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72A -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 Google Patents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72A
KR20160001372A KR1020140079770A KR20140079770A KR20160001372A KR 20160001372 A KR20160001372 A KR 20160001372A KR 1020140079770 A KR1020140079770 A KR 1020140079770A KR 20140079770 A KR20140079770 A KR 20140079770A KR 20160001372 A KR20160001372 A KR 20160001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unit
fuel
air nozzle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이경욱
이철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372A/ko
Publication of KR20160001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Lime, magnesia or dolomite
    • C04B2/10Preheating, burning calcin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primary air for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9/00Passages or apertures for delivering secondary air for completing combustion of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성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노즐,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보다 유속이 빠르게 조절되어 상기 화염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BURNER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QUICKLIME}
본 발명은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성공장은 석회석(CaCO3)에 열을 가하여 제철소 내 필요한 생석회(CaO)를 생산하는 공장으로, 수평 소성로(ROTARY LILN)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소성로에서는 예열대체 투입된 석회석이 소성대를 이동하는 동안 버너로부터 열량을 공급받아 분해되어 생석회가 생성되고 냉각대를 통해 배출되는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수평 소성로의 경우 노벽의 발생하는 부착물로 인한 생산성 감소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 부착물은 노벽에 환형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원인은 노온의 불균형으로 인한 생석회의 용융/고착으로, 정상적인 소성대 노온(1,150℃)에서 용융이 발생하지 않는 생석회(융점 2,570℃)가 SiO2, Fe2O3, Al2O3등과 같은 불순물과 혼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1,500℃이하에서도 용융이 발생한다. 특히 노내에서 화염이 직접 닿는 노 상부 벽면에서 국부적인 고온영역이 발생하게 되어 생석회가 용융되고, 이렇게 용융된 생석회는 소성대의 회전(0.7~2.2rpm)에 의해 노 하부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노 하부에서 벽면에 고착되게 된다. 소성대의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용융 → 고착 → 용융이 반복되게 되어 부착물은 노내에서 성장하게 되며, 소성대 안에서 석회석의 흐름을 저해하는 방해물이 된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5-0036375(2005.04.20 공개, 생석회 제조방법 및 장치)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석회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를 분사하여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는 공기노즐로서, 연료 공급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공기노즐과 연료 공급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속을 다르게 조절하여 화염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소성대 안에서 발생 가능한 부착물을 방지할 수 있는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성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노즐,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보다 유속이 빠르게 조절되어 상기 화염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공기노즐과 상기 제2 공기노즐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이 동일하되, 상기 제1 공기노즐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상기 제2 공기노즐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더 빠를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출구의 단면적은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생석회를 생산하기 위한 석회석를 투입하는 석회석 투입부, 상기 석회석 투입부에 연결되고, 투입된 상기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여 생석회를 생산하는 소성대, 상기 소성대에 결합되어 상기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소성대에서 생산된 생석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성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노즐,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제2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보다 유속이 빠르게 조절되어 상기 화염의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생산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1 공기노즐과 상기 제2 공기노즐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이 동일하되, 상기 제1 공기노즐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상기 제2 공기노즐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더 빠를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배출하는 복수의 배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배출구의 단면적은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생석회 생산장치를 이용하여,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에 형성되고 공기를 분사하여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는 공기노즐로서, 연료 공급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1 공기노즐과 연료 공급부의 하부에 형성된 제2 공기노즐에서 분사되는 공기의 유속을 다르게 조절함으로써, 조절하여 화염의 직진성을 향상시켜 소성대 안에서 발생 가능한 부착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생석회 생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석회 생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생석회 생산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너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석회 생산장치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생석회 생산장치는, 석회석 투입부(10), 소성대(20), 버너(30) 및 냉각대(40)를 포함한다.
석회석 투입부(10)는 생석회(CaO)를 생산하기 위한 원재료인 석회석(CaCO3)이 투입되는 부분이다. 석회석 투입부(10)는 호퍼(hopper)로 형성될 수 있다. 석회석 투입부에서는 석회석이 예열될 수 있다.
소성대(20)는 석회석 투입부(10)에 연결되는 긴 원통형으로서 내부에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는 부분이다. 소성대(20) 내부 온도는 약 1,150℃이다. 소성대(20) 내부에서 석회석은 열분해되어 생석회가 된다.
소성대(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석회석이 아래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된다. 한편, 소성대(20)는 회전되며 내부의 석회석은 고르게 열량을 받을 수 있다. 소성대(20)의 회전 속도는 0.7 내지 2.2 rpm일 수 있다.
버너(30)는 소성대(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는 것으로, 소성대(20)에서 석회석 투입부가 설치된 부분과 반대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버너(30)의 화염은 소성대(2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냉각대(40)는 소성대(20)에서 생석회가 열분해되어 생성되는 생석회를 냉각하여 배출하는 부분으로 소성대(2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생석회 생산장치는, 석회석 투입부, 소성대(200), 버너(300) 및 냉각대를 포함한다. 또한, 버너(300)는 공기 공급부(310), 연료 공급부(320), 제1 공기노즐(331) 및 제2 공기노즐(33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은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르게 조절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너(300)는 공기 공급부(310), 연료 공급부(320), 제1 공기노즐(331) 및 제2 공기노즐(332)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 공급부(310)는 버너(300)의 화염에 공기를 제공하도록 소성대(200)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버너(300)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공급부(310)는 버너(300)의 중심에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료 공급부(320)는 버너(300)의 화염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소성대(200) 내부로 연료를 분사하는 부분으로 연료 공급부(320)에서 공급된 연료는 공기 공급부(310)에서 공급된 공기와 연소반응을 하여 화염을 생성한다. 연료 공급부(320)는 제1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료는 코크스 오븐 가스(COG) 가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노즐(331)은 버너(300)의 화염에 추가적인 공기를 제공하도록 소성대(200)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부분으로 연료 공급부(320)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노즐(331)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노즐(332)은 제1 공기노즐(331)과 마찬가지로 버너(300)의 화염에 추가적인 공기를 제공하도록 소성대(200) 내부로 공기를 분사하는 부분이다. 다만, 제2 공기노즐(332)은 연료 공급부(320)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노즐(332)은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공기노즐(331)은 버너(300) 화염의 상부 쪽에 공기를 제공하며, 제2 공기노즐(332)은 버너(300) 화염의 하부 쪽에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은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과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같은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30)의 화염의 단부는 상부로 부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성대(20) 내측벽 일부는 화염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소성대(20) 내측벽 중 화염의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고온(약1,500℃)이 될 수 있다.
석회석 투입부(10)로 투입되는 석회석은 소정의 불순물(SiO2, Fe2O3, Al2O3 등)을 함유하게 되며, 이에 따라 융점이 약 1,500℃가 된다. 소성대(20) 내부의 정상적인 온도(1.150℃) 환경에서는 석회석이 용융되지 않으나, 소성대(20) 내측벽 중 화염의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에서 석회석은 용융될 수 있다.
한편, 소성대(20)가 회전하는 경우, 용융된 석회석은 화염의 단부와 직접 접촉되는 부분을 피해 상대적으로 저온인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어 응고될 수 있다. 소성대(20)가 연속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석회석의 용융 및 응고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석회석은 소성대(20) 내측벽에 부착물(A)로서 성장하게 된다.
특히, 소성대(20)가 회전하는 경우, 화염과 직접 접촉되는 부분은 소성대(20) 내측벽에 환형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부착물도 소성대(20) 내측벽에 환형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러한 부착물은 생석회 생산율의 저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은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르게 설정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너(300) 화염의 직진성이 향상될 수 있다. 즉, 따라서, 버너(300) 화염은 상부로 부상하지 않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배출구 면적과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배출구 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노즐(331)과 제2 공기노즐(332) 각각은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배출구 전체 면적과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배출구 전체 면적이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이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르기 위해서,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보다 클 수 있다. 즉, 버너(300) 화염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하부 측보다 상부 측에서 더 많아진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배출구 면적은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배출구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공기노즐(331)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과 제2 공기노즐(332)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은 동일하지만, 면적의 차이로 인하여, 제1 공기노즐(33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는 제2 공기노즐(33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보다 빠르게 된다.
이 경우, 제1 공기노즐(331)과 제2 공기노즐(332)은 동일한 배관을 통하여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으며, 공기 배출구 면적 차이로 인하여,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유속이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유속보다 빠르게 된다. 이에 따라, 화염의 직진성은 향상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연료 공급부(320)는 연료를 배출하는 복수의 연료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연료 배출구 각각의 면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농담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의 연료 배출구 각각에서 연소율을 다르게 함으로써 저질소산화물(NOx) 연소법이 구현될 수 있다.
실제로 연료 공급부(320)의 연료 배출구 면적을 다양하게 형성한 경우, 버너(300) 중심부 최고온도는 1,340℃로서, 연료 배출구 면적이 동일한 경우의 버너(300) 중심부 최고온도(1,450℃)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에 따라 질소산화물 발생률도 감소되었다.
한편, 이 경우에도,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유속은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유속보다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염의 직진성 향상 및 저NOx 연소의 효과가 모두 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배출구 면적과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배출구 면적은 동일하게 형성되고,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유량이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유량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1 공기노즐(331)의 공기 배출구 면적은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배출구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1 공기노즐(331) 및 제2 공기노즐(332)의 공기 유량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에 의하면, 화염이 직진하게 되어 부착물이 소성대 내측벽에 부착되지 않으므로 생석회 생산률이 향상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A: 부착물
10: 석회석 투입부
20: 소성대
30: 버너
40: 냉각대
200: 소성대
300: 버너
310: 공기 공급부
320: 연료 공급부
331: 제1 공기노즐
332: 제2 공기노즐

Claims (8)

  1.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성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노즐;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은 상기 제2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노즐과 상기 제2 공기노즐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4. 제2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배출하는 복수의 연료 배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연료 배출구의 단면적은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너.
  5. 생석회를 생산하기 위한 석회석를 투입하는 석회석 투입부;
    상기 석회석 투입부에 연결되고, 투입된 상기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여 생석회를 생산하는 소성대;
    상기 소성대에 결합되어 상기 석회석에 열량을 공급하는 버너;
    상기 소성대에서 생산된 생석회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대를 포함하고,
    상기 버너는,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
    상기 공기 공급부에서 공급된 공기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공기 공급부의 외곽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소성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1 공기노즐; 및
    상기 연료 공급부의 외곽 하부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연료 공급부에서 공급된 연료와 반응하여 화염을 생성하도록 상기 소성대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공기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은 상기 제2 공기노즐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유속보다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노즐과 상기 제2 공기노즐은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은 상기 제2 공기노즐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공급부는,
    상기 연료를 배출하는 복수의 연료 배출구를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연료 배출구의 단면적은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KR1020140079770A 2014-06-27 2014-06-27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KR20160001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70A KR20160001372A (ko) 2014-06-27 2014-06-27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70A KR20160001372A (ko) 2014-06-27 2014-06-27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72A true KR20160001372A (ko) 2016-01-06

Family

ID=5516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70A KR20160001372A (ko) 2014-06-27 2014-06-27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37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27564B1 (en) Submerged combustion melter and method
CN105452186A (zh) 平行流再生石灰窑中燃烧并冷却碳酸盐岩石的方法及平行流再生石灰窑
CN108675655A (zh) 一种采用热风的石灰窑装置
JPH0328386B2 (ko)
CN106288781A (zh) 一种用于直接还原生产方式的单层加热及热回收式转底炉
CN104833205B (zh) 一种回转窑补内衬的方法
CN107311476A (zh) 一种纯焦炉煤气煅烧活性石灰的方法
MXPA01003608A (es) Metodo para calcinar material que contenga carbonatos.
CN105197989A (zh) 一种含钛原料的闪速悬浮氯化方法
KR20160001372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CN104817084B (zh) 电石冶炼炉
KR101562148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생석회 생산장치
RU2707036C1 (ru) Управление работой вращающейся печи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связующего
CN102155846B (zh) 石灰焙烧窑
CN209940855U (zh) 一种带燃烧器的加热炉装置
US2555289A (en) Method of producing calcined calcareous materials
CN207792713U (zh) 一种生产电石的系统
CN103717546B (zh) 煅烧细粒料的方法
JP6503925B2 (ja) セメントクリンカーの製造方法
CN111847912A (zh) 双膛石灰窑系统及其控制方法
US10947125B2 (en) Furna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furnace
RU2425312C2 (ru) Шахтная печь для обжига кусковых материалов
CN108002384A (zh) 一种电石生产系统和生产方法
CN207792714U (zh) 一种电石生产系统
SU748103A1 (ru) Шахтна печь дл обжига карбонатного сырь на твердом топлив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