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3160A -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3160A
KR20150143160A KR1020140072330A KR20140072330A KR20150143160A KR 20150143160 A KR20150143160 A KR 20150143160A KR 1020140072330 A KR1020140072330 A KR 1020140072330A KR 20140072330 A KR20140072330 A KR 20140072330A KR 20150143160 A KR20150143160 A KR 201501431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ll
water pipe
support
waterwa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9999B1 (ko
Inventor
소경호
Original Assignee
소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경호 filed Critical 소경호
Priority to KR102014007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9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3/00Irrigation ditches, i.e. gravity flow, open channel water distribu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 내벽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의 보강 지지대로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 일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된 제1 지지부와; 타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 타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삽입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내벽 상측면과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타측 내벽 상측면에 각각 안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너트를 통해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콘크리트 수로관이나 토압에 의해 폭의 길이가 좁아진 수로관에 설치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재질의 지지대보다 내구성이 더 높고, 부피를 소형화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Support to prevent damage of The concrete waterway pip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에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각각 설치하고 제1 지지부에 너트가 나사결합된 삽입부를 형성하고 제2 지지부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홈에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콘크리트 수로관이나 토압에 의해 폭의 길이가 좁아진 수로관에 설치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재질의 지지대보다 내구성이 더 높고, 부피를 소형화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이 오랜 시간이 지날수록 필연적으로 좌우측벽으로 더해지는 토압 및 동결융해 등으로 콘크리트 재질의 수로관이 토압을 버티지 못하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수로관은 시간이 지날수록 동결융해의 반복 및 좌우측벽의 토압으로 인해 좌우측벽이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수로관이 파손되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본의 콘크리트 재질로 성형된 콘크리트 보강지지대를 설치하였다.
기존의 콘크리트재질의 보강지지대는 재질로 인한 무게로 취급이 곤란하고 보강지지대의 걸림턱의 파손이 발생되고 걸림턱의 정교한 제작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유격이 발생하여 수로관 하단부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에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각각 설치하고 제1 지지부에 너트가 나사결합된 삽입부를 형성하고 제2 지지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콘크리트 수로관이나 토압에 의해 폭의 길이가 좁아진 수로관에 설치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재질의 지지대보다 내구성이 더 높고, 부피를 소형화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상측면과 타측 상측면에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이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홈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안전하고 위치가 이탈되지 않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 지지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 내벽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의 보강 지지대로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 일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가 돌출된 제1 걸림턱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삽입부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를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상기 제2 걸림턱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내벽 상측면과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타측 내벽 상측면에 각각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상측면과 타측 상측면에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이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홈;을 포함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에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각각 설치하고 제1 지지부에 너트가 나사결합된 삽입부를 형성하고 제2 지지부에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부가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다양한 폭의 콘크리트 수로관이나 토압에 의해 폭의 길이가 좁아진 수로관에 설치가 가능하고, 콘크리트 재질의 지지대보다 내구성이 더 높고, 부피를 소형화하여 취급이 용이하고 무게가 가벼운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수로관의 일측 상측면과 타측 상측면에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이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홈 형성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안전하고 위치가 이탈되지 않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 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콘크리트 수로관이 설치되고 토압으로 인해 수로관이 외벽이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콘크리트 수로관에 기존 콘크리트 보강지지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이도이다.
도 3은 콘크리트 수로관이 설치되고 기존 콘크리트 보강지지대가 결합되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가 콘크리트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가 콘크리트 수로관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걸림턱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에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걸림턱홈이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에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콘크리트 수로관(10)이 설치되고 토압으로 인해 수로관(10)이 외벽이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크리트 수로관(10)은 오랜 시간이 지날수록 (a)에서 (b)으로 필연적으로 좌우측으로 토압이 전해짐으로 외벽이 파손된다.
도 2 및 3은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의 콘크리트 재질의 보강지지대를 설치했다. 하지만 콘크리트 재질의 보강지지대는 무게도 무겁고 부피도 커서 취급하는데 불편하고 파손이 잘되는 단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는 콘크리트 수로관(10)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 내벽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의 보강 지지대로서, 제1 지지부(110)는 일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 일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1 걸림턱(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116)가 돌출되고, 제2 지지부(120)는 타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 타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2 걸림턱(124)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116)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26)이 형성되고, 너트(130)는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116)가 상기 삽입홈(126)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130)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126)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116)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걸림턱(114)과 상기 제2 걸림턱(124)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 상측면과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타측 내벽 상측면에 각각 안착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가 제2 지지부(120)의 삽입홈(126)에 삽입되고, 상기 너트(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130)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126)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116)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걸림턱(114)과 상기 제2 걸림턱(124)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 상측면과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타측 내벽 상측면에 각각 안착되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 및 타측 내벽을 지지한다.
즉, 상기 너트(130)가 회전하면서 이동할때, 상기 너트(130)의 일측면이 상기 제2 지지부 삽입홈(126)이 형성된 측면과 맞닿아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삽입홈(126)에 삽입되는 정도를 제한하여 상기 제1 지지대(110)와 상기 제2 지지대(120)의 유격을 조정한다.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삽입홈(126)에 짧게 삽입되면 유격이 길어지게 되고,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삽입홈(126)에 길게 삽입되면 유격이 짧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130)가 회전하면서 제1 지지부(110)의 위치는 고정이 되고 제2 지지부(120)의 위치만 이동하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가 콘크리트 수로관(10)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걸림턱홈(14)이 형성된 콘크리트 수로관(10)에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가 설치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양측 내벽 상측면에 걸림턱이 설치되면서 외부 충격으로 인한 보강지지대가 설치된 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상측면과 타측 상측면에 제1 걸림턱(114)과 제2 걸림턱(124)이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홈(14)을 형성하여 외부 충격에도 위치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콘크리트 수로관 14 : 걸림턱홈
20 : 콘크리트 보강지지대
100 :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110 : 제1 지지부 112 : 제 1 지지대축
114 : 제1 걸림턱 116 : 삽입부
120 : 제2 지지부 122 : 제2 지지대축
124 : 제2 걸림턱 126 : 삽입홈
130 : 너트

Claims (2)

  1. 콘크리트 수로관(10)의 대향되는 일측과 타측 내벽 사이에 삽입 설치되는 콘크리트의 보강 지지대로서,
    일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 일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1 걸림턱(114)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부(116)가 돌출된 제1 지지부(110);
    타측 단부에는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 타측 내벽의 상측면에 안착되는 제2 걸림턱(124)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부(116)가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홈(126)이 형성된 제2 지지부(120); 및,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삽입부(116)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삽입부(116)를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된 너트(130);를 포함하고,
    상기 너트(13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너트(130)의 일측면과 상기 삽입홈(126)이 형성된 측면이 맞닿아 삽입된 상기 삽입부(116)의 길이가 조정됨으로써, 상기 제1 지지부(110)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지지부(120)의 타측 단부가 각각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과 타측 내벽에 밀착되고, 상기 제1 걸림턱(114)과 상기 제2 걸림턱(124)이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내벽 상측면과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타측 내벽 상측면에 각각 안착되도록 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수로관(10)의 일측 상측면과 타측 상측면에 제1 걸림턱(114)과 제2 걸림턱(124)이 각각 결합되는 걸림턱홈(14);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100).
KR1020140072330A 2014-06-13 2014-06-13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KR101659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30A KR101659999B1 (ko) 2014-06-13 2014-06-13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330A KR101659999B1 (ko) 2014-06-13 2014-06-13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3160A true KR20150143160A (ko) 2015-12-23
KR101659999B1 KR101659999B1 (ko) 2016-09-27

Family

ID=55082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330A KR101659999B1 (ko) 2014-06-13 2014-06-13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9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284Y2 (ja) * 1991-04-23 1997-05-21 タキロン株式会社 合成樹脂製u字溝部材
JP2000129768A (ja) * 1998-10-29 2000-05-09 Takiron Co Ltd U字溝部材
JP2007120070A (ja) * 2005-10-26 2007-05-17 Maruun Kensetsu Kk 側溝蓋跳ね上がり防止工法及び防止具
KR20130014282A (ko) * 2011-07-30 2013-02-07 양내문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284Y2 (ja) * 1991-04-23 1997-05-21 タキロン株式会社 合成樹脂製u字溝部材
JP2000129768A (ja) * 1998-10-29 2000-05-09 Takiron Co Ltd U字溝部材
JP2007120070A (ja) * 2005-10-26 2007-05-17 Maruun Kensetsu Kk 側溝蓋跳ね上がり防止工法及び防止具
KR20130014282A (ko) * 2011-07-30 2013-02-07 양내문 수직상의 알루미늄 거푸집에 단열재설치용 간격조절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99B1 (ko)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23852T3 (es) Dispositivo de sujeción para un aparato láser
ES2531645T3 (es) Tornillo pedicular poliaxial y kit de sistema de fijación que comprende dicho tornillo
TWD178823S (zh) 感測器安裝具
KR101497688B1 (ko) 거푸집의 간격 유지구 및 앵커볼트 고정장치
NZ592525A (en) Connection device comprising and insertion member with 2 opposite insertion ends and a handle attached by a shank
EA201390606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внутриматочной системы
BR112017004982B1 (pt) Fixador basculante para fixação de um objeto em um componente de parede fina e processo para montagem de um fixador basculante
ATE547578T1 (de) Abstandshalter zur befestigung eines halteelementes in einer wandung
RU2012153791A (ru) Трубный зажим
KR101659999B1 (ko) 콘크리트 수로관의 파손방지 보강지지대
KR20120005460U (ko) 설치가 용이한 관통 슬리브
US9127426B2 (en) Securing and waterproof mechanism of a floodgate apparatus
GB2594370A (en) "Coupling for mounting an accessory to a pole"
KR20190105942A (ko) 유리칸막이
KR101484580B1 (ko)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US20220205260A1 (en) Clamp for formwork for vertical castings
EP3587709A1 (en) Adjusting device and an assembly comprising the adjusting device
KR101630765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철근고정구
MX2019000783A (es) Una barrera de transicion para conectar una barrera permanente a una barrera temporal.
KR101496332B1 (ko) 크리센트
DK2167761T3 (da) Gademast samt fremgangsmåde til anbringelse af gademasten
KR101583968B1 (ko) 시프트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수동변속기 레버 구조 및 그 탈거 방법
KR20150135887A (ko) 패스너
PH12018501350A1 (en) Piston-chamber combination
ITBS20120011A1 (it) Dado per ancorare con mezzi a vite dei componenti ad un elemento profilato e metodo di montaggi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