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617U -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617U
KR20160000617U KR2020140006064U KR20140006064U KR20160000617U KR 20160000617 U KR20160000617 U KR 20160000617U KR 2020140006064 U KR2020140006064 U KR 2020140006064U KR 20140006064 U KR20140006064 U KR 20140006064U KR 20160000617 U KR20160000617 U KR 201600006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runk
state
uni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0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467Y1 (ko
Inventor
이영숙
Original Assignee
이영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숙 filed Critical 이영숙
Priority to KR20201400060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467Y1/ko
Publication of KR20160000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6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4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4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36Luggage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1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cameras with adjustable captur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개시한다. 즉,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킴으로써 트렁크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리 주차 전/후의 트렁크 상황을 확인하여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of trunk inner part monitoring camera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트렁크는 각종 장비, 물품 등이 보관되는 장소이다.
이러한 트렁크는 해당 트렁크 내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부재로 인해, 해당 차량을 대리 주차(또는 발렛 파킹) 맡긴 후, 해당 차량을 다시 인도받아서 주행하고자 할 때, 해당 트렁크 내부에 보관 중인 물품의 손상 여부, 도난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해당 트렁크를 직접 열어보고 확인해야함에 따른 불편함과 대리 주차 요원과의 신뢰성 문제 등이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16612호 [명칭: 자동차 후방감시카메라 제어 시스템]
본 고안의 목적은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키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은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화물 또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트렁크; 상기 트렁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는 조명부; 상기 트렁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조명부를 통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트렁크 내부의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에 미리 구비된 버튼 또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온에 따른 상기 시동 온 상태 직전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따른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직전의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닫힘에 따른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직전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의 도어 닫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및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기 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일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조명부는, 제 1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후방 지역을 비출 수 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카메라부는, 제 2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후방 지역을 촬영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킴으로써, 트렁크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리 주차 전/후의 트렁크 상황을 확인하여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도이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고안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고안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고안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고안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을 나타낸 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은 차량의 트렁크(100), 저장부(200), 제어부(300), 조명부(400), 카메라부(500) 및 표시부(6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의 구성 요소 모두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며,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서도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이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차량의 트렁크(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차량(20)의 후면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크렁크(100)는 차량(20)에 구비된 트렁크 도어(30)를 통해 개폐된다.
또한, 상기 트렁크(100)는 해당 트렁크(100)의 내부에 수납 공간부(110)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트렁크(100)는 상기 수납 공간부(100) 내에 화물 또는 물품을 적재하거나, 차량의 고장시 응급처리를 위해 사용되는 공구 및 각종 레저 용품 등을 수납한다.
상기 저장부(200)는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저장부(20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500)로부터 촬영되는 영상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의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500)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 정보를 상기 표시부(500)를 통해 표시(또는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차량(20)의 시동이 온(on)되는 경우, 상기 차량(20)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차량(20)의 도어(예를 들어 운전석의 도어, 보조석의 도어, 후방 좌석의 도어 등 포함)가 오픈(또는 개방/열림)되는 경우, 상기 차량(20)의 도어가 오프(또는 폐쇄/닫힘)되는 경우, 상기 차량(20) 내(또는 상기 차량(20)의 운전석, 보조석, 후방 좌석 등 포함)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량(20) 내에 미리 구비된(또는 미리 설정된) 버튼(또는 메뉴)이 선택(또는 클릭)되는 경우, 상기 차량(20)의 시동 온에 따라 상기 시동 온 상태 직전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또는 상기 시동 온 상태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예를 들어 10분전, 30분전, 1시간전 등 포함)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시동 온 상태 직전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20)의 시동 오프에 따라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직전의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또는 상기 시동 오프 상태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직전의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20)의 도어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직전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20)의 도어 닫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직전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20)의 도어 닫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2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기 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2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을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차량(2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기 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20)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등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10)은 상기 차량(20)의 시동 온/오프 여부, 상기 차량(20)에 포함된 도어의 개폐 여부, 상기 차량(20)에 탑승 여부 등을 감지(또는 측정)하기 위한 센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감지된 감지 정보를 상기 제어부(300)에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감지 정보는 상기 차량(20)의 시동 온/오프 여부 정보, 상기 차량(20)의 도어 개폐 여부 정보, 상기 차량(20)에 탑승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카메라부(500)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부(500)가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촬영하거나, 상기 트렁크(100) 외부(또는 상기 차량(20)의 후면 방향)를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비추도록 상기 조명부(4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20)의 후진 기어 제어 시, 상기 카메라부(500)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차량(20)의 후면 방향(또는 후방 지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후방 지역 감시의 경우,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차량(20) 주변의 광원 및 광도에 따라 상기 조명부(400)의 방향을 제어하여 상기 조명부(400)를 동작(또는 온/오프 제어)시킬 수도 있다.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트렁크(1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비춘다.
또한,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명부(400)는 제 1 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회전(예를 들어 360도 방향으로 상/하/좌/우/대각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조명부(4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비추거나 또는, 상기 트렁크(100) 외부(또는 상기 차량(20)의 후방)를 비춘다.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트렁크(100)의 일측(또는 일면)에 형성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며,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촬영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500)는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미도시)와 상기 카메라의 앞단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렌즈(예를 들어 오목 렌즈, 볼록 렌즈 등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줌인, 줌아웃 기능 등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부(500)는 제 2 회전축(미도시)을 기준으로 회전(예를 들어 360도 방향으로 상/하/좌/우/대각선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 카메라부(5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100) 내부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트렁크(100) 외부(또는 상기 차량(20)의 후방)를 촬영한다.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저장부(200)에 저장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메뉴 화면 등과 같은 다양한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600)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다양한 텍스트 또는 이미지 데이터(각종 정보 데이터 포함)와 아이콘, 리스트 메뉴, 콤보 박스 등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뉴 화면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600)는 터치 스크린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60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600)는 상기 제어부(3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500)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또는 상기 트렁크 내부의 영상, 상기 트렁크 외부/상기 차량(20) 외부의 영상 등 포함)을 표시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켜, 트렁크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리 주차 전/후의 트렁크 상황을 확인하여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된 내용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미리 설정된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 시동 온/오프 전/후의 트렁크 내부 사진이 다른 경우 등과 같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조명부를 구동시키고 트렁크 내부에 배치된 카메라를 동작시킴으로써 트렁크 내부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대리 주차 전/후의 트렁크 상황을 확인하여 도난 방지 및 도난 여부를 확인하는 것으로, 차량 분야, 감시 분야, 도난 방지 분야 등에서 광범위하게 이용될 수 있다.
10: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100: 트렁크 200: 저장부
300: 제어부 400: 조명부
500: 카메라부 600: 표시부
110: 수납 공간부 20: 차량
30: 트렁크 도어

Claims (4)

  1. 차량의 일측에 형성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화물 또는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 트렁크;
    상기 트렁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는 조명부;
    상기 트렁크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미리 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상기 조명부를 통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도록 제어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를 통해 촬영되는 상기 트렁크 내부의 실시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이벤트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온(on)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픈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가 오프되는 경우,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차량 내에 미리 구비된 버튼 또는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온에 따른 상기 시동 온 상태 직전의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의 시동 오프에 따른 상기 시동 오프 상태 직전의 시동 온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시동 오프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상기 차량의 도어 닫힘에 따른 상기 도어의 닫힘 상태 직전의 도어 열림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의 도어 닫힘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및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기 전보다 미리 설정된 시각 전에 촬영된 영상과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가 탑승하는 상태에서 촬영된 영상이 서로 다른 경우 중 어느 하나의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제 1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비추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후방 지역을 비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는,
    제 2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트렁크 내부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차량의 후방 지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KR2020140006064U 2014-08-13 2014-08-13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KR2004794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64U KR200479467Y1 (ko) 2014-08-13 2014-08-13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064U KR200479467Y1 (ko) 2014-08-13 2014-08-13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617U true KR20160000617U (ko) 2016-02-23
KR200479467Y1 KR200479467Y1 (ko) 2016-03-22

Family

ID=55446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064U KR200479467Y1 (ko) 2014-08-13 2014-08-13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46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27A (ko) * 2016-08-11 2018-02-22 (주)아리온테크놀로지 Plc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무선송수신시스템
CN111775837A (zh) * 2019-04-05 2020-10-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状态管理装置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18927A (ko) * 2016-08-11 2018-02-22 (주)아리온테크놀로지 Plc를 이용한 화물차량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무선송수신시스템
CN111775837A (zh) * 2019-04-05 2020-10-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车辆状态管理装置及方法
US10953798B2 (en) 2019-04-05 2021-03-23 Hyundai Motor Company Vehicle status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467Y1 (ko)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534284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a tapa del maletero de un vehículo y vehículo correspondiente
US20130002870A1 (en) Method for the Output of Information
US201703182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side and rear monitoring camera system
US8412413B1 (en) Vehicle windshield display with obstruction detection
US8830317B2 (en) Position dependent rear facing camera for pickup truck lift gates
CN111002946B (zh) 一种车辆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9641523A (zh) 用于控制机动车的显示装置的方法以及具有显示装置的机动车
US10137857B1 (en) Vehicle unlock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11926267B2 (en) Camera arrangement,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ith instructions for controlling an assistance system
EP3487173B1 (en) Image generation device, image generation system, image generation method and program
JP2016136199A (ja) 表示装置
US11535242B2 (en) Method for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present on a motor vehicle, control device, and motor vehicle
JP2009078597A (ja) 後方確認システム
US20190329718A1 (en) Electron mirror apparatus
JP2018047833A (ja) 車両周辺撮影表示装置及び車両周辺撮影表示プログラム
CN110001511A (zh) 透过材料的照明
KR200479467Y1 (ko) 차량 트렁크 내부 감시 카메라 제어 시스템
CN110088422B (zh) 车库门控制系统和方法
CN106328098B (zh) 用于驱控车辆的显示装置的方法
WO2018154857A1 (ja) 車両用表示制御装置、車両用表示制御システム、車両用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69861A5 (ko)
US20190137760A1 (en) Display device
US9554079B2 (en) Vehicle-mounted electronic device
JP2005273470A (ja) 車両点検システム
JP2017039333A (ja) 車両用防犯システム、車両用防犯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