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107U -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107U
KR20160000107U KR2020140004970U KR20140004970U KR20160000107U KR 20160000107 U KR20160000107 U KR 20160000107U KR 2020140004970 U KR2020140004970 U KR 2020140004970U KR 20140004970 U KR20140004970 U KR 20140004970U KR 20160000107 U KR20160000107 U KR 201600001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ortable shoulder
slide
port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우
Original Assignee
동원바이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바이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바이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107U/ko
Publication of KR20160000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10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1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 A63B21/018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frictional force-resisters including a rope or other flexible element moving relative to the surface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18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 A63B21/163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on a door or a door frame for anchoring on the horizontal part of a door fr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용 어깨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이 결합되며 결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좌, 우로 슬라이드되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결합되며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정부를 통해 문틀이나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면서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어느 장소에서도 휴대용 어깨장치를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면서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어깨운동장치{Portable shoulder exercise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어깨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어깨운동장치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문틀 등에 고정시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어떠한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어깨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스트레칭 기계는 대한민국등록특허번호 제10-0933266호와 같이 지면에 고정된 프레임에 도르래 및 스프링,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다수의 사용자들이 팔, 다리, 허리, 어깨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지면에 스트레칭 기계를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더라도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지면에 프레임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하여 공간의 제약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는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이 결합되며 결합홈이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좌, 우로 슬라이드되고 결합홈에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와, 상기 슬라이드부가 결합되며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통해, 간단한 구조에 의해 문틀이나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면서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어느 장소에서도 휴대용 어깨장치를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면서 편리한 운반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정부를 통해 문틀이나 벽면에 용이하게 본 고안은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고정부를 통해 문틀이나 벽면에 용이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우수하면서 제작공정이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절감됨은 물론,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손쉽게 어느 장소에서도 휴대용 어깨장치를 결합, 분리할 수 있으면서 운반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몸체에서 자중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몸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슬라이드홈을 형성함으로써, 슬라이드부가 몸체의 양측에서 용이하게 좌, 우로 슬라이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에 형성된 스프링을 통해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문틀에 견고하게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 도르래가 결합되는 지지대를 고정시켜 와이어를 상, 하로 잡아당기면서 사용자가 통증을 최소화시키면서 어깨를 상, 하로 움직이는 운동을 편리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몸체에 지지대를 고정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슬라이드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에서 팔이나 어깨를 좌, 우로 미는 운동을 실시할 수 있어 하나의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통해 어깨에 대한 다양한 운동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휴대용 어깨운동장치(5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슬라이드부(20), 고정부(30)로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몸체(10)는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11)이 결합되며 결합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11)이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파이프형태로 형성되도록 하며, 스프링(11)이 몸체(10) 내부로 완전하게 들어가지 않도록 일정한 지점에 고정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12)은 삽입홈(12a)과 걸림턱(12b)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에 더해, 상기 결합홈(12)에 슬라이드홈(12c)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삽입홈(12a)과 걸림턱(12b)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턱(12b)과 슬라이드홈(12c)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드부(2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 양측으로 결합되며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좌, 우로 슬라이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외측 임의의 지점에 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슬라이드부(20)에 형성된 결합부(21)가 몸체(10)의 결합홈(12)에 형성된 삽입홈(12a)으로 삽입되어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의 내측으로 결합되면서 상기 걸림턱(12b)에 걸리게 되어 상기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에서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자중에 의해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부(20)의 결합부(21)가 몸체(10)의 결합홈(12)의 걸림턱(12b)에 걸린 상태에서 슬라이드홈(12c)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의 길이방향에 따라 용이하게 좌, 우로 슬라이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30)는 상기 슬라이드부(20)의 일측단(몸체에 삽입되지 않는 부분)이 결합되며,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30)가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될 때, 볼트 또는 핀과 같은 고정부재(도면에 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30)에 고정부재에 의한 구멍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에 더해,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지지대(40)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40)는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되는 하나 이상의 도르래(41)와 상기 도르래(41)에 결합되어 도르래(41)를 회전시키는 와이어(42)와 상기 와이어(42)의 양끝단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4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도르래(41)가 고정되는 지지판(44)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르래(41)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지지판(44)에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44)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으며, 도르래(41)가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도면에 미도시) 등이 형성되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도르래(41)는 하나 이상으로 지지판(44)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체격이나 와이어(42)의 회전방향 또는 길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사항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형태의 몸체(10)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11)을 결합하도록 한다.
그리고, 몸체(10)의 양측으로 슬라이드부(20)를 결합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0)의 일측으로 하나의 슬라이드부(20)를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2)의 삽입홈(12a)에 슬라이드부(20)의 결합부(21)를 결합하여 몸체(10)의 중심방향으로 밀어넣어 상기 슬라이드부(20)의 결합부(21)가 걸림턱(12b)에 걸리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에 슬라이드부(20)를 결합하게 되면 몸체(10) 내부에 결합된 스프링(11)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드부(20)가 몸체(20)의 외부로 밀려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부(20)의 결합부(21)가 몸체(10)의 결합홈(12)에 형성된 걸림턱(12b)에 걸리게 되어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의 외부로 튀어나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런 후, 상기 슬라이드부(2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켜 슬라이드부(20)에 형성된 결합부(21)를 몸체(10)의 결합홈(12)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c)에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몸체(10)의 타측으로도 슬라이드부(20)를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홈(12c)을 따라 좌, 우로 슬라이드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부(20)가 몸체(10)의 결합홈(12)에 형성된 슬라이드홈(12c)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서 문틀 등과 같은 임의의 지점 간격에 따라 용이하게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전방이나 후방으로 도르래(41), 와이어(42), 손잡이(43)가 결합되는 지지대(40)의 지지판(44)을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해 사용자가 고정시키고자 하는 임의의 위치에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 후, 상기 고정부(30)를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하고, 문틀의 간격에 맞게 슬라이드부(20)를 몸체(10)의 중심방향으로 밀면서 상기 슬라이드부(20)를 고정부(30)에 결합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용 어깨운동장치(50)를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위치에 간편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 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지대(40)의 와이어(42)에 결합된 손잡이(43)를 파지하여 도르래(41)의 회전방향에 따라 와이어(42)를 움직이면서 사용자가 어깨 및 팔을 상, 하로 움직이면서 운동을 실시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다르게, 상기 몸체(10)와 슬라이드부(20)만을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한 후, 슬라이드부(20)를 몸체(10)의 중심방향으로 밀면서 팔을 좌, 우로 좁히거나 펼쳐지게 운동할 수도 있으며, 어깨나 팔을 대신하여 허벅지나 정강이에 슬라이드부(20)를 위치시켜 하체운동을 실시할 수도 있다.
또한, 몸체(10)와 슬라이드부(20)를 중력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도록 일측의 슬라이드부(20)를 지면에 밀착시키고 타측의 슬라이드부(20)를 공중으로 향하도록 하여 슬라이드부(20)가 상, 하로 슬라이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팔이나 어깨 등을 상, 하로 이동시키면서 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용 어깨운동장치의 구조가 간단하여 문틀과 같은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할 수 있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여 공간활용도가 우수하고, 제조비용의 절감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휴대용 어깨운동장치를 통해 다양한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보다 많은 운동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몸체
11 : 스프링 12 : 결합홈
12a : 삽입홈 12b : 걸림턱
12c : 슬라이드홈
20 : 슬라이드부
21 : 결합부
30 : 고정부
40 : 지지대
41 : 도르래 42 : 와이어
43 : 손잡이 44 : 지지판
50 :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Claims (5)

  1. 내부 양측으로 스프링(11)이 결합되며 결합홈(12)이 형성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양측으로 결합되어 스프링(12)의 탄성에 의해 좌, 우로 슬라이드되고 결합홈(12)에 결합되는 결합부(21)가 형성되는 슬라이드부(20);
    상기 슬라이드부(20)가 결합되며 벽면이나 문틀에 고정되는 고정부(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2)은 삽입홈(12a)과 걸림턱(12b)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에 형성된 결합홈(12)에는 슬라이드홈(12c)이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와 연결되는 지지대(40)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40)는 하나 이상의 도르래(41)와 상기 도르래(41)에 결합되는 와이어(42)와 상기 와이어(42)의 끝단에 형성되는 손잡이(43)가 배열되는 지지판(44)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KR2020140004970U 2014-07-01 2014-07-01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KR201600001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70U KR20160000107U (ko) 2014-07-01 2014-07-01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970U KR20160000107U (ko) 2014-07-01 2014-07-01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107U true KR20160000107U (ko) 2016-01-11

Family

ID=55174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970U KR20160000107U (ko) 2014-07-01 2014-07-01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107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477B1 (ko) * 2020-06-16 2021-03-10 김도연 접이식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6477B1 (ko) * 2020-06-16 2021-03-10 김도연 접이식 운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599B1 (en) Massaging body-gym apparatus
US20180085622A1 (en) Doorway fitness tower and parallel bar
US8876678B2 (en) Exercise device and handle for same
US9364700B2 (en) Waist twisting station
US9180338B2 (en) Exercise device for push ups
US9358423B2 (en) Abdomen exercise bench
CA2581064A1 (en) Collapsible resistance exercise device
KR101905367B1 (ko) 스쿼트 운동 기구
US3129940A (en) Isometric contraction exerciser having handles at each end with handgrips shaped to the fingers
ITBO20100307A1 (it) Macchina ginnica portatile
US9907994B1 (en) Treadmill with folding overhead handlebar assembly
KR20160000107U (ko) 휴대용 어깨운동장치
TWM550648U (zh) 握把運動器材及運動器材組
KR101223194B1 (ko) 운동기구
US20110251026A1 (en) Exercise pole
KR200477321Y1 (ko) 휴대용 실내 상체운동기구
US20140315697A1 (en) Physical exercise device
WO2019020066A1 (zh) 滚轮运动器材及滚轮运动器材组
KR101643265B1 (ko) 저항 운동 기구
US20120295766A1 (en) Portable Inversion Apparatus
CN204655912U (zh) 手部运动器具
KR20120006894U (ko) 휴대용 태블릿pc 거치대
JP3166516U (ja) 腹筋トレーニングマシン
EP2923740A1 (en) Exercising chair device
CN204767195U (zh) 双滚轮健身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