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028U -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Google Patents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01028U KR20160001028U KR2020140006866U KR20140006866U KR20160001028U KR 20160001028 U KR20160001028 U KR 20160001028U KR 2020140006866 U KR2020140006866 U KR 2020140006866U KR 20140006866 U KR20140006866 U KR 20140006866U KR 20160001028 U KR20160001028 U KR 2016000102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fixing bar
- cap
- magazine
- attach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C—SMALLARMS, e.g. PISTOLS, RIFLES; ACCESSORIES THEREFOR
- F41C27/00—Accessories; Details or attach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총기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서치라이트나 레이저조준기 등의 부속물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방아쇠(11)가 구비된 몸체(12)의 후방에 개머리판(13)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 총열(14)이 연결되며, 상기 총열의 하부에는 총열과 평행하게 탄창(15)이 배치된 총기와,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탄창의 끝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5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바는, 내부에 중공부(S)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탄창 끝 부분의 볼트(15')에 체결되는 동시에 스프링(52)이 내입되도록 하는 제1너트나사부(51)가 구비된 것이 특징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총열의 하부에서 총열과 병렬로 설치된 탄창의 끝 부분에 서치라이트나 레이저조준기 등의 부속물을 장착할 수 있는 고정바를 탈착 가능하게 형성한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격(사냥)에 있어서 주요한 점은 탄알이 목표물에 정확하게 날아가도록 하는 것이고, 특히 야간 중에는 목표물을 식별하기 위해 조명수단이 요구되므로, 최근에는 야간 중에 조명을 위한 서치라이트 또는 목표물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이저조준기 등의 부속물을 장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의 절개 단면도로서, 부속물(20)은 조명용 서치라이트 예로 든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총기(10)는 방아쇠(11)가 구비된 몸체(12)의 후방에 개머리판(13)이 연결되고, 몸체(12)의 전방에는 탄알이 발사되는 총열(14)이 연결되며, 총열(14)의 하부에는 총열과 평행하게 탄창(15)이 배치되며, 탄창(15)의 끝 부분에는 손잡이(16) 등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17)가 형성된다.
이러한 총기에 서치라이트 등의 부속물(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총열(14)과 부속물(20)을 동시에 고정할 수 있는 클램프(30) 2개를 서로 맞대어 조임볼트(31)로 고정하였다.
그러나 총열(14)에 클램프(30)를 조여서 고정하면 총열 외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총열을 압박하게 되어 정확한 조준 사격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탄알이 총열을 빠른 속도로 지나가는 동안 마찰열이 발생하고, 이 마찰열 때문에 총열이 자연스럽게 팽창해야 하지만, 클램프(30)가 조여있는 경우에는 팽창을 억제하게 되어 총열(14)이 변형될 우려가 있고, 또한 탄알이 정확하게 발사되는 것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존 총기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서치라이트나 레이저조준기 등의 부속물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아쇠(11)가 구비된 몸체(12)의 후방에 개머리판(13)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 총열(14)이 연결되며, 상기 총열의 하부에는 총열과 평행하게 탄창(15)이 배치된 총기와,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탄창의 끝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고정바는, 내부에 중공부(S)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탄창 끝 부분의 볼트(15')에 체결되는 동시에 스프링(52)이 내입되도록 하는 제1너트나사부(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바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볼트(53)가 체결되도록 하는 제2너트나사부(5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캡볼트가 분리된 제2너트나사부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바(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치라이트나 레이저조준기 등 기타 부속물을 설치할 때 총열에 설치하지 않으므로 총열의 손상이나 변형을 방지함은 물론 정확한 조준과 사격을 가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 탄창의 끝 부분에 형성된 고정구를 대체하여 고정바를 설치하는 구조이므로 총기의 형태나 종류에 관계없이 장착이 가능하고, 또한 총기의 변형이나 개조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총기 본연의 속성을 유지하면서도 부속물을 편리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의 절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B'부 확대 단면도로서, 종래 기술에 관한 도 1 및 도 2의 구성요소와 동일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또한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편의상 탄알이 발사하여 날아가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주로 사냥에 사용되는 총기(10)는 방아쇠(11)가 구비된 몸체(12)의 후방에 개머리판(13)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12)의 전방에 총열(14)이 연결되며, 상기 총열(14)의 하부에는 총열(14)과 평행하게 탄창(15)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 고안은 조명용 서치라이트나 조준용 레이저조준기 등의 부속물(20)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탄창(15)의 끝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5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 상기 고정바(50)는,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내부가 공간이 형성된 중공부(S)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탄창(15) 끝 부분의 볼트(15')에 체결되는 동시에 코일형 스프링(52)이 내입되도록 하는 제1너트나사부(51)가 구비되며, 이에 따라 상기 볼트(15')의 외측에 스프링(52)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1너트나사부(51)가 상기 볼트(15')에 나사 체결되는 구조를 통해 착탈 가능하다.
상기 고정바(50)의 길이방향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볼트(53)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해 내주면에 제2너트나사부(54)가 더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캡볼트(53)가 상기 제2너트나사부(54)에 나사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하다.
상기 부속물(20)이 예시한 것과 같이 서치라이트인 경우 전방에 조명부(21)가 구비되고 후방에는 배터리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캡(22)이 형성되며, 상기 캡(22)의 후단에는 부속물의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치(23)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부속물(20)이 레이저조준기인 경우 전방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조사부가 형성될 것이다.
이와 같은 부속물(20)은 클램프(30)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바(50)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총열(14)에 부속물(20)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 동시에 총기(10)의 구조 변형이나 변경 없이 부속물(2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상기 부속물(20)의 후방에 형성된 캡(22)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스위치(23)가 캡(22)에 부착된 경우 목표물을 정조준 한 상태에서 스위치(23)를 제어하면 조준이 흐트러질 수 있다.
따라서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캡(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와이어(25)의 일측 단이 연결된 연결캡(24)이 캡(22)을 대체하여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25)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부속물(20)을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26)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하면 스위치(26)가 임의 위치에 놓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 또는 양면테이프 등을 통해 상기 스위치(26)를 손잡이(16)에 부착하면 목표물을 정조준 한 상태에서도 부속물(20) 제어가 용이하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고정바(50)의 단부에 연장바(55)가 탈부착 가능하게 된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바(55)는 부속물(20)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진 원통형 바 형태로 되고, 상기 고정바(50)에서 캡볼트(53)(도 4 참조)가 분리된 상태에서 제2너트나사부(54)를 통해 중공부(S)로 내입되는 형태로 하여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때 고정핀(부호 미표시) 등으로 연장바(55)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클램프(30)를 통해 상기 부속물(20)을 상기 연장바(55)에 고정할 수 있으며, 나비너트(32) 등을 이용하여 클램프(30)를 조이거나 푸는 방식을 통해 부속물(20)을 연장바(55)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총기
11: 방아쇠
12: 몸체 13: 개머리판
14: 총열 15: 탄창
20: 부속물 21: 조명부
23, 26: 스위치
30: 클램프 31: 조임나사
50: 고정바 51: 제1너트나사부
52: 스프링 53: 캡볼트
54: 제2너트나사부 55: 연장바
12: 몸체 13: 개머리판
14: 총열 15: 탄창
20: 부속물 21: 조명부
23, 26: 스위치
30: 클램프 31: 조임나사
50: 고정바 51: 제1너트나사부
52: 스프링 53: 캡볼트
54: 제2너트나사부 55: 연장바
Claims (6)
- 방아쇠(11)가 구비된 몸체(12)의 후방에 개머리판(13)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전방에 총열(14)이 연결되며, 상기 총열의 하부에는 총열과 평행하게 탄창(15)이 배치된 총기와,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며 상기 탄창의 끝 부분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고정바(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내부에 중공부(S)가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상기 탄창 끝 부분의 볼트(15')에 체결되는 동시에 스프링(52)이 내입되도록 하는 제1너트나사부(51)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타측 단부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캡볼트(53)가 체결되도록 하는 제2너트나사부(54)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제 3항에 있어서,
부속물을 고정하기 위해 일정 길이를 가지고 상기 캡볼트가 분리된 제2너트나사부를 통해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장바(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물의 후방에는 부속물 제어용 스위치(23)가 구비된 캡(22)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캡(22)이 분리된 상태에서 와이어(25)의 일측 단이 연결된 연결캡(24)이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부속물을 제어용 스위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66U KR20160001028U (ko) | 2014-09-22 | 2014-09-22 |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6866U KR20160001028U (ko) | 2014-09-22 | 2014-09-22 |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1028U true KR20160001028U (ko) | 2016-03-30 |
Family
ID=5564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6866U KR20160001028U (ko) | 2014-09-22 | 2014-09-22 |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00102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398U (ko) * | 2020-12-08 | 2022-06-15 | 김무중 |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
-
2014
- 2014-09-22 KR KR2020140006866U patent/KR20160001028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01398U (ko) * | 2020-12-08 | 2022-06-15 | 김무중 | 총열에 자착되는 광 조사장비를 구비한 엽총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488446B2 (en) | Multiple accessory gun mount | |
US20200109916A1 (en) | Rail mountable gun light with aiming light and rotationally keyed mount assembly | |
US9127906B2 (en) | Accessory mounting hand guard for firearm | |
US9441915B2 (en) | Modular scope mount assembly | |
US8584392B1 (en) | Weapon mounted light | |
US9062931B2 (en) | Iron sight centered windage wheel | |
US10337832B1 (en) | Illumination system for weapon optics | |
US20200300572A1 (en) | Firearm with removable barrel | |
PT1924815E (pt) | Bloco de cilindro de gases e arma portátil | |
US20170307327A1 (en) | Thumb Rest | |
US9696118B2 (en) | Rear sight block for AK-type rifles | |
US20100277896A1 (en) | Magazine tube lighting system | |
US10914552B2 (en) | Flashlight mount for a firearm | |
US9316464B2 (en) | Firearm lead sight | |
US9863741B2 (en) | Accessory for installing, positioning and attaching a telescopic sight or any other aiming accessory on a sporting gun or firearm | |
KR20160001028U (ko) | 총기의 부속물 장착 구조 | |
RU2010135805A (ru) |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удержания снаряда в стволе орудия, и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 |
US6568119B2 (en) | Interchangeable shotgun sight | |
WO2018152913A1 (zh) | 射击装置及其激光瞄准器 | |
US20200158469A1 (en) | Adjustable Rotating Stock Butt and Sighting Device | |
RU212983U1 (ru) | Кронштейн для крепл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на гранатомет ГМ94 | |
CN221593655U (zh) | 车载机枪快速校靶器 | |
US20120218741A1 (en) | Forward mounted rail and associated lighting device | |
US11536536B1 (en) | Tri sight system | |
US9746285B2 (en) | Protective scope cover desig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