192A1 (en) * 2016-08-05 2018-0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cess point energy saving method and access point
WO2018230868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랜 접속 장치의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9976203A (zh) * 2017-12-28 2019-07-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环境监测终端和系统、电源管理方法和装置
CN113938990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方法及通信装置
WO2024051415A1 (zh) * 2022-09-06 2024-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段资源的处理方法、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09A (ko) 2003-07-22 2006-06-16 피씨티이엘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랜에서 웨이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5229A (ko) * 2010-11-23 2012-05-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단말의 저전력 모드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30055537A (ko) * 2011-11-18 2013-05-28 톰슨 라이센싱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KR20130109420A (ko) * 2012-03-27 2013-10-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KR101358800B1 (ko) * 2012-04-23 2014-02-1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6709A (ko) 2003-07-22 2006-06-16 피씨티이엘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랜에서 웨이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55229A (ko) * 2010-11-23 2012-05-3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복합 단말의 저전력 모드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20130055537A (ko) * 2011-11-18 2013-05-28 톰슨 라이센싱 무선 통신 단말기에서의 에너지 소비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통신 단말기
KR20130109420A (ko) * 2012-03-27 2013-10-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랜에서 듀얼 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이의 부하 분산 방법
KR101358800B1 (ko) * 2012-04-23 2014-02-1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0192A1 (en) * 2016-08-05 2018-02-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cess point energy saving method and access point
CN107690177A (zh) * 2016-08-05 2018-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点节能的方法及接入点
CN107690177B (zh) * 2016-08-05 2019-12-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入点节能的方法及接入点
US10736031B2 (en) 2016-08-05 2020-08-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ccess point energy saving method and access point
WO2018230868A1 (ko) * 2017-06-13 2018-12-20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 랜 접속 장치의 동작 주파수를 선택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9976203A (zh) * 2017-12-28 2019-07-05 中国电信股份有限公司 环境监测终端和系统、电源管理方法和装置
CN113938990A (zh) * 2020-06-29 2022-01-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方法及通信装置
CN113938990B (zh) * 2020-06-29 2023-11-1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方法及通信装置
WO2024051415A1 (zh) * 2022-09-06 2024-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频段资源的处理方法、通信方法、设备和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0406B1 (ko) 2020-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816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w power signaling in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952163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M2M devices
Sultania et al. Energy Modeling and Evaluation of NB-IoT with PSM and eDRX
KR20160001414A (ko) 듀얼밴드 ap에서의 전력 관리 방법
KR101629966B1 (ko) 통신 시스템에서 에너지 절약 기능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US11160019B2 (en)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energy efficiency
US10924951B2 (en) Measurement configuration and reporting with diverse traffic
US20140211674A1 (en) Advantageous uses of instructions instructing stations of wlan networks to desist from transmissions
KR20150121168A (ko) 폴링 비컨
EP32898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ndication of remaining battery life for a wireless device
WO2021109746A1 (zh) 一种有源室分系统的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5854849B2 (ja) 無線基地局装置及び遷移制御方法
CN115209513A (zh) 用于移动接入点站点的装置和方法
US942674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2806047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KR20150019443A (ko) 이종망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선택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90129219A (ko) 무선랜 ap에 따른 전력 절감 최적화 방법 및 장치
Pauls et al. Evaluation of efficient modes of operation of GSM/GPRS modules for M2M communications
GB2541009A (en) Power saving for cellular internet of things devices
CN111711980B (zh) 一种降低路测终端功耗的方法
CN114222330A (zh) 一种无线传感网络通信系统
Azcorra et al. μNap: Practical micro-sleeps for 802.11 WLANs
US20230247547A1 (en) Communication device,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munication method
WO202308716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in a low-power state
KR101261182B1 (ko) 네트워크 트래픽 측정 주기 및 알람을 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