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5396A -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 Google Patents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396A
KR20150145396A KR1020140074689A KR20140074689A KR20150145396A KR 20150145396 A KR20150145396 A KR 20150145396A KR 1020140074689 A KR1020140074689 A KR 1020140074689A KR 20140074689 A KR20140074689 A KR 20140074689A KR 20150145396 A KR20150145396 A KR 20150145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mounting member
length
storage devic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 송
양국석
Original Assignee
현 송
양국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 송, 양국석 filed Critical 현 송
Priority to KR1020140074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45396A/ko
Publication of KR20150145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3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6Means for indicating position of a recipient or sample in an ar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1Adjust spacings in an array of wells, pipettes or holders, format transfer between arrays of different size or geometry
    • B01L2200/022Variable spac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2Adapting objects or devices to another
    • B01L2200/025Align devices or objects to ensure defined positions relative to each oth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는 실험도구를 건조시키고, 실험도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험도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상기 제2 거치부재를 동일한 길이만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실험도구용 보관장치{Apparatus For Keeping Experiment Equipment}
본 발명은 실험도구를 보관하기 위한 실험도구용 보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학실험도구는 종류가 다양하다. 여러 차례 실험을 할 때 서로 다른 화학물질들 간에 잘못된 화학반응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학실험도구는 사용 후 깨끗하게 세척시키고 건조시켜서 보관해야 한다.
그런데 실험도구들은 다양한 종류가 있는 반면, 각각에 알맞은 보관장치가 없고, 보통 여러 개가 한 바구니에 담아져 어질러진 상태로 보관되는 실정이다. 실험도구들은 화학물질들 간의 화학반응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확인하기 쉽도록 주로 유리 재질로 제조된다. 이에 따라 적재적소에 정돈되지 않고 나뒹구는 실험도구들은 내부의 화학물질들이 건조되지 않고 잔류하게 된다. 또한, 그러한 실험도구들은 서도 접촉되어 쉽게 파손된다.
특히,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구(Sphere) 형태의 하부와 실린더 형태의 상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전체적으로 원형이어서 굴러다니기 쉽고, 게다가 하부와 상부 각각의 직경이 달라서 더욱 더 보관이 어렵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가 한데 모아져 있게 되면, 쉽게 파손되고, 내부의 화학물질들이 건조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실험도구를 건조시키기 위한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험도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는 실험도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상기 제2 거치부재를 동일한 길이만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3 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상기 제3 거치부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치부재 및 상기 제3 거치부재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험도구를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실험도구의 보관 시 실험도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거치부 및 제2 거치부에 지지된 실험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항목, 제2항목 또는 제3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항목, 제2항목 및 제3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 거치부 및 제2 거치부에 지지된 실험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높이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실험도구를 지지하기 위한 거치부(10), 상기 거치부(1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20), 및 상기 거치부(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부(30)를 포함한다.
상기 거치부(10)는 실험도구를 지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는 제1 거치부재(11) 및 제2 거치부재(1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실험도구를 지지하거나 거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는 막대(bar) 형태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에 대응되는 형태, 또는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서로 동일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서로 대략 평행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대략 수평으로 나란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도구, 예컨대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상하가 거꾸로 뒤집힌 상태로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 사이의 거리는 둥근 바닥 플라스크의 (구(sphere) 형태를 이루는)하부의 직경에 비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둥근 바닥 플라스크는 거꾸로 상기 거치부(10)에 거치됨에 따라, 내부에 잔류하던 화학물질이나 세척액 등의 액체가 쉽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실험도구를 보다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여러 개의 둥근 바닥 플라스크가 보관되더라도 정돈된 상태로 보관시키므로 파손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거치부(10)를 바닥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바닥면은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가 놓여지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바닥면은 실험실의 책상, 캐비닛의 선반 또는 창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일단이 상기 거치부(10)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20)는 타단이 바닥면에 대략 수직하게 위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거치부(10)를 바닥면에 대략 평행하게 유지시키면서, 바닥면에 비해 높은 높이로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실험도구를 바닥면으로부터 높게 위치시킴에 따라 더욱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거치부(10)를 둥근 바닥 플라스크의 수직 길이보다 높게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거치부(10)에 거치된 둥근 바닥 플라스크가 바닥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부(20)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의 양 단, 상기 제2 거치부재(12)의 양 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거치부(1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거치부(10)를 짧게 줄이거나, 길게 늘릴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를 서로 동일한 길이만큼 조절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실험도구의 개수가 많은 경우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가 상기 거치부(10)를 길게 조절하여 실험도구의 보관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많은 개수의 실험도구들을 보관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가 상기 거치부(10)를 짧게 조절하여 전체적인 크기를 감소시킴으로써 공간적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2 거치부재(12)를 연결시키는 제1 연결부재(41) 및 제2 연결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41)는 일단이 상기 제1 거치부재(11)의 일단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 연결부재(41)는 타단이 상기 제2 거치부재(12)의 일단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42)는 일단이 상기 제1 거치부재(11)의 타단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 연결부재(42)는 타단이 상기 제2 거치부재(12)의 타단에 대략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거치부재(11), 상기 제2 거치부재(12), 상기 제1 연결부재(41) 및 상기 제2 연결부재(42)는 서로 연결되어 프레임(frame) 형태, 구체적으로는 직사각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부재(41) 및 상기 제2 연결부재(42)는 상기 거치부(10)에 지지되는 실험도구가 상기 거치부(10)로부터 이탈하여 낙하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기 복수 개의 지지부(20)들을 연결하기 위한 받침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50)는 상기 지지부(20)들 각각의 타단에 결합된다. 상기 받침부(50)는 상기 지지부(20)들을 안정적으로 결합시키며, 상기 지지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50)는 바닥면에 지지된다.
도 1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10)는 제3 거치부재(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거치부재(13)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제2 거치부재(12)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상기 제3 거치부재(13)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제2 거치부재(12)에 대략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거치부재(13)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제2 거치부재(12)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3 거치부재(1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제2 거치부재(12) 및 상기 제3 거치부재(13)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대적으로 큰 실험도구를 상기 제1 거치부재(11) 및 상기 제3 거치부재(13) 사이에, 상대적으로 작은 실험도구를 상기 제2 거치부재(12) 및 상기 제3 거치부재(13) 사이에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실험도구의 크기 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 정리함으로써 보관의 효율성 및 건조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3 거치부재(13)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거치부재(11), 상기 제 2 거치부재(12) 및 상기 복수의 제3 거치부재(13) 들은 각각의 근접한 거리가 서로 상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거치부(10)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거치부재 각각은 좌측거치부재 및 우측거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거치부재(11)는 제1 좌측거치부재(11a) 및 제1 우측거치부재(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거치부재(12)는 제2 좌측거치부재(12a) 및 제2 우측거치부재(12b)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거치부재(13)는 제3 좌측거치부재 및 제3 우측거치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좌측거치부재에 암나사 형태의 나선(31)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측거치부재에 수나사 형태의 나선(32)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제1 거치부재(11), 상기 제2 거치부재(12) 및 상기 제3 거치부재(13)들의 길이를 유기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거치부(10)의 길이가 조절되면, 상기 받침부(50)는 상기 거치부재와 동시에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는 상기 좌측거치부재에 결합되는 제1 걸림부재(33), 및 상기 우측거치부재에 결합되는 제1 이탈방지부재(3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 걸림부재(33)는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에서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걸림부재(33)는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이탈방지부재(34)는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에서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이탈방지부재(34)는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거치부재(11)의 길이는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가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의 내부에 삽입 이동함으로써 조절된다.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 및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가 장력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 걸림부재(33)는 상기 제1 이탈방지부재(34)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제1 우측거치부재(11b)가 상기 제1 좌측거치부재(11a)로부터 이탈되지 못하도록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기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조절부(60)는 상기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길이조절부(60)는 상기 지지부(20)를 짧게 줄이거나, 길게 늘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실험도구의 개수가 많은 경우 상기 거치부(10)의 하측에 중간거치부(7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여 보다 많은 개수의 실험도구들을 보관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거치부(70)는 상기 지지부(20)의 중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거치부(70)는 상기 거치부(10)와 별개의 층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20)는 중간부분을 기준으로 두 부분으로 구분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20) 각각은 상측지지부재(21) 및 하측지지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중간거치부(70)는 상기 상측지지부재(21) 및 상기 하측지지부재(2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길이조절부(60)는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지부재(21)에 암나사 형태의 나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하측지지부재(22)에 수나사 형태의 나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지지부(20)의 길이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2 길이조절부(60)는 상기 제1 길이조절부(3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측지지부재(21)에 결합되는 제2 걸림부재, 및 상기 하측거치부재(22)에 결합되는 제2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상측지지부재(21)에서 상기 하측지지부재(22)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상측지지부재(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하측지지부재(22)에서 상기 상측지지부재(21)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이탈방지부재는 상기 하측지지부재(22)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지지부재(21) 및 상기 하측지지부재(22)가 인력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2 걸림부재는 상기 제2 이탈방지부재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상측지지부재(21)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거치부(10)의 높이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상측지지부재(21) 및 상기 하측지지부재(22)는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부(10) 및 상기 중간거치부(70)는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실험도구용 보관장치(1)는 상기 거치부(10) 및 상기 중간거치부(70)가 분리됨으로써, 보관 시 공간적 효율성이 극대화된다.
1 :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10 : 거치부 11 : 제1 거치부재
12 : 제2 거치부재 13 : 제3 거치부재
20 : 지지부 21 : 상측지지부재
22 : 하측지지부재 30 : 제1 길이조절부
31, 32 : 나선 33 : 제1 걸림부재
34 : 제1 이탈방지부재 41 : 제1 연결부재
42 : 제2 연결부재 50 : 받침부
60 : 제2 길이조절부 70 : 중간거치부

Claims (3)

  1. 실험도구를 지지하기 위한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를 포함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를바닥면으로부터상측으로이격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상기 제2 거치부재를 동일한 길이만큼 조절하기 위한 제1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제2 거치부재 사이에 나란하게 위치되는 제3 거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거치부재 및 상기 제3 거치부재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2 거치부재 및 상기 제3 거치부재 사이의 거리에 비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1020140074689A 2014-06-19 2014-06-19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201501453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89A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4-06-19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689A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4-06-19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396A true KR20150145396A (ko) 2015-12-30

Family

ID=55087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689A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4-06-19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53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41B1 (ko) 2020-02-25 2020-05-26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219677B1 (ko) 2020-07-15 2021-02-24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4241B1 (ko) 2020-02-25 2020-05-26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219677B1 (ko) 2020-07-15 2021-02-24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38948B2 (en) Plant pot holder tray
CN106793870B (zh) 模块化缆线酒架系统
RU2017107535A (ru) Устройства магазина для удержания изделий из стекла во время обработки
US20170089135A1 (en) Workstation
RU2017129560A (ru)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удержания и сохранения стеклянных изделий
KR20150145396A (ko)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US9351592B2 (en) Support for storing and displaying elongate articles
US10201227B2 (en) Shelving bracket capable of electrical connectivity
US20160207047A1 (en) Cryocane with racking capability
US7833491B2 (en) Sample container holder
KR200483551Y1 (ko) 곤충사육을 위한 가변형 다단 베드
KR101276656B1 (ko) 잭 장치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US9549659B2 (en) Dish rack for oversized containers
KR101456618B1 (ko) 에칭 공정에 적용되는 기판 적재용 카세트
KR20200038158A (ko) 벽 거치장치
KR20180049972A (ko) 칸막이가 움직이는 책꽂이
US20160107827A1 (en) Egg stacking device
JP5979106B2 (ja) コネクタ付電線配列用具
JP6638154B2 (ja) テーブル
KR200442852Y1 (ko) 커넥터 케이블 거치대
JP6794855B2 (ja) 構造材
KR101677932B1 (ko) 탈부착 방식의 접시 지지 장치 및 설치 방법
CN205109689U (zh) 一种牢固整洁防尘移液管架
KR101633587B1 (ko) 바이코니컬 안테나 포지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