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268U -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 Google Patents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268U
KR20160001268U KR2020140007330U KR20140007330U KR20160001268U KR 20160001268 U KR20160001268 U KR 20160001268U KR 2020140007330 U KR2020140007330 U KR 2020140007330U KR 20140007330 U KR20140007330 U KR 20140007330U KR 20160001268 U KR20160001268 U KR 201600012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uid
tube
container
in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3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유석
Original Assignee
채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유석 filed Critical 채유석
Priority to KR20201400073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268U/ko
Publication of KR20160001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6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38Devices for discharging contents
    • B65D25/40Nozzles or spouts
    • B65D25/42Integral or attached nozzles or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나 유류 등의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거나 출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개가 체결되고, 내측에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를 구비하며, 외부의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유입로가 형성된 목부; 및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흐르며,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목부에 에어유입로를 형성하고 몸체의 내측면에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고루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쉽게 유입되도록 하고, 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형 용기에도 정확하게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FLUID CONTAINER EASY TO DICHARGE CONTENTS}
본 고안은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나 유류 등의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거나 출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통, 페트병 등의 용기는 내부에 물이나 유류 등의 유체를 담아 보관하며 필요한 경우 마개를 열고 용기를 기울인 다음 배출구를 통하여 유체를 배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용기 내부의 유체를 외부로 배출할 때에 배출구를 통하여 유체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유체가 배출구를 차단하여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못하므로 유체가 출렁이면서 외부로 배출되고, 이러한 경우 정확한 위치에 유체를 배출하지 못하여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거나 흘러나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1에는 액상의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상부가 개구되고 일측면으로는 손잡이가 형성된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내용물을 외부와 차단하도록 저장용기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뚜껑이 결합된 것에 있어서, 손잡이의 하단부가 연결되는 저장용기의 소정 위치에는 고정공이 형성되고, 손잡이의 내측면으로는 배출공이 형성된 고무튜브가 손잡이에 고정 설치되며, 고무튜브에 형성된 배출공은 저장용기에 형성된 고정공에 고정 설치되어 고무튜브와 저장용기가 연통되고, 손잡이가 형성된 저장용기의 타측면으로는 저장용기와 연통되어 저장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노즐을 외향 설치하며, 뚜껑에는 저장용기에 설치된 배출노즐과 연통되도록 배출구와 끼움공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끼움공에는 저장용기에 수장되는 배출호스의 일측 끝단이 끼워지도록 설치되는 물통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2에는 물이 유입과 배출되는 통로인 입구가 상부에 구비된 채로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갖는 몸체와, 몸체 상부에 입구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되 몸체를 휴대 이동 가능하도록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와, 입구를 개폐하는 덮개로 구성되고, 입구는 물이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물유동구와 물유동구와 나란하게 형성되어 몸체 외부의 공기가 몸체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동구와, 공기유동구와 물유동구 사이에 상호 이격시키는 이격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손잡이는 공기유동구와 연결 형성된 채로 관통 형성되어 몸체 외부의 공기가 몸체 내부로 유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된 공기유동관을 내부에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순환 물통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물통에 배출호수를 설치해야 하고, 공기유입구를 닫기 위한 별도의 뚜껑이 필요하며, 통공과 호스고정단도 형성해야 하므로, 제작공정과 소요자재가 증가되어 원가가 상승되고, 배출호스를 호스고정단에서 분리 및 결합시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동관의 구조가 다수의 지점에서 각이 지도록 형성되어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곤란하고, 공기유동관이 물통 상부의 손잡이 부분에 위치해 있어 페트병 등과 같은 다른 종류나 형태를 갖는 용기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배출구가 일측에 치우쳐 형성된 경우에만 적용 가능한 점과, 배출구가 중앙에 위치한 경우에는 특정한 일 방향으로만 물을 배출시켜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0-0050185호(2000.08.05.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11670호(2010.12.01. 공개)
본 고안은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배출시 유체의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유체가 정확한 위치로 배출되어 용기 주변으로 튀지 않으면서 조용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개가 체결되고, 내측에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를 구비하며, 외부의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유입로가 형성된 목부; 및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흐르며,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목부는 둘레를 따라 상·하단에 각각 에어유입홀과 에어유출홀을 갖는 복수 개의 에어유입로가 종 방향으로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게다가, 상기 목부는,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에어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의 상측에는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로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유입로의 에어가 상기 에어관으로 유출되는 에어유출홀이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관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상부관과, 상기 상부관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측면관과, 상기 측면관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바닥관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바닥관은 끝단이 막혀 있도록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에어관은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몸체의 내벽에 부착홈이 형성된 부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관은 상기 부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목부에 에어유입로를 형성하고 몸체의 내측면에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고루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쉽게 유입되도록 하고, 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며,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지 않도록 정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하여 소형 용기에도 정확하게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고, 용기에 형성되는 배출구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용기를 어느 방향으로든 기울여 사용 가능하며, 제작공정과 소요자재를 감축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에어 흐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에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탈부착 가능한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형태를 갖는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1)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1)는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물이나 유류 등의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거나 출렁거리지 않고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크게 몸체(100), 목부(200) 및 에어관(3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더불어 부착구(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100)는 용기의 종류나 형태에 제한 없이 다양한 종류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컨대 약수통, 생수통, 석유통, 휴대용 물통, 페트병 등의 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의 공간에는 물, 음료수, 유류 등의 유체가 수용된다.
상기 목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구비되고 마개가 체결되어 개폐된다. 상기 목부(200)는 그 내측에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출입구(210)의 외측에는 외부의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유입로(220)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목부(200)는 그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에어유입로(220)가 일정한 간격을 갖고 종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에어유입로(220)의 상단에는 외부의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220)의 하단에는 상기 에어관(300)과 연통되는 에어유출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에어유입로(220), 에어유입홀(230) 및 에어유출홀(240)이 하나의 에어유입부를 형성하여 상기 목부(200)에 구비되되, 이러한 에어유입부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도 2를 참고하면 용기의 출입구(210)를 통하여 유체를 배출하고자 할 때에, 유체가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의 압력 변동에 의하여 흡입력이 생겨 이로 인하여 각 에어유입부의 상단에 구비된 에어유입홀(230)을 통해 외부의 에어가 유입되고,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에어유입로(220)의 내부를 흐른 후 하단에 구비된 에어유출홀(240)을 통해 유출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벽의 여러 방향에 형성되어 바닥면까지 구비된 에어관(300)을 따라 용기 내부로 깊숙히 유도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유입된 에어로 인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은 용이하게 외부와 동일한 대기압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대기압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유체가 상기 목부(200)의 출입구(210)를 통하여 매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고, 배출된 유체의 양만큼 상기 에어관(300)을 통해 적정한 양의 에어가 계속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가 남아 있는 부분에 위치한 에어관(300)에서는 유체가 상기 에어관(3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고, 유체가 없는 부분에 위치한 에어관(300)에서는 에어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유체가 상기 출입구(210)를 통하여 출렁임 없이 매우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더불어 유체가 주변으로 튀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소형 용기에도 정확하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목부(200)는 내부에 그 둘레를 따라 링 형상의 에어유입로(220)가 형성되되, 상기 에어유입로(220)의 상측에는 외부의 에어가 유입되는 복수 개의 에어유입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220)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관(300)과 연통되는 복수 개의 에어유출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를 참고하면 용기의 출입구(210)를 통하여 유체를 배출하고자 할 때에, 유체가 배출됨과 동시에 용기 내의 압력 변동에 의하여 흡입력이 생겨 이로 인하여 상기 목부(200)의 상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유입홀(230)을 통하여 에어가 유입되고, 유입된 에어는 상기 목부(220)의 내부 둘레를 따라 링 형상으로 형성된 에어유입로(220)의 내부를 흐르다가 상기 목부(200)의 하측에 형성된 복수 개의 에어유출홀(240)을 통하여 유출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벽의 여러 방향에 형성되어 바닥면까지 구비된 에어관(300)을 따라 용기 내부로 깊숙히 유도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부의 깊숙한 곳까지 유입된 에어로 인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은 용이하게 외부와 동일한 대기압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대기압의 누르는 힘에 의하여 유체가 상기 목부(200)의 출입구(210)를 통하여 매우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으며, 배출된 유체의 양만큼 상기 에어관(300)을 통해 적정한 양의 에어가 계속 유입될 수 있다.
이로써, 유체가 남아 있는 부분에 위치한 에어관(300)에서는 유체가 상기 에어관(3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되고, 유체가 없는 부분에 위치한 에어관(300)에서는 에어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어 유체가 상기 출입구(210)를 통하여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더불어 유체가 주변으로 튀지 않고 정확한 위치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소형 용기에도 정확하게 담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에어관(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220)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흐르며, 다수의 에어홀(34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에어가 유입된다. 이때, 에어홀(340)은 상기 에어유입홀(230)에 비하여 직경이 작도록 설계하되, 예컨대 1mm 이하의 직경을 갖는 미세홀로 설계하여 유체가 에어관(300)의 내부로 쉽게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에어관(300)은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340)이 형성된 상부관(310)과, 상기 상부관(310)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100)의 측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340)이 형성된 측면관(320)과, 상기 측면관(320)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340)이 형성된 바닥관(3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에어관(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고루 걸쳐 여러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용기에 형성되는 배출구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용기를 어느 방향으로든 기울여도 외부의 에어가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유체가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사용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에어관(300)은 상기 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에어관(300)의 교체나 청소 등 유지 관리가 용이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부착구(400)가 형성되고, 상기 부착구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부착홈(410)이 형성되며, 상기 부착홈(410)에 상기 에어관(300)이 끼움 결합되어 쉽게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에어관(300)은 상기 몸체(100)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220)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흐르며, 다수의 에어홀(340)이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에어가 유입되는 것은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에어관(300)은 원형이 아닌 대략 납작하거나 평평한 형상을 갖는 사각형이나 타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와 같은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에어홀(340)이 종과 횡 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외부의 에어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더욱 원활하게 유입되기 때문에 유체가 출입구(210)를 통하여 출렁임 없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바닥관(330)은 끝단이 막혀 있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유입된 에어가 상기 에어관(300)을 따라 흐르면서 다른 쪽으로 불필요하게 흘러 가는 것을 방지하여 유입된 에어가 상기 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모두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1)는 목부에 에어유입로를 형성하고 몸체의 내벽에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형성하여 외부 공기가 용기 내부로 쉽게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 출렁임 없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고, 유체가 정확한 위치로 배출되도록 하여 유체가 용기 주변으로 튀지 않음은 물론 소형 용기에 담을 수 있으며, 또한 용기의 종류나 형태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하고, 용기에 형성되는 배출구의 위치에 제한받지 않고 용기를 어느 방향으로든 기울여 사용 가능하며, 제작공정과 소요자재를 감축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상기 실시 형태는 하나의 예시로서 본 고안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고 동일한 작용효과를 이루는 것은 어떠한 것이라도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100. 몸체 200. 목부
210. 출입구 220. 에어유입로
230. 에어유입홀 240. 에어유출홀
300. 에어관 310. 상부관
320. 측면관 330. 바닥관
340. 에어홀 400. 부착구
410. 부착홈 A. 에어
F. 유체

Claims (7)

  1. 내부에 유체가 수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마개가 체결되고, 내측에 유체의 유입과 배출이 이루어지는 출입구를 구비하며, 외부의 에어가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유입로가 형성된 목부; 및
    상기 몸체의 내벽에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와 연통되어 내부로 유입된 에어가 흐르며,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에어관;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둘레를 따라 상·하단에 각각 에어유입홀과 에어유출홀을 갖는 복수 개의 에어유입로가 종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상기 에어유입로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유입로의 상측에는 에어가 유입되는 에어유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에어유입로의 하측에는 상기 에어유입로의 에어가 상기 에어관으로 유출되는 에어유출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은 상기 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상부관과, 상기 상부관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측면관과, 상기 측면관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에어홀이 형성된 바닥관을 포함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관은 끝단이 막혀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관은 상기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벽에 부착홈이 형성된 부착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관은 상기 부착홈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KR2020140007330U 2014-10-08 2014-10-08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KR2016000126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30U KR20160001268U (ko) 2014-10-08 2014-10-08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330U KR20160001268U (ko) 2014-10-08 2014-10-08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68U true KR20160001268U (ko) 2016-04-18

Family

ID=5591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330U KR20160001268U (ko) 2014-10-08 2014-10-08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26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48180B2 (en) Duplex stopper-type water dispensing and water bottle supporting apparatus
US8011540B1 (en) Aerator bottle pourer
US9254944B1 (en) Assembly and method for pouring liquid from a container
KR101366696B1 (ko) 샴푸용기의 펌프 장치
KR20080015392A (ko) 용기로부터 유체를 분배하는 도우징 헤드
RU2015142056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и элемент, содержащий жидкость
US11213843B2 (en) Liquid dispenser with ventilated bottle and discharge head for this purpose
KR101737866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JP2010006451A (ja) 液体噴出器
US20190322515A1 (en) Funnel
JP2007153373A (ja) 液体容器用整流装置
KR101618122B1 (ko) 공기 유입 차단이 가능한 튜브용기
JP6534298B2 (ja) 噴霧装置
KR20160001268U (ko) 유체의 배출이 용이한 용기
JP5695502B2 (ja) 泡注出器
KR101910060B1 (ko) 거품분출 튜브용기
WO2014015368A1 (en) Soap dispenser
JP2014148328A (ja) 詰め替え容器
JP7171624B2 (ja) 閉止装置、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容器
KR101213047B1 (ko) 에어 캡 및 이를 구비하는 용기
JP2008162633A (ja) 容器
JP4858956B2 (ja) 注出物収納袋及び詰替式ポンプ容器
KR101923389B1 (ko) 유체 디스펜서
JP6454604B2 (ja) 泡吐出容器
US11718453B2 (en) System and coupling device for pou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