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336A -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 Google Patents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336A
KR20150146336A KR1020140076806A KR20140076806A KR20150146336A KR 20150146336 A KR20150146336 A KR 20150146336A KR 1020140076806 A KR1020140076806 A KR 1020140076806A KR 20140076806 A KR20140076806 A KR 20140076806A KR 20150146336 A KR20150146336 A KR 20150146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rate
pipe
water
backwash
back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민
석유민
홍성호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6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6336A/ko
Publication of KR20150146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분리막 세정시스템은 분리막이 설치된 막여과조; 상기 막여과조로부터 생산된 처리수의 일부를 저장하여 역세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조; 및 역세 및 농축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는 제1 배관 및 제1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제2 배관을 통해 처리수조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는 처리수조와 제1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3 배관, 제1 배관, 및 분리막을 경유하여 막여과조로 반송되고, 상기 막여과조 내의 농축수는 제4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가 설정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농축수 중 일부를 배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은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함으로써 공정 효율성을 향상 및 회수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역세 유량 및 역세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역세 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수 사용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CLEANING SYSTEM OF SEPARATION MEMBRANE AND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리막(Membrane)이란 두 가지 이상의 다성분 혼합물로부터 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킴으로써 혼합물을 분리시킬 수 있는 다공질의 물리적 경계(barrier)이다.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는 다른 여과 공정에 비해 응집제 등 약품의 사용량이 적고, 소요되는 부지면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처리용 분리막은 종류에 따라 수중에 포함된 유기 오염물질, 무기 오염물질, 수중 미생물 등을 분리시킬 수 있다. 압력구동식 분리막(pressure-driven membrane)은 세공의 크기에 따라 정밀여과(Microfiltration, MF)막, 한외여과(Ultrafiltration, UF)막, 나노여과(Nanofiltration, NF)막, 역삼투(Reverse osmosis, RO)막 등으로 구분된다. 분리막은 또한 재질에 따라 고분자 유기막과 세라믹 혹은 금속 등의 무기막으로 구분된다. 소정의 하우징에 분리막을 설치하여 고액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 분리막 모듈(또는 막모듈)은, 그 형태에 따라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Fiber), 나선형(Spiral Wound), 평판형(Plate and Frame), 회전판형(Rotary Disk) 등이 있다.
이러한 분리막은 무수히 많은 미세구멍, 즉 막세공(membrane pore)을 가진다. 따라서 원수 중에 함유된 오염물질 중 분리막에 의해 배제되거나 혹은 통과시에 분리막의 표면에 축적되거나 분리막 표면 혹은 세공 내에 흡착되어 막오염이 발생된다. 막오염이 발생되면 여과 중에 분리막 표면이 오염물질 축적물에 의해 덮히거나, 막세공이 줄어들거나 막혀 원수의 투과유속과 성능이 저하되므로, 여과 중에 주기적으로 분리막을 세정하여 분리막의 성능을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분리막을 세정하는 방법은 물리적 세정과 화학적 세정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물리적 세정의 대표적인 방법은 물을 이용한 역세를 예시할 수 있으며, 주로 생산수를 여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가압을 하여 막에 통과시킴으로써 막표면 혹은 막세공에 쌓인 물질들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인 역세 과정은 수 십분 소요되는 긴 여과 과정에 비하여 수 십초와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 이루어지며, 초기 수 초간의 역세 펌프의 구동시간을 제외하고는 정상적인 역세 유량과 역세 지속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역세 과정 내 분리막의 오염 정도 및 이에 따른 역세 펌프의 성능 저하 등에 의하여 역세가 유효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역세 과정 또는 분리막 여과 과정을 진행하게 되면, 막여과조 내 오염물질 등의 고형물이 증가하므로 분리막 오염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농축수를 배수(drainage)시켜야 한다. 그러나, 피처리수 내 오염물질의 농축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배수하는 경우 투입된 피처리수 대비 생산된 처리수의 회수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저탁도수의 배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분리막 세정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함으로서 공정 효율성 및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분리막에 대한 막오염 특성을 고려하여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분리막을 세정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역세시 처리수 사용량과 소요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분리막이 설치된 막여과조; 상기 막여과조로부터 생산된 처리수의 일부를 저장하여 역세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조; 및 역세 및 농축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는 제1 배관 및 제1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제2 배관을 통해 처리수조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는 처리수조와 제1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3 배관, 제1 배관, 및 분리막을 경유하여 막여과조로 반송되고, 상기 막여과조 내의 농축수는 제4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가 설정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농축수 중 일부를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막여과조 내에는 농도계가 구비되며, 상기 농도계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역세 제어는 역세 유량 및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배관에 설치된 유량계로부터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운전 조건을 유지하여 설정 시간 동안 역세를 지속시키며, 상기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분리막은 침지형 분리막이며, 상기 분리막 하부에 에어레이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에는 생산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배관에는 역세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4 배관에는 배수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배관에는 압력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압력계의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 내지 제4 배관 중 하나 이상의 배관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막여과조의 처리수 일부를 처리수조에 저장하고 나머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막여과를 중지하는 단계; 역세 단계; 및 배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를 모니터링 하여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농축수의 배수량 제어는 상기 역세 단계에 의하여 막여과조 내로 유입되는 처리수 양을 예측하여 농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역세 단계와 상기 배수 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단계 이후, 다시 역세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역세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로 반송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세 준비단계; 및 설정 유량 도달시 운전 조건을 유지하며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역세 지속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역세 준비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은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함으로써 공정 효율성을 향상 및 회수율 증대를 도모할 수 있으며, 역세 유량 및 역세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역세 효율을 향상시키고, 처리수 사용량 및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분리막 세정시스템의 여과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분리막 세정시스템의 역세 및 농축수의 배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정상 역세시 역세 시간에 따른 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비정상 역세시 역세 시간에 따른 역세수 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정상 역세시 역세 시간에 따른 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 개시된 기술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출원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각 장치의 구성요소를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상기 구성요소의 폭이나 두께 등의 크기를 다소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만을 도시하기도 하였으나, 당업자라면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도면 설명시 관찰자 시점에서 설명하였고,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상기 일 요소가 다른 요소 위 또는 아래에 바로 위치하거나 또는 그들 요소들 사이에 추가적인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는 의미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의 사상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복수의 도면들 상에서 동일 부호는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분리막 세정시스템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시스템의 개념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분리막 세정시스템은 막여과조(100); 상기 막여과조로부터 생산된 처리수의 일부를 저장하여 역세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조(200); 및 역세(back pulse filtration) 및 농축수의 배수(drainage)를 제어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역세(back pulse filtration)는 피처리수가 분리막에 여과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역세수를 통과시켜 분리막을 세정하는 것을 의미하며, 배수(drainage)은 막여과조 내의 농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막여과조 내부에는 분리막(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막(110)은 침지형 분리막일 수 있다. 분리막(110) 하부에는 도면상 미도시하였으나 역세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어(air)를 산기시키는 에어레이터(aerator)가 구비될 수 있다. 막여과조(100) 내의 분리막(110)에서 여과된 처리수는 생산수 펌프(P1)의 흡입압에 의하여 분리막(110)의 집수부와 연결된 제1 배관(L1)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1 배관(L1)에서 분기된 제2 배관(L2)을 경유하여 처리수조(200)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막여과조(100) 내의 피처리수는 분리막 여과 또는 역세가 진행될수록 피처리수 내 고형물의 농도가 증가하게 된다. 상기 고형물은 오염물질 등의 부유물을 의미한다. 고형물이 농축된 피처리수, 즉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면 분리막의 막간 차압이 높아져 세정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전력 소비량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농축수 중 일부를 외부로 배수시켜야 한다. 이때, 설정 농도보다 고형물의 농도가 낮은 저탁수의 경우에는 설정 농도보다 고형물의 농도가 높은 고탁수 대비 배수량을 낮게 하는 것이 회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막여과조(100) 내에는 고형물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농도계(CM)가 구비되고, 농축수의 배수를 위하여 제4 배관(L4)이 형성되며, 제4 배관(L4)상에는 배수 펌프(P3) 및 밸브 V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관(L1)상에는 생산수 펌프(P1)를 전후하여 밸브 V1 및 V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배관(L2)상에도 밸브 V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처리수조(200)로 이송 및 저장된 처리수를 역세수로 이용하기 위하여, 처리수조(200)와 제1 배관(L1)은 제3 배관(L2)에 의하여 연통될 수 있다. 제3 배관(L2)상에는 역세 펌프(P2), 유량계(FS), 및 밸브 V4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압력계(PS)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량계(FS) 및 압력계(PS)의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 세정시스템은 역세(back pulse filtration) 및 농축수의 배수(drainage)를 제어하기 위하여 제어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00)의 역세 제어는 역세 유량 및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300)의 배수 제어는 농축수 내 고형물의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어부(300)의 상기 역세 제어와 배수 제어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역세는 역세 준비단계 및 역세 지속단계를 포함하며, 제어부(300)는 상기 역세 준비단계에서 역세 유량을 제어하며, 상기 역세 지속단계에서 역세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상기 역세 준비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어부(300)는 제3 배관상에 설치된 유량계(FS)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모니터링하여 설정 유량 미만인 경우에는 역세 펌프(P2)의 출력을 높여 역세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운전 조건을 유지하여 역세를 설정 시간 동안 지속시킬 수 있다.
도 2는 분리막 세정시스템의 여과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별도 언급이 없는 한 개방된 밸브 이외의 밸브는 폐쇄된 것으로 간주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밸브 V1 및 V2를 개방하고, 생산수 펌프(P1)을 가동하면, 생산수 펌프의 흡입압에 의하여 원수는 분리막(100)에 의하여 여과되고 처리수로 생산될 수 있다. 상기 여과된 처리수는 제1 배관을 경유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밸브 V1 및 V3를 개방하고 생산수 펌프(P1)을 가동하는 경우에는, 생산된 처리수를 처리수조(200)로 이송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저장된 처리수는 역세시 역세수로 이용할 수 있다.
도 3은 분리막 세정시스템의 역세 및 농축수의 배수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역세가 진행되면, 역세에 소요된 처리수가 막여과조 내 저장된 농축수로 혼입된다. 구체적으로, 밸브 V4를 개방하고, 역세 펌프(P2)를 가동하면 처리수조(200)에 저장된 처리수는 제3 배관(L3), 제1 배관(L1), 및 분리막(110) 순으로 반송될 수 있으며, 역세수로 이용될 수 있다. 도면상 미도시하였으나, 역세가 진행되기 전 또는 역세와 동시에 분리막 외부에 구비된 에어레이터(aerator)를 가동하여 역세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막여과조(100) 내에 구비된 농도계(CM)로 역세에 따른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를 모니터링하여 측정된 농도 데이터는 제어부(300)로 전송된다. 제어부는 측정된 농도를 기초로 배수량을 산정하여 농축수를 배수시킨다. 제어부(300)는 배수 후 남아있는 농축수 데이터를 기초로 역세를 다시 진행하여 막여과조 내 처리수를 충수시킬 수 있으며, 또는 피처리수를 공급하여 분리막 여과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의 역세 제어 및 농축수의 배수 제어에 따라 공정 효율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농축수의 배수량을 최소화하여 회수율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분리막 세정방법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방법은 막여과조의 처리수 일부를 처리수조에 저장하고 나머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막여과를 중지하는 단계; 역세 단계; 및 배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를 모니터링 하여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일 수 있다.
상기 배수 단계는 농축수 내 고형물의 농축에 따라 고형물 농도가 설정 농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배수량을 줄여 투입되는 피처리수 대비 생산되는 처리수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다. 반면, 고형물의 농도가 설정 농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배수량을 늘려 오염물질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막간 차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수의 배수량 제어는 상기 역세 단계에 의하여 막여과조 내로 유입되는 처리수 양을 예측하여 농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역세 단계와 상기 배수 단계는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역세와 배수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배수 공정의 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종국적으로 처리수의 생산량 증대를 꾀할 수 있다.
상기 역세는 다단계로 분리 진행될 수 있으며, 예로서 제1 역세 단계 진행 후 배수 단계를 거친 후 다시 제2 역세 단계가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배수 단계 이후, 막여과조 내로 처리수를 충수하거나, 피처리수를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처리수의 충수는 역세 방식으로 충수될 수 있다.
상기 역세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로 반송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세 준비단계; 및 설정 유량 도달시 운전 조건을 유지하며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역세 지속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세 준비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역세 준비단계는 역세 펌프 가동 후 설정 유량에 도달할 때까지의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역세 유지 단계는 설정 유량 도달 후 운전 조건을 유지하며 설정 시간 동안 역세를 지속하는 단계로 정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정상 역세의 역세 시간에 따른 역세수 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정상 역세는 역세 준비단계(A-1) 및 역세 지속단계(A-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로서, 도 4의 정상 역세 단계는 생산을 중지하고, 역세 펌프를 가동한 후, 유량계(FS)로부터 측정된 유량을 모니터링하여 설정 유량(Flux) K 미만인 경우에는 역세 펌프의 출력을 높여 역세 유량을 증가시키고,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 K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를 다시 참고하면, 역세 펌프를 가동한 후 출력을 높여 역세를 시작한지 10초만에 설정된 유량 K에 도달하였고, 설정 시간(20초) 동안 역세를 지속하여 목적하는 정상 역세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도 5는 비정상 역세의 역세 시간에 따른 역세수 유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비정상 역세는 분리막의 오염 정도가 높아 역세 준비단계(B-1)에서 설정 유량 K에 도달하는 소요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정상 역세의 경우 도 4에서 보듯이 역세 시작 후 유량 제어 등을 통하여 10초만에 설정 유량(K)에 도달한 반면, 비정상 역세의 경우에는 유량 제어를 위하여 펌프 출력, 역세 수압 등이 제어되지 않았으므로 10초 경과 후에 설정 유량(K) 미만인 K'에 도달하였으며, 설정 유량 K에 도달하는 시간이 정상 역세의 역세 준비단계보다 10초 연장되어 결과적으로 역세 지속단계(B-2)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이 역세 준비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이 연장되고 역세 지속단계의 지속시간이 단축되는 경우에는 역세 펌프 가동시 발생하는 에너지 비용 및 총체적인 역세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분리막 세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시간에 따른 유량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역세 준비단계에서 설정 유량을 K로 설정하였으나, 비정상 역세의 역세 준비단계와 마찬가지로 역세 준비단계(C-1)에서 유량을 제어하지 않아 정상 역세의 설정 시간인 10초를 초과하여 20초가 경과한 후에야 설정 유량 K에 도달하였다. 다만, 설정 유량 K에 도달 후 역세 지속단계(C-2)의 역세 지속시간을 제어하여 목적하는 역세 지속시간인 20초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목적하는 역세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체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구체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4)

  1. 분리막이 설치된 막여과조;
    상기 막여과조로부터 생산된 처리수의 일부를 저장하여 역세시 처리수를 배출하는 처리수조; 및
    역세 및 농축수의 배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는 제1 배관 및 제1 배관으로부터 분기된 제2 배관을 통해 처리수조에 저장되고,
    상기 처리수조에 저장된 처리수는 처리수조와 제1 배관을 연통시키는 제3 배관, 제1 배관, 및 분리막을 경유하여 막여과조로 반송되고,
    상기 막여과조 내의 농축수는 제4 배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가 설정 농도를 초과하면 상기 농축수 중 일부를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여과조 내에는 농도계가 구비되며,
    상기 농도계의 정보는 상기 제어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역세 제어는 역세 유량 및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 배관에 설치된 유량계로부터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에 도달하면 운전 조건을 유지하여 설정 시간 동안 역세를 지속시키며,
    상기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은 침지형 분리막이며,
    상기 분리막 하부에 에어레이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에는 생산수 펌프가 구비되고,
    상기 제3 배관에는 역세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제4 배관에는 배수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배관에는 압력계가 더 구비되며, 상기 압력계의 정보는 제어부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관 내지 제4 배관 중 하나 이상의 배관에는 개폐밸브가 구비되어 제어부에 의해 개폐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9. 막여과조의 처리수 일부를 처리수조에 저장하고 나머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단계; 막여과를 중지하는 단계; 역세 단계; 및 배수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 내 농축수의 고형물 농도를 모니터링 하여 농축수의 배수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농축수의 배수량 제어는 상기 역세 단계에 의하여 막여과조 내로 유입되는 처리수 양을 예측하여 농축수를 외부로 배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단계와 상기 배수 단계가 동시에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단계 이후, 다시 역세 단계를 진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분리막 세정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단계는 상기 막여과조로 반송되는 처리수의 유량을 제어하는 역세 준비단계; 및
    설정 유량 도달시 운전 조건을 유지하며 역세 시간을 제어하는 역세 지속단계;를 포함하는 분리막 세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역세 준비단계에서 측정된 유량이 설정 유량 미만이면,
    설정 시간 내에 설정 유량에 도달하도록 유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막 세정시스템.
KR1020140076806A 2014-06-23 2014-06-23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KR20150146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806A KR20150146336A (ko) 2014-06-23 2014-06-23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806A KR20150146336A (ko) 2014-06-23 2014-06-23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336A true KR20150146336A (ko) 2015-12-31

Family

ID=5512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806A KR20150146336A (ko) 2014-06-23 2014-06-23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633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32710B2 (ja) 水を処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
JP6441808B2 (ja) 淡水化装置及び淡水化方法
JPH06277664A (ja) 表流水の膜浄化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299165B1 (ko) 약품 투입 자동 제어가 가능한 가압식 막 여과 장치 및 방법
WO2016199725A1 (ja) 淡水製造装置および淡水製造装置の運転方法
JP2007296500A (ja) 膜分離装置及び膜ろ過方法
JP5151009B2 (ja) 膜分離装置及び膜分離方法
JP6087667B2 (ja) 淡水化方法及び淡水化装置
KR20070096799A (ko) 역침투 장치
KR20100116847A (ko) 지능형 고효율 분리막 유지 세정장치 및 방법
JP5588099B2 (ja) 膜ろ過処理法及び膜ろ過処理装置
KR101609416B1 (ko) 분리막 세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 방법
JP2013212497A (ja) 水処理方法
KR101693100B1 (ko) 스마트 막여과 수처리 시스템
CN115103820B (zh) 造水装置的控制方法和运转方法、造水装置的故障判定方法、造水装置和记录介质
JPH11169851A (ja) 水ろ過処理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115297950B (zh) 造水装置的洗涤故障判定方法和洗涤故障判定程序
JP2007289899A (ja) 膜分離手段の膜洗浄方法及び水処理装置
JP6530931B2 (ja) 脱塩方法、脱塩装置の洗浄方法及び脱塩装置
KR20150146336A (ko) 분리막 세정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분리막 세정방법
JP2017176951A (ja) 分離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
JP4454922B2 (ja) 中空糸型分離膜を用いた濾過装置の制御方法
KR20140128841A (ko) 막모듈의 교차 정수 및 세정 장치와 이의 운전방법
JP5319583B2 (ja) 膜ろ過装置の逆洗方法
JP4834435B2 (ja) 膜ろ過による水処理装置用ストレーナの自動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