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583B1 - 층간소음방지매트 - Google Patents

층간소음방지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583B1
KR101604583B1 KR1020140087531A KR20140087531A KR101604583B1 KR 101604583 B1 KR101604583 B1 KR 101604583B1 KR 1020140087531 A KR1020140087531 A KR 1020140087531A KR 20140087531 A KR20140087531 A KR 20140087531A KR 101604583 B1 KR101604583 B1 KR 101604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mat
floor
wal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7201A (ko
Inventor
정정애
Original Assignee
정정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애 filed Critical 정정애
Priority to KR1020140087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58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매트(100)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부의 바닥 또는 벽면에 시공이 가능하며, 기포 및 소음기형태의 2중 구조를 갖음으로써, 충격완화 및 소음방지기능을 중복 수행하게 함으로써 충격완화 및 소음방지 효과를 높이면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얇은 두께로 인하여 바닥면 상승을 유발하지 않고, 일정한 판재로 완성되어 다양한 현장에서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며, MORTAR 바닥면에 직접설치할 경우, 벽체마감바를 설치함으로써 MORTAR 마감층에서 발생된 진동소음을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뿐더러, 기존의 건축구조 및 시설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누구나 설치가 용이할 뿐더러, 대중화가 용이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층간소음방지매트{FLOOR NOISE PREVENTION MAT}
본 발명은 층간소음방지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거 및 기타 공간에서의 층간 또는 인접한 공간 간의 음 소음과 진동 소음을 흡수 완화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는 층간소음방지매트에 관한 것이다.
층간소음방지매트란, 층간 또는 인접한 공간에서 발생 되는 음 소음과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매트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존의 소음방지매트는, 소음방지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두께와 부피가 커지거나, 또한, 기능면에 있어서 음 소음과 충격에 의한 진동소음을 저감하는 기능들이 다소 부족한 부분이라 하겠다.
또한, 기존의 건축물 구조상 음 소음과 진동 소음을 줄이기가 매우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주거공간에서의 소음으로 인한 사회문제가 빈번히 발생하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기존의 건축 구조물 및 시설을 변형하지 않고 소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소음방지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기술적인 면과 경제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기존의 주거공간의 바닥 및 벽면에 누구나 쉽게 설치하게 함으로써, 빈번히 발생하는 사회문제의 해결뿐만 아니라 쾌적한 주거환경을 구현하기 위한 일환으로 발명되었으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함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개발할 수 없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KR 20-0216782 B2 KR 10-2009-0113528 A KR 200315770 Y1 KR 101308380 B1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건물의 층별 상,하층 및 인접한 공간에서 소음이 발생했을 경우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기존의 건축구조 및 시설물을 변형하지 않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기존의 평당, ㎡당 시공단가를 최소화하여 기술적인 면과 경제적인 면에 있어서 실시가 용이하게 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바닥 및 벽면에 단순 배열 및 부착하는 형태로 설치하며, 설치에 따른 소음감소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슬라브바닥면과 MORTAR 층 사이에 직접시공할 경우 소음감소효과는 물론, 층간 보온, 단열재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써(보온, 단열재 생략) 시공원가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방지매트를 설치하더라도 층간 높이 및 기존건축 시공단가에 큰 영향을 주지않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건물의 내부 바닥면 및 벽체 또는 슬라브바닥면에 직접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매트에 있어서, 발포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도록 판재형상으로, 판재의 양쪽표면 중 한쪽 표면이 EMBOSSING 형태로 형성되어진 제1 중간완성재; 및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몸 둘레가 둥글고 길며 속이 비어있으며 일정 간격으로 몸 둘레가 일정길이로 좁아졌다 넓어지는 형상이 반복되는 관 형태의 제2 중간완성재를 이용하여, 상부와 하부에 제1 중간완성재를 EMBOSSING 형태의 표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상층부와 하층부에 배치하고 그 중간에 제2 중간완성재를 적층 배열하여 상호 접착 성형하여 판재형상의 층간소음방지매트가 형성되어 지되, 상기 주거공간 내부의 바닥면 및 벽면에 상기 층간소음방지매트를 배열 또는 부착하고, 상호 이음매부분에 매트마감바를 설치하여 상호 결속력을 향상시키고, 층간소음방지매트와 벽면과의 사이에 벽체마감바를 설치하여, 수축팽창에 따른 벽체와 층간소음방지매트와의 이격 현상 및 매트의 유동성을 최소화하고, 진동소음이 MORTAR 마감층에서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러브 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층간소음방지매트 상부에 WIRE MESH를 설치하고 클립으로 상호 결속함으로써, 모르타르 타설시 들뜸 및 이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진동소음과 음 소음을 동시에 해결해야 함으로써 발생 되는 제품의 두께와 기능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여, 기존의 시설물을 변형하지 않고, 건축 내부의 바닥면과 벽면 또는 슬라브바닥면에, 시공이 가능케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는, 판재형의 제품으로 바닥 또는, 벽면에 단순배열하는 방식이며, 현장상황에 따라 손쉽게 가공 절단이 용이하여, 누구나 설치가 가능하다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층간소음방지제는 슬라브바닥면에 설치한 후 상부에 온수배관 및 기타공정을 완료하고 MORTAR 마감 층을 형성할 경우, MORTAR 층의 진동소음이 벽체로 전달되거나, 층간소음방지제와, 슬라브바닥면 및 MORTAR 층과의 열팽창계수의 차이로 벽체와의 이격이 발생하여 소음방지효과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바. 벽체마감바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층간소음방지매트 상부에 WIRE MESH를 설치하고 클립으로 상호 결속함으로써, 모르타르 타설시 들뜸 및 이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서,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에 따른 하자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의 제1 중간완성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의 제2 중간완성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의 제2 중간완성재의 적층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체마감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매트마감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와 슬라브바닥면 사이로 흘러들어온 모르타르가 석인 물이 슬라브바닥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결속을 강화시키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은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않 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건물 내부 바닥면 또는 벽면 및 슬라브바닥면에 직접시공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합성수지에 적당량의 방염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여 발포 압착하여 1/㎜ ~ 2/㎜ 두께로 일정규격의 수지판재(200)로, 판재의 바깥 표면의 한쪽 표면을 엠보싱 형태로 성형함으로써, EMBOSSING 형태의 표면(220)요철부에 의해서 바닥면과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수축팽창에 따른 유동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발포된 기공(210)으로 인하여, 소음방지효과 및 충격에 대한 완충 작용을 유발할 수 있는 제1 중간완성재(200)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에 적당량의 방염제 및 방향제를 첨가하여, 몸 둘레가 둥글고 길며 속이 비어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몸 둘레가 일정길이로 좁아졌다 넓어지는 형상이 반복되는 관 형태로, 몸 둘레를 형성하는 관의 두께가 1/㎜ ~ 2/㎜ 정도이며, 몸 둘레가 넓은 길이부분의 내경은 3/㎜ ~ 10/㎜ 정도로 형성되어 지며, 몸 둘레가 좁은 길이부분의 내경은 1.5/㎜ ~ 3/㎜ 정도로 형성되어 지되, 외형은 요철(320)이 형성된 형태이며 내부공간은 소음기부(3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형태의 관(200)으로 성형함으로써, 소음기부(310)로 인한 소음방지효과 및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상승시킬 수 있는 제2 중간완성재(300)를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 중간완성재(200)를 EMBOSSING 형태의 표면(220)이 바깥을 향하도록 상층부와 하층부에 배치하고, 그리고 제2 중간완성재(300)를 제1 중간완성재(200)의 상층부와 하층부 사이에, 도 5와 같이 적층배열하고, 일정규격의 판재로 접착 성형하여,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도 2와 같이 완성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에 있어서,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단면이 역상형 F자 형태의 일정길이와 두께 및 모르타르 마감층 상부까지 돌출될 수 있는 일정 높이로, 수직판제의 하부의 한쪽면에서 수평으로 일정길이의 하부 단턱부(420)가 형성되고,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두께만끔 상부로 이격되어 상부단턱부(410)가 형성되어지는 발포형 벽체마감바(400)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벽체와 층간소음방지매트(100)가 접촉되는 부위에 벽체마감바(400)를 설치하되, 벽체마감바(400)의 하부 단턱부(420)는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밑면을 감싸고, 상부 단턱부(410)는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윗면을 감싸도록 하여, 층간소음방지트(100)가 벽체마감바(400)의 하부 단턱부(420)와 상부 단턱부(410) 사이에 도 1과 같이 삽입되게 하여,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수축, 팽창 및 시공에 의한 벽체와의 이격 현상에 의한 소음방지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에 있어서,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H빔 형태의 일정 두께와 높이 및 길이로 발포형 매트마감바(500)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도 7의 정 단면도와 같이, H빔 형태로써, 수직판재의 하부에서 좌우로 돌출된 단턱부(520)와 상부의 좌우로 돌출된 단턱부(510) 사이에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도 1과 같이 삽입함으로써 들뜸 현상 및 이격 현상에 의한 소음방지효과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설치방법을 살펴보면, 실내 바닥면에 단순 배열하는 방식이며, 벽체에는 접착에 필요한 다카 핀 또는 접착용 본드를 이용하여 부착할 수 있으며, 매트와 매트 상호 연결부위를 매트마감바(500)를 사용하여 들뜸 및 이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슬라브바닥면에 설치할 경우, 슬라브바닥면에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배열하고, 층간소음방지매트(100) 상호 연결부위에 매트마감바(500)를 설치하고, 벽체와 층간소음방지매트(100)가 접촉되는 부위에 벽체마감바(400)를 설치한 후, 층간소음방지매트(100) 상부에 WIRE MESH(700)를 설치하고 클립(600)으로 상호 결속함으로써, 모르타르 타설시 들뜸 현상 및 이격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모르타르 마감층에서 발생 되는 진동소음이 벽체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모르타르 타설시 모르타르가 섞인 물이 바닥을 타고 흐르면서,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하부 면에 형성된, EMBOSSING 형태의 표면(2200)의 홈에 의하여 바닥면에 요철(800)이 형성되어 결속을 강화함으로써,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수축팽창에 따른 유동 및 벽체와의 이격 현상을 최소화하여 지속적인 소음방지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기존의 건축구조 및 시설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고 그대로 적용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두께가 얇으면서 높은 소음방지 효과로 바닥면상승을 유발하지 않음으로써, 층간 높이에 영향을 주지 않아, 사용이 용이하다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일정한 규격의 판재로 성형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상황에 따라 가공이 용이하여 누구나 시공이 가능하다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방지매트(100)는, 폐수지를 재활용할 수 있어서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뿐더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음으로써 다양한 현장에서 실행이 가능하다 하겠다.
따라서, 층간소음은 대다수의 건축물이 안고 있는 공통의 문제로, 사회문제가 빈번히 발생 되는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상기와 같이 소음방지효과가 높으면서, 낮은 생산단가와 일정규격의 얇은 판재로 성형 되어 바닥높이의 상승을 크게 유발하지 않으며, 또한, 누구나 시공이 용이한 특성으로 인하여, 대중화가 용이하다 하겠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층간소음방지매트
200 : 1차 중간완성재
210 : 발포된 기공 220 : EMBOSSING 형태의 표면
300 : 2차 중간완성재
310 : 소음기부 320 : 요철
400 : 벽체마감바
410 : 상부 단턱부 420 : 하부 단턱부
500 : 매트마감바
510 : 상부 단턱부 520 : 하부 단턱부
600 : 클립 700 : WIRE MESH
800 : 요철

Claims (4)

  1. 건물 내부의 바닥면 및 벽체 또는 슬라브바닥면에 직접설치되는 층간소음방지매트(100)에 있어서 .
    발포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기공(210)이 형성되도록 일정두께의 판재형상으로, 판재의 양쪽표면 중 한쪽 표면이 EMBOSSING 형태로 형성되어진 제1 중간완성재(200); 및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을 이용하여, 몸 둘레가 둥글고 길며 속이 비어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몸 둘레가 일정길이로 좁아졌다 넓어지는 형상이 반복되는 관 형태로 외형은 요철(320)이 형성된 형태이며, 내부공간은 소음기부(31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형태의 관으로 형성되어진, 제2 중간완성재(300);를 성형하여,
    상부와 하부에, 상기 제1 중간완성재(200)를, EMBOSSING 형태의 표면이 바깥을 향하도록 상층부와 하층부에 배치하고, 그 중간층에, 제2 중간완성재(300)를 적층 배열하여, 접착 성형한, 판재형상의 층간소음방지매트(10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건물 바닥 또는, 벽면 및 슬라브바닥면에 상기 층간소음방지매트(100)를 설치하고, 층간소음방지매트(100) 상호 연결부위에는 매트마감바(500)를 설치하고, 벽체와 층간소음방지매트(100)가 접촉되는 부위에 벽체마감바(400)를 설치한 후, 층간소음방지매트(100) 상부에 WIRE MESH를 설치하고 상호 결속함으로써, 진동소음과 음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매트.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방지매트(100)의 제2 중간완성재(100)는, 외부의 요철형상(320)에 의하여, 관 내부공간에 일정간격으로 소음기부(310)가 형성된 것과, 관을 적층 배열하여 충격완화와 진동소음 및 음 소음을 감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방지매트.



  4. 삭제
KR1020140087531A 2014-07-11 2014-07-11 층간소음방지매트 KR101604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31A KR101604583B1 (ko) 2014-07-11 2014-07-11 층간소음방지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531A KR101604583B1 (ko) 2014-07-11 2014-07-11 층간소음방지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01A KR20160007201A (ko) 2016-01-20
KR101604583B1 true KR101604583B1 (ko) 2016-03-17

Family

ID=55307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531A KR101604583B1 (ko) 2014-07-11 2014-07-11 층간소음방지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5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59A (ko)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자이디 말아 감을 수 있는 층간 차음 매트
KR102274040B1 (ko) 2020-05-26 2021-07-09 김주윤 층간 소음방지 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954B1 (ko) 2021-04-16 2022-04-01 주식회사 꿈비 독립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매트
KR102537282B1 (ko) 2022-03-08 2023-05-26 주식회사 꿈비 단위매트 별로 분해 조립이 가능한 층간소음 방지용 매트
KR102601198B1 (ko) 2023-04-24 2023-11-09 주식회사 보림엘텍 압축펠트 융착형 미세발포 방진방음시트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6B1 (ko) 2006-09-19 2007-09-13 이홍석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782Y1 (ko) 2000-06-13 2001-03-15 김동일 바닥충격음 방지재
KR200315770Y1 (ko) 2003-03-21 2003-06-18 이용백 건물의 바닥충격 방음판넬
KR100987212B1 (ko) 2008-04-28 2010-10-1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바닥 충격음 흡수 패널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충격음 흡수 패널
KR101308380B1 (ko) 2013-07-31 2013-09-16 주식회사 제이월드산업 바닥용 완충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36B1 (ko) 2006-09-19 2007-09-13 이홍석 층간 소음 차단용 피브이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4259A (ko)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자이디 말아 감을 수 있는 층간 차음 매트
KR102274040B1 (ko) 2020-05-26 2021-07-09 김주윤 층간 소음방지 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7201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583B1 (ko) 층간소음방지매트
KR101548985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차음 바닥 구조물
KR100918595B1 (ko) 층간소음 방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440975Y1 (ko) 층간소음방지패널의 지지발 구조
KR101976928B1 (ko) 층간소음방지 및 충격흡수구조
KR101576076B1 (ko) 건축물용 층간 바닥구조물
KR102077086B1 (ko) 건물 바닥충격음 방지구조체
KR102403744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79167B1 (ko) 건축물의 경량층격음 및 중량충격음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101526541B1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28590B1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1488443B1 (ko) 층간소음 저감용 진동흡진기 및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
KR101564509B1 (ko) 소음방지매트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101575573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2010008622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1956825B1 (ko) 건축용 층간 소음 방지용 바닥재
KR2015011117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CN101297091A (zh) 用于减小撞击声的地板和使用该地板的炕式系统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101838656B1 (ko) 구조체에서 전달되는 진동소음과 비내력벽 이음부를 통한 공기전달음을 저감시키는 벽체의 시공방법
KR101380710B1 (ko) 층간 소음방지용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