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42U -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 Google Patents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042U
KR20160001042U KR2020140006871U KR20140006871U KR20160001042U KR 20160001042 U KR20160001042 U KR 20160001042U KR 2020140006871 U KR2020140006871 U KR 2020140006871U KR 20140006871 U KR20140006871 U KR 20140006871U KR 20160001042 U KR20160001042 U KR 201600010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nkle
storage part
fixing member
corrugat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8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2299Y1 (ko
Inventor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400068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99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0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0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2Casings characterised by a hinged cover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저장부가 형성된 파운데이션 용기를 사용하여 주름저장부를 압축하여 화장료를 토출할 때 상기 주름저장부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름부가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때 스크린망이 주름저장부의 바닥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화장료의 잔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외용기본체(10)와 상기 외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용기본체(30)와, 상기 내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내용기뚜껑(40)과, 상기 내용기본체(30) 내측에 위치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주름저장부(50)와,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망(70);으로 구성되되,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측면에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주름벽(51)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저장부(5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저장부(50)의 내측 바닥면이 스크린망(70) 하측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주름벽(51)은 수평으로 접히도록 안쪽으로 향하는 내향경사면(51a)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향경사면(5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경사면(51a)과 외향경사면(51b)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고, 상기 주름벽(51)은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 내부에는 함침부재(55)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스크린망(70) 사이에는 체결링(60)이 더 형성되고,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은 고정부재(8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80)는 제1고정부재(81)와 제2고정부재(8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고정부재(81)는 내주면에 결합홈(811)이 형성되며, 제2고정부재(82)는 외주면에 결합돌기(82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811)에 결합돌기(8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foundation container having a folding wrinkle shped storage horizontally}
본 고안은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주름저장부가 형성된 파운데이션 용기를 사용하여 주름저장부를 압축하여 화장료를 토출할 때 상기 주름저장부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름부가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때 스크린망이 주름저장부의 바닥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화장료의 잔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에 관한 것이다.
파운데이션이란 피부에 색조효과를 주고 피부의 결점을 감추어주는 화장품이다.
상기 파운데이션은 화장료의 형태에 따라 고형 파운데이션, 액상 파운데이션, 겔상 파운데이션으로 구분되며 고형 파운데이션의 경우 커버력은 높지만 수정 화장 시 뭉치는 단점이 있고, 액상 파운데이션의 경우 밀착감은 좋으나 지속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 들어 상당한 지속력을 가지며 또한 피부에 도포할 때에 밀착감이 좋은 겔상 파운데이션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졌다.
이에 따라 겔상 파운데이션에 대한 용기의 개발도 필요하게 되었는데 일반적으로 겔상 파운데이션을 튜브 용기에 충전하여 사용 시에 사용자가 손에 짜내어, 퍼프나 손을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겔상 파운데이션 튜브 용기를 이용하여 화장료를 퍼프에 배출하여 사용할 때에는 배출되는 화장료가 퍼프의 일부에만 집중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퍼프를 이용하여 피부에 도포 시 화장료가 뭉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3573호로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갖는 콤팩트형 파운데이션 용기를 개시하여 주름저장부(1)의 측벽을 주름부(2)로 형성하고, 이에 따라 상기 주름저장부(1)에 저장된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 주름부(2)가 탄성적으로 압축, 신장되어 주름저장부(1)의 내용물을 배출시키며, 화장료가 스크린망(3)을 통하여 배출될 때에 고운 입자로 배출되고, 이를 퍼프로 묻혀 사용할 때 퍼프에 골고루 묻어나게 됨으로써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때에 화장료가 뭉치는 문제점을 해소시켰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스크린망(3)을 압박하면 주름부(2)가 압축되면서 스크린망(3)을 통해 화장료가 배출되는데, 상기 주름부(2)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부(2)가 완전히 접히더라도 스크린망(3)이 주름저장부(1)의 바닥면에 닿지 않아 주름저장부(1) 내의 화장료를 모두 배출시켜 사용하지 못함으로써 화장료의 잔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주름저장부가 형성된 파운데이션 용기를 사용하여 주름저장부를 압축하여 화장료를 토출할 때 상기 주름저장부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름부가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때 스크린망이 주름저장부의 바닥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화장료의 잔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주름부는 안쪽으로 향하는 경사면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주름부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외용기본체(10)와 상기 외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용기본체(30)와;
상기 내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내용기뚜껑(40)과;
상기 내용기본체(30) 내측에 위치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주름저장부(50)와;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망(70);으로 구성되되,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측면에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주름벽(51)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저장부(5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저장부(50)의 내측 바닥면이 스크린망(70) 하측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주름벽(51)은 수평으로 접히도록 안쪽으로 향하는 내향경사면(51a)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향경사면(5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경사면(51a)과 외향경사면(51b)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벽(51)은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 내부에는 함침부재(5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스크린망(70) 사이에는 체결링(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은 고정부재(8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80)는 제1고정부재(81)와 제2고정부재(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81)는 내주면에 결합홈(811)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82)는 외주면에 결합돌기(82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811)에 결합돌기(8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용기본체(3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부재(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부재(90)는 상측에 수평연장편(91)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연장편(92)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장편(91)과 하부연장편(92)의 사이에는 안착턱(9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는 주름저장부가 형성된 파운데이션 용기를 사용하여 주름저장부를 압축하여 화장료를 토출할 때 상기 주름저장부를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여 주름부가 수평으로 접혀지도록 함으로써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화장료를 배출시켜 사용할 때 스크린망이 주름저장부의 바닥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하여 화장료의 잔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름부는 안쪽으로 향하는 경사면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경사면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주름부가 용이하게 접히도록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갖는 콤팩트형 파운데이션 용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스크린망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주름저장부를 수평으로 만든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고무배출패드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스크린망을 가압하는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스크린망을 가압하여 주름저장부를 수평으로 만든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은 외용기본체(10)와 상기 외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용기본체(30)와, 상기 내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내용기뚜껑(40)과, 상기 내용기본체(30) 내측에 위치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주름저장부(50)와,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망(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외용기(10)는 일측면에 걸림돌기(12)를 구비한 버튼(11)과 상기 버튼(11)의 마주보는 쪽에 힌지가 형성되어 외용기뚜껑(20)과 힌지 결합되며, 상부 내주연에는 힌지블라켓장착홈(1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내용기본체(30)가 결합된다.
상기 버튼(11)은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부에 연장 형성된 걸림돌기(12)가 용이하게 후퇴되어 외용기뚜껑(20)의 후크(21)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힌지블라켓장착홈(13)에는 내용기본체(30)의 힌지블라켓(33)이 장착된다.
상기 외용기뚜껑(20)은 외용기본체(10)의 상부를 덮는 것으로 외용기본체(10)와 힌지 결합으로 연결되며, 외용기본체(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용기뚜껑(20)의 일측에는 후크(21)를 형성하되, 상기 후크(21)는 외용기본체(10)의 걸림돌기(12)와 대응되도록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내용기본체(30)가 결합되며, 상기 내용기본체(30)는 옆면에는 내벽(31)과 외벽(32)이 형성되고, 상기 내벽(31)의 상부 외주면에는 언더컷 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외벽(32)은 내용기뚜껑(40)이 끼워져 내용기본체(3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벽(32)과 외벽(33) 사이에는 이탈방지부재(90)가 끼움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본체(30)의 상부 일측에는 내용기뚜껑(40)과 결합을 위한 힌지블라켓(33)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블라켓(33)은 외용기본체(10)의 힌지블라켓장착홈(13)에 장착되고, 힌지핀(34)에 의해 내용기뚜껑(40)과 힌지 결합된다.
상기 내용기뚜껑(40)의 상면에는 화장도구인 퍼프(도면미도시)를 보관할 수 있는 퍼프수납공간(41)이 형성된다.
상기 내용기뚜껑(40)은 내용기본체(30)의 외벽(32) 내측에 끼워져서 상기 내용기본체(30)의 기밀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용기뚜껑(40)은 일측에 힌지돌기(42)를 형성하며, 내용기본체(30)의 힌지블라켓(33)에 끼워진 후, 힌지핀(34)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내용기본체(30) 내측에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주름저장부(50)가 위치한다.
상기 주름저장부(5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내용물을 함침한 함침부재(55)를 내장할 수도 있다.
상기 함침부재(55)는 BR(Butadi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NR(Nateral Rubber), 습식우레탄, 건식우레탄,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 비닐, 폴리에틸렌,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실리콘, SIS(Styrene Isoprene Styrene), SEBS(Styrene Ethylene Butylene Styrene), PVA(PolyVinyl Alcohol), 실리콘제 엘라스토머, 니트릴고무, 부틸고무 및 네오프렌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측벽은 주름벽(51)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주름벽(51)은 주름이 반복 형성되어 있어, 탄성적으로 압축, 신장이 가능하다.
상기 주름벽(51)은 수평으로 접히도록 안쪽으로 향하는 내향경사면(51a)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향경사면(5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경사면(51a)과 외향경사면(51b)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내향경사면(51a)의 길이가 외향경사면(5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주름벽(51)은 주름저장부(50)의 바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주름벽(51)이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저장부(50)의 내측 바닥면이 스크린망(70) 하측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접혀지게 되어 상기 주름저장부(5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주름벽(51)의 상부 외측에는 하부연장돌륜(52)이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하부연장돌륜(52)은 주름저장부(50) 상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80)에 끼움 결합된다.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주름벽(51) 상단에는 스크린망(70)과의 체결력을 강화하기 위해 환(環) 형태의 체결링(60)을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링(60)은 주름벽(51) 상단에 결합되며, 상측에는 체결돌륜(61)이 연장 형성되어 스크린망(70)의 체결력을 더욱 높여준다.
상기 체결링(60)은 주름벽(51) 상단과 초음파 접착 또는 고주파 접착 또는 열접착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착으로 결합되며, 이중사출 또는 인서트 사출로 주름벽(5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돌륜(61)은 체결링(60) 상부에 연장 형성되며, 스크린망(70)의 체결환홈(72) 끼움 결합된다.
상기 스크린망(70)은 겔상 내용물이 분출될 수 있게 다수의 미세구멍들이 사방으로 형성되며, 테두리(71)로 둘레가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망(70)의 테두리(71) 하부에는 체결환홈(7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환홈(72)은 체결링(60)의 체결돌륜(61)에 끼움 결합하여 스크린망(70)이 주름저장부(50) 상단에 고정 체결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은 고정부재(80)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제1고정부재(81)와 제2고정부재(82)로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81)는 체결링(60)에 결합된 스크린망(70)을 위쪽에서 가압하여 상기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을 고정시키며, 아래쪽 내주면에 결합홈(811)이 형성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82)는 주름저장부(50)의 하부연장돌륜(52)에 끼움 결합되며, 외주면에 결합돌기(822)가 형성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81)의 결합홈(811)에 제2고정부재(82)의 결합돌기(822)가 끼움 결합되어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이 분리되지 않게 고정시킨다.
상기 내용기본체(3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80)가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재(90)가 결합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90)는 링 형태이며, 상측에는 수평연장편(91)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연장편(92)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장편(91)과 하부연장편(92)의 사이에는 안착턱(93)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연장편(91)은 고정부재(80)를 가압하여 상기 고정부재(80)가 내용기본체(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연장편(92)은 내용기본체(30)의 내벽(31)과 외벽(32)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하부연장편(92)의 내주면에 언더컷 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내용기본체(30)의 내벽(31)과 억지끼움 또는 나사결합된다.
상기 안착턱(93)은 내용기본체(30)의 내벽(31) 상단에 안착되어 이탈방지부재(90)가 내용기본체(30)에 안착되게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조립방법 및 사용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조립하기 위해 외용기본체(10)와 상기 외용기본체(10)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는 외용기뚜껑(20)에서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는 내용기본체(30)를 결합한 후, 상기 내용기본체(30)에 내용기뚜껑(40)을 힌지 결합한다.
이후, 주름벽(51) 상단에 체결링(60)이 결합된 주름저장부(50)를 내용기본체(30) 내측에 장착하되, 스크린망(70)을 체결링(60)에 결합한 다음, 제1고정부재(81)와 제2고정부재(82)로 이루어진 고정부재(80)를 이용하여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을 고정시킨 후 장착한다.
상기 주름저장부(50)에 내용물을 직접 주입할 수도 있고, 내용물이 함침된 함침부재(55)를 주름저장부(50)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내용기본체(30)의 상부에 고정부재(80)가 내용기본체(30)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재(90)를 결합하여 본 고안의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퍼프를 이용하여 스크린망(70)을 가압한다.
상기 스크린망(70)를 가압하면 주름저장부(50)의 내용물이 위쪽으로 토출된다.
상기 주름저장부(50)의 내용물이 스크린망(70)을 통과할 때, 상기 스크린망(70)의 미세구멍을 통과하여 토출되기 때문에 고운입자로 배출이 가능하며, 주름저장부(50)의 측벽이 탄성적으로 압축, 신장이 가능한 주름벽(51) 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주름벽(51)은 수평으로 접히도록 안쪽으로 향하는 내향경사면(51a)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향경사면(51b)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상기 내향경사면(51a)의 길이가 외향경사면(51b)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주름벽(51)은 주름저장부(50)의 바닥으로 향할수록 좁아지는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와 달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름저장부(50)의 내측 바닥면이 스크린망(70) 하측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접혀지게 되어 상기 주름저장부(5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고안에서 설명한 것은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은 상기 일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외용기본체 11:버튼
12:걸림돌기 13:힌지블라켓장착홈
20:외용기뚜껑 21:후크
30:내용기본체 31:내벽
32:외벽 33:힌지블라켓
34:힌지핀 40:내용기뚜껑
41:퍼프수납공간 42:힌지돌기
50:주름저장부 51:주름벽
52:하부연장돌륜 55:함침부재
60:체결링 61:체결돌륜
70:스크린망 71:테두리
72:체결환홈 80:고정부재
81:제1고정부재 82:제2고정부재
90:이탈방지부재 91:수평연장편
92:하부연장편 93:안착턱

Claims (10)

  1. 외용기본체(10)와 상기 외용기본체(10) 일측에 결합되어 개폐되는 외용기뚜껑(20)으로 이루어진 파운데이션 용기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본체(10)의 내부에 결합되는 내용기본체(30)와;
    상기 내용기본체(30)와 힌지 결합되는 내용기뚜껑(40)과;
    상기 내용기본체(30) 내측에 위치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주름저장부(50)와;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상부에 안착되는 스크린망(70);으로 구성되되,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측면에 다수의 주름이 반복되어 이루어진 주름벽(51)이 형성되며, 상기 주름저장부(50)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방지하기 위해 주름저장부(50)의 내측 바닥면이 스크린망(70) 하측에 맞닿도록 수평으로 접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저장부(50)의 주름벽(51)은 수평으로 접히도록 안쪽으로 향하는 내향경사면(51a)과 바깥쪽으로 향하는 외향경사면(51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향경사면(51a)과 외향경사면(51b)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벽(51)은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저장부(50)는 천연고무 또는 엘라스토머, 실리콘고무, NBR(acrylonitrile-butadiene rubber)고무 또는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 중 하나 이상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저장부(50)는 내부에 함침부재(55)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스크린망(70) 사이에는 체결링(60)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저장부(50)와 체결링(60)과 스크린망(70)은 고정부재(80)에 의해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80)는 제1고정부재(81)와 제2고정부재(8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81)는 내주면에 결합홈(811)이 형성되고, 제2고정부재(82)는 외주면에 결합돌기(821)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811)에 결합돌기(8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본체(30)의 상부에는 이탈방지부재(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90)는 상측에 수평연장편(91)이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는 하부연장편(92)이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수평연장편(91)과 하부연장편(92)의 사이에는 안착턱(9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20140006871U 2014-09-22 2014-09-22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82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71U KR200482299Y1 (ko) 2014-09-22 2014-09-22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871U KR200482299Y1 (ko) 2014-09-22 2014-09-22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042U true KR20160001042U (ko) 2016-03-31
KR200482299Y1 KR200482299Y1 (ko) 2017-01-10

Family

ID=5564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871U KR200482299Y1 (ko) 2014-09-22 2014-09-22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34A (ko) * 2017-02-07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구
KR101892401B1 (ko) * 2017-12-27 2018-08-27 김진우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KR20210138282A (ko) * 2020-05-12 2021-11-19 임흥호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229A (ja) * 1997-12-15 1999-06-2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JPH11187925A (ja) * 1997-12-25 1999-07-13 Yoshino Kogyosho Co Ltd 粉末化粧品収納容器本体
KR2013004851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화장품용기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9229A (ja) * 1997-12-15 1999-06-29 Kamaya Kagaku Kogyo Co Ltd 化粧料収納容器
JPH11187925A (ja) * 1997-12-25 1999-07-13 Yoshino Kogyosho Co Ltd 粉末化粧品収納容器本体
KR20130048518A (ko) * 2011-11-02 2013-05-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밀 화장품용기
KR200473573Y1 (ko) * 2013-08-21 2014-07-11 (주)아모레퍼시픽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534A (ko) * 2017-02-07 2018-08-16 (주)아모레퍼시픽 화장용구
KR101892401B1 (ko) * 2017-12-27 2018-08-27 김진우 밀폐 타입 화장품 용기
KR20210138282A (ko) * 2020-05-12 2021-11-19 임흥호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2299Y1 (ko) 201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573Y1 (ko) 스크린망과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JP6209278B2 (ja) ゴム排出パッドを備えたファンデーション容器
KR200470757Y1 (ko) 혼합부재를 구비한 에어리스펌프를 갖는 콤팩트 용기
JP6332775B2 (ja) ゴム排出パッド付き化粧品容器
KR200480194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3967Y1 (ko) 밀도를 달리한 제1함침부와 제2함침부를 구비한 콤팩트 용기
JP6307160B2 (ja) ゲル状内容物の残量防止が容易なファウンデーション容器
JP2018509257A (ja) コンパクトタイプの化粧品容器
US10897976B2 (en) Foundation container comprising pump having convenient pressurization
KR200482299Y1 (ko) 수평으로 접혀지는 주름저장부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200478729Y1 (ko) 스퀴즈가 가능한 퍼프 일체형 화장품용기
KR200483846Y1 (ko) 메시망을 구비한 겔상 화장료용 콤팩트 용기
KR101918478B1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JP2019517865A (ja) 混合クッション及び混合メッシュ網を備えたコンパクト容器
US10925374B2 (en) Cosmetic product further having impregnation member with outer surface thereof molten
KR200484157Y1 (ko) 배출판과 메쉬망이 구비된 화장품 용기
KR200477180Y1 (ko) 주름부를 구비한 배출부재가 형성된 화장품용기
KR101703704B1 (ko) 이동배출판과 이중용기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1729071B1 (ko) 화장료 배출펌프가 형성되고 손잡이겸용뚜껑이 구비된 퍼프
KR200480197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918473B1 (ko) 듀얼 캡슐 화장품 용기
KR101896282B1 (ko) 화장도구에 의해 용기뚜껑이 자동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480198Y1 (ko) 배출펌프를 구비한 파운데이션 용기
KR101849549B1 (ko) 다층형 함침부재를 구비한 콤팩트 케이스
KR101703705B1 (ko) 체크밸브를 갖는 이동배출판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