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318A -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 Google Patents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318A
KR20150142318A KR1020140070901A KR20140070901A KR20150142318A KR 20150142318 A KR20150142318 A KR 20150142318A KR 1020140070901 A KR1020140070901 A KR 1020140070901A KR 20140070901 A KR20140070901 A KR 20140070901A KR 20150142318 A KR20150142318 A KR 20150142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manual
storage unit
automatic
diamet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0355B1 (ko
Inventor
송민수
이광재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355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8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 B05B9/085Apparatus to be carried on or by a person, e.g. of knapsack type with a liquid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9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 B05B11/1011Piston pumps actuated by a lever without substantial movement of the nozzle in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분사 및 자동분사를 겸하는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분사를 수행할 수 있고, 수동분사를 수행할 수도 있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1부재(110)와; 저장부(200)에 고정되면서 출구(124)가 형성된 채 상기 제1부재(110)가 삽입되는 제1연장부(123)가 마련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저장부(20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부재(110)가 내삽되는 제2연장부(135)가 형성된 채 상기 제2부재(120)가 외삽되는 제3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110)에 연결되어 제1부재(110)를 상기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레버(101)와; 상기 제3부재(130)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부재(130)가 상기 제2부재(1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제2레버(102);를 포함하는 분무헤드(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제공하여, 분무헤드가 자동분무를 위한 제1레버 및 수동분무를 위한 제2레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분무를 수행할 때에는 제1레버의 작동만으로 손쉽게 자동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수동분사가 필요시에는 제2레버의 작동으로 손쉽게 수동분무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A two-way sparayer in use with automatic and manual}
본 발명은 수동 분사 및 자동분사를 겸하는 휴대용 분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분사를 수행할 수 있고, 수동분사를 수행할 수도 있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분무기는 비교적 적은 양의 피분사물질을 분무하기 위한 것으로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는 레버를 수 차례 반복적으로 잡았다 놓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저장부에 담겨진 내용물(피분사물질)의 분무를 수행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의 경우 수동 방식이었기 때문에 노약자 등 에게는 분무에 필요한 힘이 다소 소요되기 때문에 분무의 불편함이 존재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또 다른 종래의 휴대용 분무기 중에는 저장소의 내부 압력이 충진 되어 레버의 동작으로 자동으로 내용물을 분무하는 기술이 선보이고 있기는 하다.
예로써,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116호는 배터리로 작동하는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분무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116호의 분무기는 자동 혹은 수동 방식을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동분무기와 수동분무기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여 사용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서 위와 같은 종래의 자동 분무기의 경우 저장부의 내부 압력이 소진되면 내부 압력을 재충전하기 전에는 분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024116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분무헤드에 자동분무 레버와 수동분무를 위한 레버를 독립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자동분무 뒤에 수동분무가 필요시에는 레버의 작동만으로 자동분무에서 수동분무로 분무방식을 간편하게 전환하여 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부재(110)와; 저장부(200)에 고정되면서 출구(124)가 형성된 채 상기 제1부재(110)가 삽입되는 제1연장부(123)가 마련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저장부(20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부재(110)가 내삽되는 제2연장부(135)가 형성된 채 상기 제2부재(120)가 외삽되는 제3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110)에 연결되어 제1부재(110)를 상기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레버(101)와; 상기 제3부재(130)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부재(130)가 상기 제2부재(1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제2레버(102);를 포함하는 분무헤드(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펌프(303)가 내설된 지지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303)로부터 압력을 인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부재(120)와 상기 제3부재(130) 사이에는 스프링(15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부재(130)는 상기 저장부(200)에 연통되는 제1호스(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호스(131)의 일단부에는 차폐볼(1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살균부(20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는 제2호스(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2호스(201)는 상기 펌프(303)에 연통되는 구멍(30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부재(110)는 상기 제1레버(101)가 연결되는 제1직경부(111)와; 상기 제1직경부(11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23)에 형성된 제1내벽(127)에 밀착되는 제2직경부(112)와; 상기 제2직경부(1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을 차폐하는 제3직경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직경부(112)에는 제1링(114)이 마련되고 상기 제3직경부(113)에는 제2링(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무헤드가 자동분무를 위한 제1레버 및 수동분무를 위한 제2레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자동분무를 수행할 때에는 제1레버의 작동만으로 손쉽게 자동분무를 수행할 수 있고, 수동분사가 필요시에는 제2레버의 작동으로 손쉽게 수동분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지지부에 펌프가 구비되기 때문에 저장부를 지지대에 올려 놓는 것 만으로 자동으로 저장부에 압력이 충전되어 자동분사 가능상태를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제2부재와 제3부재 사이에 스프링이 마련되기 때문에 수동분무시에 보다 용이하게 분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제1호스의 상단에는 차폐볼이 마련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저장부에 마련된 내용물(피분사물질)의 차폐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다섯째, 저장부에는 살균부가 마련될 수 있기 때문에 피분사물질(내용물)의 살균을 확실하게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여섯째, 제1부재가 제1직경부, 제2직경부, 제3직경부로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부의 내용물(피분사물질)의 단속을 보다 확실하게 하는 강점이 있다.
일곱째, 제1부재의 제2직경부에는 제1링이 마련되고 제3직경부에는 제2링이 마련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한 기밀이 유지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헤드 내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헤드의 일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 구성요소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체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헤드(100) 내부의 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무헤드(100)의 일부 단면도이다.
분무헤드(100)는 저장부(200)에 연결되어 있으며, 분무헤드(100)는 제1레버(101)와 제2레버(102)를 포함하고 있다.
제1레버(101)는 이하에서 설명될 자동레버에 해당하며, 제2레버(102)는 이하에서 설명될 수동레버에 대응함을 일러두는 바이다.
제1레버(101)는 저장부(20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저장부(200)를 개폐 가능한 제1부재(110)에 연결된 다.
제2레버(102)는 저장부(20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면서 상기 제1부재(110)를 안내하는 제2부재(120)에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분무헤드(100)의 일측에는 제1레버(10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2레버(102)가 마련되어 있다.
노즐(103)은 제2레버(102)의 상측에 형성되고 있다.
연결부(105)는 분무헤드(100)와 저장부(200) 사이에서 분무헤드(100)를 저장부(200)에 고정시킨다.
한편, 분무헤드(100)의 제2부재(120)는 저장부(200)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00)에는 내부에 살균부(203)가 마련될 수 있어 저장부(200) 내의 내용물을 살균처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저장부(200) 내부에는 전기분해 장치가 구비되는 것 또한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저장부(200)는 지지부(300) 위에 결합되어 있다.
지지부(300)에는 펌프(303)가 내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펌프(303)는 에어펌프(30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200)의 하면에는 펌프(303)와 연통되어 압력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구멍(301)이 마련된다.
다시 말해서 저장부(200) 내부에는 제2호스(201)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있으며, 제2호스(201)의 일단이 구멍(301)에 연통됨으로써 펌프(303)로부터 공기를 이송시키게 된다.
저장부(200)에는 제2호스(201)와 나란하게 제1호스(131)가 분무헤드(100)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제1호스(131)는 저장부(200)에 저장된 물질을 분사헤드를 통해 노즐(103)로 배출 하도록 안내한다.
제2부재(120)는 저장부(200)에 고정되어 제3부재(130)가 승하강 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2부재(120)의 측면으로는 분무헤드(100)에 형성된 노즐(103)과 연통되는 출구(124)가 형성되어 있다.
제1호스(131)는 저장부(200)에 마련된 피분사물질을 출구(124)로 안내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부재(110)와 제2부재(120), 그리고 제3부재(130)의 결합관계 및 작동 방식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제1부재(110)는 제1레버(101)가 연결되는 제1직경부(111)를 갖는다.
제2직경부(112)는 제1직경부(111)에서 연장되면서 제1연장부(123)에 형성된 제1내벽(127)에 밀착 가능하다.
제3직경부(113)는 제2직경부(112)에서 연장되면서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을 차폐 할 수 있다.
제1직경부(111)의 직경은 제2직경부(112)의 직경 보다 작게 형성되고, 제2직경부(112)의 직경은 제3직경부(113)의 직경부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직경부(112)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1링(114)이 마련된다.
제1링(114)은 제2직경부(112)와 제1내벽(127)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제3직경부(113)의 외주면에는 제2링(115)이 마련된다.
제2부재(120)는 분무헤드(100)에 형성된 노즐(103)과 연통되는 출구(124)를 갖는다.
제1연장부(123)는 제1부재(110)를 수용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연장부(123)는 제2부재(120)의 내부에서 상단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상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제1연장부(123)는 내주면에 제1내벽(127)이 형성되고, 제1연장부(123)가 제1부재(110)의 제2직경부(112)를 밀착 안내하게 된다.
한편, 제1연장부(123)의 하부 단면에는 제1단부면(125)이 형성된다.
제1단부면(125)은 제1부재(110)의 제3직경부(113)가 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3직경부(113)는 제1연장부(123)의 단부인 제1단부면(125)에 걸리기 때문에 제1부재(110)가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정한다.
제3부재(13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제1호스(131)의 상단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있다.
제3부재(130)는 제2내벽(139)이 형성되는 제2연장부(135)를 포함한다.
제2연장부(135)의 상단에는 제3단부면(137)이 형성되어 있다.
제2부재(120)에 형성된 제4단부면(129)은 제3부재(130)에 형성된 제3단부면(137)을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제4단부면(129)은 제3단부면(137) 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연장부(135)는 제1호스(131)의 상단부에서 제1호스(13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다.
제2연장부(135)는 상단부에서 제2단부면(133)이 형성되고 있다.
제3부재(130)의 외주면과 제2연장부(135) 사이에는 사이공간이 형성되고, 사이공간으로 스프링(150)이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스프링(150)의 일단은 제3부재(130)의 제2면(132)에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150)은 제2연장부(135)에 외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부재(110)의 제3직경부(113)는 제3부재(130)에 형성된 제2연장부(135)의 제2내벽(139)에 밀착되어 슬라이딩 가능하다.
한편, 제2부재(120)에 형성된 제1연장부(123)의 외경은 제2연장부(135)의 내경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제2부재(120)에 형성된 제1연장부(123)는 제3부재(130)에 형성된 제2연장부(135) 속으로 삽입 슬라이딩 가능한 구조인 것이다.
이때, 제2부재(120)의 제1단부면(125)에 밀착된 제1부재(110) 역시 제2연장부(135)에 형성된 제2내벽(139)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다.
차폐볼(140)은 제1호스(131)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다.
2. 동작원리의 설명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사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도 1과 같이 저장부(200)가 지지부(300)에 올려지게 되면, 저장부(200)에 마련된 제2호스(201)는 지지부(300)에 형성된 구멍(301)과 연통가능하게 된다.
펌프(303)가 작동하면, 구멍(301)을 통해 제2호스(201)로 에어가 주입되면서 저장부(200) 내부에는 압력이 제공된다.
저장부(200) 내부에 압력이 인가되면 저장부(200)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피분사물질(내용물)이 노즐(103)로 향하도록 힘을 받게 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도 3에서 제1부재(110)의 제3직경부(113)는 제1레버(101)에 의해 제2연장부(135)의 제2내벽(139)에 밀착된 상태로 기밀을 유지하고 있는 자동 분사 준비상태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부재(110) 및 제2부재(120)가 제1레버(101)의 작동으로 상승된 상태를 의미하기도 한다.
제1레버(101)를 작동하면 제1부재(110)가 상승하게 되면서 제1부재(110)의 제3직경부(113)가 제2내벽(139)과 이격된다.
한편, 제2부재(120) 및 제2부재(120)의 제1단부면(125)에 접촉된 제1부재(110) 역시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3부재(130)에 대하여 상방향으로 상승된다.
이 때, 제1부재(110)의 최하면과 제3부재(130)의 제2단부면(133)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이격공간으로 유체가 소통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제1레버(101)를 동작시키면, 제2부재(120)와 제3부재(130)는 서로 척력을 받게 되어 상하 방향으로 멀어지면서 제2단부면(133)과 제1부재(110) 사이에 이격공간, 즉 틈이 마련되기 때문에 저장부(200)에 인가된 압력에 의해 저장부(200)의 내용물(피분사물질)이 차폐볼(140)을 밀어내면서 제2단부면(133)과 제1부재(110) 사이에 이격공간을 유체소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단부면(133)과 제1부재(110) 사이에 이격공간을 통과한 피분사물질은 출구(124)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펌프(303)로부터 제공된 압력이 저장부(200)에 제공되고, 제1레버(101)를 당기는 순간 저장부(200)의 형성된 압력에 의해 피분사물질(내용물)이 제1호스(131)를 지나 자동으로 노즐(10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는 것이다.
한편, 저장부(200) 내부에는 살균부(203)가 마련될 수가 있어 피분사물질을 살균하는 것 또한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수동분사를 설명한다.
전원 공급이 어렵거나 지지부(300)로부터 에어 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에는 수동분사를 수행할 수 있다.
수동분사에서 제1부재(110)는 제2부재(120)의 제1단부면(125)에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수동분사는 제2레버(102)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제2레버(102)는 제3부재(130)에 연결되어 있다.
제2레버(102)를 작동시키면 제3부재(130)는 제2부재(120)를 향해 승하강 슬라이딩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제1부재(110)의 제3직경부(113) 하단부는 제2내벽(139)에 밀착되면서 제2내벽(139)의 상부를 향해 슬라이딩 된다.
다시 말해, 제3부재(130)가 제2부재(1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하강하게 된다.
저장부(200)에 마련된 피분사물질(내용물)은 제1호스(131)를 통해서 상승되고 차폐볼(140)을 밀어 올리면서 제2연장부(135)의 내부공간 및 제2부재(120)의 내부공간으로 차오른다.
제2레버(102)의 작동을 다시 작동시키면 이번에는 반대로 제3부재(130)가 제2부재(1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승강하게 된다.
이 때 차폐볼(140)은 하방향으로 압력을 받기 때문에 제1호스(131)를 막게 되고, 제3부재(130)가 스프링(15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계속하여 제2부재(120)를 향해 승강하면, 제2부재(120) 내부에 고여있는 피분사물질(내용물)은 출굴를 통해 분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분무헤드 101 : 제1레버
102 : 제2레버 103 : 노즐
105 : 연결부 110 : 제1부재
111 : 제1직경부 112 : 제2직경부
113 : 제3직경부 114 : 제1링
115 : 제2링 120 : 제2부재
121 : 제1면 123 : 제1연장부
124 : 출구 125 : 제1단부면
127 : 제1내벽 129 : 제4단부면
130 : 제3부재 131 : 제1호스
132 : 제2면 133 : 제2단부면
135 : 제2연장부 137 : 제3단부면
139 : 제2내벽 140 : 차페볼
150 : 스프링 200 : 저장부
201 : 제2호스 203 : 살균부
300 : 지지부 301 : 구멍
303 : 펌프

Claims (8)

  1. 제1부재(110)와;
    저장부(200)에 고정되면서 출구(124)가 형성된 채 상기 제1부재(110)가 삽입되는 제1연장부(123)가 마련된 제2부재(120)와;
    상기 저장부(200)와 연통되면서 상기 제1부재(110)가 내삽되는 제2연장부(135)가 형성된 채 상기 제2부재(120)가 외삽되는 제3부재(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부재(110)에 연결되어 제1부재(110)를 상기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에 밀착시키는 제1레버(101)와;
    상기 제3부재(130)에 연결되어 상기 제3부재(130)가 상기 제2부재(120)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키는 제2레버(102);를 포함하는 분무헤드(10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0)는,
    펌프(303)가 내설된 지지부(300)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303)로부터 압력을 인가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재(120)와 상기 제3부재(130) 사이에는 스프링(15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부재(130)는,
    상기 저장부(200)에 연통되는 제1호스(131)를 포함하고,
    상기 제1호스(131)의 일단부에는 차폐볼(140)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0)는,
    살균부(203)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0)는,
    제2호스(201)를 포함하되,
    상기 제2호스(201)는 상기 펌프(303)에 연통되는 구멍(301)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110)는,
    상기 제1레버(101)가 연결되는 제1직경부(111)와;
    상기 제1직경부(111)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23)에 형성된 제1내벽(127)에 밀착되는 제2직경부(112)와;
    상기 제2직경부(112)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연장부(123)의 단부면을 차폐하는 제3직경부(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직경부(112)에는 제1링(114)이 마련되고,
    상기 제3직경부(113)에는 제2링(11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1020140070901A 2014-06-11 2014-06-11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KR102220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01A KR102220355B1 (ko) 2014-06-11 2014-06-11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901A KR102220355B1 (ko) 2014-06-11 2014-06-11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318A true KR20150142318A (ko) 2015-12-22
KR102220355B1 KR102220355B1 (ko) 2021-02-25

Family

ID=5508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901A KR102220355B1 (ko) 2014-06-11 2014-06-11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3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15B1 (ko) 2017-11-16 2019-03-28 김열희 안개 분사를 용이하게 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자동 분무기 헤드
TWI775490B (zh) * 2021-06-15 2022-08-21 南開科技大學 酒精自動噴灑裝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365Y1 (ko) * 1998-12-10 2001-06-01 강문식 수동 겸용 자동분무기
KR20110024116A (ko) 2009-09-01 2011-03-09 박정일 배터리로 작동하는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분무기
KR20110122041A (ko) * 2010-05-03 2011-11-09 김성규 자동 및 수동 겸용 분무기
CN103212501A (zh) * 2013-04-16 2013-07-24 宁波大叶园林工业有限公司 手自一体切换型水枪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365Y1 (ko) * 1998-12-10 2001-06-01 강문식 수동 겸용 자동분무기
KR20110024116A (ko) 2009-09-01 2011-03-09 박정일 배터리로 작동하는 활성 라디칼 발생장치를 구비한 분무기
KR20110122041A (ko) * 2010-05-03 2011-11-09 김성규 자동 및 수동 겸용 분무기
CN103212501A (zh) * 2013-04-16 2013-07-24 宁波大叶园林工业有限公司 手自一体切换型水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3515B1 (ko) 2017-11-16 2019-03-28 김열희 안개 분사를 용이하게 하는 회전 부재를 구비한 자동 분무기 헤드
TWI775490B (zh) * 2021-06-15 2022-08-21 南開科技大學 酒精自動噴灑裝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0355B1 (ko) 202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26730B (zh) 喷射装置器械
KR101554210B1 (ko) 진공펌프가 구비된 크림타입 화장품용기
US8696553B2 (en) Automatic retractable syringe
KR101867566B1 (ko) 이중 배출수단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8079771B2 (en) Spray brush
RU2016109171A (ru) Система дозирования для ингаляци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HK1256429A2 (zh) 具有噴嘴和針作為組件的液體分配裝置
KR20140043736A (ko) 액체 디스펜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JP2018517874A (ja) 圧力容器用の安全制御装置及び安全制御装置を備えた圧力容器
KR20150142318A (ko) 수동 겸용 휴대용 자동 분무기
EP3199079B1 (en) Body cleaning head and body cleaning tool
JP6158073B2 (ja) 塗装用シリンジガン及びそのシリンジガンを用いた塗装用シリンジガンシステム、塗装用シリンジガンへの塗料充填方法
KR101310246B1 (ko) 노즐 출몰형 화장품 용기
KR200452005Y1 (ko) 휴대용 디스펜서
KR101454748B1 (ko) 액상 내용물의 정량 인출이 가능한 용기
KR101399816B1 (ko) 휴대용 비데
JP3165278U (ja) 液体散布装置
US10682036B2 (en) Cleaning device
DK1254072T3 (da) Håndholdt pumpesprayapparat
JP5252308B2 (ja) 遅延吐出ポンプ
KR101737625B1 (ko) 청소가 용이한 휴대용 방역기
KR101672805B1 (ko) 분무장치
KR101470137B1 (ko) 휴대용 액체 분사장치
CN219596649U (zh) 一种生物安全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