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4772A -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 - Google Patents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4772A
KR20150144772A KR1020157032594A KR20157032594A KR20150144772A KR 20150144772 A KR20150144772 A KR 20150144772A KR 1020157032594 A KR1020157032594 A KR 1020157032594A KR 20157032594 A KR20157032594 A KR 20157032594A KR 20150144772 A KR20150144772 A KR 20150144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t
crime
audio
video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슈라즈 라자마니
Original Assignee
무슈라즈 라자마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슈라즈 라자마니 filed Critical 무슈라즈 라자마니
Priority claimed from PCT/IN2014/000249 external-priority patent/WO2014184801A2/en
Publication of KR20150144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7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02Image analysis to detect motion of the intruder, e.g. by frame subtraction
    • G08B13/19613Recognition of a predetermined image pattern or behaviour pattern indicating theft or intru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54Details concerning communication with a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3Surveillance related processing done local to the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69Event triggers storage or change of storage polic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71Addition of non-video data, i.e. metadata, to video stream
    • G08B13/19673Addition of time stamp, i.e. time metadata, to video strea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 G08B27/006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with transmission via telephone networ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에 의해 지원되는 하드웨어 장치의 제작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위협, 범죄, 위험 등을 자동적으로 확인하고, 적절한 증거를 담당 기관에 알려주며, 그 동안 자동적으로 근처 노드에서 지원을 요청한다.
상기 장치의 프로그램은 임의의 위협이 만연되는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수집한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프로세스 하고 모든 증거에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를 붙이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Crime Evidence Provider cum Help Seeker}
본 발명은 모바일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비상 경고 시스템, 모바일 통신을 위한 하드웨어 장치와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연구들로부터 범죄율의 증가와 증거 부족으로 초래된 문제가 관찰된다. 제안된 발명은 그러한 빈틈을 채우기 위하여 설계된 것이다. 현재 이용 가능한 발명의 주된 단점들은 임의의 폐쇄된 환경을 위한 일반적인 감시 시스템으로써 기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라는 점이다. 상기 시스템은 모든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고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는 위협이 발생하면 수동으로 프로세스 된다. 현재 사용 가능한 모델은 사용자의 사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고 불특정인에 의해 쉽게 악용될 것이다.
제안된 발명은 지능형 휴대용 장치로서, 통상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위협 또는 범죄 상황을 자동적으로 탐지할 수 있고 알려진 및/또는 미지의 이웃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하며 담당 기관에 범죄 발생 위치와 함께 오디오/비디오 증거를 제공한다. 범죄 탐지를 위한 상기 프로세스는 오용과 장난 경고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편집이 불가능한 휴대용 장치에서 수행되는데, 적합한 증거는 단지 증거문서 생성을 위해 편집이 가능한 기관에만 제공된다.
본 발명에 가장 근접한 선행기술은 찾을 수 없으나, 몇몇 유사한 특허가 있다.
미국 특허 US 2012-0213212(A1)는 생활 기록장치(life recorder)에 의해 수집된 생활 경험을 분석하고 요약하며 전송하는 방법인 "생활 흐름(Life streaming)"을 서술하고 있다. 생활 기록장치는 이미지, 비디오 및/또는 오디오 형식의 생활 경험들을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기록 장치이다. 상기 기록은 실시간으로 분석될 수 있고 자동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대상 장치로 전달되어 친구들과 가족에게 누군가의 생활 경험을 발생하는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발명은 모든 상황에 지속적으로 적용되고 모든 데이터는 장래 사용을 위해 기록되는데 이들은 사용자의 사생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오용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프로그램이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의 위협을 배타적으로 진단하는 방식으로 모델이 설계된다. 상기 장치는 상기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하지만, 관련된 증거만을 제공하고 나머지는 삭제된다. 본 발명은 불특정인이 상기 정보를 편집하거나 수정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보안 수준이 높고 오용될 수 없다.
미국 특허 US 6,807,564(B1)은 비상벨이 활성화되면 긴급 서비스 기관에 자동적으로 긴급 지원을 요청하는 "비상벨 IP 장치(panic button IP device)"를 서술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사용자의 지원 요청 없이 작동하는 자동 위협 탐지 장치이다.
미국 특허 US 7,714,712(B2)는 시스템이 감시 목록에 포함된 대상의 정체를 결정하도록 프로세스 되는 "모바일 감시"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대상은 이미지 분석과 RFID 정보를 사용하여 정체가 확인된다. 반면에, 본 발명은 어떤 특정 항목이나 사람을 감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기본적인 목적은 상기 장치의 근처에서 범죄가 발생하는 경우 증거를 생성하는 것이다.
미국 특허 US 8,131,012(B2)는 비디오 분석과 비디오 데이터에 기반한 행동 패턴 인지와 관련된 "행동 인지 시스템"을 서술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행동 패턴 인지는 하나의 기능일 뿐이고 주요 역할은 위협 시나리오의 식별이며, 본 발명은 임의의 폐쇄 공간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국 특허 US 2006-0176169(Al)은 주변 환경에서 화재 상태를 감지하는 "환경 조건 감지를 위한 시스템"을 서술하고 있는데, 상기 발명은 한 지역에 여러 개의 노드를 구비하고 수집된 데이터는 프로세스를 위해 기지국에 전송되는 반면, 본 발명은 데이터 프로세스가 휴대용 장치 자체에서 수행되고 기지국이 사용되지 않으며, 센서 감지가 아니라 비디오를 사용한다.
[특허문헌 1] 미국공개특허 US 2012-0213212 (2012. 8. 23. 공개) [특허문헌 2] 미국등록특허 US 6,807,564 (2004. 10. 19. 등록) [특허문헌 3] 미국등록특허 US 7,714,712 (2010. 5. 11. 등록) [특허문헌 4] 미국등록특허 US 8,131,012 (2012. 3. 6. 등록) [특허문헌 5] 미국공개특허 US 2006-0176169 (2006. 8. 10 공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상기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위협을 탐지하는 것이다.
두 번째 목적은 이웃에게 메시지를 보내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다.
세 번째 목적은 증거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수집된 정보의 나머지는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것이다.
네 번째 목적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어되어 상황을 특정하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생성 기술을 이용하여 오디오/비디오를 인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최종 목적은 밀착 결합된 비 모바일 장치 또는 담당 기관에 오디오와 비디오 증거와 함께 지도상 위치, 사건 발생 날짜와 시간과 같은 메타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황을 인식하여 범죄 증거를 제공하고 동시에 지원을 요청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개인이 예상치 못한 범죄 시나리오에 연루되었을 때, 본 장치는 수동 개입 없이 상황을 감지하고, 범죄 시나리오를 식별하며, 자동적으로 담당 기관에 범죄 증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원을 요청한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강점은 모바일과 편재형 컴퓨팅(pervasive computing)을 이용하여 인지 모델을 통합하는 설계에 있다. 상기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며, 통신부분의 경우 상기 시스템은 안정된 모바일 기반시설을 이용한다.
제안된 발명은 지능형 휴대용 장치로서, 통상의 휴대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위협 또는 범죄 상황을 자동적으로 탐지할 수 있고 알려진 및/또는 미지의 이웃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하며 담당 기관에 범죄 발생 위치와 함께 오디오/비디오 증거를 제공한다. 범죄 탐지를 위한 상기 프로세스는 오용과 장난 경고들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에 의해 편집이 불가능한 휴대용 장치에서 수행되는데, 적합한 증거는 단지 증거문서 생성을 위해 편집이 가능한 기관에만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현재 이용 가능한 발명의 주된 단점인 임의의 폐쇄된 환경을 위한 일반적인 감시 시스템으로써 기능하도록 설계를 개선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생활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불특정인에 의해 쉽게 악용되는 점을 피할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요소,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의 프로세스 흐름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상위 아키텍쳐(architecture),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웨어의 데이터 수집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프로세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프로세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분류 시스템.
본 발명은 상황을 인식하여 범죄 증거를 제공하고 동시에 지원을 요청하는 휴대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한 개인이 예상치 못한 범죄 시나리오에 연루되었을 때, 본 장치는 수동 개입 없이 상황을 감지하고, 범죄 시나리오를 식별하며, 자동적으로 담당 기관에 범죄 증거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원을 요청한다. 심지어 패싸움이나 폭동은 문제에 연루된 개인들의 집합으로 인식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일반적으로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의 강점은 모바일과 편재형 컴퓨팅(pervasive computing)을 이용하여 인지 모델을 통합하는 설계에 있다. 통신부분의 경우, 상기 시스템은 안정된 모바일 기반시설을 이용한다. 상기 시스템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된다. 상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일부는 특정 요인들에 기반하여 지속적으로 환경을 모니터하고 범죄 시나리오를 의심하며, 시나리오가 있다면 활성화되어 상기 시스템 구성요소의 나머지 부분을 제어함으로써 세부 정보를 위해 퍼베이시브 환경(pervasive environment)에 대한 감지와 분석을 개시하고 범죄 발생지 주변에서 범죄의 단서를 확인한다.
휴대용 모바일 장치:
본 발명의 상기 하드웨어 부분은 데이터 수집부(1), 제어 프로세스부(2) 및 통신부(3)로 구성된다.
i) 데이터 수집부는 위성 위치확인 GPS(4), 타이머(5)와 같은 데이터를 수집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무선 카메라(6)는 날짜와 시간과 함께 오디오/비디오(7) 기록을 프레임 단위로 지속적으로 기록하고, 상기 카메라에서 이미지 센서(8)는 야간 촬영 시 선명한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모든 프레임을 프로세스 한다. 상기 장치의 추가적인 특징은 야간/주간 옵션과 실내/실외 환경 옵션을 가지는 모드 버튼(9)이다. 상기 모드 버튼은 야간과 주간 시간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혼돈을 방지하기 위해 집안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이 선택될 수 있다.
ii) 두 번째 구성요소는 프로세서(10), 메모리(11), 전원(12)으로 구성된 제어 프로세스부이다.
프로세스(13):
상기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인 의심부(suspector unit, 14)를 구비한다. 상기 의심부는 잠정적으로 오디오에서 불일치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위협을 의심한다. 의심스러운 상황이 탐지되면 이후 상기 소프트웨어(15)가 작동되어 인지 프로세스(16)가 시작되고, 비디오/오디오 증거를 분석한다. 상기 비디오와 오디오는 서로 분리되어 있고, 사전프로세스부(17)에서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위해 분할되어 있다. 이때, 상기 비디오 프레임은 상기 사전훈련 상황 데이터 세트(pretrained situation dataset, 18)로부터 위협이 될 수 있는 비디오 대상과 비교된다. 비디오와 유사하게, 상기 오디오 역시 데이터베이스(19)와 비교되어 동시에 프로세스 된다. 만일 상기 조합 프로세스(combinational process)에서 위협이 없다고 확인되면 소프트웨어는 상기 전체 프로세스를 지속적으로 반복한다. 위협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위협은 지능형 분류 시스템(20)에 의해 확인된다. 상기 지능형 분류 시스템은 상기 오디오/비디오 위협 대상을 케이스 베이스(case base, 21)에 따라 분류한다. 상기 케이스 베이스는 복잡한 사건 발생 현장에 따라 다양하게 사전 설정되어 있다.
상기 인지 프로세스는 두 가지 형태로 프로그램 되는데, 첫 번째 형태는 고정 학습(fixed learning)으로서 사전에 주입된 데이터 세트만 포함되고 단지 고정된 사건들에 대해서만 상기 위협 대상이 평가된다. 다른 형태는 지능형 지속 학습(intelligent continuous learning) 개념으로서 상기 장치는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어떤 종류의 위협 대상을 발견하면 상기 위협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와 상호작용한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위협이 확인되면 상기 새로운 위협 대상이 상기 케이스 베이스(case base)에 추가된다.
상기 소프트웨어의 판단 프로세스(22)에서 상기 위협 수준이 탐지된다. 위협이 탐지되면 사용자의 접촉으로 알려진 번호로 경고가 전송되고, 위치탐색 프로세스(23)가 병렬로 수행되며, 최종적으로 인증된 정보(24)가 담당 기관에 전송된다.
위치탐색:
위치탐색은 컨텍스트 기반 응용 프로그램(context based application)의 주요 기능이다. 상기 위치탐색은 환경 상황과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검색된 컨텍스트 정보(context information)에 전적으로 기반한다. 본 시스템은 환경에서의 상황과 행동에 기반하고, 환경에서의 위기 상황에 반응한다. 상기 시스템은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경고 메시지 및 전화를 가까운 노드(25)에 보낸다. 노드는 전산 및 통신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메시지 방송:
메시지 방송은 위치탐색의 다음 단계이다. 일단 휴대폰의 위치가 발견되면 방송 방법을 사용하여 경고 메시지가 자동적으로 방송된다. 메시지는 단순 메시징 서비스(Simple Messaging Service; SMS)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MS, 26)를 이용하여 전송된다. SMS는 문자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고 MMS는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비디오 및 오디오 인증: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혁신과 발전에 따라, 비디오 응용 프로그램이 우리 일상 생활에 스며들고 있다. 비디오 감시, 범죄수사, 법 집행 및 컨텐츠(contents) 소유권과 같은 일부 응용 프로그램에서 비디오 데이터의 진위는 최우선 관심사이다.
증거로 사용되는 비디오의 신뢰성을 확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디오 인증은 해당 비디오의 내용이 진본이고 수집할 때와 정확히 동일하다는 것을 확인하는 과정이다. 네 가지 비디오 인증 모델 즉, 디지털 서명, 워터마크(watermark) 기술, 지능형 기술과 운동 궤적에 기반한 다른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와 오디오 인증을 위해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어되어 사건 발생을 특정하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를 구비한다. 워터마킹(Watermarking)은 실제 비디오 컨텐츠 자체에 정보를 추가하는 과정이다. 종종 워터마크의 추가는 잠재적으로 비밀인 이러한 정보가 나중에 비디오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워터마크는 예를 들면 저작권 용도로는 보이도록 설계될 수 있고, 컨텐츠 보호 또는 비밀 통신 용도로는 보이지 않게 설계될 수 있다.
이미지 워터마킹의 장점은 개인적인 선호도의 문제이고 우리의 이미지 보호를 위한 손쉬운 방법은 아니지만, 다른 사람들이 우리 동의 없이 이미지를 다운로드하여 사용을 시도하기 전에 분명히 재고하게 만들 것이다.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된 비디오는 통상 다양한 종류의 조작(또는 위조) 공격을 받게 되므로, 워터마크를 생성하여 비디오의 각 프레임에 내장시킨다. 내장 후, 상기 프레임은 통신 채널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비디오로 변환되고, 수신 측에서 수신된 비디오는 워터마크를 위해 확인된다. 모든 프레임이 워터마크 된 경우이면 비디오가 인증되고, 그렇지 않으면 조작된 비디오로 간주/의심된다. 다양한 유형의 워터마킹이 있다. 본 발명은 보이지 않는 워터마킹 유형에 속한다.
워터마크를 고유하고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프로그램은 워터마킹을 위한 비디오의 비디오 특징을 사용한다. 워터마크는 비디오 단독으로 한정되지 않고 비슷한 방법으로 오디오도 워터마크 된다. 워터마크는 청취하여 인식되지 않게 오디오 신호에 내장될 수 있고 인식 요건도 충족된다. 원래의 신호와 상기 워터마크를 이용하지 않고도 탐지가 가능하다.
밀착 결합된 비 모바일 시스템(27):
현대 정보 통신 기술을 채용함에 따라 통제실 환경은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미래의 통제실을 설계할 때, 통제실의 다양한 기능을 신기술의 조력자가 어떻게 변화시키고 형성하며 그 안에서 업무 활동이 어떻게 수행되는지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통제실에서 작업자는 전화에 대처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작업자들과 통신함으로써 원격 카메라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화면상에 지나치게 많은 정보를 보면서 복수의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들과 하드웨어 장비를 사용한다. 이러한 통제실에서의 사건 관리는 주요한 사건들의 응답을 정리하기 위하여 특정 관리자 및 현장 작업자 팀과의 접촉에 크게 의존한다.
밀착 결합된 비 모바일 시스템은 더욱 일관되고 통합적이며 직관적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건 관리 시스템을 위한 개선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통제실에 동반되는 지루한 고정관념 시스템을 교체함으로써 통제실에서 작업자의 인지 부하를 감소시킨다. 밀착 결합된 비 모바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근무자는 휴대용 장치의 단일 화면상에서 메타정보 및 다른 증거들이 있다면 이를 수신하고 모니터하며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의 단계와 상태를 적절하게 제어하고 감독하기 위하여 셋업(setup)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은 필요한 지원의 우선 순위와 관련하여 오디오/비디오 정보가 표시되는 4개의 뷰포트로 구성된다. 제1 뷰포트는 다른 3개의 뷰포트와 함께 즉시 지원이 요구되는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진 사건 발생을 보여주고, 동일한 화면상에 다른 3개의 뷰포트를 순차적으로 보여준다. 추가하여, 상기 화면에는 각각의 위치에 근무를 위해 채용된 근무자, 사건 발생 날짜, 시간과 같은 상기 정보와 함께 지역 도시 지도상에 사건 발생 위치에 대한 좌표점을 표시한다.
모든 정보는 반자동 방식으로 정기적으로 문서화되는데, 상기 문서는 추가적인 정보를 첨부하기 위해 통제실 근무자에 의해 편집될 수 있고 상기 사건과 관련된 최종 문서는 사건 저장소에 저장됨으로써, 경찰, 범죄수사, 사법 등과 같은 담당 기관에 의해 법적인 용도로 장래에 사용된다.
1: 데이터 수집부 2: 제어 처리부
3: 통신부 4: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GPS)
5: 타이머 6: 무선 카메라
7: 오디오/비디오 8: 이미지 센서
9: 모드 버튼 10: 프로세서
11: 메모리 12: 전원
13: 프로세스 14: 의심부(suspector unit)
15: 소프트웨어 16: 인지 프로세스부
17: 사전 프로세스부 18: 사전훈련 상황 데이터 세트
19: 데이터 베이스 20: 지능형 분류 시스템
21: 케이스 베이스(case base) 22: 판단 프로세스부
23: 위치탐색 프로세스 24: 인증된 정보
25: 노드(node) 26: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27: 밀착 결합부

Claims (10)

  1. (a) 데이터 수집부, 무선 카메라, 이미지 센서,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 타이머, 날짜, 모드 버튼, 모바일 네트워크로 구성된 휴대용 장치 또는 향상된 모바일 장치;
    (b) 의심부, 인지 프로세스부, 판단 프로세스부, 사전훈련 상황 데이터 세트, 지능형 분류 시스템, 케이스 베이스(case base),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어되어 사건 발생을 특정하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로 구성된 제어 프로세스부; 및
    (c) 뷰포트, 위치 매핑을 위한 핫스팟, 메타정보로 구성된 밀착 결합부;를 포함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불필요한 안정된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장치의 데이터 수집부는 카메라, 이미지 센서, 위성 위치확인 시스템, 타이머, 모드 버튼으로 구성되고,
    (a) 카메라는 날짜, 시간, 위성위치와 같은 다른 메타정보들과 함께 오디오/비디오 기록을 지속적으로 기록하며, 야간 기록은 사진 선명도를 위해 이미지 센서들에 의해 프로세스 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버튼은 환경 조건을 구별하기 위한 야간/주간 옵션과 실내/실외 환경 옵션으로 구성되고, 이는 수동으로 선택될 수 있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심부는
    (a) 오디오에서 어떤 불일치를 분석하여 상기 위협을 의심하고,
    (b) 상기 오디오에서 의심이 발생하는 경우, 어떤 위협을 탐지하기 위하여 첫 번째 프레임 비디오가 프로세스 되고, 상기 사전훈련 상황 데이터 세트로부터 위협이 될 수 있는 비디오 대상을 비교하고,
    (c) 사전훈련 상황 데이터 세트로부터 위협이 될 수 있는 오디오 대상과 일치되는 어떤 위협을 탐지하기 위하여 비디오 프로세스와 유사하게 상기 오디오 또한 병렬 프로세스 되며,
    (d) 상기 위협의 대상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전체 프로세스는 반복되는 반면, 어떤 위협이 탐지된 경우 이후 추가로 인지 프로세스부로 처리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프로세스부는
    (a) 상기 위협 대상을 케이스 베이스로 분류하는 지능형 분류 시스템을 포함하고,
    (b) 상기 케이스 베이스는 서로 다른 복잡한 시나리오로 훈련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 프로세스부는 지속 학습과 고정 학습의 두 가지 형태로 구성되고,
    (a) 지속 학습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동 개입에 의해 새로운 대상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고,
    (b) 고정 학습은 사전 설정된 케이스 베이스인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프로세스부는 위협 수준 탐지 프로세스, 위치탐색 수행 프로세스, 인증 수행 프로세스를 포함하고,
    (a) 상기 위협 수준 프로세스는 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우선순위를 매기고,
    (b) 상기 프로세스는 두 가지 형태로 실행되되, 제1 형태는 상기 지능형 휴대용 장치가 연락처 목록상의 임의의 알려진 사람에게 즉각적인 도움을 요청하고, 제2 형태는 도움을 요청하기 위하여 주변의 미지의 노드로 경고 메시지와 전화를 보낼 위치를 탐색하고,
    (c) 인증 수행을 위한 상기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지능형 휴대용 장치는 오디오/비디오 대상, 날짜, 시간, 범죄 또는 위협 발생지의 위성 위치와 같은 증거들을 밀착 결합된 적합한 비 모바일 시스템 또는 기관에 제공하고,
    (d) 오디오/비디오 대상으로 구성된 상기 증거들은 응용 프로그램으로 제어되어 사건을 특정하는 보이지 않는 워터마크들과 함께 제공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 결합 시스템은
    (a) 제1 뷰포트가 더 이전의 사건을 보여주고, 나머지 뷰포트가 상기 사건을 계속해서 표시하는 복수의 뷰포트가 단일 모니터에 표시되고,
    (b) 상기 뷰포트들에 추가하여 두 개의 윈도우가 더 표시되되, 어느 하나의 윈도우는 지도상 위치에 대한 핫스팟을 보여주고, 다른 하나의 윈도우는 시간, 범죄 또는 위협 발생지 근처의 근무자의 위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를 표시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에 의해 수집된 상기 정보는 편집될 수 없고, 상기 프로세스는 단지 위협 수준만을 판단하며, 증거들은 상기 밀착 결합된 비 모바일 시스템에 제공되고, 상기 수집된 정보의 나머지는 자동적으로 삭제되는 범죄 또는 위협 상황을 자동으로 식별하는 지능형 휴대용 장치.
KR1020157032594A 2013-04-19 2014-04-17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 KR201501447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1733/CHE/2013 2013-04-19
IN13CH1733 2013-04-19
PCT/IN2014/000249 WO2014184801A2 (en) 2013-04-19 2014-04-17 Crime evidence provider cum help seek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772A true KR20150144772A (ko) 2015-12-28

Family

ID=57122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2594A KR20150144772A (ko) 2013-04-19 2014-04-17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44772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564B1 (en) 2000-06-02 2004-10-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anic button IP device
US20060176169A1 (en) 2004-12-17 2006-08-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for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7714712B2 (en) 2003-09-09 2010-05-11 Emigh Aaron T Mobile surveillance
US8131012B2 (en) 2007-02-08 2012-03-06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s, Inc.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
US20120213212A1 (en) 2011-02-18 2012-08-23 Microsoft Corporation Life streaming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564B1 (en) 2000-06-02 2004-10-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Panic button IP device
US7714712B2 (en) 2003-09-09 2010-05-11 Emigh Aaron T Mobile surveillance
US20060176169A1 (en) 2004-12-17 2006-08-10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ystem for sensing environmental conditions
US8131012B2 (en) 2007-02-08 2012-03-06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s, Inc. Behavioral recognition system
US20120213212A1 (en) 2011-02-18 2012-08-23 Microsoft Corporation Life stream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ufs et al. Security and the smart city: A systematic review
US9779614B2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MS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US10163330B1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accessing online systems
US10997423B1 (en) Video surveillance system having enhanced video capture
US11676478B2 (en) Monitoring security
US2016011097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loud-based analytics for surveillance systems
US20190373219A1 (en) Methods, system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facilitating management of emergency situations
CN113011833A (zh) 施工现场的安全管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160063105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Automated Cloud-Based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190068924A1 (en) Monitoring system having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JP6849105B2 (ja) イベントを判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538825A (zh) 一种用于校园翻墙事件报警方法及系统
KR102084687B1 (ko) 불법촬영 보안 관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60086480A1 (en) Crime evidence provider cum help seeker
CN111386711A (zh) 用于管理电子文件的电子指纹的方法、设备和系统
KR200470949Y1 (ko) 방범용 차량번호인식 스마트 치안정보 전송 시스템
Arikuma et al. Intelligent multimedia surveillance system for safer cities
KR20140021097A (ko) 분산처리 기반 카메라 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17046193A (ja) プライバシ保護を可能とするカメラシステム
CN111400415A (zh) 涉稳人员的管理方法及相关装置
US202201651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age analysis based security system
KR20150144772A (ko) 범죄 증거 제공장치 겸 지원 요청장치
CN111489276A (zh) 人员管理方法及相关装置
CN111292508A (zh) 银行安全警示系统及其警示方法
CN117423197B (zh) 一种智能安防软件监控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