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361A -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의 적재폭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의 적재폭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361A
KR20160001361A KR1020140079752A KR20140079752A KR20160001361A KR 20160001361 A KR20160001361 A KR 20160001361A KR 1020140079752 A KR1020140079752 A KR 1020140079752A KR 20140079752 A KR20140079752 A KR 20140079752A KR 20160001361 A KR20160001361 A KR 2016000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ain body
loading space
picking system
loa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8105B1 (ko
Inventor
정성채
천정우
최윤호
조원묵
장윤석
김남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흥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흥기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흥기계
Priority to KR102014007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105B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피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메인 몸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 공간부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자동 피킹 시스템{AUTOMATIC PICKING SYSTEM}
본 발명은 자동 피킹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지지부를 가변 조정하여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는 자동 피킹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물류 처리 규모가 큰 업체에서는 비용 절감과 물류 자동화에 많은 투자를 하여 발전된 물류 처리 장치 내지 공정을 보유하고 있는 상황이다. 종래의 물류 처리 시스템은 주로 보관이나 창고 내에서의 물류 이동에 국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관되어 있던 물류를 자동으로 피킹(picking: 보관 물류를 선택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상태)하여 이송하도록 하는 자동화 물류 처리 시스템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뎠고, 특히 의류 업체의 물류 시스템에서는 거의 인력에 의존하여 물류를 피킹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현재 국내외에 존재하고 있는 자동 피킹 시스템(APS: Automatic Picking System)은 균일한 일정 규격을 가진 박스 타입의 제품(화장품, 의약품 등)을 중력을 이용하여 분류하고 있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 피킹 시스템은 한국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51397호 및 한국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1998-081302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 피킹 시스템은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가 단층으로 형성되어 사용 빈도에 차이가 있는 물품에 따라 적재 공간부를 적절하게 배분할 수 없으므로 공간 활용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자동 피킹 시스템은 적재 공간부가 일정한 폭으로 형성되어 동일한 크기의 물품만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고정 형성된 적재 공간부로 구성된 종래의 자동 피킹 시스템은 사용할 수 있는 물품이 제한적이므로,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물품 피킹 효율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51397호(2014.01.08.) 한국공개특허 제10-1998-081302호(1998.1.25.)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의 공간 활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자동 피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적재 공간부를 가변할 수 있고,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적재 공간부를 가변적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자동 피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적재 공간부를 가변하여 물류 시스템의 물품 피킹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자동 피킹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메인 몸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 공간부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물품을 다양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공간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가 일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걸리는 디텐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텐트 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걸림 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부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의 공간을 가변하여 공간 활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크기의 물품을 적재하기 위해 적재 공간부를 가변할 수 있고,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적재 공간부를 가변적으로 구성하여 공간 활용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하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적재 공간부를 가변하여 물류 시스템의 물품 피킹 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킹 시스템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 공간부를 설명하는 A 확대도.
도 3은 도 2의 자동 피킹 시스템의 지지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B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지지부의 디텐트 기능을 설명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킹 시스템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 공간부를 설명하는 A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컨베이어벨트(미도시)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메인 몸체(110)와, 메인 몸체(110)에 결합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하는 지지부(120)와, 지지부(120)가 결합되는 가이드부(130) 및 지지부(120)와 가이드부(130)를 결합하는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지지부(120)가 가이드부(130)에서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 공간부(150)를 가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가변할 수 있게 형성된다.
메인 몸체(110)는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물품이 적재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메인 몸체(110)에 적재되는 물품은 메인 몸체(110)의 하부에 결합되는 토출 수단(미도시)에 의해 컨베이어벨트로 떨어져 컨베이어벨트가 연장되는 일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몸체(110)는 물품의 종류를 다양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 공간부(150)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메인 몸체(110)는 한정된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150)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물품이 사용 빈도에 따라 적재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몸체(110)는 컨베이어벨트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부(120)는 메인 몸체(110)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부(120)는 일측에 결합부(140)가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부(140)가 가이드부(130)에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됨으로써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다. 즉, 지지부(120)는 메인 몸체(110)에 결합되는 일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메인 몸체(110)에 대향하게 형성되는 결합부(140)를 통해 메인 몸체(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메인 몸체(110)에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부(120) 사이에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한다. 이때, 지지부(120)는 메인 몸체(110)의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지지부(120)는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다양하게 조정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적재하는 물품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120)는 한정된 크기의 메인 몸체(110)를 물품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함으로써, 메인 몸체(110)가 설치된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130)는 지지부(120)가 메인 몸체(110)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도록 메인 몸체(110)에 형성된다. 가이드부(130)는 지지부(120)에 대향하도록 메인 몸체(110)에 레일 형태로 형성되고, 외측에 결합부(14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즉, 가이드부(130)는 메인 몸체(1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지지부(120)가 메인 몸체(110)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한다. 가이드부(130)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레일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부(120)가 회동하지 않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결합위치를 제공한다.
결합부(140)는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부(130)에 지지부(12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나사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다. 이때, 결합부(140)는 지지부(120)가 회동하지 않도록 지지부(120)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지지부(120)를 가이드부(130)에 결합하여 지지한다. 이하 도 3을 통해 지지부(120)의 결합 구조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자동 피킹 시스템의 지지부 결합 구조를 설명하는 B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피킹 시스템(100)의 지지부(120)는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결합부(140)에 의해 메인 몸체(110)에 결합되어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한다. 여기서, 지지부(120)는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고, 각각의 지지부(120) 사이에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한다.
이러한, 지지부(120)는 메인 몸체(110)에서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가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즉, 지지부(120)는 다양한 종류 또는 크기의 물품을 메인 몸체(110)에 적재할 수 있도록 적재 공간부(150)를 가변적으로 형성하고, 물품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메인 몸체(110)를 가변적으로 구획함으로써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는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부(140)를 통해 메인 몸체(110)의 일측에 레일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결합부(140)는 가이드부(130)에 대향하도록 지지부(12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다.
결합부(140)는 지지부(120)가 일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130)에 걸리는 디텐트 수단(141)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부(140)는 지지부(120)를 일정 위치에 용이하게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규격화된 물품을 적재하고자 하는 경우 규격화된 물품의 크기에 맞도록 적재 공간부(150)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통해 지지부(120)의 디텐트 기능을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지지부의 디텐트 기능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결합부(140)는 가이드부(130)에 대향하도록 결합부(140)의 일측에 결합되는 디텐트 수단(141)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이드부(130)는 디텐트 수단(141)이 일정 간격으로 걸림 되도록 복수의 걸림홈(131)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걸림홈(131)은 적재하고자 하는 물품의 크기에 따라 이격된 간격이 설정될 수 있고, 지지부(120)의 고정 위치를 물품의 크기에 따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홈(131)은 서로 다른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결합부(140)는 걸림홈(131)에 디텐트 수단(141)이 걸림으로써 지지부(120)의 슬라이딩 이동이 일정 위치에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0)는 결합부(140)의 디텐트 수단(141)이 걸림홈(131)에 걸림되어 지지부(120)가 일정 위치에 위치함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지지부(120)는 사용 빈도가 높거나, 균일한 크기의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피킹 시스템(1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는 메인 몸체(110)에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부(150)를 형성하는 지지부(12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정하여 적재 공간부(150)의 폭을 가변할 수 있다. 즉,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적재하려는 물품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적재 공간부(150)를 가변함으로써 메인 몸체(110)의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자동 피킹 시스템(100)은 적재 공간부(150)를 적재하려는 물품의 크기, 종류 또는 사용빈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물류 시스템의 물품 피킹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자동 피킹 시스템 110 : 메인 몸체
120 : 지지부 130 : 가이드부
131 : 걸림홈 140 : 결합부
141 : 디텐트 수단 150 : 적재 공간부

Claims (5)

  1.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물품을 이송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메인 몸체;
    상기 메인 몸체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상기 메인 몸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에 상기 지지부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적어도 한개 이상 설치되어 각각의 지지부 사이에 상기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적재 공간부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지지부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측에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가 회동하지 않도록 상기 지지부를 상기 가이드부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몸체는
    상기 물품을 다양하게 적재할 수 있도록 상기 적재 공간부가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가 일정 위치에 위치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에 걸리는 디텐트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디텐트 수단이 일정 간격으로 걸림 되도록 복수의 걸림홈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피킹 시스템.
KR1020140079752A 2014-06-27 2014-06-27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 KR101688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52A KR101688105B1 (ko) 2014-06-27 2014-06-27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52A KR101688105B1 (ko) 2014-06-27 2014-06-27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61A true KR20160001361A (ko) 2016-01-06
KR101688105B1 KR101688105B1 (ko) 2016-12-20

Family

ID=5516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52A KR101688105B1 (ko) 2014-06-27 2014-06-27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1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302A (ko) 1997-04-10 1998-11-25 무라타쥰이치 피킹시스템
JP2004272429A (ja) * 2003-03-06 2004-09-30 Kubota Corp 自動販売機
KR200395071Y1 (ko) * 2005-06-03 2005-09-07 이일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차광판
KR101351397B1 (ko) 2013-05-27 2014-01-15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출유닛이 구비된 자동피킹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302A (ko) 1997-04-10 1998-11-25 무라타쥰이치 피킹시스템
JP2004272429A (ja) * 2003-03-06 2004-09-30 Kubota Corp 自動販売機
KR200395071Y1 (ko) * 2005-06-03 2005-09-07 이일용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의 차광판
KR101351397B1 (ko) 2013-05-27 2014-01-15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출유닛이 구비된 자동피킹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105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44595B2 (en) Buffer device
EP3476777B1 (en) Feeding system
CN207791901U (zh) 光纤盘的输送装置
US9290321B2 (en) Storage section of a conveyor device and method for temporarily storing articles
JP2011526869A5 (ko)
JP2017088404A (ja) 立体自動倉庫
CN104891081A (zh) 物品支撑装置
US20140260123A1 (en) Thermo-forming packaging machine with integrated product feeder
EP3093075A3 (en) Article sorting apparatus
KR20170013663A (ko) 자동 절단기용 프로파일 공급 장치
NZ706944A (en) A packaging assembly
KR20170019372A (ko) 과일 또는 채소 제품을 용기에 충진하는 기계
US20170341864A1 (en) Carriage for a rail-guided conveying system and conveying system comprising such a carriage
IT201600077940A1 (it) Carrello trasportatore di elementi lastriformi, impianto per la gestione di un magazzino di elementi lastriformi comprendente tale carrello trasportatore e relativo metodo per la gestione del magazzino
JP2017081755A (ja) 立体自動倉庫
SG10201903561SA (en) Article coll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MX2017015389A (es) Aparato para clasificar objetos.
KR101688105B1 (ko) 자동 피킹 시스템의 적재폭 가변장치
CN104517879A (zh) 手指间距可调的搬运机械手及其晶圆搬运装置
JP2018193153A (ja) コンベア装置
ITUD20080197A1 (it) Apparecchiatura per il caricamento di un materiale relativamente rigido, ad esempio cartone, e relativo procedimento di caricamento
KR20160001363A (ko) 자동 피킹 시스템
CN203359485U (zh) 一种炸药中包袋的自动归整装置
JP7147735B2 (ja) 走行レール、及び、物品搬送設備
CN105329483A (zh) 扁平状物品进料装置以及扁平状物品包装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