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813A -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813A
KR20150144813A KR1020157034637A KR20157034637A KR20150144813A KR 20150144813 A KR20150144813 A KR 20150144813A KR 1020157034637 A KR1020157034637 A KR 1020157034637A KR 20157034637 A KR20157034637 A KR 20157034637A KR 20150144813 A KR20150144813 A KR 20150144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device
telecommunication
network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힘 루프트
노르베르트 슈바크만
마르쿠스 트라운베르크
마르틴 불스텐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4/051751 external-priority patent/WO2005034493A1/de
Publication of KR20150144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8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04M1/576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associated with a pictorial or graphical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격 통신망(NW)을 이용하여 제 원격 1 통신 장치(TA)와 제2 원격 통신 장치(TB) 간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에서는 원격 통신 가입자(A)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객체(B2, B2, B3)가 각각의 참조 번호(RO)와 함께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저장된다. 멀티미디어 객체의 특정 참조 번호로의 특정 호출 수신자(call receiver)의 할당을 명시하는 할당 맵(LA)이 특정된다. 이어서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된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연결 확립 요구가 원격 통신망(NW)으로 전송되며, 상기 요구는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할당된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가 확립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대해 정해진 참조 번호가 상기 할당 맵(LA)에 따라 결정되고, 결정된 상기 참조 번호에 따라 호출 신호(call signaling)(IC)가 디스플레이 정보와 함께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된다. 이어서 멀티미디어 객체(B3)가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AI)에 대응하게 재생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METHOD FOR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COMPRISING MULTIMEDIA CALL SIGNALING}
본 발명은 원격 통신망을 통해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link)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특히 호출 시그널링(signaling)시 제2 원격 통신 장치에서 제1 원격 통신 장치의 사용자의 이미지(image) 또는 음성과 같은 데이터(data)가 표시되거나 재생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 특히 이동 전화를 이용한 대인 통신(interpersonal communication)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특히 전화 연결의 확립시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중요한 것은, 호출의 수신 또는 호출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기 전에 발신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호출을 받은 원격 통신 가입자는 예컨대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번호의 형태로 발신자의 신원을 표시하는 다양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첫 번째 기법의 경우, 호출을 받은 원격 통신 가입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전화 번호, 상기 전화 번호의 소유자 이름뿐만 아니라 상기 이름과 연관된 이미지도 저장되는 데이터 뱅크(bank)가 제공된다. 따라서 관례적인 방식으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전송되는 호출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가 데이터 뱅크 내에서 발신자의 이름과 이미지를 검출할 수 있고, 발신자의 전화번호와 이름 외에 발신자의 이미지도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첫 번째 기법에 따른 방법은, 발신자 자신이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 및 표시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이미지의 선택 및 표시를 위한 설정이 호출 수신자 측에서 이루어지며, 이때 발신자는 정해진 이미지의 표시를 강요할 수도 없고, 표시된 이미지를 업데이트(update)하거나 호출 수신자에게 최근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도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신자가 호출 시그널링시 호출 수신자에 표시된 또는 표시될 이미지에 대한 제어 권한을 가지며, 제2 기법에 따라 발신자가 호출 수신자에게 표시되어야 하는 이미지를 자신의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통신 링크(전화 연결)를 중계하는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원격 통신망은 호출 시그널링시 상기 이미지를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발신자 측에서 호출 수신자에게 표시되어야 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에 대해 특히 연결 확립(connection establishment)시 호출을 받은 가입자 또는 호출 수신자에게 자사의 로고(logo)가 표시되게 할 수 있는 기업들도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2 기법에 따른 방법은,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로의 이미지를 전달하기 위해 발신자가 매 연결 확립시마다 먼저 원격 통신망으로 상기 이미지를 전송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특히 이동 전화로 구현된 원격 통신 장치 및 이동 무선망으로 구현된 원격 통신망의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interface)에 과중한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신자 측에서 호출 시그널링에 대한 제어가 보증되는, 자원 절약 방식의 통신 링크 확립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을 통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의 대상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한 방법은,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보내지는 제2 원격 통신 장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multimedia) 객체(이미지, 톤(tone) 정보 등)를 각각의 참조 번호와 함께 저장한다. 이러한 특징은, 예컨대 소위 전자 전화번호부 내에 하나 또는 다수의 원격 통신 가입자에 대해 하나의 멀티미디어 객체, 특히 하나의 이미지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나의 원격 통신 가입자에 다수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할당될 수도 있다.
발신자 측에서, 연결 확립시 특정 호출 수신자에게 발신자가 원하는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도록 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객체의 특정 참조 번호에 대한 특정 호출 수신자의 할당을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record)를 포함하는 할당 맵(map) 또는 할당 표가 정의된다. 이제 발신자에 의해, 이 경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할당된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의해 원하는 호출 수신자가 선택된다. 상기 수신자에게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그리고 예컨대 이미지를 이용하여 발신자의 신원을 표시하기 위해, 다음의 단계들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연결 확립 요구가 통신망에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 확립 요구는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할당된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 특히 전화 연결이 확립되어야 함을 표시한다. 또한, 상기 수신자에 대해 특정된, 선택된 호출 수신자를 위해 상기 수신자에게 전송되어 재생될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할당 맵으로부터 결정된다. 이때, 연결 확립 요구 및 참조 번호 결정 결과를 전송하는 2개의 단계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한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하기에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전송될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한 번 결정되면,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호출 신호가 디스플레이(display) 정보와 함께 전송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는 검출된 참조 번호를 포함하거나, 상기 참조 번호에 좌우된다. 특히 참조 번호는 코딩된(coded) 형태로 디스플레이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제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를 사용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가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의해 재생된다. 즉, 특히 호출자의 이미지가 표시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관점에 따라 여러 장점을 가진 방법이 제공된다. 한 편으로, 발신자가 호출 수신자에게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에 대한 제어권을 가지고, 다른 한 편으로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의 데이터 전송 비용 및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비용이 최소로 감소하며, 전송 비용이 감소하는 이유는 표시될 이미지에 대한 참조 정보 내지는 참조 번호만 전송되면 되고 전체 멀티미디어 객체가 전송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할당 맵이 제공되고, 이 경우, 제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결정되면, 결정된 상기 참조 번호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되고, 이어서 상기 원격 통신망은 상기 결정된 참조 번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할당 맵이 예컨대 목록 또는 표의 형태로 원격 통신망에 저장된다. 이 경우, 참조 번호의 결정 단계는 결국 원격 통신망에서 수행되므로, 제1 원격 통신 장치에서의 메모리(memory) 요구와 계산 비용이 모두 감소한다.
호출자가 할당 맵 내 데이터 레코드에 없는 호출 수신자를 포함한 모든 호출 수신자에게 상기 수신자에 할당된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할당 맵 내에 제공되지 않은 호출 수신자에 대해 디폴트(default) 멀티미디어 객체가 정의된다. 이러한 디폴트 멀티미디어 객체의 정의는, 예컨대 할당 맵 내에 관련 데이터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호출 수신자가 선택되면 결정 단계에서 미리 정해진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기준 참조 번호로서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통신망 내에 원격 통신 가입자의 다수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각각의 참조 번호와 함께 저장된다. 이 경우, 원격 통신망 내에는 특히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된 멀티미디어 객체가 저장된다.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 특히 이미지가 원격 통신망에 제공되는 경우, 매우 바람직하게는 제2 원격 통신 장치에서 항상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최근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되는 것이 보증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디스플레이 정보가 전송된 후, 전송된 디스플레이 정보를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된 그리고 제2 원격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와 비교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디스플레이 정보와 참조 번호의 비교 결과가 부정적이면, 즉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오면 통신망이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해야 함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message)가 상기 통신망으로 반환(return)된다. 이어서 통신망은 상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망 내에 저장된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참조 번호 외에 저장 권한 표시자(storage entitlement indicator)를 포함하는 추가 참조 정보를 동반하며, 상기 추가 참조 정보는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된 원격 통신 가입자(특히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되어도 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그러한 저장 권한 표시자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원하지 않은 처리를 저지하기 위한 관점에서 중요할 수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객체 내에 회사 로고를 포함한 상태로 전송하는 경우, 로고의 오용을 방지할 수 있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또는 제2 원격 통신 장치가 이동 무선 기기, 이동 전화, 무선 모듈(module)을 구비한 컴퓨터(computer) 또는 유선 전화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격 통신망은 공중 고정 전화망 또는 특히 GSM 표준이나 UMTS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무선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통신망이 이동 무선망으로 형성되면 소위 HLR(Home Location Register: 가입자 위치 등록기)을 이용하여 할당 맵 또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저장뿐만 아니라 원격 통신 장치들의 신호 또는 메시지의 처리 및 원격 통신 장치로의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원격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원격 통신망도 포함하는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가 제공된다. 이때,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원격 통신망을 통해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따른 방법으로 원격 통신 장치 간에 통신 링크가 확립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전화 연결이 확립되어야 하고,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저장되는 경우를 전제로 할 때, 전화번호 전송 절차의 일부로서 연결 확립 요구의 전송이 일어날 수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연결 확립시 발신자(제1 원격 통신 가입자)가 호출 수신자(제2 원격 통신 가입자) 측에서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 또는 특정 이미지가 재생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재생될 멀티미디어 객체를 위한) 특정 제어 코드를 포함하는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되고, 이어서 상기 원격 통신망은 제어 코드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된 제어 코드를 계속 처리한다. 이 경우, 수신된 제어 코드의 처리를 위해 예컨대 할당 맵이 사용되며, 이때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될 발신자의 전화번호에 제2 원격 통신 장치에서 재생될 멀티미디어 객체의 제어를 위한 추가의 제어 코드 또는 표시자(indicator)나 재생 정보가 부가된다. 제2 원격 통신 장치가 수신된 디스플레이 정보 또는 재생 정보를 검출하여 평가할 수 있는 경우, 발신자가 원하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원격 통신 장치가 디스플레이 정보만큼 확장된 전화번호를 해석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간단하게 전송된 전화번호가 (해석이 불가능한) 제어 코드와 함께 제2 원격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그러한 방식의 시그널링에서 중요한 것은, 전화번호 전송시 역 호환 가능한 제어 코드를 이용하여 연결 확립 요구 또는 호출 신호를 코딩하는 기능 및 전송된 전화번호와 관련하여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제출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엔트리(entry)들을 적절하게 선택 및 송출하는 (수신측) 제2 원격 통신 장치의 기능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한 방법은, 이미지 또는 음성이나 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럼으로써 원격 통신 가입자, 예컨대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할당된 원격 통신 가입자가 다수의 상이한 멀티미디어 정보, 특히 이미지를 각각의 참조 번호와 함께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한 방식의 저장 또는 업로딩은 예컨대 제1 원격 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제1 원격 통신 장치를 통해 또는 예컨대 인터넷에 연결된 컴퓨터와 같은 다른 장치를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원격 통신망 내에 이미지를 로딩(loading)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원격 통신 가입자가 자신의 멀티미디어 객체를 이메일(email)을 통해 원격 통신망 운용자에게 전송하여, 상기 운용자가 그 멀티미디어 객체를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업로딩(uploading)은 언제든 가능할 수 있다.
이제 상이한 호출 수신자들에 각각 발신자의 신원 확인을 위한 상기 발신자의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 특히 이미지가 전송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를 포함하는 할당 맵 또는 할당 표가 정의되고, 이때 각각의 데이터 레코드에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특정 참조 번호로의 특정 호출 수신자의 할당이 표시되어 있다. 이는 발신자(예: 제1 통신 가입자)가 특정 호출 수신자를 호출하거나 특정 호출 수신자에게 전화를 걸기 위해 상기 특정 호출 수신자를 선택하는 경우, 호출 수신자 측에서 어느 멀티미디어 객체가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상기 할당 맵이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발신자 또는 제1 통신 가입자가 특정 호출 수신자를 선택하면, 다음의 단계들이 수행된다. 먼저,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된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 연결 확립 요구가 전송되고, 이때 상기 연결 확립 요구는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할당된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 특히 전화 연결이 확립되어야 함을 표시한다. 또한, 이미 언급한 것처럼, 할당 맵에 기초하여 어느 멀티미디어 객체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에 할당된 어느 참조 번호가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지정되었는지가 검출된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것처럼, 마지막 2개의 방법 단계는 연대순으로 바뀔 수도 있다.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게 재생되어야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번호가 한 번 결정되면, 상기 참조 번호에 할당된 (앞서 언급하였듯이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객체가 호출 시그널링 과정에서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호출 수신자의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되어 거기서 재생된다. 이 경우, 특히 제2 원격 통신 장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발신자의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전술한 방법은 여러 장점들을 갖는다. 그 중 하나는 발신자가 호출 수신자 측에서 어떤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 또는 표시될 지에 대한 제어권을 갖는다는 점이다. 또한, 원격 통신망과 제2 원격 통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연결만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고, 제1 원격 통신 장치와 원격 통신망 사이의 데이터 연결은 사용되지 않는다. 그 밖에도, 연결 확립시 특정 호출 수신자에게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선택할 때 자동 제어도 가능하다. 이미 언급하였듯이, 연결 확립 요구의 전송 단계와 선택된 호출 수신자를 위한 참조 번호의 결정 단계는 상이한 시간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원격 통신 장치에 할당 맵이 예컨대 목록 또는 표의 형태로 제공되는데, 이때 제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선택된 호출 수신자를 위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결정되면, 결정된 참조 번호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되고, 이어서 상기 원격 통신망은 결정된 참조 번호에 할당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한다. 이는, 그러한 경우 이미 제1 원격 통신 장치에서 참조 번호의 결정이 수행되고, 그와 더불어 결정된 참조 번호가 이미 원격 통신망으로 전송됨을 의미한다.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할당 맵이 예컨대 목록 또는 가입자 목록의 형태로 원격 통신망에 저장됨에 따라 원격 통신망에서 참조 번호 결정 단계가 수행된다. 따라서 후자의 경우 제1 원격 통신 장치와 원격 통신망 사이의 연결의 부하가 더욱 경감되고, 계산 요구가 원격 통신망으로 이전된다.
할당 맵에 제공되지 않은 호출 수신자에게도 연결 확립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도 고려하기 위해, 가입자에 할당된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가 공지되지 않은 호출 수신자를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는 소위 표준 멀티미디어 객체로 정의된다. 다르게 표현하면, 할당 맵 내에 관련 데이터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호출 수신자가 선택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멀티 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결정된 참조 번호로 송출된다. 그럼으로써 연결 확립시 모든 호출 수신자가 자신에 할당된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받는 것이 보증된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원격 통신 장치 내에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관련 참조 번호를 가진 멀티미디어 객체가 저장되고, 이 경우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전송될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만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객체가 전송된다. 이는,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이미 특정 원격 통신 가입자(발신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전술한 한 방법에 따라 전송되었고, 현재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특히 이미지가 이미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존재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제 동일한 발신자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새로운 연결 확립이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이전에 결정된 참조 번호를 갖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이미 존재한다면,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발신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반환되지 않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격 통신망과 제2 원격 통신 장치 사이의 데이터 연결의 부하가 경감될 수 있다.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올바른 참조 번호를 가진) 올바른 멀티미디어 객체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검사가 수행되면, 멀티미디어 객체의 전송 전에 먼저 전송될 멀티미디어 객체의 결정된 참조 번호만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전송된 참조 번호가 제2 원격 통신 장치 내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와 비교된 후, 제2 원격 통신 장치가 상기 두 참조 번호가 서로 일치하는지(그래서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반환될 필요가 없는지) 아니면 서로 일치하지 않아서 원격 통신망이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멀티미디어 객체를 전송해야 하는지를 알리는 메시지를 원격 통신망으로 반환할 수 있다.
또 다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원격 통신 가입자, 특히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에 참조 번호 외에도 저장 권한 표시자를 포함하는 추가의 참조 정보가 할당되며, 상기 참조 정보는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전송된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되어도 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한다. 그러한 저장 권한 표시자는 특히 멀티미디어 객체 내에 회사 로고 이미지를 포함한 상태로 전송하는 경우에 중요할 수 있으며, 그러한 경우 로고의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원격 통신 장치에의 국부 저장(local storage)이 금지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원격 통신 장치는 예컨대 이동 무선 기기, 이동 전화 또는 무선 모듈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격 통신망이 공중 고정 전화망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제1 및/또는 제2 원격 통신 장치가 유선 전화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원격 통신망은 공중 고정 전화망 또는 특히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표준이나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이동 무선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통신망이 이동 무선망으로 형성되면 소위 HLR(Home Location Register: 가입자 위치 등록기)을 이용하여 할당 맵 또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저장뿐만 아니라 원격 통신 장치들의 신호 또는 메시지의 처리 및 원격 통신 장치로의 신호 또는 메시지 전송도 이루어질 수 있다. 원격 통신망이 다수의 하위망(subnetwork)을 포함하고, 상기 하위망 중 하나는 고정 전화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이동 전화망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1 및 제2 원격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원격 통신망도 포함하는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가 제공된다. 이때,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원격 통신망을 통해 전술한 한 방법에 따라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 특히 전화 연결이 확립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이미지를 할당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되어, 원격 통신망 또는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될 수 있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세 가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호출 수신자로서 등록된 특정 추가 원격 통신 가입자에 대해, 연결 확립시 상기 호출 수신자 측에서 재생 또는 표시되어야 하는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객체의 특정 참조 번호가 할당되어 있는, 원격 통신 가입자용 할당 맵 또는 목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특히 전화 연결의 확립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원격 통신 장치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링크, 특히 전화 연결의 확립을 설명하기 위한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이미지와 같은 멀티미디어 객체를 사용자에 할당하는 상이한 2가지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원격 통신 링크의 확립시 호출 수신자 측에서 재생되어야(이미지인 경우 표시되어야) 하는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가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발신자인 원격 통신 가입자에게 할당될 수 있다.
물론, 연결 확립이 시그널링되는 동안 호출 수신자 측에서 이루어지는 멀티미디어 객체의 재생 또는 표시가 구분되어 관리될 수도 있다. 따라서, (도면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한 명의 통신 가입자에 대해 상기 원격 통신 가입자 또는 발신자의 어느 전화번호로부터 호출이 전송되느냐에 따라 상이한 멀티미디어 객체가 재생 또는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는, 호출 수신자가 여러 전화번호를 가질 수 있는데, 이때 각각의 전화번호에는 연결 확립시 재생 또는 표시되는 발신자의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가 할당된다.
도 2 내지 도 5에 따른 하기의 설명에서는, 간단한 설명을 위해 1명의 특정 호출 수신자에게 1개의 특정 멀티미디어 객체가 할당되어야 하는 것으로 전제된다. 그러나, 이미 언급하였듯이, 호출 수신자의 각각의 전화번호에 연결 확립시 호출 수신자 측에서 재생되는 (여러 가지) 멀티미디어 객체가 할당될 수 있다.
또한, 하기에서는 간단한 도시를 위해 발신자에 할당된 멀티미디어 객체 대신 발신자 또는 원격 통신 가입자에 할당된, 연결 확립시 호출 수신자 측에 표시되어야 하는 이미지에 대해서만 이야기한다. 멀티미디어 객체에는 물론 이미지뿐만 아니라 예컨대 전화벨소리와 같은 톤 정보 또는 그 밖의 멀티미디어 콘텐츠도 포함될 수 있다.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될 수 있는 원격 통신 가입자(이하 짧게 가입자라고 칭함)의 멀티미디어 객체의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망 내 1명의 가입자(A)에 대해 3개의 멀티미디어 객체(MO1, MO2, MO3)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멀티미디어 객체(MO1)는 이미지 B1을 포함하고, 제2 멀티미디어 객체(MO2)는 이미지 B2를 포함하며, 제3 멀티미디어 객체(MO3)는 이미지 B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3개의 멀티미디어 객체에는 소위 참조 정보(RI)가 더 할당되어 있다. 참조 정보에는 멀티미디어 객체가 할당되는 가입자(TN), 참조 번호(RO), 호출 수신자에게 전송된 멀티미디어 객체가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되어도 되는지의 여부를 표시하는 저장 권한 표시자(BR) 및 각각의 멀티미디어 객체 또는 이미지가 어느 그룹 또는 어느 선택된 그룹의 호출 수신자에 대해 표시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알려주는 할당 표시자(ZO)가 포함된다. 더 정확히 말하면, 제1 멀티미디어 객체(MO1)에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MO1)가 가입자 A로 지정되었고 참조 번호 1을 가지며, (저장 권한과 관련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MO1) 또는 이미지(B1)가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국부적으로 저장되어서는 안 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 또는 이미지(B1)가 가입자(A)의 특별 목록(도 3 참조)에 들어있지 않은 호출 수신자를 위한 표준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참조 정보(RI1)가 할당된다. 제2 멀티미디어 객체(MO2)에는, 상기 제2 멀티미디어 객체(MO2)가 가입자 A에 할당되었고 참조 번호 2를 가지며,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될 수 있고, 가입자 A의 특별 호출 수신자 목록(도 3 참조)에 상기 이미지가 할당됨을 알려주는 참조 정보(RI2)가 할당된다. 마지막으로 제3 멀티미디어 객체(MO3)에는, 상기 제2 멀티미디어 객체(MO3)가 가입자 A로 지정되었고 참조 번호 3을 가지며, 호출 수신자의 원격 통신 장치에 국부 저장될 수 있고, 가입자 A의 할당 목록(도 3 참조)에 포함되어 있음을 알려주는 참조 정보(RI3)가 할당된다.
도 3을 살펴보면, 가입자 A에 할당된 할당 맵 또는 목록(LA)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한 목록은 예컨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원격 통신망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RE라고 기입된 좌측 열은 호출 수신자인 가입자의 목록을 포함하며, 상기 가입자에게 연결 확립시 관련 호출 수신자 측에서 재생 또는 표시되어야 하는 멀티미디어 객체 또는 이미지에 대해 RO-열에 특정된 참조 번호가 할당된다.
도 4에는 통신 링크 또는 전화 연결의 확립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는 제1 원격 통신 장치(TA), 제2 원격 통신 장치(TB) 및 상기 원격 통신 장치들(TA와 TB) 사이의 데이터나 정보 또는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설계된 원격 통신망(NW)을 포함한다. 이 경우 원격 통신망(NW)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동 전화로 설계된 원격 통신 장치(TA 및 TB)와 연결되는 이동 무선망이다. 이때, 이동 전화(TA 및 TB)와 이동 통신망(MW) 모두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표준,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표준 또는 또 다른 이동 무선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원격 통신망(NW) 내에는 (예컨대 망의 HLR 내에) 원격 통신 가입자들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저장되는 메모리 영역(SP)이 존재하는데, 도면에는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간단한 도시를 위해 멀티미디어 객체를 대표하여 상기 멀티미디어 객체에 포함되는 이미지(B1, B2 및 B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망 내에는 연결 확립시 특정 호출 수신자 측에서 특정 참조 번호를 가진 어느 이미지가 표시되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할당 맵으로서 하나의 목록(LA)이 저장된다. 메모리(SP)와 목록(LA)의 관리뿐만 아니라 이동 전화(TA와 TB)로부터 전송된 신호 또는 메시지의 처리 및 상기 이동 전화로의 신호 또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제어 장치(ST)가 사용된다.
첫 번째 경우 제1 이동 전화(TA)에 할당된 가입자 A가 원격 통신망(NW)을 통해 가입자 B에 전화를 걸고자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러기 위해서 가입자 A 또는 이동 전화 TA는 원격 통신망(NW)으로 연결 확립 요구 또는 발신 호출 메시지(OC)를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원격 통신망에서는 가입자 A를 위해 할당 맵 또는 목록(LA)이 이용될 수 있는지의 여부가 검사되고, 이용 가능하다면 연결 확립 요구에 포함되어 있는 호출 수신자(이 경우 B)가 목록(LA)(도 3 참조)에 포함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검사된다. 이제 원격 통신망이 가입자 B가 목록(LA) 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음을 인지하고, 목록(LA)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가입자들 또는 호출 수신자들에게 전송할 표준 이미지를 결정하려는 시도를 한다. 도 2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멀티미디어 객체 MO1 또는 이미지 B1이 표준으로 정해지고, 목록(LA)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임의의 호출 수신자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기업 로고(여기서는 @ 기호)를 포함하는 이미지(B1)는 가입자(A)와 사업상의 연관성을 갖기 때문에, 기업 로고의 오용을 방지하기 위해 호출 수신자, 즉 가입자 B가 자신의 이동 전화(TB)에 상기 이미지(B1)를 저장할 수 없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미 도 2와 관련하여 설명하였듯이, 이미지(B1)와 관련된 참조 정보(RI1) 내에 적절한 저장 권한 표시자가 포함된다. 이제 원격 통신망(NW)이 이미지 B1을 표준 이미지로 결정하였으면, 상기 이미지는 호출 시그널링 또는 수신 호출 메시지(IC)의 일부로서 이동 전화(TB)로 전송된다. 이어서 상기 이미지(B1)가 표시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DSP)에 표시된다. 그러한 방식의 호출 시그널링에는 통상 (고유의 연결 또는 음성 연결이 아직 확립되지 않은 시점에) 제2 이동 전화(TB)에서 음향 정보나 톤 정보, 소위 전화벨소리의 송출이 동반되고, 그럼으로써 가입자 B가 가입자 A의 호출 요구를 인지하게 된다. 이 경우, 이미 이동 전화(TB)에 저장되어 있던 멜로디(melody)가 재생되거나 관련 톤 정보 또는 전화벨소리 정보가 이미지(B1)와 함께 이동 전화(TB)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화벨소리가 함께 전송되면, 가입자 A측의 연결 확립 요구가 음향을 기초로 가입자 B에 의해 미리 고유의 요구로서 인지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제 가입자 B가 가입자 A측의 연결 확립 요구를 알게 되면, 가입자 B는 가입자 A의 이미지를 보고, 예컨대 호출을 받아들이기 위한 관련 키를 누름으로써 가입자 A와의 (양방향) 음성 연결을 확립할 것인지를 고려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호출 또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은, 발신자인 가입자 A가 자신의 이미지 중 어느 것이 가입자 B측에 표시되도록 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표시될 이미지의 할당 정보 및 호출 수신자가 할당 맵 또는 목록(LA)의 형태로 망 내에 저장되기 때문에, 가입자 A는 가입자 B 또는 다른 호출 수신자를 반복하여 호출하는 경우에도 추가로 이미지를 선택해야하는 수고를 할 필요 없이 할당 맵(LA)을 한 번만 설정하면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가 도시되어 있다. 이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는 전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원격 통신 어레인지먼트와 동일하며, 제2 이동 전화(TB)에 가입자의 이미지(B3 및 B5)가 저장되고 상기 이미지에 다시 특정 참조 번호가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가입자 A로부터 가입자 D로의 통신 링크 또는 전화 연결의 확립이 원격 무선망(NW)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가입자 A에 할당된 이동 전화(TA)가 가입자 D로의 연결이 확립되어야 함을 알리는 연결 확립 요구 또는 발신 호출 메시지(OC)를 원격 통신망(NW)으로 전송한다. 이제 제어 장치(ST)가 상기 연결 확립 요구(OC)를 처리하고, 가입자 D가 가입자 A의 선택된 호출 수신자 목록(LA)(도 3 참조) 내에 포함되어 있는지에 대해 검사한다. 제어 장치(ST)는 가입자 D와 관련하여 가입자 D가 목록(LA)에 포함되어 있는지 그리고 가입자 D 측에서 참조 번호 3을 가진 이미지가 표시되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 전화(TB) 내에 가입자의 이미지가 저장되기 때문에,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제2 이동 전화(TB)로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원격 통신망의 이미지가 이동 전화(TB)로 전송되지 않고 이미지의 참조 정보만 전송된다. 이 경우, 참조 정보는 발신하는 가입자(가입자 A)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가입자에 할당된 이미지의 번호(여기서는 번호 2)도 포함할 수 있다. 원격 통신망(NW)을 통해서만 이미지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상기 망이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시그널링의 일부로서 전송되는 각각의 이미지에 가능한 한 코딩된 고유의 참조 번호를 할당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가입자 및 상기 가입자에 할당된 참조 번호는 명확하게 제시될 필요가 없다. 고유의 참조 번호만으로 충분하다.
이어서 방금 설명한 형태의 참조 번호가 디스플레이 정보(AI)로서 호출 시그널링 또는 수신 호출 메시지(IC)에 의해 원격 통신망(NW)으로부터 이동 전화(TB)로 전송된다. 그러면 이동 전화(TB)는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AI)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이동 전화의 내장 메모리(SI)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검사한다. 첫 번째 경우로 디스플레이 정보(AI)에 관련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그러한 경우에는 이동 전화의 표시 장치(DSP)에 상기 이미지가 표시될 것이다. 또한, 가입자 A가 가입자 D로의 연결을 확립하려는 시그널링이 이루어지는 동안, 이동 전화(TB)에서는 음향 정보, 특히 전화벨소리가 송출될 수도 있다. 가입자 D에게 가입자 A가 연결을 확립하기를 원한다는 것일 시그널링하기 위해, 이동 전화(TB)로부터 음향 신호 외에 예컨대 진동 형태의 기계 신호도 송출될 수 있다. 가입자 D는 디스플레이에서 가입자 A의 이미지를 보고 가입자 A의 호출을 받아들여 가입자 A와의 (양방향) 음성 연결을 확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가입자 D가 연결 확립을 원하는 경우, 가입자 D는 예컨대 이동 전화(TB)에서 적절한 호출 승인키(도시되지 않음)를 눌러 통화를 받아들인다.
두 번째 경우로 이동 전화(TB) 내에 디스플레이 정보(AI)에 관련된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정보(AI)가 이동 전화(TB)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B3)와 관련한 참조 정보를 표시했던 첫 번째 경우와 달리, 발신자 A가 가입자 D측에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표시되길 원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그에 대응하여, 이 경우에도 도 3에 도시된 목록(LA)이 호출 수신자(D)에 참조 번호 2가 할당되도록 변경된다. 이 경우,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원격 통신망(NW)에 저장된다(도 2 참조). 가입자 A가 가입자 D에게 호출하라는 표시를 포함하는 발신 호출 메시지(OC)를 원격 통신망(NW)에 전송하면, 제어 장치(ST)가 목록(LA)에 기초하여 호출 수신자(D)에게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전송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고, 그 결과에 따라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와 관련한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생성한다. 이 디스플레이 정보는 첫 번째 경우에서처럼 수신 호출 메시지(IC)와 함께 이동 전화(TB)로 전송되고, 이어서 이동 전화는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그러나 이 경우 이동 전화(TB)에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이동 전화(TB)는 원격 통신망(NW)으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AAN)를 반환하여 참조 번호 2를 가진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고, 원격 통신망(NW)에 이동 전화(TB)로 대응하는 이미지(B2, 도 2 참조)를 전송해 줄 것을 요구한다. 원격 통신망은 상기 메시지(AAN)에 응답하여 업데이트 메시지(AN)를 통해 이미지 B2를 이동 전화(TB)로 전송한다(역시 점선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음). 그러면 상기 이미지(B2)가 연결 확립을 시그널링하기 위한 이미지로서 디스플레이(DSP)에 표시될 수 있다(도시되지 않음). 이제 가입자 D는 가입자 A의 호출을 받아들일 것인지 그리고 그와의 연결을 확립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과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가입자 A와의 연결이 종료되면, 이동 전화(TB)는 가입자 D에게 업데이트 과정 동안에 전송된 이미지(B2)를 국부 저장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이미지를 폐기할 것인지의 여부를 묻는다. 가입자 D는 이미지의 국부 저장을 확인할 수 있고, 그 결과 예컨대 "가입자 A, 2"와 같은 참조 정보를 포함하여 이미지 B2가 저장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이미지 B2는 원격 통신망 또는 제1 이동 전화(TA)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업데이트될 수 있고, 예컨대 이동 전화(TB)의 전자 다이어리 또는 전화번호부의 카테고리(category)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가입자 A가 가입자 D로의 재연결을 확립하려는 시도를 하는 경우, 앞에서 설명한 두 가지 경우에 따라 동일한 절차가 재수행된다. 호출 시그널링시 이동 전화(TB)에 디스플레이 정보(AI)와 관련된 적합한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첫 번째 경우에 따른 절차가 수행되는 반면, 이동 전화(TB)에 디스플레이 정보(AI)와 관련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두 번째 경우에 따른 절차가 수행된다.
가입자 A가 연결이 확립되어 있는 동안 자신의 친구 또는 지인에게 (도 2에 도시된 이미지 외에) 추가의 이미지가 표시되기를 원하는 경우, 가입자 A는 먼저 원하는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준비해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새로운 이미지를 위한 참조 정보를 준비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이미지를 상기 참조 정보와 함께 원격 통신망으로 (예컨대 이메일을 통해 망 운용자에게) 전송해야 한다. 그러면 신규 이미지가 새로운 고유 참조 번호를 가진 이미지로서 망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물론 원격 통신망 내에 이미 존재하는 참조 번호로 저장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이미 존재하는 예전 이미지가 신규 이미지로 교체된다.
이제 하기에서는 전화번호 전송 과정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호출 시그널링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여기서는 다시 도 5에서 기술한 경우와 같이 이미지나 전화벨소리 데이터와 같은 멀티미디어 객체가 예컨대 전화번호부의 형태로 호출 수신자의 이동 전화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발신측 이동전화로부터 원격 통신망으로의 시그널링은 (연결 확립 요구(OC)에 대응하게) 수신측 MSISDN(Mobile Subscriber ISDN)의 앞에 붙는 SS 코드(예: *XX#04912345678)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유사하게, 원격 통신망으로부터 호출 수신자의 이동 전화로의 시그널링은 (호출 시그널링(IC) 과정에서) 발신측 가입자의 MSISDN에 대해 전송된 전화번호(예: +49 987654321*3#4)로 이루어지며, 이때 전화벨소리 데이터(3)와 이미지(4)의 참조 정보도 첨부된다. 이제 호출 수신자의 이동 전화의 (예컨대 표 형태의) 전화번호부 내 전화번호에 특정 이미지와 전화벨소리 데이터가 저장되면, 이동 전화는 연결 확립시 또는 발신자로부터의 호출 시그널링시 상기 전화번호부에 기초해서 관련 전화벨소리 데이터와 이미지를 검출하여, 이들을 재생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전화번호 전송 과정에서의 시그널링을 지원하지 않는 (호출 수신자측) 이동 전화에는 연결 확립시 전송된 발신자 전화번호의 끝에 붙는 제어 코드만 표시된다. 이는 작동 흐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시그널링 형태는 최초의 전화번호 전송 과정과 역 호환이 가능하다.

Claims (13)

  1. 원격 통신망(NW)을 통해 제1 원격 통신 장치(TA)로부터 제2 원격 통신 장치(TB)로의 통신 링크(communication link)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제1 원격 통신 가입자(A)의 적어도 하나의 멀티미디어 객체(multimedia object)(B3, B5)를 각각의 참조 번호와 함께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저장하는 단계,
    멀티미디어 객체의 특정 참조 번호(RO)로의 특정 호출 수신자(RE)의 할당을 표시하며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레코드(data record)를 갖는 할당 맵(allocation map)(LA)을 특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원격 통신 가입자(A)에 할당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로부터의 연결 확립 요청(call setup request)(OC)을 상기 원격 통신망(NW)으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요청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로부터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할당된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로의 통신 링크가 확립되어야 함을 표시함 ― ,
    상기 할당 맵(LA)을 사용하여, 상기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대해 특정된 참조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참조 번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정보(display information)(AI)와 함께 호출 신호(IC)를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AI)에 대응하는 참조 번호를 갖는 멀티미디어 객체(B3)를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의해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맵(LA)은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에서 결정된, 선택된 호출 수신자에 대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가 상기 원격 통신망(NW)으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에 의해 전송되며,
    그 후에 상기 원격 통신망(NW)은 상기 결정된 참조 번호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번호를 결정하는 단계가 상기 원격 통신망에서 수행되도록 상기 할당 맵(LA)이 상기 원격 통신망(NW)에 저장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맵에 데이터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호출 수신자가 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공급될 미리정의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를 제공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가입자(A)에 할당된 다수의 멀티미디어 객체들(B1, B2, B3)이 각각의 참조 번호와 함께 상기 원격 통신망(NW)에 추가로 저장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전송된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AI)를 상기 제1 원격 통신 가입자(A)에 할당된 그리고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객체의 참조 번호와 비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와 상기 참조 번호의 비교가 부정적 결과를 생성하면, 상기 원격 통신망(NW)이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AI)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객체(B2)를 전송할 것임을 표시하는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update request message)(ANN)가 상기 원격 통신망(NW)에 반환(return)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 요청 메시지(AAN)에 응답하여, 상기 원격 통신망(NW)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에 대응하는 멀티미디어 객체를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로 전송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는 저장 권한 표시자(storage entitlement indicator)(BR)를 포함하는 추가 참조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참조 정보는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로 전송된 상기 제1 원격 통신 가입자의 멀티미디어 객체가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에 저장되는 것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객체(MO1, MO2, MO3)는 이미지(image)(B1, B2, B3) 및 톤 정보(tone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TA) 및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TB) 중 적어도 하나는 이동 무선 기기, 이동 전화, 무선 모듈(wireless module)을 갖는 컴퓨터(computer) 또는 유선 전화로서 구현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통신망(NW)은 공중 고정 전화망 또는 이동 무선망으로서 구현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12. 제1 원격 통신 장치(TA) 및 제2 원격 통신 장치(TB)뿐만 아니라 원격 통신망(NW)을 포함하는 원격 통신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원격 통신 장치는,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방법에 따라 상기 원격 통신망을 통해 상기 제2 원격 통신 장치로의 통신 링크를 확립하도록 구현되는,
    원격 통신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무선망은 GSM 표준이나 UMTS 표준에 따라 동작하는 것으로서 구현되는,
    통신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57034637A 2003-09-30 2004-08-09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KR20150144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3100345444 2003-09-30
DE10345444.6 2003-09-30
PCT/EP2004/051751 WO2005034493A1 (de) 2003-09-30 2004-08-09 Verfahren zum aufbauen einer kommunikationsverbindung mit multimedialer rufsignalisier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30616A Division KR20120005554A (ko) 2003-09-30 2004-08-09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813A true KR20150144813A (ko) 2015-12-28

Family

ID=57122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4637A KR20150144813A (ko) 2003-09-30 2004-08-09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81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340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方法及び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装置
US200502075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resenting and changing ring-back sounds in subscriber-based ring-back sound service
KR100392768B1 (ko) 발신 교환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KR100394976B1 (ko) 통화 대기 중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 방법
US9300793B2 (en) Provision of a personalized indicator datum when setting up a telecommunication
KR100392097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선물 방법 및 장치
JP5124542B2 (ja) 通信接続の形成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KR20060090985A (ko)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연결 확립 방법
JP4593079B2 (ja) 移動端末装置、移動通信システム、固定端末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KR20100005322A (ko) 발/착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378889B1 (ko) 가입자 기반 링백톤 서비스에서의 음원 변경 방법
JP4667148B2 (ja)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アドレス帳管理サーバ、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50119021A1 (en) Telephone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 transfer function
KR20150144813A (ko) 멀티미디어 호출 시그널링을 포함하는 통신 링크 확립 방법
KR100683169B1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4017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contacts list for a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KR100525523B1 (ko) 이동통신망의 음성 쪽지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05739B1 (ko) 호 확립 프로세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WO2002033943A1 (fr) Système fournissant des messages téléphoniques de réponse
KR20060054261A (ko) 휴대폰 벨소리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0341402A (ja) 電話機装置
JP2000069075A (ja) アウェアネスを用いたコミュニケーション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04056429A (ja) 地名情報通知機能付き交換機及びプログラム
KR20040075568A (ko) 링백톤 송출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4316A (ko) 선별적 통신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