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6291A -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6291A
KR20150146291A KR1020140076687A KR20140076687A KR20150146291A KR 20150146291 A KR20150146291 A KR 20150146291A KR 1020140076687 A KR1020140076687 A KR 1020140076687A KR 20140076687 A KR20140076687 A KR 20140076687A KR 20150146291 A KR20150146291 A KR 201501462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lange
plate
protrusions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8281B1 (ko
Inventor
박창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융합에코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융합에코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융합에코기술
Priority to KR102014007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2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6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6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령토 등의 나노물질을 소음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흡음은 물론, 보온 및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편, 친환경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새집증후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알레르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NOISE INSULATION BETWEEN FLOOR USING NANOMATERIAL FOR CONCRETE FLOOR CONSTRUCTION OF ARCHITECTURE}
본 발명은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령토 등의 나노물질을 소음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흡음은 물론, 보온 및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편, 친환경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새집증후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알레르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소음은 다세대주택 혹은 아파트 등에서 주로 발생되는 소음공해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층간소음은 바닥충격음 소리, 피아노 소리, 오디오 소리, 대화소리, TV 소리 등을 총칭하여 부르는 것으로 층간소음 중 바닥충격음은 경량충격음(58㏈ 이하)과 중량충격음(50㏈ 이상)으로 분류된다.
특히, 층간소음 중에서도 콘크리트 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으로써 발생되는 바닥충격음(고체전달음)은 인접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소음은 주로 윗층, 아래층에서 아이들이 뛰는 소리와 물건을 끌어 옮기거나 떨어지는 등의 소리이다.
층간소음은 다른 소음공해와 마찬가지로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며,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이 일반화되면서 이웃 주민 간에 많은 문제와 민원 제기 등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층간소음을 줄이고자 다양한 종류의 층간소음재가 개발되고는 있으나, 건축물의 층간에서 발생되는 진동 및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4557호(2011.08.05.)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령토 등의 나노물질을 소음재의 표면에 도포하여 흡음은 물론, 보온 및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편, 친환경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새집증후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알레르기 등을 예방할 수 있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기초바닥면에 복수 배치되며, 상부에 난방배관이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그 건축물의 바닥에 매설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층간 소음재로서, 플레이트부; 상기 기초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여 그 기초바닥면과의 사이로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하부면을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흡음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는 사이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다수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다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2돌기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1라인과, 상기 제1돌기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반복 형성되는 제2라인이 중앙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라인이 위치되면서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로 가장자리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플랜지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플랜지의 상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개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부 간에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가 상기 복수의 체결공에 결합되면서 반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기 난방배관을 고정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체결클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클립은, 상기 난방배관이 끼움결합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체결바와, 상기 한 쌍의 결합바의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결합바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공과, 상기 다수의 체결공을 이루는 둘레에 각각 연결되어 그 각 체결공을 차단하는 한편, 가압에 따라 그 체결공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은, 상기 다수의 제1,2돌기 및 상기 플랜지에 각각 단수 및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제1라인을 따라 상기 제1돌기 간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복수의 원판홈과, 하부면에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복수의 원뿔홈; 및 상기 제1,2라인 간의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홈 및 상기 원뿔홈과 연통되는 복수의 격자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원뿔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은, 각각 상기 원뿔홈의 하부에 위치되고, 하부가 개방되며, 상기 기초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공으로 인입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뿔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소음재는,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뿔홈을 제외한 상기 이격공간과 상기 가장자리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부와 함께 상기 소음재에 도포되는 나노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파트 등의 건축물의 실내 내부 바닥을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 바닥 시공과 함께 별도의 추가 공사 없이 흡음은 물론, 보온 및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친환경소재를 사용함으로 인해 새집증후군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알레르기 등의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서 플레이트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서 플레이트부가 복수 연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에서 나노물질이 도포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이하 "층간 소음재"라고 한다)(1)는 건축물의 실내 기초바닥면(100)에 복수 배치되며, 상부에 난방배관(120)이 설치되고, 콘크리트(130) 타설에 의해 그 건축물의 바닥(110)에 매립되는 층간 소음재로서, 플레이트부(10), 상기 기초바닥면(100)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10)를 지지하여 그 기초바닥면(100)과의 사이로 진공공간(21)을 형성하는 지지부(20) 및 상기 플레이트부(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음재(30)를 포함한다.
상기 기초바닥면(100)은 아파트 등의 건축물 시공시 실내 내부의 바닥(110)을 이루기 위한 비마감된 상태의 콘크리트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바닥(110)은 그 기초바닥면(100)을 마감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층간 소음재(1)는 상기 기초바닥면(100)의 상부를 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상기 바닥(110)에 상기 난방배관(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층간소음 등의 흡음은 물론, 보온 및 단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상,하부면을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흡음공간(13)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는 사이로 이격공간(14)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출부(1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11), 상기 플레이트(11)의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5)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폴리에틸렌이나, 페트 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재와 함께 장석 분말 등이 고열에 의해 혼합된 상태에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장석이 가지는 기포 등에 의해 흡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복수개가 기초바닥면(100)에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부(10) 간에 상호 결속이 이루어진다.
즉,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부(10)는 각각 서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부 간에 상기 플랜지(15)가 상호 겹치도록 배치되며, 그 플랜지(15)에서 결속이 이루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플랜지(15)는 상기 플레이트(11)의 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사각링 형태를 이루며, 상부면이 상기 돌출부(12)의 상부면과 동일 수평면을 이룬다.
상기 플랜지(15)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복수의 체결공(15a)이 형성되는 제1플랜지(15-1) 및 상기 복수의 체결공(15a)과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돌기(15b)가 형성되는 제2플랜지(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2플랜지(15-1,15-2)는 각각 단수 또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플레이트의 네 측면을 감싸는 형태를 이룬다.
예를 들면, 상기 제1,2플랜지(15-1,15-2)는 각각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ㅡ'자 형태나, 'ㄴ'자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각각 'ㅡ'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ㄴ'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단수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공(15a)과 상기 체결돌기(15b)는 인접하는 다른 플레이트부의 체결돌기 및 체결공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랜지(15-1)에 다른 플레이트부의 제2플랜지가 안착되고, 상기 제2플랜지(15-2)가 또 다른 플레이트부의 제1플랜지가 안착되면서 상호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때, 상기 제1플랜지(15-1)는 상부면이 상기 제2플랜지(15-2)의 상부면보다 그 제2플랜지(15-2)의 두께만큼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복수의 상기 플레이트부(11) 간에 상부면이 동일 수평면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함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부(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랜지(15)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17)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벽(17)은 상기 플랜지(15)를 강성보강하는 한편, 상기 다수의 흡음공간(13)을 감싸면서 소리의 진동 등이 상기 진공공간(21)을 통해 상기 소음재(30)에서 원활하게 공명흡수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층간 소음재(1)는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에 상기 난방배관(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수 또는 복수의 체결클립(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클립(40)은 상기 난방배관(120)이 끼움결합되는 결합부(41)와, 상기 결합부(41)를 상기 플레이트부(10)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부(42)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41)는 상,하부를 가지며 대향되는 한 쌍의 체결바(43)와, 상기 한 쌍의 체결바(43)의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44)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41)는 내측면이 상기 난방배관(120)을 감싸는 곡면 형태를 이루며, 상기 한 쌍의 체결바(43)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턱(43a)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42)는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44)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45) 및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45)에는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45a)을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부(10)에는 상기 고정부(42)가 끼움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공(18)이 형성되며, 그 다수의 체결공(18)은 상기 다수의 돌출부(12) 및 상기 제2플랜지(15-2)에 각각 단수 및 복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부(10)는 상기 각 체결공(18)을 차단하는 한편, 가압에 따라 그 체결공(18)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차단판(18a)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층간 소음재(1)는 상기 난방배관(120)이 통과되는 위치의 상기 차단판(18a)을 분리하여 상기 체결공(18)에 상기 체결클립(40)을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돌출부(12)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적어도 두 가지 이상의 형태가 공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다수의 돌출부(12)는 사각 형태를 이루는 다수의 제1돌기(12a) 및 상기 제1돌기(12a)보다 상대적으로 큰 다수의 제2돌기(12b)를 포함한다.
상기 플레이트(11)에는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돌기(12a,12b)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1라인(12-1)과, 상기 제1돌기(12a)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반복 형성되는 제2라인(12-2)이 중앙부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플레이트(1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라인(12-1)이 위치되고, 상기 제2라인(12-2)을 이루는 상기 제1돌기(12a)는 상기 제1라인(12-1)을 이루는 상기 제2돌기(12b)의 일측 또는 타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2라인(12-2)은 상기 제1라인(12-1)과 비교하여 볼 때, 상기 제1돌기(12a) 간이 상기 제2돌기(12b)가 위치될 정도의 간격만큼 이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11)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2라인(12-2)이 위치되면서 상기 플랜지(15)와의 사이로 상기 가장자리홈(16)을 형성한다.
상기 이격공간(14)은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라인(12-2)을 따라 상기 제1돌기(12a) 간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복수의 원판홈(14a)과 복수의 원뿔홈(14b) 및 상기 제1,2라인(12-1,12-2) 간의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홈(14a) 및 상기 원뿔홈(14b)과 연통되는 복수의 격자홈(14d)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제1돌기(12a)는 상기 원판홈(14a) 또는 상기 원뿔홈(14b)의 둘레를 이루면서 양측면 또는 전,후면이 곡면을 이룬다.
상기 복수의 원뿔홈(14b)은 각각 하부면이 상기 플레이트(11)의 하부면보다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각 원뿔홈(14b)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수단(2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22)은 각각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초바닥면(10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을 방진하는 한편, 표면이 고르지 못한 상기 기초바닥면(100)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10)가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원뿔홈(14b)은 하부면에 중공(14c)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22)은 각각 상기 원뿔홈(14b)의 하부에 위치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초바닥면(100)에 안착되는 지지부재(23),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23)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공(14c)으로 인입되는 지지바(24) 및 상기 원뿔홈(14b)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바(24)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25)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바(24)는 상기 지지부재(23)의 하중에 의해 상기 원뿔홈(14b)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그 지지부재(23)를 상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다시 상기 원뿔홈(14b)으로 인입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원뿔홈(14b)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기 층간 소음재(1)를 매립하기 위한 콘크리트(130)가 유입되며,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22)은 각각 상기 원뿔홈(14b)으로 유입되는 콘크리트(1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기초바닥면(100)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로 상기 바닥(110)에 매립된다.
상기 소음재(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원뿔홈(14b)을 제외한 상기 이격공간(14)과 상기 가장자리홈(16)에 수용되며, 상기 플랜지(15) 및 상기 돌출부(12)와 동일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음재(30)는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Echo Lightweight Concrete)로 이루어지며, 그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는 시멘트, 규사, 생석회 등을 포함하는 무기질재료와, 발전소폐기물인 플라이 애쉬, 고로 슬래그 및 조개껍질 등의 폐기물을 원료로 한다.
상기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는 가소성을 가지므로 인해 상기 가장자리홈(16)과 상기 다수의 원뿔홈(14b)을 제외한 상기 이격공간(14)에 수용된 상태에서 굳어지면서 상기 플레이트부(10)에 결합된다.
상기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는 다수의 기포(31)가 형성되면서 층간소음 등의 소리의 진동을 공명흡수하는 방음성을 가지며, 무기질재료로 이루어지면서 불연성 및 내화성을 갖는다.
또한, 상기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는 단열성을 갖는 것은 물론, 세균, 곰팡이, 벌레번식 등을 억제하며, 경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운반 및 건축물 자체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층간 소음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부(10)와 함께 상기 소음재(30)에 도포되는 나노물질(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나노물질(50)은 고령토 등을 포함하며,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하는 한편, 음이온 등이 방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상기 층간 소음재(1)는 열이 외부로 방열되는 것을 차단함으로 인해 보온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음이온을 통한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층간 소음재 10 : 플레이트부
11 : 플레이트 12 : 돌출부
12-1 : 제22라인 12-2 : 제1라인
12a : 제1돌기 12b : 제2돌기
13 : 흡음공간 14 : 이격공간
14a : 환형홈 14c : 중공
14d : 격자홈 15 : 플랜지
15-1 : 제1플랜지 15-2 : 제2플랜지
16 : 가장자리홈 17 : 측벽
18 : 체결공 18a : 차단판
20 : 지지부 21 : 진공공간
22 : 지지수단 23 : 지지부재
24 : 지지바 25 : 걸림턱
30 : 소음재 40 : 체결클립
41 : 결합부 42 : 고정부
43 : 체결바 43a : 이탈방지턱
44 : 지지판 45 : 체결돌기
45a : 걸림턱 50 : 나노물질
100 : 기초바닥면 110 : 바닥
120 : 난방배관 130 : 콘크리트

Claims (7)

  1. 건축물의 기초바닥면에 복수 배치되며, 상부에 난방배관이 설치되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그 건축물의 바닥에 매설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층간 소음재로서,
    플레이트부;
    상기 기초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플레이트부를 지지하여 그 기초바닥면과의 사이로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지지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소음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하부면을 갖는 사각 형태를 이루며, 상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가 개구되어 내측으로 흡음공간을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는 사이로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의 둘레로부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플랜지; 및
    상기 플랜지의 하부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벽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다수의 제1돌기; 및
    상기 제1돌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다수의 제2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상기 제1,2돌기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제1라인과, 상기 제1돌기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반복 형성되는 제2라인이 중앙부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형태를 이루며,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라인이 위치되면서 상기 플랜지와의 사이로 가장자리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하 방향으로 통공되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플랜지; 및
    상기 복수의 체결공과 대응되는 복수의 체결돌기가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제1플랜지의 상부면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제2플랜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레이트부는,
    복수개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플레이트부 간에 상기 복수의 체결돌기가 상기 복수의 체결공에 결합되면서 반복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에 상기 난방배관을 고정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체결클립을 더 포함하되,
    상기 체결클립은,
    상기 난방배관이 끼움결합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체결바와, 상기 한 쌍의 결합바의 하부를 연결하는 지지판과, 상기 한 쌍의 결합바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이탈방지턱을 포함하는 결합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부가 상기 지지판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체결돌기와, 상기 한 쌍의 체결돌기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플레이트부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체결공과, 상기 다수의 체결공을 이루는 둘레에 각각 연결되어 그 각 체결공을 차단하는 한편, 가압에 따라 그 체결공을 이루는 둘레로부터 분리되는 다수의 차단판을 포함하되,
    상기 체결공은,
    상기 다수의 제1,2돌기 및 상기 플랜지에 각각 단수 및 복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격공간은,
    상기 제1라인을 따라 상기 제1돌기 간의 사이에 순차적으로 반복 형성되는 복수의 원판홈과, 하부면에 중공이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복수의 원뿔홈; 및
    상기 제1,2라인 간의 사이로 형성되며, 상기 원판홈 및 상기 원뿔홈과 연통되는 복수의 격자홈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각 원뿔홈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지지수단은,
    각각 상기 원뿔홈의 하부에 위치되며,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기초바닥면에 안착되는 지지부재;
    하단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고, 상단부는 상기 중공으로 인입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의 상단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원뿔홈의 내측에 위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재는,
    친환경 경량 기포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원뿔홈을 제외한 상기 이격공간과 상기 가장자리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와 함께 상기 소음재에 도포되는 나노물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KR1020140076687A 2014-06-23 2014-06-23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KR101598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87A KR101598281B1 (ko) 2014-06-23 2014-06-23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687A KR101598281B1 (ko) 2014-06-23 2014-06-23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6291A true KR20150146291A (ko) 2015-12-31
KR101598281B1 KR101598281B1 (ko) 2016-02-26

Family

ID=5512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687A KR101598281B1 (ko) 2014-06-23 2014-06-23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8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60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고무 주식회사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간격조절 이음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940A (ko) * 2004-12-28 2006-07-03 김유성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200428518Y1 (ko) * 2006-07-25 2006-10-13 이성종 바닥시공재
KR200436205Y1 (ko) * 2006-12-13 2007-07-02 주식회사 미넥스 소음저감이 가능한 바닥시공재
KR101054557B1 (ko) 2008-12-12 2011-08-05 (주)대한솔루션 층간소음재
KR20130123127A (ko) * 2012-05-02 2013-11-12 주식회사 그린지엠테크 바닥 시공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4940A (ko) * 2004-12-28 2006-07-03 김유성 건축용 온돌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200428518Y1 (ko) * 2006-07-25 2006-10-13 이성종 바닥시공재
KR200436205Y1 (ko) * 2006-12-13 2007-07-02 주식회사 미넥스 소음저감이 가능한 바닥시공재
KR101054557B1 (ko) 2008-12-12 2011-08-05 (주)대한솔루션 층간소음재
KR20130123127A (ko) * 2012-05-02 2013-11-12 주식회사 그린지엠테크 바닥 시공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5160A (ko) * 2019-12-30 2021-07-08 한국고무 주식회사 완충 기능을 가지는 간격조절 이음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8281B1 (ko)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284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KR101480328B1 (ko) 복층구조의 층간소음 방지 구조물
KR20110020099A (ko) 공기층으로 소음을 유도하는 층간소음 방지장치
KR101699724B1 (ko) 바닥 충격음 방지 건축물 슬래브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20090013486A (ko) 층간 차음재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1604583B1 (ko) 층간소음방지매트
KR101528779B1 (ko) 다기능 층간소음 저감장치
KR102258997B1 (ko)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용 모듈형 건식온돌 및 그 시공방법
KR101598281B1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용 나노물질을 이용한 층간 소음재
KR100908920B1 (ko) 콘크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슬래브 시공구조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200079705A (ko)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322735B1 (ko) 공용주택 층간 소음 방지 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98788B1 (ko) 공동 주거 건물용 층간 방음층
KR100827841B1 (ko) 층간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경량패널 및 이를 이용한차음바닥구조
KR20070067855A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저감장치
KR20130123127A (ko) 바닥 시공재
KR20130031967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2024065B1 (ko)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110137921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2130216B1 (ko) 리모델링 전용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454900B1 (ko) 층간차음재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