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72A -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72A
KR20160000672A KR1020140078102A KR20140078102A KR20160000672A KR 20160000672 A KR20160000672 A KR 20160000672A KR 1020140078102 A KR1020140078102 A KR 1020140078102A KR 20140078102 A KR20140078102 A KR 20140078102A KR 20160000672 A KR20160000672 A KR 20160000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ll image
mark
image
shooting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호
이은규
Original Assignee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네오정보시스템 filed Critical (주)네오정보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78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672A/ko
Publication of KR2016000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02Photo-electric hit-detect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Abstract

본 발명은 사격할 때 사용하는 표적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에 나타난 탄착(총알 구멍)에 따라 자동적으로 채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로서, 표적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탄착이 위치하는 부분에 마크를 생성하도록 하고 마크의 위치에 따라 개별수치를 부여한 후 개별수치를 합산한 점수를 이미지와 함께 자동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때, 표적지의 이미지 촬영시 사격자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자(예: QR코드)을 촬영하여 획득한 해당 식별정보(예: 이름, 소속, 계급, 표적지번호)를 화면에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격자의 해당 표적지의 점수화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사격장에서 표적지의 인적사항 기재나 점수화 작업으로 시간이 지연되던 기존의 단점을 극복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gunshot image based method of shooting auto scoring,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the same}
본 발명은 사격할 때 사용하는 표적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에 나타난 탄착(총알 구멍)에 따라 자동적으로 채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표적지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탄착이 위치하는 부분에 마크를 생성하도록 하고 마크의 위치에 따라 개별수치를 부여한 후 개별수치를 합산한 점수를 이미지와 함께 자동적으로 화면에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때, 표적지의 이미지 촬영시 사격자의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식별자(예: QR코드)을 촬영하여 획득한 해당 식별정보(예: 이름, 소속, 계급, 표적지번호)를 화면에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종래기술에서 사격 연습장은 일반적으로 사격자가 위치하는 사로와, 이 사로에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세워진 과녁과, 이 과녁에 부착하는 개인별 표적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적지는 사격자가 개별적으로 자기의 식별정보를 기입하여 과녁에 붙이고 사로에서 과녁의 표적지를 향해 사격을 한 후 다시 과녁으로부터 떼어 제출한다.
그리고, 사격 연습장은 사격자가 제출한 표적지를 수거한 후에 개별 표적지에 나타난 탄착(총알 구멍) 위치와 해당 탄착 개수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여 점수를 매긴다.
육안으로 탄착을 확인하여 점수를 매기는 것이 정확한 면도 있지만 많은 사격자의 식별정보와 해당 표적지를 일일이 확인하여 수작업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사격 결과를 채점하는 것에 대해서는 제 3 자의 신뢰도가 비교적 낮다는 문제점도 존재하는 것이 사실이다.
1. 과녁의 채점 확인장치(특허출원 10-2006-0113402호)
2.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특허출원 10-2009-011268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격으로 표적지에 형성된 탄착에 따라 자동으로 채점이 이루어져 점수화할 수 있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은 (a)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라인이 형성된 표적지에 대해 사격이 종료된 후 표적지를 촬영하여 스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스틸이미지에서 총알이 관통한 탄착을 식별하는 단계; (c) 탄착이 위치하는 스틸이미지에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d) 스틸이미지 상에서 마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e) 감지한 마크에 대해 영역에 따라 구별하여 개별수치를 부여하는 단계; (f) 개별수치를 합산한 점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단계 (c)와 단계 (d) 사이에, (c-1)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마크에 대한 추가 표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2) 스틸이미지 상에 추가 표시 이벤트에 대응하는 마크를 추가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c-3)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마크에 대한 수정 표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4) 스틸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정 표시 이벤트에 대응하는 마크를 스틸이미지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c-5)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마크에 대한 삭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6) 스틸이미지 상으로부터 삭제 이벤트에 대응하는 마크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계 (a) 이전에, (a-1) 사격자의 소속, 계급, 성명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a-2) 저장한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식별자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계 (a)에서 표적지로부터 스틸이미지를 획득할 때 스틸이미지 상에 식별자의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추가 표시 이벤트, 수정 표시 이벤트, 삭제 이벤트에 대해 로그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얻을 수 있다.
(1) 사격자의 해당 표적지의 점수화 작업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2) 사격장에서 표적지의 인적사항 기재나 점수화 작업으로 시간이 지연되던 기존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3) 사격자가 사격장에서 표적지에 직접 인적사항을 기재하는 기존 방식에서 발생하는 오기재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4) 표적지의 실제 스틸이미지, 마크, 식별정보를 하나의 화면에 자동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는 전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활성화된 상태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는 전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활성화된 상태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기 위해 관리 서버(100), 로컬 PC(200), 프린터(300), 거치대(400)가 구비될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경찰청 또는 군(軍) 관련 관청의 내부망 서버일 수 있다. 관리 서버(100)는 미리 사격대상자 자료(예: 사진, 지문, 성별, 이름, 계급, 소속, 표적지번호)를 수신하여 사격대상자의 식별정보로서 DB에 저장한다. 이렇게 저장된 관리 서버(100)의 식별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각 사격연습장에 구비된 로컬 PC(200)에서 접속하여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
로컬 PC(200)는 개별 사격연습장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관리 서버(100)에 사용자 권한으로 로그인해서 관리 서버(100)와 인터넷망을 통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PC(200)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관리 서버(100)의 DB에 저장된 정보를 조회할 수 있으며 정보를 업로드/다운로드 할 수 있다.
로컬 PC(200)에 의한 관리 서버(100)의 조회 예로는 사격 대상자 조회, 사격 미실시자 조회, 사격 대기자 조회, 사격 완료자 조회, 개별/일별/월별 조회, 식별자 발급 현황, 사용자 로그인 기록이 있다.
로컬 PC(200)의 전용 프로그램의 활성화로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이 완료되면 자동적으로 관리 서버(100)의 DB에 저장되고 이렇게 저장된 정보는 로컬 PC(200)의 화면에도 표시되어 조회가 가능하다.
한편, 로컬 PC(200)는 관리 서버(100)와는 별도로 자체의 DB에 미리 사격대상자 자료(예: 사진, 지문, 성별, 이름, 계급, 소속, 표적지번호)를 사격대상자의 식별정보로서 저장하고 로컬 PC(200)의 DB 자체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렇게 저장한 식별정보는 인터넷망을 통해 관리 서버(100)의 DB에 업로드 할 수 있다.
프린터(300)는 로컬 PC(200)와 연동하여 동작하며 로컬 PC(200)가 미리 저장한 사격 대상자의 식별정보를 자체 DB로부터 획득하여 출력을 요청하면 코드가 형성된 식별자(예: QR코드;20)로 출력한다. 프린터(300)는 표적지를 출력할 수도 있지만 표적지는 별도로 준비할 수도 있다.
거치대(400)는 표적지(10)가 펴진 상태로 안착되도록 상면이 밋밋하게 구성되며, 카메라(500)가 거치대(400)에 안착된 표적지(10)를 촬영하는 중에 주위 빛에 의한 간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거치대(400)에는 별도의 발광기(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500)는 스틸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사격자의 사격이 완료된 후 해당 식별자(예: QR코드;20)가 부착된 표적지(10)를 촬영한다. 이때, 해당 식별자(20)가 부착된 표적지(10)를 거치대(400)에 올려놓으면 카메라(500)가 식별자(20)와 표적지(10)를 한꺼번에 촬영하여 스틸이미지를 획득한다.
이렇게 촬영한 스틸이미지를 분석하여 식별자(20)의 식별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식별정보를 해당 스틸이미지와 함께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는 전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활성화된 상태의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로컬 PC(200)의 화면에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으며, 활성화 상태의 화면에는 사격자의 식별정보(예: 이름, 계급, 소속, 표적지번호)와 스틸이미지, 마크(M)를 자동 생성하여 표시한다.
여기서, 전용 프로그램은 로컬 PC(200) 화면에 표시된 스틸이미지 상의 표적지에 구획된 복수의 라인(L)에 대해서 기준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그리고 마크(M)에 대해서도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즉, 전용 프로그램에 의해 라인(L)에 의한 기준 위치좌표와 마크(M)의 위치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을 기초로 마크(M)가 라인(L)을 기준으로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 판단하여 해당 마크(M)에 대한 개별수치의 값이 정해진다.
한편, 스틸이미지 상의 표적지에 구획된 복수의 라인(L)을 기준으로 구획된 복수의 영역에 대해 차등적으로 개별수치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이후 마크(M)가 해당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미리 설정된 값을 개별수치로 부여한다.
즉, 탄착에 대응하는 마크(M)가 정중앙의 영역에 생성되면 개별수치는 "10"이고,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라인(L)에 의해 정중앙 영역과 바로 인접하는 영역에 마크(M)가 생성되면 개별수치는 "9"가 되도록 미리 각각의 라인(L)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별로 개별수치를 미리 설정한다. 정중앙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으로 갈수록 각 라인(L)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은 "10", "9", "8", "7", "0"과 같이 개별수치를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용 프로그램에 마련된 메뉴 중에서 사용자 조작으로 "저장"을 선택하여 현재 상태를 저장할 수 있으며, 메뉴 중에서 "채점버튼"을 클릭하면 현재 스틸이미지에 표시된 각 마크(M)의 개별수치를 합산한 점수를 로컬 PC(200)의 DB에 저장한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으로 메뉴 중에서 "추가"를 클릭하면 마크(M)의 추가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어서 마크(M)를 추가할 위치에 대응하는 스틸이미지에 커서를 클릭하면 해당 위치에 마크(M)를 생성하여 화면에 표시하고 동시에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실제로 표적지에 탄착이 무리를 이루는 탄착군이 형성되면 스틸이미지에서 탄착의 정확한 개수가 인식되지 않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의 조작으로 위와 같이 마크(M)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전용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수정"을 클릭하면 마크(M)에 대한 수정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여 해당 마크(M)를 점선으로 활성화시킨다. 이때 마크(M)에 커서를 겹쳐 목적하는 위치로 드래그하면 해당 마크(M)를 드래그한 위치로 이동시켜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마크(M)가 이동한 상태의 위치좌표를 새로이 생성한다.
이처럼, 추가적으로 생성한 마크(M)의 위치좌표에 대해서도 각 라인(L)에 의해 생성된 기준 위치좌표와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마크(M)의 표적지 위치를 감지하며, 이렇게 감지한 마크(M)에 대해서 라인(L)에 의해 구획된 영역별로 미리 설정된 개별수치를 새로이 부여한다.
실제 표적지의 탄착이 라인(L)의 경계선상에 위치하는 경우 마크(M)는 해당 라인(L)의 내측 영역 또는 외측 영역에 생성될 수 있는데, 이렇게 불특정하게 생성되는 마크(M)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위와 같이 마크(M)를 이동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프로그램의 메뉴 중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삭제"를 클릭하면 마크(M)에 대한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여 미리 생성된 해당 마크(M)를 스틸이미지 상에서 삭제하고 삭제된 상태를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삭제된 마크(M)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도 삭제한다. 그에 따라 삭제한 마크(M)에 대해서는 이미 부여되었던 개별수치를 삭제하고 삭제된 개별수치를 제외한 나머지 개별수치를 합산하여 사격자의 점수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을 구현하는 전용 프로그램이 화면에 활성화된 상태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체의 하반신에 대응하는 형상의 표적지에 대해서도 복수의 라인(L)을 기준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110 : 사격장에 배치된 로컬 PC(200)의 DB에 미리 개별 사격자의 이름, 계급, 소속에 대한 인적사항을 사격자의 식별정보로 하여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로컬 PC(200)에 전용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로컬 PC(200)의 화면에 전용 프로그램 창을 활성화한다.
이어서, 로컬 PC(200)는 전용 프로그램 창의 메뉴를 통해 로컬 PC(200)의 DB를 조회하여 현재 사격장에서 연습할 사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한 후 식별자(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식별자(20)의 출력은 표적지(10)를 출력하는 경우 표적지(10)의 일면에 인쇄되는 패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련번호가 정해진 표적지(10)와 사격자를 식별하는 식별자(20)를 따로 출력하여 표적지(20)의 일면에 식별자(20)를 붙일 수도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출력한 식별자(20)와 표적지(10)를 사격 전에 사격장의 과녁에 붙여 놓는다.
한편, 개별 사격자의 이름, 계급, 소속에 대한 인적사항을 사격자의 식별정보로 하여 관리 서버(100)의 DB에 저장한 후 로컬 PC(200)가 관리 서버(100)에 접속하여 현재 사격장에서 연습할 사격자의 식별정보를 획득한 후 식별자(20)로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관리 서버(100)는 경찰청 또는 군(軍) 관련 관청의 내부망 서버일 수 있다.
S120 : 이어서, 표적지(10)에 대해 사격이 이루어진 후 과녁으로부터 표적지(10)를 떼어 거치대(400)에 올려놓으면 카메라(500)는 표적지(10)와 식별자(20)를 한꺼번에 촬영하여 정지화면인 스틸이미지를 획득한다.
로컬 PC(200)는 획득한 스틸이미지 중 식별자(20)를 분석한 후 해당 식별자(20)에 대응하는 식별정보(예: 이름, 계급, 소속, 표적지번호)를 로컬 PC(200)의 DB로부터 획득하여 스틸이미지와 함께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그리고,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한 스틸이미지와 식별정보를 로컬 PC(200)의 DB에 저장한다.
한편, 스틸이미지 상의 표적지에 복수의 라인(L)을 기준으로 구획된 복수의 영역에 대해 차등적으로 개별수치를 미리 설정해 둔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탄착에 대응하는 마크(M)가 정중앙의 영역에 생성되면 개별수치는 "10"이고,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라인(L)에 의해 정중앙 영역과 바로 인접하는 영역에 마크(M)가 생성되면 개별수치는 "9"가 되도록 미리 각각의 라인(L)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별로 개별수치를 설정한다. 정중앙 영역으로부터 멀어지는 영역으로 갈수록 각 라인(L)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은 "10", "9", "8", "7", "0"과 같이 개별수치를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스틸이미지 상에서 감지되는 라인(L)은 기준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틸이미지 상에서 감지되는 탄착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마크(M)에 대해서도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즉, 라인(L)에 의한 기준 위치좌표와 마크(M)의 위치좌표에 대한 상대적인 좌표값으로 마크(M)가 어느 영역에 속해 있는지 판단하여 해당 마크(M)에 대한 개별수치의 값을 정한다.
S130 : 이어서 획득한 스틸이미지 상에서 각 라인(L)의 위치와 각 탄착의 위치를 검색한다. 검색된 각 라인(L)에 대해서는 기준 위치좌표를 생성하고, 검색된 탄착의 위치에 대응하는 스틸이미지에는 마크(M)를 생성하여 표시하며 동시에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S140, S150 : 스틸이미지 상에 생성된 마크(M)에 대응하는 위치좌표와 라인(L)에 대응하는 기준 위치좌표를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마크(M)의 표적지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한 마크(M)에 대해서는 라인(L)에 의해 구획된 영역별로 구별하여 개별수치를 부여한다.
스틸이미지 상에는 복수의 마크(M)가 생성될 수 있으며 각 마크(M)에 의해 부여된 개별수치를 합산하여 사격자의 점수로 로컬 PC(200)의 DB에 저장한다. 그리고, 스틸이미지, 마크(M), 점수, 식별정보를 한꺼번에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한다.
S160 : 한편, 전용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마크(M)의 추가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면 해당하는 위치에 마크(M)를 추가적으로 생성하여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이렇게 추가적으로 생성한 마크(M)의 위치좌표에 대해서도 각 라인(L)에 의해 생성된 기준 위치좌표와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마크(M)의 표적지 위치를 감지한다. 이어서, 단계 S140으로 돌아가 감지한 마크(M)에 대해서는 라인(L)에 의해 구획된 영역별로 미리 설정된 개별수치를 부여한다.
S170 : 다른 한편, 전용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마크(M)에 대한 수정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면 미리 생성된 해당 마크(M)를 스틸이미지 상에서 목적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마크(M)가 이동한 상태의 위치좌표를 생성한다. 이렇게 추가적으로 생성한 마크(M)의 위치좌표에 대해서도 각 라인(L)에 의해 생성된 기준 위치좌표와 상대적으로 비교해서 마크(M)의 표적지 위치를 감지한다. 이어서, 단계 S140으로 돌아가 감지한 마크(M)에 대해서는 라인(L)에 의해 구획된 영역별로 미리 설정된 개별수치를 부여한다.
S180 : 또한, 전용 프로그램의 메뉴에서 사용자의 조작으로 마크(M)에 대한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면 미리 생성된 해당 마크(M)를 스틸이미지 상에서 삭제하고 삭제된 상태를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하며 동시에 삭제된 마크(M)에 대응하는 위치좌표도 삭제한다. 이어서, 단계 S140으로 돌아가 삭제한 마크(M)에 대해서는 이미 부여되었던 개별수치를 삭제하고 단계 S150에서 삭제된 개별수치를 제외한 나머지 개별수치를 합산하여 사격자의 점수로 로컬 PC(200)의 DB에 저장한다.
S190 : 한편, 추가 표시 이벤트, 수정 표시 이벤트, 삭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른 로그 데이터를 저장 관리한다. 즉, 사용자의 조작으로 변경한 사항에 대해서는 로그 데이터(예: 날짜, 시간, 조작자, 조작내용, 조작횟수)를 남겨 자동채점의 공정성을 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컬 PC(200)의 화면에 표시되고 저장한 스틸이미지, 마크(M), 점수, 식별정보의 데이터는 관리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관리 서버(100)에서도 각 사격장에 배치된 로컬 PC(200)의 DB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으며, 각 로컬 PC(200)에서도 사용자 권한으로 관리 서버(100)에 로그인하여 개별 사격자의 정보를 조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웨이브(예: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된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10 : 표적지
20 : 식별자
100 : 관리 서버
200 : 로컬 PC
300 : 프린터
400 : 거치대
500 : 카메라
M : 마크
L : 라인

Claims (7)

  1. (a) 복수의 영역을 구획하는 복수의 라인이 형성된 표적지에 대해 사격이 종료된 후 상기 표적지를 촬영하여 스틸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b) 상기 스틸이미지에서 총알이 관통한 탄착을 식별하는 단계;
    (c) 상기 탄착이 위치하는 상기 스틸이미지에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d) 상기 스틸이미지 상에서 상기 마크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e) 상기 마크 위치에 대해 상기 영역에 따라 구별하여 개별수치를 부여하는 단계;
    (f) 상기 개별수치를 합산한 점수를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c-1) 상기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마크에 대한 추가 표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2) 상기 스틸이미지 상에 상기 추가 표시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를 추가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c-3) 상기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마크에 대한 수정 표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4) 상기 스틸이미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수정 표시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를 상기 스틸이미지 상의 다른 위치로 이동하여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와 상기 단계 (d) 사이에,
    (c-5) 상기 스틸이미지가 표시된 화면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른 상기 마크에 대한 삭제 이벤트를 식별하는 단계;
    (c-6) 상기 스틸이미지 상으로부터 상기 삭제 이벤트에 대응하는 상기 마크를 삭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전에,
    (a-1) 사격자의 소속, 계급, 성명을 포함하는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a-2) 상기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식별자로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계 (a)에서 상기 표적지로부터 상기 스틸이미지를 획득할 때 상기 스틸이미지 상에 상기 식별자의 이미지도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가 표시 이벤트, 상기 수정 표시 이벤트, 상기 삭제 이벤트에 대해 로그 데이터를 관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7. 컴퓨터에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40078102A 2014-06-25 2014-06-25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201600006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102A KR20160000672A (ko) 2014-06-25 2014-06-25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102A KR20160000672A (ko) 2014-06-25 2014-06-25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72A true KR20160000672A (ko) 2016-01-05

Family

ID=55164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102A KR20160000672A (ko) 2014-06-25 2014-06-25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6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8627A (zh) * 2018-03-22 2018-08-28 军鹏特种装备股份公司 通用型多功能射击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3402A (ko) 2005-04-27 2006-11-02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부엌쓰레기 함유수의 감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수중분해식 부엌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112689A (ko) 1996-09-30 2009-10-28 실버 스프링 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사용불능 검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2689A (ko) 1996-09-30 2009-10-28 실버 스프링 네트웍스, 인코포레이티드 유틸리티 네트워크의 사용불능 검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113402A (ko) 2005-04-27 2006-11-02 신메이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부엌쓰레기 함유수의 감용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수중분해식 부엌쓰레기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8627A (zh) * 2018-03-22 2018-08-28 军鹏特种装备股份公司 通用型多功能射击显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9286B2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nically displaying one shot at a time from multiple target shots using one physical target
US8605189B2 (en) Product identification using mobile device
CN107438841A (zh) 用于定位区域描述文件的敏感隐私查询
US9235870B2 (en) System and method for documenting evidence
CN107909668B (zh) 一种签到方法及终端设备
JP669215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17526032A5 (ko)
CN105338479A (zh) 基于场所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WO2017107376A1 (zh) 一种拍摄对象的信息的推送方法及装置
JP67120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6199662A1 (ja)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CN105704383A (zh) 趣味图像拍摄方法
CN105530607A (zh) 用户推荐方法、装置和系统
JP2018049623A (ja) 空間オブジェクト検索並べ替え方法及びクラウドシステム
US982444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N111097171A (zh) 虚拟标记的处理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CN111833234B (zh) 图像显示方法、图像处理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189960A (zh) 信息获取方法、信息获取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6097882A (zh) 带有干扰层的组合标识、及其生成方法与生成系统
CN106713700A (zh) 图像处理方法、装置和终端
KR20160000672A (ko) 탄착 이미지 기반의 사격 자동 채점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14707182A (zh) 一种在线文档批注权限管控方法及装置
JP4782610B2 (ja) 衛星画像処理システム
US10786743B2 (en) Mobile game experience
JP6340124B1 (ja) 写真作製システム、販売システム、写真作製装置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