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63U - 피자 박스 - Google Patents

피자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63U
KR20160001163U KR2020140007135U KR20140007135U KR20160001163U KR 20160001163 U KR20160001163 U KR 20160001163U KR 2020140007135 U KR2020140007135 U KR 2020140007135U KR 20140007135 U KR20140007135 U KR 20140007135U KR 20160001163 U KR20160001163 U KR 201600011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member
finishing strip
bottom plate
outer periphery
fin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322Y1 (ko
Inventor
정용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원통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원통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원통상
Priority to KR2020140007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322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1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3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3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65D5/3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 B65D5/307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the tongue being a part of a lateral extension of a side wall combined with a tongue provided in an adjacent side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1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 B65D5/46128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formed by extensions of side flaps or by side flaps of a container formed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wo opposite closure flaps being provided with handle element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55Peelable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53Rigid containers, e.g. trays, bottles, boxes,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bakery products, e.g. bis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artons (AREA)

Abstract

피자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을 배제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부피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피자박스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피자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케이스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밑판과,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며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피자 박스{PIZZA BOX}
본 고안은 피자 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자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을 배제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부피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피자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를 보관하도록 하는 포장박스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예로서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20 - 0164098호 '피자박스'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는 통상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밑판의 정면과 좌우측면으로는 상부로 접어지는 절첩판(80,8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첩판(80,82)중에서 측면을 형성하는 절첩판(80)은 양측으로 절첩날개(21,21a)를 형성하여 일측의 절첩날개(21)는 정면을 형성하는 절첩판(82,30a)이 접어지면서 하부절첩판(82)의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한 후, 상부절첩판(30a)으로 감싸여지도록 한 후, 상부절첩판(30a)의 결합돌부(31)가 밑판(10)의 결합홈(11)에 삽입되면서 고정되도록 하고, 타측의 절첩날개(21a)는 몸체(B)와 덮개(A)의 절첩을 유도하는 절첩부(70)의 내측으로 접혀지면서 몸체(B)가 사각의 박스체로 되게 하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몸체(B)에 덮여지는 덮개(A)는 덮개판(40)의 정면과 좌우측면으로 절첩판(50,60)을 형성하여 덮개판(40)이 덮여진 상태에서 몸체(B)의 내측으로 끼어지게 되면서 조립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측면을 형성하는 절첩판(80)의 양측으로 정점(1)을 형성하여 정점(1)에서 X축(2)과 Y축(2)및 Z축(4)으로 절첩선을 형성하여 X축(2)과 Z축(4)의 사이에 절첩면(5)을 형성하여 절첩면(5)이 밑판(10)과 밀착되게 접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피자 박스는 밑판의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이 많아 재료의 낭비와 제조 비용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피자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을 배제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부피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피자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피자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케이스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밑판과,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며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는 양단부에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측벽부재는 사각형이되 일측 가로변은 밑판에 연결되고, 양측 세로변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로 형성된 제1측벽;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와 인접되며,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변은 밑판에 연결되고, 경사변은 제1마감띠부재 및 제2마감띠부재에 대접되는 제2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와 제2측벽이 접하는 부위이자 상기 이음부의 양측에는 제2측벽과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가 분리되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는 원형이며, 상기 밑판의 외주연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대항되는 외주연 타측에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에 인접하여 덮개의 외주연 일측을 호형으로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마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와 덮개의 이어지는 양측에는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에는 중앙부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라인과, 상기 절개라인과 이격되어 호형으로 절개되어 천공홈이 형성되어 손잡이바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손잡이바를 상방으로 직립시켜 운반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피자를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고, 불필요한 자투리 부분을 배제함으로써 제조비용의 절감과 부피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피자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나타낸 전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조립한 사시도로서 덮개를 닫기 전과 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조립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나타낸 전개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를 조립한 사시도로서 덮개를 닫기 전과 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전개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의 또다른 실시예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피자 박스(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피자(P)가 수납되는 케이스(100)와,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는 덮개(200)로 이루어진다.
케이스(100)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밑판(110)과, 상기 밑판(110)의 외주연에 이음부(112)로 연결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며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가 형성된다.
밑판(110)의 외주연에 이음부(112)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200)가 형성된다.
밑판(110)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의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가 이음부(112)로 이어져 형성된다.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는 직립된 후 밑판(110)의 외주연을 따라 호 형상으로 구부러지면서 세워져 측벽부재(200)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므로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의 길이는 각기 밑판(110)의 원주길이의 절반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의 양단부가 서로 중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밑판(110)의 원주길이의 절반 보다는 약간 더 길게 형성된다.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는 양단부에 서로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홈(130)이 각기 형성된다. 체결홈(130)은 대략 세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양측의 체결홈(130)은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에 각기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를 각기 호형으로 구부려 마주보도록 절곡한 후 그 양단부의 체결홈(130)을 각기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원형의 측벽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측벽부재(200)는 사각형이되 일측 가로변은 밑판(110)에 연결되고, 양측 세로변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로 형성된 제1측벽(210);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와 인접되며,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변은 밑판(110)에 연결되고, 경사변은 제1마감띠부재(120) 및 제2마감띠부재(140)에 대접되는 제2측벽(220)으로 구성된다.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와 제2측벽(220)이 접하는 부위이자 상기 이음부(112)의 양측에는 제2측벽(220)과 제1마감띠부재(120)와 제2마감띠부재(140)가 분리되도록 직선형으로 절개되어 절개부(114)가 형성된다.
한편 덮개(200)는 밑판(110)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밑판(110)의 외주연과 연결되는 연결부(300)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결합편(240)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결합편(240)은 덮개(200)에 대해 직각이 되게 접힌 후 상술한 제1마감띠부재(120) 및 제2마감띠부재(140)로 형성되는 측벽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덮개(20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연결부(300)는 덮개(200)와 밑판(110)을 이어주는 것으로 그 길이는 대략 제1마감띠부재(120) 및 제2마감띠부재(14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더 길게 형성된다.
덮개(200)와 연결부(300)를 직각되게 접을때 연결부(300)의 높이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는 여유 길이가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여유 길이가 마련됨으로써 덮개(200)의 결합 상태가 보다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연결부(300)에 대항되는 외주연 타측에는 끼움편(260)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260)에 인접하여 덮개(200)의 외주연 일측을 호형으로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마개(262)가 형성된다. 따라서 마개(262)를 손으로 눌러 안쪽으로 접어서 통기구(263)가 형성될 수 있다.
끼움편(260)도 결합편(240)과 마찬가지로 직각되게 접힌 후 제1마감띠부재(120) 및 제2마감띠부재(140)로 형성되는 측벽부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덮개(200)가 열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또는 덮개(200)의 결속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편(260)에 삽입공(264)을 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2마감띠부재(140)의 일단에는 결합편(145)을 형성함으로써 결합편(145)을 삽입공(264)에 끼워 덮개(200)의 고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200)에는 손잡이(4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손잡이(400)는 평소에는 덮개(200)에 매립되어 일체로 되어 있다가 사용할때만 세워서 조립하여 사용된다.
일 예로서 손잡이(400)는 중앙부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라인(410)과, 상기 절개라인(410)과 이격되어 호형으로 절개되어 천공홈(420)이 형성되어 손잡이바(430)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절개라인(410) 및 손잡이바(430)는 2개가 한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2개의 손잡이바(430)를 상방으로 직립시킨 붙여서 조립하여 운반시 손으로 잡고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덮개(200)는 내판과 외판으로 2겹으로 형성되고, 손잡이(400)는 외판에 형성됨으로써 내부의 보온성을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케이스 110 : 밑판
120 : 제1마감띠부재 140 : 제2마감띠부재
130 : 체결홈 200 : 덮개
210 : 제1측벽 220 : 제2측벽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원형으로 형성되어 피자가 수납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덮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케이스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밑판과,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대칭되게 형성되며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상기 밑판의 외주연에 이음부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 사이에 배열되는 복수개의 측벽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는 양단부에 서로 끼움결합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측벽부재는,
    사각형이되 일측 가로변은 밑판에 연결되고, 양측 세로변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다리꼴로 형성된 제1측벽;
    상기 제1마감띠부재와 제2마감띠부재와 인접되며,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일측 변은 밑판에 연결되고, 경사변은 제1마감띠부재 및 제2마감띠부재에 대접되는 제2측벽;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원형이며,
    상기 밑판의 외주연과 연결되는 연결부가 외주연 일측에 형성되고,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복수개의 결합편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에 대항되는 외주연 타측에는 끼움편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편에 인접하여 덮개의 외주연 일측을 호형으로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마개가 형성된 것
    상기 연결부와 덮개의 이어지는 양측에는 절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중앙부에 호형으로 절개된 절개라인과, 상기 절개라인과 이격되어 호형으로 절개되어 천공홈이 형성되어 손잡이바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손잡이바를 상방으로 직립시켜 운반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자박스.
KR2020140007135U 2014-09-30 2014-09-30 피자 박스 KR2004823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35U KR200482322Y1 (ko) 2014-09-30 2014-09-30 피자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135U KR200482322Y1 (ko) 2014-09-30 2014-09-30 피자 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63U true KR20160001163U (ko) 2016-04-07
KR200482322Y1 KR200482322Y1 (ko) 2017-01-10

Family

ID=55790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135U KR200482322Y1 (ko) 2014-09-30 2014-09-30 피자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32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67A (ko) * 2017-06-27 2019-01-04 (주)참존박스 다각형 피자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63477S1 (en) 2019-10-02 2022-09-13 Pizza Hut, Llc Pizza container cover
USD1028739S1 (en) 2019-10-02 2024-05-28 Pizza Hut, Llc Pizza container ba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215U (ko) * 1985-09-09 1987-03-19
KR200233817Y1 (ko) * 2001-03-21 2001-10-08 김남일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332625Y1 (ko) * 2003-08-19 2003-11-07 최기영 피자 포장박스
JP4515595B2 (ja) * 2000-04-11 2010-08-04 レンゴー株式会社 紙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5215U (ko) * 1985-09-09 1987-03-19
JP4515595B2 (ja) * 2000-04-11 2010-08-04 レンゴー株式会社 紙箱
KR200233817Y1 (ko) * 2001-03-21 2001-10-08 김남일 피자 포장용 상자
KR200332625Y1 (ko) * 2003-08-19 2003-11-07 최기영 피자 포장박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1467A (ko) * 2017-06-27 2019-01-04 (주)참존박스 다각형 피자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322Y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610B2 (en) Reusable produce containers and related methods
JP6290234B2 (ja) センタリングタブを有する段ボール箱、そのような箱を作るためのブランク、ブランクの組及び方法
KR200482322Y1 (ko) 피자 박스
JP2016502482A5 (ko)
US20200180810A1 (en) Folding blank and shipping package folded therefrom
US20080067222A1 (en) Packing case
US9145225B2 (en) Tray for transporting and displaying items such as yogurt containers
US8726618B1 (en) Method of making and using a foldable and stackable box
US9617032B2 (en) Bakery boxes
JP6127858B2 (ja) 包装箱
JP6413928B2 (ja) トレイ
KR101702347B1 (ko) 포장박스
JP2016124600A (ja) 容器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JP3210971U (ja) 仕切付き折畳箱
KR101623971B1 (ko) 접이식 대형포장박스
JP6896512B2 (ja) 包装箱
US8127927B2 (en) Erectable packaging, particularly for a bottle
KR101660821B1 (ko) 완충식 포장 박스
JP3199371U (ja) 組立て式ファイルボックス
ES2568178T3 (es) Preforma para una caja de montaje sin cola
JP5069062B2 (ja) 段ボール箱
JP2019104522A (ja) 包装箱
JP6919532B2 (ja) 花卉用包装箱
JP6907074B2 (ja) 包装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