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96A -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 Google Patents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96A
KR20160001196A KR1020140079187A KR20140079187A KR20160001196A KR 20160001196 A KR20160001196 A KR 20160001196A KR 1020140079187 A KR1020140079187 A KR 1020140079187A KR 20140079187 A KR20140079187 A KR 20140079187A KR 20160001196 A KR20160001196 A KR 20160001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user
cente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중혁
Original Assignee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 티오티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14007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96A/ko
Priority to PCT/KR2015/001894 priority patent/WO2015199311A1/ko
Publication of KR20160001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서버에 접속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소리 및 영상으로 취득한 긴급 상황 정보를 신고 센터의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상황 통보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SITUATION}
본 발명은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늘어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하는 사람 또한 증가하였고, 사용자층 역시 넓어 지게 되었다.
종래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휴대한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상황에 처할 경우, 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긴급 전화 번호를 입력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 등의 신고 센터와 음성 통화 호를 연결하고, 현재 처한 긴급 상황을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이크를 통해 소리로만 전달하였다. 여기서, 긴급 상황은 단말기 사용자가 납치, 강도 및 조난 등을 당하거나 단말기 사용자가 위치한 지점에 화재, 지진, 교통 사고 등이 발생하는 상황들을 의미한다.
위와 같이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상황을 소리로만 전달하게 되면, 신고 센터에서 긴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신고 센터에서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전화 번호를 입력하면,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서버에 접속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소리 및 영상으로 취득한 긴급 상황 정보를 신고 센터의 서버로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 긴급 상황 통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일반 전화 번호 및 상기 일반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일반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일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긴급 상황 발생 단계;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정보 생성 단계; 기 저장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에서 상기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 접속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긴급 상황 정보 전송 단계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소리 및 영상으로 취득하여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긴급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 연결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통보 시스템(100)은 이동통신 단말기(110), 통신망(120) 및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130)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상적인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를 구비한 단말기로써, 태블릿 PC(Tablet PC), 스마트 폰(Smart Phone) 및 피처폰(Feature Phone)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후술할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130) 중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서버인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접속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긴급 전화 번호는 범죄 신고 전화 번호인 112, 화재, 구조, 구급, 응급 의료 신고 전화 번호인 119, 간첩 신고 전화 번호인 111, 마약/범죄 종합 신고 전화 번호인 1301 등이 있고,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130)는 112 센터 서버, 119 센터 서버, 111 센터 서버 및 1301 센터 서버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앱(App)의 패키지 네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후술할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함과 아울러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 즉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통화 연결을 요청받으면,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연결하지 않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만 접속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거나, 종래와 같이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연결함과 아울러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도 접속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도 3과 같이 긴급 통화 연결 설정 메뉴를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긴급 통화 연결 설정 메뉴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에 따라 긴급 통화 연결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셀 ID(IDentity) 정보 등 현재 구현 중인 측위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향후 구현될 측위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신망(120)은 기지국 및 교환국을 포함하는 이동통신망 및 인터넷을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 간의 데이터 송수신 및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 간의 음성 통화 중 하나 이상을 매개한다.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130)는 112 센터 서버, 119 센터 서버, 111 센터 서버 및 1301 센터 서버를 포함하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로부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는 오디오 및 데이터 출력 장치(미도시)를 통해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는 URL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접속하거나 앱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와 접속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와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웹 방식 및 앱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메모리부(210), 키패드(220),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 카메라부(240), 무선 통신부(2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설치된 앱(App) 프로그램 및 전화번호 목록(예를 들어, 주소록)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210)는 읽기 전용 메모리인 ROM(Read Only Memory), 읽기/쓰기가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메모리부(210)는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는 범죄 신고 전화 번호인 112, 화재, 구조, 구급, 응급 의료 신고 전화 번호인 119, 간첩 신고 전화 번호인 111, 마약/범죄 종합 신고 전화 번호인 1301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각각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중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앱(App)의 패키지 네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앱은 이동통신 단말기(110)에 기설치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키패드(220)는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을 수 있는 숫자 버튼 및 통화 호 연결을 위한 통화 버튼을 단말기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메모리부(210)에서 저장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키패드(22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일 수 있고, 도 4의 4A 및 4B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비상 전화 버튼의 입력을 통해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도 4의 4A와 같은 화면 잠금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비상 전화 버튼을 입력하면, 키패드(220)는 4B와 같이 숫자 버튼 및 통화 버튼을 화면상에 표시하고, 단말기 사용자가 숫자 버튼 및 통화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키패드(220)는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예를 들어, 112)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것이다.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는 마이크(232)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인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여 후술할 무선 통신부(250)로 전달하고, 무선 통신부(25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34)를 통해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는 키패드(220)에서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후술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마이크(232)를 통해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한다.
카메라부(240)는 영상을 촬영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 COM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센서 및 여러 다양한 이미지 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에서 촬영한 영상을 디지털 데이터로 이미지 처리하는 영상 처리 모듈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카메라부(240)는 키패드(220)에서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후술할 제어부(260)의 제어에 따라 단말기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250)는 안테나(252)를 통해 통신망(120)과 접속하고,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안테나(252)는 음성 통화를 위한 안테나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안테나가 개별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무선 통신부(250)는 제어부(260)의 제어에 의해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어부(260)는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및 각종 프로그램 실행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60)는 키패드(220)를 통해 일반 전화 번호 및 일반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일반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일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한다. 여기서, 일반 전화 번호는 이동통신 전화 번호 및 국번을 포함한 유선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키패드(2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제어부(260)는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 중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메모리부(210)에서 추출하고, 무선 통신부(250)를 제어하여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접속한다.
이후, 제어부(260)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230) 및 카메라부(240)에서 각각 생성한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60)는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 즉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스트리밍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60)는 키패드(220)를 통해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함과 아울러 무선 통신부(250)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60)는 도 3과 같이 긴급 통화 연결 설정 메뉴를 화면 상에 표시하고, 긴급 통화 연결 설정 메뉴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한 설정에 따라 긴급 통화 연결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60)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더 전송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위치 정보는 GPS 정보, 셀 ID(IDentity) 정보 등 현재 구현 중인 측위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및 향후 구현될 측위 시스템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위치 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종래와 같이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연결하는 것 외에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소리 및 영상으로 취득하여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의 서버로 전송하기 때문에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신고 센터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처한 긴급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해 긴급 상황에 대한 효과적인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10)에서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기 저장한 이동통신 단말기(110)가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고,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S410, S420).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 즉 기저장한 서버 접속 정보 리스트에서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한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접속한다(S430, S440).
이후,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한다(S450).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통화 종료 버튼이 입력될 때까지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하고, 통화 종료 버튼이 입력되면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중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단계 S45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110)의 위치 정보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더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450에서 이동통신 단말기(110)는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132)에 전송함과 아울러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미도시)와 음성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중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키패드;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마이크를 통해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는 오디오 신호 처리부;
    상기 키패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받으면,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주변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카메라부;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동통신 기능을 위한 음성 통화 및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키패드를 통해 일반 전화 번호 및 상기 일반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일반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일반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 중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추출하고,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가상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화면 잠금 상태에서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는 비상 전화 버튼의 입력을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를 통해 상기 어느 하나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는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앱(App)의 패키지 네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사용자로부터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긴급 전화 번호에 대한 호 연결 요청인 긴급 전화 호 연결 요청을 입력받는 긴급 상황 발생 단계;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소리를 취득하여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단말기 사용자 주변의 영상을 촬영하여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긴급 상황 정보 생성 단계;
    기 저장한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 및 상기 하나 이상의 긴급 전화 번호에 각각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에서 상기 긴급 전화 번호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추출하는 접속 정보 추출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 접속 정보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접속하고,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하는 긴급 상황 정보 전송 단계
    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통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전송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 주변 오디오 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 주변 영상 데이터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전송함과 아울러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의 통신 단말기와의 음성 통화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정보 전송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상기 어느 하나의 신고 센터 서버에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통보 방법.
KR1020140079187A 2014-06-26 2014-06-26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KR20160001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87A KR20160001196A (ko) 2014-06-26 2014-06-26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PCT/KR2015/001894 WO2015199311A1 (ko) 2014-06-26 2015-02-26 긴급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정보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187A KR20160001196A (ko) 2014-06-26 2014-06-26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96A true KR20160001196A (ko) 2016-01-06

Family

ID=55165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187A KR20160001196A (ko) 2014-06-26 2014-06-26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9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5745B2 (en) Self-contained security system including voice and video calls via the internet
US9198225B2 (en) Ad-hoc surveillance network
KR101362921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송출 방법
CN103425488B (zh) 定位设备
CN102484792A (zh) 在移动通信终端中使用图像识别的无线连接方法和设备
WO2013008440A1 (ja)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657151A (zh) 移动终端报警方法及装置、处警方法及装置
US10298883B2 (en) Communica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20040033933A (ko) 감시 및 관찰 현장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9140652A (ja) ドアベル
KR20160001196A (ko) 긴급 상황을 통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통보 방법
KR101605746B1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신고 시스템
KR101771046B1 (ko) 모바일 기반의 웨어러블 카메라의 정보 전송방법 및 웨어러블 카메라
KR101728271B1 (ko) 정보 조회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190230226A1 (en) Mobile terminal, ev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event information display program, and intercom system
WO2015199311A1 (ko) 긴급 상황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그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긴급 상황 정보 제공 방법
JP2017098847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JP6621144B2 (ja) 緊急通報受付システム、装置、ユーザ端末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704170A (zh) 一种远程协助方法、服务器和终端
KR101221885B1 (ko) 단문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공유방법 및 장치
JP6680031B2 (ja) 会議用装置、送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415382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8124B2 (ja) 端末装置、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01207A (ko) 긴급 통화 접속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7352762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