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501A -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501A
KR20160000501A KR1020140077184A KR20140077184A KR20160000501A KR 20160000501 A KR20160000501 A KR 20160000501A KR 1020140077184 A KR1020140077184 A KR 1020140077184A KR 20140077184 A KR20140077184 A KR 20140077184A KR 20160000501 A KR20160000501 A KR 201600005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greenhouse
crusher
wat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복
장정문
최수영
한성종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501A/ko
Publication of KR20160000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501A/ko

Links

Images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이 개시된다.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은 일 단부가 녹조 현상이 발생된 담수 수면 하부에 위치된 녹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냉동 처리하여 얼음 덩어리를 생성하는 냉동기; 상기 냉동기에서 생성된 얼음 덩어리를 미리 지정된 임계크기 이하를 가지는 얼음 조각들로 분쇄하는 분쇄기; 및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얼음 조각들을 상기 담수의 상공으로 분사하는 분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Ship having water-bloom removal function}
본 발명은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생활하수, 축산폐수나 공장폐수에 의한 오염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완만하거나 정체된 호소(湖沼)나 하천의 하류에 녹색이나 남색을 띠는 식물성 플랑크톤(조류)이 대량 번식하는 현상인 녹조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있다.
녹조류나 남조류의 증식에 의해 발생되는 녹조 현상은 물의 착색으로 인해 미관상 불쾌감을 유발할 뿐 아니라 남조류 독소에 의한 인체 및 가축의 건강 저하, 생태계 파괴로 인한 수중 생물의 사멸 등의 문제점을 야기하기 때문에 녹조 현상에 대한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가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834호(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는 하강 수단에 근접된 노즐을 통해 황토액을 분사하고 분사된 황토 분말이 녹조 개선 효과를 증진시키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을 개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녹조 제거에 황토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나, 하천 등에 분사할 황토의 구매를 위한 비용이 발생될 뿐 아니라, 하천에 분사된 황토가 오히려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특허문헌 1 : 한국공개특허 제2010-0134834호(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본 발명은 녹조 현상이 발생된 하천수(이하, '녹조수'라 칭함)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녹조를 제거함으로써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황토 등 녹조 제거를 위한 부가적 수단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 측면의 효율성이 높은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 단부가 녹조 현상이 발생된 담수 수면 하부에 위치된 녹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냉동 처리하여 얼음 덩어리를 생성하는 냉동기; 상기 냉동기에서 생성된 얼음 덩어리를 미리 지정된 임계크기 이하를 가지는 얼음 조각들로 분쇄하는 분쇄기; 및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얼음 조각들을 상기 담수의 상공으로 분사하는 분사기를 구비하는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이 제공된다.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은 상기 냉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상기 담수로 투하하는 분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기는, 상기 녹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의 얼음 덩어리가 생성되도록 단위 크기로 구획된 복수의 녹조수 수용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분쇄기는 상기 얼음 덩어리의 분쇄를 위해 분쇄기 모터 및 분쇄날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녹조수를 직접적으로 이용하여 녹조를 제거함으로써 환경 오염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황토 등 녹조 제거를 위한 부가적 수단을 구매할 필요가 없어 비용 측면의 효율성이 높은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불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불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녹조가 발생된 하천 등에서 부유하며 녹조를 제거하는 선박(100)은 냉동기(105), 분쇄기(115), 분사기(120) 및 분류기(125)를 구비할 수 있다.
냉동기(105)는 녹조수 유입관(110)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냉동시켜 얼음 덩어리를 생성한다. 냉동기(105)는 유입되는 녹조수를 미리 지정된 크기의 얼음 덩어리로 생성할 수 있도록 단위 크기로 구획된 복수의 녹조수 수용구를 구비할 수 있다.
냉동기(105)로 녹조수를 공급하는 녹조수 유입관(110)의 일 단부는 녹조 현상이 발생된 하천수의 수면 하부에 위치될 수 있고, 녹조수 유입관(110)의 해당 단부에는 이물질 제거를 위한 거름망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녹조수 유입관(110)에는 냉동기(105)로 녹조수의 유입이 원활해지도록 하기 위해 펌프가 개재(介在)될 수 있고, 해당 펌프는 예를 들어 용적식 펌프(positive displacement pump)일 수 있다.
녹조수 유입관(110)을 통해 냉동기(105)로 유입된 녹조수는 냉동기(105)의 처리에 의해 소정 크기의 얼음 덩어리로 변형되며, 이 과정에서 녹조수의 온도 저하로 인해 녹조수에 포함된 녹조의 일부가 제거된다.
이어서 냉동기(105)에 의해 냉동 처리에 의해 생성된 얼음 덩어리(즉, 녹조수 얼음 덩어리)는 얼음 이송 벨트 등을 이용하여 분쇄기(115)로 공급되고, 분쇄기(115)는 공급된 얼음 덩어리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분사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얼음 덩어리를 얼음 조각들로 분쇄 처리한다. 분쇄기(115)는 얼음 덩어리를 얼음 조각들로 분쇄하기 위해 예를 들어 분쇄날, 분쇄기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쇄기(115)에 의해 분쇄된 얼음 조각들은 얼음 조각 이송 벨트 등을 이용하여 분사기(120)로 공급되고, 분사기(120)는 구비한 분사기 팬 등을 이용하여 발생시킨 바람을 이용하여 공급되는 얼음 조각은 하천에 넓게 분사시킨다. 분쇄기(115)는 분사기(120)에 의해 분사 처리될 수 있는 크기의 얼음 조각들로 얼음 덩어리를 분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별도의 설명을 생략할지라도 당연하다.
분사기(120)의 분사 처리에 의해 얼음 조각들은 녹조 현상이 발생된 하천에 흩뿌려지고, 얼음 조각들은 하천 수면에 부유하며 주변의 수온을 낮추게 된다.
분사된 얼음 조각에 의한 상층부 수온의 저하에 의해 녹조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발생될 뿐 아니라, 얼음 조각이 하천 수면에 부유하며 주변의 수온만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얼음, 즉 고체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 수면의 온도만 집중적으로 낮아지게 유도하므로 액체를 냉매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열효율이 높으며, 또한 수중 생물의 적절한 생육 온도에는 냉각의 효과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또한 얼음 덩어리 이송 경로 설정에 의해 냉동기(105)에서 냉동 처리된 얼음 덩어리들 중 하나 이상은 분류기(125)측으로 공급될 수도 있다. 분류기(125)는 예를 들어 우편물 분류기나 공항의 수화물 턴테이블(baggage carousel) 등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선박(100)의 둘레면(예를 들어, 측방, 후방 등)을 따라 여러 위치에서 얼음 덩어리를 하천에 투하할 수 있다.
또는, 분류기(125)는 예를 들어 냉동기(105)로부터 제공되는 얼음 덩어리를 하천으로 투하하기 위한 이송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분류기(125)가 이송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선박이 운항하는 상태라면 얼음 덩어리는 선박의 운항 속도 및 위치에 부합하도록 하천의 여러 위치에 투하될 수 있을 것이고, 선박이 정지한 상태라면 같은 위치에 얼음 덩어리들이 투하되어 하천의 흐름에 따라 각각 부유될 수 있을 것이다.
냉동기(105)에 의해 냉동 처리된 얼음 덩어리를 분류기(125)를 이용하여 하천에 투하하는 경우, 전술한 분사기(120)에 의해 분사되는 얼음 조각들의 분사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하천수 표면 온도를 낮추는 단점은 있으나, 얼음 조각들에 의해 하천수 표면 온도의 저하가 유지되는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주변의 수온을 낮춰 녹조 발생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조 제거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녹조수 유입관(110)을 통해 녹조수가 유입되면 냉동기(105)는 유입된 녹조수를 냉동 처리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의 얼음 덩어리를 생성한다(단계 210, 220).
단계 230에서, 냉동기(105)는 녹조수가 냉동 처리된 얼음 덩어리를 설정된 이송 경로를 따라 분쇄기(115) 또는/및 분류기(125)로 제공한다.
이송 경로는 생성된 모든 얼음 덩어리가 분쇄기(115) 및 분류기(125) 중 어느 하나로만 모두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고, 분쇄기(115)와 분류기(125)에 각각 일부의 얼음 덩어리들이 개별 공급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분쇄기(115)는 냉동기(105)로부터 얼음 덩어리가 공급되면 공급된 얼음 덩어리를 소정의 한계 크기 이하를 가지는 얼음 조각들로 분쇄하고, 분쇄된 얼음 조각들은 분사기(120)로 제공되어 하천으로 분사된다(단계 240).
그리고, 분류기(125)는 냉동기(105)로부터 얼음 덩어리가 공급되면, 공급된 얼음 덩어리를 하천에 투하한다(단계 240).
본 실시예에 따르면, 녹조 현상이 발생된 담수(예를 들어, 하천수, 호숫물 등)인 녹조수는 단계 220에 따른 얼음 덩어리 생성 과정에서의 냉동 처리에 의해 녹조의 일부가 제거되될 수 있고, 이어서 단계 240에 의한 하천 등의 상층부 수온 강화에 의해 녹조 발생 자체가 억제되어 녹조 현상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선박 105 : 냉동기
110 : 녹조수 유입관 115 : 분쇄기
120 : 분사기 125 : 분류기

Claims (4)

  1. 일 단부가 녹조 현상이 발생된 담수 수면 하부에 위치된 녹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냉동 처리하여 얼음 덩어리를 생성하는 냉동기;
    상기 냉동기에서 생성된 얼음 덩어리를 미리 지정된 한계 크기 이하를 가지는 얼음 조각들로 분쇄하는 분쇄기; 및
    바람을 발생시켜 상기 분쇄기에 의해 분쇄된 얼음 조각들을 상기 담수의 상공으로 분사하는 분사기를 구비하는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로부터 공급되는 얼음 덩어리를 상기 담수로 투하하는 분류기를 더 포함하는,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기는, 상기 녹조수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녹조수를 이용하여 미리 지정된 크기의 얼음 덩어리가 생성되도록 단위 크기로 구획된 복수의 녹조수 수용구를 구비하는,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는 상기 얼음 덩어리의 분쇄를 위해 분쇄기 모터 및 분쇄날을 구비하는,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KR1020140077184A 2014-06-24 2014-06-24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KR201600005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84A KR20160000501A (ko) 2014-06-24 2014-06-24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184A KR20160000501A (ko) 2014-06-24 2014-06-24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501A true KR20160000501A (ko) 2016-01-05

Family

ID=55164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184A KR20160000501A (ko) 2014-06-24 2014-06-24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5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384A (zh) * 2018-07-09 2018-10-16 中交天津航道局有限公司 一种蓝藻处理船舶及蓝藻处理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34A (ko) 2009-06-16 2010-12-24 (주)상승글로벌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4834A (ko) 2009-06-16 2010-12-24 (주)상승글로벌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7384A (zh) * 2018-07-09 2018-10-16 中交天津航道局有限公司 一种蓝藻处理船舶及蓝藻处理方法
CN108657384B (zh) * 2018-07-09 2024-08-13 中交天津航道局有限公司 一种蓝藻处理船舶及蓝藻处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4133B1 (ko) 이동식 조류 제거용 선박
JPH1147785A (ja) 湖沼、池等の浄化方法及び浄化装置
KR20160000501A (ko) 녹조 제거 기능을 구비한 선박
CN204777126U (zh) 一种鱼肉的输送装置
CN205378766U (zh) 一种海产品清洗设备
CN206433659U (zh) 一种生虾类水产品加工用解冻机
KR101642740B1 (ko) 하천 부유물 제거장치
CN204787485U (zh) 一种多功能多形状压冰机
CN204134969U (zh) 一种漂洗槽
KR100666913B1 (ko) 산소용해장치
CN107353956B (zh) 一种适用于海上平台的紧凑式天然气预处理净化方法和装置
CN207351074U (zh) 具有过滤结构的瓶装饮料水冷装置
RU2006108833A (ru) Способ резки и об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энергетической стру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его реализующее
CN204892108U (zh) 一种用于水稻种子收后初选的分离设施
CN203729283U (zh) 一种新型除草船
CN204752259U (zh) 一种基于液化天然气冷能的高脱盐率海水淡化装置
Li et al. Analysis on hydrological and water quality character and their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in Lancangjiang River
CN210498592U (zh) 一种冷却液再生装置及其锯床
KR101750280B1 (ko) 부상분리에 의한 녹조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녹조저감방법
CN106857374B (zh) 一种用于水产养殖的水环境优化系统
CN105665106A (zh) 一种水果的低温粉碎系统
Ahmadi et al. Water Allocation Using WEAP and Vensim Softwares (Case study: Nazloo-chai basin)
KR101013643B1 (ko) 폐비닐세척용 이물질제거장치
CN219666804U (zh) 一种莲藕切丁挑选线
RU9718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противообледенительного средст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0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