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0045U -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 Google Patents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0045U
KR20160000045U KR2020140004842U KR20140004842U KR20160000045U KR 20160000045 U KR20160000045 U KR 20160000045U KR 2020140004842 U KR2020140004842 U KR 2020140004842U KR 20140004842 U KR20140004842 U KR 20140004842U KR 20160000045 U KR20160000045 U KR 20160000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ary tongue
main body
pressing force
primary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경덕
김동주
권순성
유선철
한수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0045U/ko
Publication of KR20160000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04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는, 엘엔지 선박 화물창 내부에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 10)을 설치하는 설치도구(100)로서, 소정 두께로 형성된 본체부(110); 프라이머리 텅(10)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본체부로(110)부터 프라이머리 텅의 높이(W)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가압돌기부(120)와 대향하는 본체부(1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력전달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Installation Tool for Primary Tongue and Install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고안은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라이머리 텅이 선박의 화물창 내부 벽면에 설치될 시 사용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종래 기술에 따른 도구를 사용하여 엘엔지 선박 화물창의 측벽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는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종래 기술에 따른 도구를 사용하여 엘엔지 선박 화물창의 천정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엘엔지 선박 화물창 내부 벽면에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할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고무 망치 등을 이용하여 설치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 경우, 고무망치를 이용하여 설치 작업을 수행할 경우, 프라이머리 텅이 벽면에 손쉽게 설치되지 못하여 수차례 망치질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창 천정 벽면에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할 경우에는, 작업자의 신체적인 무리를 가져오게 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설치도구를 이용한 프라이머리 텅 설치 작업은 작업 효율이 높지 못하여, 작업 생산성이 저조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설치도구를 이용한 프라이머리 텅 설치 작업은 작업자의 신체적인 무리를 가져올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8-0011875호 (1988년 08월 26일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엘엔지 선박의 화물창에 설치 시, 프라이머리 텅이 선박의 화물창에 손쉽게 설치될 수 있도록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는, 엘엔지 선박 화물창 내부에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설치하는 설치도구로서,
소정 두께로 형성된 본체부;
프라이머리 텅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본체부로부터 프라이머리 텅의 높이(H)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
상기 본체부에 형성된 가압돌기부와 대향하는 본체부의 타측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력전달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두께는 프라이머리 텅의 폭(W) 대비 1.0 배 내지 3.0 배 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는, 측면상 'Ц' 자 형상, 'U' 자 형상 또는 'V' 자 형상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로부터 돌출 연장된 가압돌기부에 인접하여 본체부의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고, 곡률반경의 중심이 본체부 내측에 위치하도록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한 쌍의 라운딩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력전달부는 본체부와 용접에 의해 결속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력전달부의 외부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또는 탄소강(carbon steel)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상기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는,
상기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가압력전달부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 공급장치; 및
상기 가압력 공급장치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공급부;
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압력 공급장치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헤머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헤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력공급부는 전력공급장치 또는 압축공기공급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 설치도구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텅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엘엔지 화물창에 프라이머리 텅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텅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돌기부를 구비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가압력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엘엔지 화물창에 프라이머리 텅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종래 기술에 따른 도구를 사용하여 엘엔지 선박 화물창의 측벽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을 종래 기술에 따른 도구를 사용하여 엘엔지 선박 화물창의 천정면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이다.
도 8은 도 5의 A - A' 선 절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이다.
도 15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고안의 범주가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또한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소지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도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는 도 3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는, 소정 두께로 형성된 본체부(110), 가압돌기부(120) 및 가압력전달부(13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부(120)는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본체부(110)로부터 돌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돌기부(120)는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로 구성되고, 각각의 가압돌기부(120)는 프라이머리 텅(10)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만큼 서로 이격(W')되어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돌기부(120)의 본체부(110)로부터의 돌출 길이(H')는 프라이머리 텅의 높이(H)와 대응되는 길이이거나, 프라이머리 텅의 높이(H) 보다 작은 길이일 수 있다.
한편, 본체부(110)의 두께는 프라이머리 텅(10)의 폭(W) 대비 1.0 배 내지 3.0 배 일 수 있다.
상기 언급한 가압돌기부(120)의 이격 길이(W')및 돌출 길이(H') 한정은 프라이머리 텅(10)을 손쉽게 프라이머리 텅 장착부(2)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적 한정이며, 프라이머리 텅(10)의 형상에 따라 적절히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가압력전달부(130)의 길이(L)는 길게 변경하거나 짧게 변경함으로써 작업자의 작업 효율을 높힐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물창의 천정 벽면에 프라이머리 텅(10)을 설치하는 작업일 경우, 가압력전달부(130)의 길이(L)를 적절히 길게 변경하여 프라이머리 텅 설치작업을 보다 더 손쉽게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 5의 A - A' 선 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압력전달부(130)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본체부(110)에 형성된 가압돌기부(120)와 대향하는 본체부(110)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력전달부(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력을 본체부(110) 및 가압돌기부(120)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전달 할 수 있도록, 가압력전달부(130)는 본체부(110)와 용접에 의해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력전달부(130)의 외부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32)가 형성되어 가압력전달부(130)와 본체부(110)와의 용접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용접부(110)는 그루브 용접 형상으로 표기되었으나, 돌기부(130)를 삭제하고, 필렛 용접 형상으로 가압력전달부(130)와 본체부(110)가 서로 용접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력전달부(130)와 본체부(110)가 필렛 용접에 의해 용접 결합될 경우, 용접부의 용접각장은 가압력전달부(130)의 직경 대비 50 내지 90 % 임이 바람직하다.
가압력전달부(130)와 본체부(110)의 용접 결합을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는 용접부 형상이라면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체부(110) 및 가압력전달부(13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또는 탄소강(carbon steel)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인리스 강일 경우, SS400계열의 스테인리스 강이 바람직하고, 탄소강일 경우, S45C 계열의 탄소 강이 바람직하다. 또한, S45C 계열의 탄소 강일 경우에는 기계가공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기계적 특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도 9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의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는, 측면상 'Ц' 자 형상, 'U' 자 형상 또는 'V' 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프라이머리 텅의 형상 및 프라이머리 텅의 폭에 따라 적절히 선택 적용가능하다.
그러나,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의 측면 형상이 'V'자 형상을 이룰 경우,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 사이에 프라이머리 텅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효율을 급격히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가 형성하는 측면 형상은 'Ц' 자 형상 또는 'U' 자 형상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10을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는, 본체부(110)의 모서리(110)에 라운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운딩부(112)는, 본체부(110)로부터 돌출 연장된 가압돌기부(120)에 인접하여 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111)에 형성되고, 곡률반경의 중심이 본체부(110) 내측에 위치하도록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에는 도 10에 도시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를 이용하여 프라이머리 텅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는 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111)에 라운딩부(112)가 형성되어 있어, 프라이머리 텅(10)을 화물창 벽면(1)의 프라이머리 텅 장착부(2)에 장착하는 작업 도중 프라이머리 텅(10) 외부면에 구김 또는 흠집 등의 데미지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라운딩부(112)가 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111)에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작업 도중 본체부(110)의 모서리(111)에 의해 프라이머리 텅(10) 외부면에 구김 또는 흠집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111)에 라운딩부(112)를 형성시킬 경우, 작업 도중 프라이머리 텅(10) 외부면에 구김 또는 흠집 등의 데미지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는 라운딩부(11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모두가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 설치도구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텅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돌기부를 구비함으로써, 엘엔지 화물창에 프라이머리 텅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5에는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를 도 3 및 도 10과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200)는, 상기 언급한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 100'), 가압력 공급장치(210) 및 구동력공급부(22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압력 공급장치(210)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의 가압력전달부(13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헤머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헤머일 수 있다.
또한, 구동력공급부(220)는 가압력 공급장치(21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전력공급장치 또는 압축공기공급장치일 수 있다.
한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 100') 가압력전달부(130)의 외부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부(131)는 가압력전달부(130)와 가압력 공급장치(210)가 서로 안정적으로 결속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가압력 공급장치(210)와 연결되는 연결부(211)의 형상에 따라 돌기부(131)의 돌출 위치, 돌출 길이 및 돌출 형상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200)에 따르면, 프라이머리 텅과 대응되는 형상의 가압돌기부를 구비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가압력 공급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엘엔지 화물창에 프라이머리 텅을 손쉽게 설치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엘엔지 선박 화물창의 벽면
2: 프라이머리 텅 장착부
10: 프라이머리 텅
11: 절골부
100: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110: 본체부
111: 모서리
112: 라운딩부
120: 가압돌기부
130: 가압력전달부
131: 돌기부
140: 용접부
200: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
210: 가압력 공급장치
220: 구동력공급부

Claims (10)

  1. 엘엔지 선박 화물창 내부에 프라이머리 텅(primary tongue, 10)을 설치하는 설치도구(100)로서,
    소정 두께로 형성된 본체부(110);
    프라이머리 텅(10)의 폭(W)과 대응되는 길이만큼 서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본체부(110)로부터 프라이머리 텅의 높이(H)와 대응되는 길이만큼 돌출 연장되어 형성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
    상기 본체부(110)에 형성된 가압돌기부(120)와 대향하는 본체부(110)의 타측에 장착되는 원기둥 형상의 가압력전달부(1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두께는 프라이머리 텅(10)의 폭(W) 대비 1.0 배 내지 3.0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돌출 연장된 한 쌍의 가압돌기부(120)는, 측면상 'Ц' 자 형상, 'U' 자 형상 또는 'V' 자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로부터 돌출 연장된 가압돌기부(120)에 인접하여 본체부(110)의 양측 모서리(111)에 형성되고, 곡률반경의 중심이 본체부(110) 내측에 위치하도록 소정 길이의 곡률반경으로 형성된 한 쌍의 라운딩부(1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전달부(130)는 본체부(110)와 용접에 의해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전달부(130)의 외부면에는 소정 길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부(1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재질은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또는 탄소강(carbon st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8. 상기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
    상기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100)의 가압력전달부(13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력 공급장치(210); 및
    상기 가압력 공급장치(210)에 구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력공급부(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200).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력 공급장치(210)는, 전기를 이용하는 전기헤머 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에어헤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공급부(220)는 전력공급장치 또는 압축공기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리 텅 설치장치.
KR2020140004842U 2014-06-27 2014-06-27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KR201600000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2U KR20160000045U (ko) 2014-06-27 2014-06-27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842U KR20160000045U (ko) 2014-06-27 2014-06-27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045U true KR20160000045U (ko) 2016-01-06

Family

ID=5517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842U KR20160000045U (ko) 2014-06-27 2014-06-27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0045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875A (ko) 1987-03-20 1988-10-31 미따 가쯔시게 세도우마스크형 컬러수상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1875A (ko) 1987-03-20 1988-10-31 미따 가쯔시게 세도우마스크형 컬러수상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2395B1 (ko) 마그네틱 척
KR20160000045U (ko) 프라이머리 텅 설치도구 및 이를 포함하는 설치장치
KR200483648Y1 (ko) 선체블록의 보강재 용접부 변형방지장치
CN202291865U (zh) 焊接夹具装置
JP5871418B2 (ja) マガジンアタッチメント及び固定システム
CN203931804U (zh) 机车电容器
KR20170091283A (ko) 케이블 트레이
JP2009278853A (ja) ステップボルト支持装置
KR102005800B1 (ko) 이동기지국 차량용 다기능 멀티가대
US8567471B1 (en) Tire wor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204639177U (zh) 一种改进的单动四爪卡盘
CN102744679A (zh) 针布冲齿下刀模的磨削夹具
KR101609466B1 (ko) 마찰용접 잉여부분 제거장치
KR200479740Y1 (ko) 블록 지지장치
CN202862050U (zh) 一种专用夹具
CN211387321U (zh) 一种等离子切割系统
CN204052776U (zh) 一种新型铆接夹具
CN206010498U (zh) 一种减震砝码加工用卡具
KR20130003227U (ko) 데크 변형 방지용 지그
KR20130005479U (ko) H형 빌트업 형강재 취부지그
CN104477275A (zh) 汽车副车架定位方法
KR200483346Y1 (ko) 선박의 백 히팅 장치
CN204673597U (zh) 一种多功能工具车
CN204125031U (zh) 一种船舶舱室内无码吊装装置
CN203045719U (zh) 一种汽车钣金修复机专用工具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