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416A - 등주용 배전반장치 - Google Patents

등주용 배전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416A
KR20150145416A KR1020140074759A KR20140074759A KR20150145416A KR 20150145416 A KR20150145416 A KR 20150145416A KR 1020140074759 A KR1020140074759 A KR 1020140074759A KR 20140074759 A KR20140074759 A KR 20140074759A KR 20150145416 A KR20150145416 A KR 2015014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line
fixing
inner space
fix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471B1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창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창우
Priority to KR1020140074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등주에 설치된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등주에 내장하면서 부속장비들이 셋트화 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고장시에 등주에 장착 및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주용 배전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전자장치들에 각각 연결되는 내부라인(101)이 배선되고, 내부라인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등주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라인(102)이 배선되는 등주(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등주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며, 내부에 등주에 장착된 전자장치에 연결된 부속장비(20)를수용하면서 케이스(200)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속장비(20)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와;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속장비(20)를 등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라인연결부(400) 및 제2라인연결부(5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등주용 배전반장치{DISTRIBUTION APPARATUS FOR POLE}
본 발명은 등주에 설치된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등주에 내장하면서 부속장비들이 셋트화 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고장시에 등주에 장착 및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주용 배전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횡단보도에 설치되는 신호등(11) 등주에는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보행자에게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11)이 설치되고, 횡단보도나 도로를 조명하는 램프 또는 보행자나 차량에게 경고하는 비상등 또는 도로를 촬영하여서 감시하는 CCTV 또는 보행자나 차량에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등(11), 램프, 비상등, CCTV(13),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이 배전반함체에 수용된 상태로 도로의 일정공간을 점유하여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배전반은 별도의 시설물로 제작되어 도로변의 일정공간을 점유하게 됨에 따라 보행자의 보행공간을 일정부분 차지하여 보행에 불편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호등(11), 램프, 비상등, CCTV, 스피커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들이 케이스에 개별적으로 수용되어 있어서 전체적인 교체가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2716호가 2002.01.18.일자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등주에 설치된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등주에 내장하면서 부속장비들이 셋트화 됨에 따라 부속장비의 고장시에 등주에 장착 및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등주용 배전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는,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전자장치들에 각각 연결되는 내부라인(101)이 배선되고, 내부라인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등주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라인(102)이 배선되는 등주(100)의 내부에 장착되며, 등주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며, 내부에 등주에 장착된 전자장치에 연결된 부속장비(20)를수용하면서 케이스(200)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속장비(20)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와;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속장비(20)를 등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라인연결부(400) 및 제2라인연결부(500)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자장치는 신호등(11), 비상등(12), CCTV(13) 및 스피커(14), 램프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200)는 내부에 부속장비(20)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을 커버하는 일측케이스(210)와, 일측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200)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타측케이스(220)와,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를 분리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된 부속장비(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금속이나 방열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는 테두리에 방수를 위한 밀폐링(2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록킹부(230)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 각각의 타단을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의 테두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로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케이스(200)는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등주(100)의 내부공간에는 케이스(200)를 고정시키도록 등주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일측케이스(210)이나 타측케이스(220)의 일측이나 양측에 돌출되어 등주 고정부(120)에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등주 고정부(120)는 등주(100)의 내주면에서 내부공간으로 끝단이 돌출되는 나사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고정부(250)는 일측케이스(210)이나 타측케이스(220)의 일측이나 양측에 돌출되어 등주 고정부(120)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는 플로그나 단자로 형성되어 각각의 라인에 착탈식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고정부재(300)는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에 각각 수용되며, 부속장비(2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등주에 설치된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등주에 내장됨에 따라 도로의 일정공간을 점유하지 않는 이점이 있고, 부속장비들이 셋트화 됨에 따라 등주에 장착 및 교체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홍수 등에 의해서 등주가 물에 잠기더라도 누전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가 장착된 등주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에 비상등, CCTV 및 스피커를 각각 제어하는 부속장비들이 수용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의 케이스에 부속장비들이 수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의 케이스가 록킹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 케이스의 내부를 보인 것으로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에 비상등, CCTV 및 스피커가 부속장비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가 등주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서 장착되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등주용 배전반장치는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는 케이스(200)와, 고정부재(300)와,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를 포함한다.
등주용 배전반장치가 적용되는 등주(100)는 횡단보도에 설치되거나 또는 교차로 등에 위치하면서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된다. 등주의 내부에는 각각의 전자장치들을 제어하는 전원 또는 제어라인이 배선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등주의 일측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0)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자장치는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신호를 표시하는 신호등(11), 비상상태에 대응되는 빛을 발산하는 비상등(10), 도로의 주변을 촬영하는 CCTV(13) 및 비상상태에 대응되는 음향이 출력되거나 도로를 관리하는 관리자의 안내멘트가 출력되는 스피커(12), 도로의 주변에 빛을 제공하는 램프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등주(100)의 내부공간에는 전자장치들에 각각 연결되는 내부라인(101)이 배선되고, 내부라인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등주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라인(102)이 위치한다. 외부라인은 내부라인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 통신선, 신호선 등을 포함한다. 이때,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은 각각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라인연결부(400) 및 제2라인연결부(500)에 연결되는 전선연결부(1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선연결부(103)는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에 각각 접속되어 도통상태를 이루도록 플러그나 단자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전선연결부(103)를 통해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을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에 편리하게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등주(100)의 내부공간에는 케이스(200)를 고정시키도록 등주 고정부(120)가 형성된다. 이때, 등주 고정부(120)는 등주(100)의 내주면에서 내부공간으로 끝단이 돌출되는 나사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로 구성되어 등주(100)의 내주면에서 좌우양측에 구비될 수 있고 상하로 이격되어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케이스는 고정부에 나사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케이스(200)는 등주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며 고정되며, 내부에 등주에 장착된 전자장치에 연결된 부속장비(20)인 제어장치(21), 누전차단기(22), 단자함(23) 등을 수용하면서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보호한다. 이러한 케이스(200)는 내부에 부속장비(20)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을 커버하는 일측케이스(210)와, 일측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200)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타측케이스(220)와,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를 분리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2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케이스(200)의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는 내부에 수용된 부속장비(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금속이나 방열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된 부속장비(20)에서 발생되는 열이 후술하는 고정부재(300)를 따라서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로 전달되어 외부로 방열시킬 수 있어 열에 의한 고장이 발생되지 않으면서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는 테두리에 방수를 위한 밀폐링(240)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밀폐링(240)은 서로 마주되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의 테두리에 밀착될 수 있어서 외부로부터 침투되는 습기를 차단하여서 내부에 수용되는 부속장비(20)가 침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록킹부(230)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 각각의 타단을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의 테두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록킹부재(230)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를 분리가능하게 록킹시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언제든지 편리하게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스(200)에는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25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 고정부(250)는 일측케이스(210) 또는 타측케이스(220)의 일측이나 양측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전술한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된 등주 고정부(120)에 고정된다. 이때, 등주 고정부(120)가 나사축으로 형성되면서 등주(100)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는 경우에 케이스 고정부(250)는 나사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돌출편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케이스 고정부(250)의 돌출편이 등주 고정부(120)의 나사축에 끼워져서 걸리게 되므로 사용자가 케이스(200)를 밀어서 등주(100)의 내부공간으로 정확한 위치에 수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고정부(250)가 등주 고정부(120)인 나사축이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부(130)인 너트부재가 나사결합됨에 따라 케이스(200)가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안정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속장비(20)를 등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라인연결부(400) 및 제2라인연결부(500)가 형성된다. 이때,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는 플로그나 단자로 형성되어 각각의 라인에 착탈식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라인연결부(400)는 케이스(200)의 일측에서 내부라인(101)과 부속장비(20)의 출력측이 플러그와 단자로 연결되고, 제2라인연결부(500)는 제1라인연결부(400)와 대응되도록 케이스(200)의 타측에서 내부라인(101)에 대응되는 외부라인(102)과 부속장비(20)의 입력측이 플러그와 단자로 연결되어 케이스의 교체시에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고정부재(300)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속장비(20)들을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부재(300)는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에 각각 수용되며, 부속장비(2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310)이 형성된다. 즉, 부속장비(20)의 양측이 고정홈(310)에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된 상태로 고정부재(300)들이 케이스(200)에 수용되어서 보호될 수 있어서, 고정부재의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300)는 부속장비(20)에서 발생된 열을 케이스로 전달할 수 있도록 방열성능이 우수한 수지로 제작된 방열플라스틱폼, 스티로폼, 스펀지 등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상태로 장착되어서 사용되므로 도로의 일정공간을 점유하지 않아서 보행자의 보행에 불편을 주지 않고,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서 미관상 이로움이 있어서 가로등이나 보안등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비상등 11 : 신호등
12 : 스피커 13 : CCTV
20 : 부속장비 21 : 제어장치
22 : 누전차단기 23 : 단자함
100 : 등주 101 : 내부라인
102 : 외부라인 103 : 전선연결부
110 : 개폐도어 120 : 등주 고정부
130 : 체결부
200 : 케이스 210 : 일측케이스
220 : 타측케이스 230 : 록킹부
240 : 밀폐링 250 : 케이스 고정부
300 : 고정부재 310 : 고정홈
400 : 제1라인연결부 500 : 제2라인연결부

Claims (11)

  1. 각종 전자장치가 설치되고, 일측에는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개폐도어(110)가 형성되고, 내부공간에는 전자장치들에 각각 연결되는 내부라인(101)이 배선되고, 내부라인과 소정거리 이격된 상태로 등주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된 외부라인(102)이 배선되는 등주(100)에 장착되며,
    등주의 내부공간에 고정되며, 내부에 등주에 장착된 전자장치에 연결된 부속장비(20)를수용하면서 케이스(200)와;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면서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부속장비(20)들을 고정하는 고정부재(300)와;
    케이스의 양측면에는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속장비(20)를 등주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라인(101)과;
    외부라인(10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1라인연결부(400) 및 제2라인연결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등주에 장착된 전자장치는 신호등(11), 비상등(12), CCTV(13) 및 스피커(14), 램프 중에서 선택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200)는 내부에 부속장비(20)가 수용되도록 일측면을 커버하는 일측케이스(210)와, 일측케이스(210)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케이스(200)의 타측면을 커버하는 타측케이스(220)와,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를 분리가능하게 록킹시키는 록킹부(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200)의 내부에 수용된 부속장비(20)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시키도록 금속이나 방열플라스틱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는 테두리에 방수를 위한 밀폐링(2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록킹부(230)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 각각의 타단을 동시에 관통하는 볼트와 볼트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되거나 또는, 일측케이스(210)와 타측케이스(220)의 테두리를 집어서 고정시키는 집게로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케이스(200)는 등주(100)의 내부공간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케이스 고정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등주(100)의 내부공간에는 케이스(200)를 고정시키도록 등주 고정부(120)가 형성되고, 일측케이스(210)이나 타측케이스(220)의 일측이나 양측에 돌출되어 등주 고정부(120)에 체결되는 케이스 고정부(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등주 고정부(120)는 등주(100)의 내주면에서 내부공간으로 끝단이 돌출되는 나사축으로 형성되고, 케이스 고정부(250)는 일측케이스(210)이나 타측케이스(220)의 일측이나 양측에 돌출되어 등주 고정부(120)의 나사축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제1라인연결부(400)와 제2라인연결부(500)는 플로그나 단자로 형성되어 각각의 라인에 착탈식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고정부재(300)는 일측케이스(210) 및 타측케이스(220)에 각각 수용되며, 부속장비(20)의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서 고정되는 고정홈(31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주용 배전반장치.
KR1020140074759A 2014-06-19 2014-06-19 등주용 배전반장치 KR1016314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59A KR101631471B1 (ko) 2014-06-19 2014-06-19 등주용 배전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759A KR101631471B1 (ko) 2014-06-19 2014-06-19 등주용 배전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416A true KR20150145416A (ko) 2015-12-30
KR101631471B1 KR101631471B1 (ko) 2016-06-17

Family

ID=55087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759A KR101631471B1 (ko) 2014-06-19 2014-06-19 등주용 배전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4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25Y1 (ko) * 2016-04-12 2016-09-13 에이치제이산전(주) 결로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분전함 커버체
CN109888799A (zh) * 2019-02-25 2019-06-14 江苏亿能电气有限公司 一种多回输电线路的综合三相不平衡治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514A (ko) * 2008-02-29 2009-09-02 조복희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KR20120001319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 박스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3514A (ko) * 2008-02-29 2009-09-02 조복희 가로등용 등주 제어장치
KR20120001319A (ko) * 2010-06-29 2012-01-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 박스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325Y1 (ko) * 2016-04-12 2016-09-13 에이치제이산전(주) 결로 유입방지구조를 갖는 분전함 커버체
CN109888799A (zh) * 2019-02-25 2019-06-14 江苏亿能电气有限公司 一种多回输电线路的综合三相不平衡治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471B1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6292B1 (ko) 엘이디 터널등기구
US9068704B2 (en) Integrated signal light head
KR101702090B1 (ko) 다기능 가로등
KR101950810B1 (ko) 방수 커넥터를 구비한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led 등기구
KR101631471B1 (ko) 등주용 배전반장치
JP6400822B2 (ja) カメラ一体型エルイーディー照明装置
KR100994442B1 (ko) 카메라부가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방향 조절이 쉬운 카메라
JP6024909B2 (ja) ルーバ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装置
JP5700359B2 (ja) 電源装置及び照明装置
ITRM20130603A1 (it) Apparato di illuminazione stradale o urbana a led comprendente una coppia di morsetti serracavo a tenuta stagna
CN203590360U (zh) 一种可视门铃的门口机
WO2014026118A2 (en) Integrated signal light head
KR101426293B1 (ko) 방열핀 및 안정기 박스 일체형 구조를 갖는 투광등용 하우징
WO2015063806A1 (en) Public or street led lighting apparatus
JP6658834B2 (ja) 照明装置
KR101190343B1 (ko) 결합 구조체를 포함하는 다기능 공간을 구비한 엘이디 보안등
KR102055775B1 (ko) 멀티 기능을 가진 전자 신호봉
KR101323550B1 (ko) 콘센트
JP3638904B2 (ja) スノーポール
JP7027953B2 (ja) 照明器具
KR101042336B1 (ko) 안정기 설치구 개폐장치를 구비한 가로등주
JP6298289B2 (ja) 照明装置
JP3223660U (ja) 捕虫器
EP3464780B1 (en) Lighted ladder
JP6414259B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