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156A - 온실 - Google Patents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156A
KR20150142156A KR1020140070388A KR20140070388A KR20150142156A KR 20150142156 A KR20150142156 A KR 20150142156A KR 1020140070388 A KR1020140070388 A KR 1020140070388A KR 20140070388 A KR20140070388 A KR 20140070388A KR 20150142156 A KR20150142156 A KR 20150142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rop
greenhouse
ligh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519B1 (ko
Inventor
이정균
송명곤
Original Assignee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주성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40070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519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0Forcing-frames; Lights, i.e. glass panels covering the forcing-fram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1Arrangement of opening or closing systems for windows and ventilation pan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온실 내부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는 온실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지면에 설치되어 작물 생장 공간을 마련하는 측벽 구조물; 상기 측벽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 구조물; 상기 작물 생장 공간의 지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물 생장 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사이사이의 통로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온실{GREENHOUSE}
본 발명은 작물을 재배하는 온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온실 내부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는 온실에 관한 것이다.
현재 농업 분야에서는 비닐 하우스나 유리로 된 온실에서 채소, 곡식, 과실, 화훼, 특용작물, 약용작물 등의 다양한 농산물(또는 작물)을 재배한다. 온실은 식물의 주요 생육환경인 광선, 온도, 습도를 인공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서 1년 중 계속해서 농산물을 생산할 수 있고, 노지에서는 재배가 되지 않는 특수 농작물을 재배,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농가의 수익 향상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그러나 온실 내부의 광량이 부족할 경우, 작물 생장 속도가 늦춰지거나 작물의 이상 및 기형을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온실 내부의 광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경우, 온실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아져 작물 생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온실 내부의 광량이 조절될 수 있는 온실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작물 생육 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 온실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지면에 설치되어 작물 생장 공간을 마련하는 측벽 구조물; 상기 측벽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 구조물; 상기 작물 생장 공간의 지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물 생장 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사이사이의 통로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부재는 상기 통로에 인접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과 나란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타측 반사부;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일측 반사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경사진 제 1 경사부; 상기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타측 반사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경사진 제 2 경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 간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덮는 통로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상기 제 1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되고,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 및 상기 제 2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되고,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지면 상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1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블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 반사 부재는 상기 통로에 인접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덮는 제 1 타측 반사부, 및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1 일측 반사부와 제 1 타측 반사부 사이에 경사진 제 1 경사부를 갖는 제 1 반사 부재; 및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과 나란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덮는 제 2 타측 반사부, 및 상기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2 일측 반사부와 제 2 타측 반사부 사이에 경사진 제 2 경사부를 갖는 제 2 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상기 제 1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 상기 제 2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 및 상기 통로에 설치되고,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지면 상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1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블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봉 고리;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각각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봉 고리;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덮는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가 접히도록 상기 제 1 봉 고리에 걸쳐지는 제 1 통로 개방용 봉; 및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덮는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가 접히도록 상기 제 2 봉 고리에 걸쳐지는 제 2 통로 개방용 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제 1 태양 전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제 1 지붕 구조물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설치된 제 1 태양 전지 모듈 창; 및 상기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제 2 태양 전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붕 구조물과 마주하는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제 2 지붕 구조물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설치된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은 상기 측벽 구조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 유리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붕 구조물은 피라미드 형태, 사각뿔대 형태, 또는 정사각뿔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붕 구조물은 서로 마주하는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 각각은 투명 유리창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사이사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의 광 반사를 통해 온실 내부의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작물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온실 내부의 온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다.
둘째, 온실 내부 광량에 따라 광 반사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온실 내부의 광량을 최적화될 수 있다.
셋째, 지붕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지붕 구조물에 설치된 태양 전지 모듈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광 반사 부재의 광 반사에 의해 내부 광량을 조절함으로써 전력 판매에 따른 농가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태양 전지 모듈의 차광으로 인한 광량 부족을 보상하여 작물 생육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넷째, 지붕 구조물의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에 설치된 투명 유리창을 통해 온실 내부의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의 차광으로 인한 광량 부족을 보상해 온실 내부의 광량을 증가시켜 작물 생육 기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광 반사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 1 및 제 2 반사 부재에 형성되는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에서, 통로를 개방시키기 위한 구성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상에"라는 용어는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의 바로 상면에 형성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은 측벽 구조물(100), 지붕 구조물(200),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 및 광 반사 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측벽 구조물(100)은 지면(1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4면의 온실 측벽을 형성한다. 상기 4면의 온실 측벽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측면 가로 구조물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측면 세로 구조물에 의해 마련되는 복수의 창틀을 포함하고, 복수의 창틀 각각에는 측면 유리창(110, 120, 130, 140)이 설치된다. 이때, 측면 유리창(110, 120, 130, 140) 각각은, 온실 내부의 환기 및 온도 조절을 위해, 창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온실의 4측면은 측면 유리창(110, 120, 130, 140)에 의해 둘러싸이며, 이로 인해, 온실 내부에는 작물 생장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상기 지붕 구조물(200)은 측벽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일 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200)은 피라미드 형태를 가지도록 측벽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구조물(200)은 제 1 내지 제 4 지붕 구조물(210, 220, 230, 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붕 구조물(210, 220, 230, 240)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붕 가로 구조물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붕 세로 구조물에 의해 마련되는 복수의 창틀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지붕 구조물(210, 220, 230, 240) 각각의 창틀 영역들에는 태양광이 온실 내부로 입사될 수 있도록 투명 유리창이 설치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지붕 구조물(200)은 피라미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뿔대 형태, 돔 형태, 정사각뿔대 형태, 또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은 온실 내부에 마련된 작물 생장 공간의 지면(10)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물이 생장하는 작물 생장 하우징(310)을 지지한다. 이하,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 중 통로의 일측에 인접한 작물 지지 프레임을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이라 정의하고, 통로를 사이에 두고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과 나란한 작물 지지 프레임을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상기 광 반사 부재(400)는 제 1 및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a, 300b) 사이사이의 통로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온실 내부의 광량 또는 작물에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한다. 이러한 광 반사 부재(400)는 반사 비닐 또는 반사 물질이 코팅된 비닐이 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상기 광 반사 부재(400)는 일측 반사부(410), 타측 반사부(420), 제 1 경사부(430), 제 2 경사부(440), 및 통로 반사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반사부(410)는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결합되어 작물을 제외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의 상면 전체 또는 상면 절반을 덮음으로써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의 상면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일측 반사부(410)에는 작물 생장 하우징(310)에서 생장하는 작물이 관통하는 작물 생장 홀(412;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타측 반사부(420)는 상기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결합되어 작물을 제외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의 상면 전체 또는 상면 절반을 덮음으로써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의 상면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상기 타측 반사부(420)에는 작물 생장 하우징(310)에서 생장하는 작물이 관통하는 작물 생장 홀(422; 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경사부(430)는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일측 반사부(410)와 지면(10) 사이에 일정한 각도(θ1)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2 경사부(440)는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타측 반사부(420)와 지면(10) 사이에 일정한 각도(θ2)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통로 반사부(450)는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간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덮음으로써 통로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은 상기 광 반사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각각의 각도(θ1, θ2)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 및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은 상기 광 반사 부재(400)의 제 1 경사부(43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통로 상의 지면(10)에 배치되어 수평 이동(HM)됨으로써 지면(10)을 기준으로 제 1 경사부(430)의 각도(θ1)를 조절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평 이동(HM)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경사부(430)의 각도(θ1)는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이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인접할 수록 증가하는 반면에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이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인접할 수록 감소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은 상기 광 반사 부재(400)의 제 2 경사부(44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통로 상의 지면(10)에 배치되어 수평 이동(HM)됨으로써 지면(10)을 기준으로 제 2 경사부(440)의 각도(θ2)를 조절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평 이동(HM)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경사부(440)의 각도(θ2)는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이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인접할 수록 증가하는 반면에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이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인접할 수록 감소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은,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광 반사 부재(400)에 형성되는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각각의 각도(θ1, θ2)를 조절하기 위한 광량 조절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량 조절 수단(600)은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을 수평 이동(HM)시켜 상기 제 1 경사부(430)의 각도(θ1)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수평 이동(HM)시켜 상기 제 2 경사부(440)의 각도(θ2)를 조절한다. 여기서, 상기 광량 조절 수단(600)은 제어부(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각각의 각도(θ1, θ2)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온실 내부에 설치된 내부 광량 측정 센서(미도시)에 의해 측정된 내부 광량 측정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각도 조절 신호를 생성해 상기 광량 조절 수단(6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태양의 일출되어 표준 자오선을 향하는 오전 시간(예를 들어, 오전 7시부터 오전 11시 사이의 시간) 동안과 태양이 표준 자오선을 지나 일몰되는 오후 시간(예를 들어, 오후 1시부터 오후 5시) 동안에는 온실(1) 내부 또는 광 반사 부재(400)에 입사되는 태양광이 입사각이 낮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내부 광량 측정 센서로부터 오전 시간 및 오후 시간 동안 공급되는 내부 광량 측정 신호에 따라 각도 조절 신호를 생성해 광량 조절 수단(6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각각의 각도(θ1, θ2)를 45도 이상으로 조절한다.
그리고, 태양이 표준 자오선을 지나는 정오 시간(예를 들어, 오전 11시부터 오후 1시) 동안에는 온실(1) 내부 또는 광 반사 부재(400)에 입사되는 태양광이 입사각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는 내부 광량 측정 센서로부터 정오 시간 동안 공급되는 내부 광량 측정 신호에 따라 각도 조절 신호를 생성해 광량 조절 수단(6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430, 440) 각각의 각도(θ1, θ2)를 45도 이하로 조절한다.
일 예에 따른 광량 조절 수단(60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 제 1 블록 이동 수단(640), 및 제 2 블록 이동 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은 통로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나란하도록 지면(10)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은 통로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도록 통로의 입구측 및 출구측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은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지지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은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인접하도록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의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블록 이동 수단(640)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1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을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430)의 각도(θ1)를 조절한다. 일 예에 따른 제 1 블록 이동 수단(640)은 회전 운동하는 제 1 회전 모터(641), 제 1 회전 모터(64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제 1 볼 스크류(643), 제 1 볼 스크류(643)의 일측과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지지 브라켓(645), 및 제 1 볼 스크류(643)의 회전 운동에 따라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1 회전 기어(6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1 블록 이동 수단(640)은 제 1 회전 모터(641)와 제 1 볼 스크류(643)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1 회전 기어(647)의 직선 운동에 의해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1 경사부(430)의 각도(θ1)는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의 수평 이동에 따른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조절되게 된다.
상기 제 2 블록 이동 수단(650)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급되는 제 2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을 수평 이동시킴으로써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440)의 각도(θ2)를 조절한다. 일 예에 따른 제 2 블록 이동 수단(650)은 회전 운동하는 제 2 회전 모터(651), 제 2 회전 모터(651)의 회전에 따라 회전 운동하는 제 2 볼 스크류(653), 제 2 볼 스크류(653)의 일측과 타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지지 브라켓(655), 및 제 2 볼 스크류(653)의 회전 운동에 따라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회전 기어(6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 2 블록 이동 수단(650)은 제 2 회전 모터(651)와 제 2 볼 스크류(653)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 2 회전 기어(657)의 직선 운동에 의해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로 인하여, 상기 제 2 경사부(440)의 각도(θ2)는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의 수평 이동에 따른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의 수평 이동에 따라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은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 사이사이에 배치된 광 반사 부재(400)의 광 반사에 의해 내부 광량이 조절됨으로써 작물에 충분한 광량을 제공할 수 있으며, 내부 온도가 원활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I-I'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에서 광 반사 부재(700)의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광 반사 부재(700)의 구조와 광 반사 부재(700)와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에서, 상기 광 반사 부재(700)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서로 분리된 제 1 및 및 제 2 반사 부재(710, 7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광 반사 부재(700)는 작업자가 통로에서 작업할 경우, 작업자의 눈부심 방지를 위해 통로를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 1 반사 부재(710)는 제 1 일측 반사부(711), 제 1 타측 반사부(713), 및 제 1 경사부(715)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일측 반사부(711)는 통로에 인접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상기 광 반사 부재(400)의 일측 반사부(410)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713)는 통로를 덮는 덮개로서, 통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음으로써 통로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1 경사부(715)는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1 일측 반사부(711)와 지면(10) 사이에 일정한 각도(θ1)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2 반사 부재(720)는 제 2 일측 반사부(721), 제 2 타측 반사부(723), 및 제 2 경사부(725)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일측 반사부(721)는 통로에 인접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는 전술한 상기 광 반사 부재(400)의 타측 반사부(420)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723)는 통로를 덮는 덮개로서, 통로의 전체 또는 일부를 덮음으로써 통로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제 2 경사부(725)는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2 일측 반사부(721)과 지면(10) 사이에 일정한 각도(θ2)로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 또는 작물 쪽으로 반사시킨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은 상기 제 1 반사 부재(710)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 및 상기 제 2 반사 부재(720)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은 상기 제 1 반사 부재(710)의 제 1 경사부(71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통로 상의 지면(10)에 배치되어 수평 이동됨으로써 지면(10)을 기준으로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를 조절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는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이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인접할 수록 증가하는 반면에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이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인접할 수록 감소하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은 상기 제 2 반사 부재(720)의 제 2 경사부(72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통로 상의 지면(10)에 배치되어 수평 이동됨으로써 지면(10)을 기준으로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를 조절한다. 이러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는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이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b)에 인접할 수록 증가하는 반면에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이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300a)에 인접할 수록 감소하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은,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제 1 반사 부재(710)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와 상기 제 2 반사 부재(720)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를 각각 조절하기 위한 광량 조절 수단(6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량 조절 수단(600)은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광량 조절 수단(600)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10),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620),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630), 제 1 블록 이동 수단(640), 및 제 2 블록 이동 수단(6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광량 조절 수단(600)은 상기 제 1 반사 부재(710)에 형성되는 제 1 경사부(715)의 각도(θ1)와 상기 제 2 반사 부재(720)에 형성되는 제 2 경사부(725)의 각도(θ2)를 각각 조절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 1 예에 따른 온실의 광량 조절 수단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예에 따른 온실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로를 개방하기 위하여, 제 1 봉 고리(351), 제 2 봉 고리(353), 제 1 통로 개방용 봉(810), 및 제 2 통로 개방용 봉(82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봉 고리(351)는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 각각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봉 고리(353)는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300) 각각의 상부 타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 1 통로 개방용 봉(810)은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713)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1 봉 고리(351)에 걸쳐진다. 즉, 상기 제 1 통로 개방용 봉(810)이 작업자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제 1 봉 고리(351)에 걸쳐지게 되면, 통로를 덮는 제 1 타측 반사부(713)는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51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1 경사부(715)에 마주보도록 접히고, 이로 인하여, 통로의 일측이 개방되게 된다.
상기 제 2 통로 개방용 봉(820)은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723)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봉 고리(353)에 걸쳐진다. 즉, 상기 제 2 통로 개방용 봉(820)이 작업자에 의해 들어올려져 상기 제 2 봉 고리(353)에 걸쳐지게 되면, 통로를 덮는 제 2 타측 반사부(723)는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520)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제 2 경사부(725)에 마주보도록 접히고, 이로 인하여, 통로의 타측이 개방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300a, 300b) 사이의 통로는 상기 제 1 통로 개방용 봉(810)이 제 1 봉 고리(351)에 걸쳐지고, 상기 제 2 통로 개방용 봉(820)이 제 2 봉 고리(353)에 걸쳐질 경우에 개방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은 통로에 설치된 반사 부재(710, 720)에 의한 작업자의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온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Ⅱ-Ⅱ'선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제 1 또는 제 2 예에 따른 온실에서, 지붕 구조물(200)에 제 1 및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910, 920)을 추가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지붕 구조물(200)과 제 1 및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910, 920)과 관련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하고,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지붕 구조물(200)은 복수의 창틀 영역을 갖도록 측벽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된다. 일 예에 따른 지붕 구조물(200)은 피라미드 형태, 사각뿔대 형태, 정사각뿔대 형태를 가지도록 측벽 구조물(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붕 구조물(200)은 제 1 내지 제 4 지붕 구조물(210, 220, 230, 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붕 구조물(200)에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지붕 구조물(210, 220) 각각에는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태양 전지 모듈이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230, 240) 각각에는 온실 내부로 입사되는 태양광의 광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태양 전지 모듈 없이 입사되는 투명 유리창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내지 제 4 지붕 구조물(210, 220, 230, 240) 각각은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붕 가로 구조물과 일정한 간격을 갖는 복수의 지붕 세로 구조물에 의해 마련되는 복수의 창틀 영역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지붕 구조물(210, 220) 각각에 설치된 태양 전지 모듈의 발전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제 1 지붕 구조물(210)은 동쪽을 향하며, 제 2 지붕 구조물(220)은 서쪽을 향하는 것을 바람직하며, 이로 인하여, 제 3 지붕 구조물(230)은 남쪽을 향하고, 제 4 지붕 구조물(240)은 북쪽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제 1 태양 전지 모듈 창(910)은 상기 제 1 지붕 구조물(210)에 마련된 창틀 영역을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제 1 지붕 구조물(210)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를 위해, 제 1 태양 전지 모듈 창(910)은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 및 제 1 모듈 프레임(9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은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로서,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은 제 1 지붕 구조물(210)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온실 내부로 투과시키면서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즉, 도시하지 않았지만, 일 예에 따른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은 투명 기판,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박막형 태양 전지, 박막형 태양 전지를 덮는 투명 보호 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박막형 태양 전지는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태양 전지 셀, 및 복수의 태양 전지 셀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광 투광 영역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은 제 1 지붕 구조물(210)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온실 내부로 태양광을 투과시킨다. 즉,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른 예에 따른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은 투명 유리, 투명 유리 상에 일정한 간격의 광 투광 영역을 사이에 두고 배열된 복수의 기판형 태양 전지, 및 복수의 기판형 태양 전지를 덮는 투명 보호 유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기판형 태양 전지 각각은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태양 전지 셀을 갖는다.
상기 제 1 모듈 프레임(914)은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을 지지하고, 상기 제 1 지붕 구조물(210)에 마련된 창틀 영역을 밀폐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모듈 프레임(914)은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의 가장자리 부분만을 지지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전면과 후면 각각을 덮는 전면 투명판과 후면 투명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투명판과 후면 투명판 각각은 유리 재질 또는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920)은 상기 제 2 지붕 구조물(220)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밀폐하도록 설치되고, 제 2 지붕 구조물(220) 쪽으로 입사되는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한다. 이를 위해,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920)은 제 2 태양 전지 모듈(922), 및 제 2 모듈 프레임(9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2 태양 전지 모듈(922)은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복수의 태양 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이는 전술한 제 1 태양 전지 모듈(912)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모듈 프레임(924)은 제 2 태양 전지 모듈(922)을 지지하고, 상기 제 2 지붕 구조물(220)에 마련된 창틀 영역을 밀폐시키는 것으로, 이는 제 2 지붕 구조물(220)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 모듈 프레임(914)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온실은 지붕 구조물(200)의 제 1 및 제 2 지붕 구조물(210, 220)에 태양 전지 모듈(912, 914)을 설치하여 태양광을 이용해 전력을 생산하면서 전술한 광 반사 부재를 통해 통로 쪽으로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켜 작물 쪽으로 입사되는 광량을 증가시킴으로써 태양 전지 모듈(912, 914)의 차광으로 인한 광량 부족을 보상하여 작물 생육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예에 따른 온실은 지붕 구조물(200)의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230, 240)에 설치된 투명 유리창을 통해 태양광을 온실 내부로 입사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지붕 구조물(210, 220)에 설치된 태양 전지 모듈(310, 410)의 차광으로 인한 광량 부족을 보상해 온실 내부의 광량을 증가시켜 작물 생육 기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측벽 구조물 110, 120, 130, 140: 측면 유리창
200: 지붕 구조물 210: 제 1 지붕 구조물
220: 제 2 지붕 구조물 230: 제 3 지붕 구조물
240: 제 4 지붕 구조물 300: 작물 지지 프레임
351: 제 1 봉 고리 353: 제 2 봉 고리
400, 700: 광 반사 부재 410: 일측 반사부
420: 타측 반사부 430, 715: 제 1 경사부
440, 725: 제 2 경사부 450: 통로 반사부
510: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 520: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
600: 광량 조절 수단 610: 한 쌍의 가이드 레일
620: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 630: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
640: 제 1 블록 이동 수단 650: 제 2 블록 이동 수단
711: 제 1 일측 반사부 713: 제 1 타측 반사부
721: 제 2 일측 반사부 723: 제 2 타측 반사부
810: 제 1 통로 개방용 봉 820: 제 2 통로 개방용 봉
910: 제 1 태양 전지 모듈 창 912: 제 1 태양 전지 모듈
920: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 922: 제 2 태양 전지 모듈

Claims (13)

  1. 지면에 설치되어 작물 생장 공간을 마련하는 측벽 구조물;
    상기 측벽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된 지붕 구조물;
    상기 작물 생장 공간의 지면 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작물 생장 하우징을 지지하는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사이사이의 통로에 설치되어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부재는,
    상기 통로에 인접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과 나란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된 타측 반사부;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일측 반사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경사진 제 1 경사부;
    상기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타측 반사부와 상기 지면 사이에 경사진 제 2 경사부; 및
    상기 제 1 및 제 2 경사부 간에 연결되어 상기 통로를 덮는 통로 반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되고,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 및
    상기 제 2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되고, 수평 이동에 의해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4. 제 3 항에 있어서,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고,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지면 상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1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블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 부재는,
    상기 통로에 인접한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1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덮는 제 1 타측 반사부, 및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1 일측 반사부와 제 1 타측 반사부 사이에 경사진 제 1 경사부를 갖는 제 1 반사 부재; 및
    상기 통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작물 지지 프레임과 나란한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제 2 일측 반사부, 상기 통로를 덮는 제 2 타측 반사부, 및 상기 제 2 작물 지지 프레임의 측면을 덮도록 상기 제 2 일측 반사부와 제 2 타측 반사부 사이에 경사진 제 2 경사부를 갖는 제 2 반사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
    상기 제 2 경사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도록 상기 통로 상의 지면에 배치된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 및
    상기 통로에 설치되고, 온실 내부의 광량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1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함과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을 수평 이동시켜 상기 제 2 경사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광량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량 조절 수단은,
    지면 상에 서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1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 상에 이동 가능하도록 나란하게 설치되어 상기 한 쌍의 제 2 각도 조절 봉의 일측과 타측을 지지하는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1 이동 블록을 수평 이동시키는 제 1 블록 이동 수단; 및
    상기 온실 내부의 광량에 기초한 각도 조절 신호에 따라 회전 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을 상기 한 쌍의 제 2 이동 블록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제 2 블록 이동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설치된 제 1 봉 고리;
    상기 복수의 작물 지지 프레임 각각의 타측에 설치된 제 2 봉 고리;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덮는 상기 제 1 타측 반사부가 접히도록 상기 제 1 봉 고리에 걸쳐지는 제 1 통로 개방용 봉; 및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의 끝단에 결합되고, 상기 통로를 덮는 상기 제 2 타측 반사부가 접히도록 상기 제 2 봉 고리에 걸쳐지는 제 2 통로 개방용 봉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제 1 태양 전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제 1 지붕 구조물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설치된 제 1 태양 전지 모듈 창; 및
    상기 태양광을 이용해 발전하는 제 2 태양 전지 모듈을 가지며, 상기 제 1 지붕 구조물과 마주하는 상기 지붕 구조물의 제 2 지붕 구조물에 마련된 창틀 영역에 설치된 제 2 태양 전지 모듈 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구조물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 유리창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물은 피라미드 형태, 사각뿔대 형태, 또는 정사각뿔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 전지 모듈을 갖는 온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 구조물은 서로 마주하는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및 제 4 지붕 구조물 각각은 투명 유리창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실.
KR1020140070388A 2014-06-10 2014-06-10 작물 생장을 위한 광량 조절 장치 KR10223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88A KR102230519B1 (ko) 2014-06-10 2014-06-10 작물 생장을 위한 광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388A KR102230519B1 (ko) 2014-06-10 2014-06-10 작물 생장을 위한 광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56A true KR20150142156A (ko) 2015-12-22
KR102230519B1 KR102230519B1 (ko) 2021-03-23

Family

ID=55081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388A KR102230519B1 (ko) 2014-06-10 2014-06-10 작물 생장을 위한 광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5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739B1 (ko) * 2018-08-31 2019-01-24 (주)효성에너지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온실
KR101950880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에너지 자립형 온실
KR101950879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968095B1 (ko) * 2017-11-30 2019-04-11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광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20200143619A (ko) * 2019-06-14 2020-12-24 박기철 식물재배시스템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51U (ja) * 1991-04-15 1993-04-20 秀彦 濱口 農作物の栽培用光反射板
KR970073309A (ko) * 1996-05-10 1997-12-10 최동원 태양광을 이용한 일조량 배가방법 및 장치
JP2004357649A (ja) * 2003-06-09 2004-12-24 Narasaki Seisakusho:Kk 温室
US20090158647A1 (en) * 2006-02-24 2009-06-25 Juergen Kleinwaechter Greenhouse, Greenhouse Covering, Filter System, Lighting System, Conducting System, Use and Feeder Apparatus
KR20100130520A (ko) * 2009-06-03 2010-12-13 박영환 온실 지붕의 양방향 환기창 개폐장치
KR20110122547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합성 촉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실
JP2012210171A (ja) * 2011-03-30 2012-11-01 Ehime Prefecture 可動式栽培用光反射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KR20130023251A (ko) * 2010-05-28 2013-03-07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온실용 재배 시스템
KR20130088508A (ko) * 2012-01-31 2013-08-08 권강용 과수 성장촉진 및 착색용 접이식 태양광 장치
KR20150007905A (ko) * 2013-06-14 2015-01-21 장민준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351U (ja) * 1991-04-15 1993-04-20 秀彦 濱口 農作物の栽培用光反射板
KR970073309A (ko) * 1996-05-10 1997-12-10 최동원 태양광을 이용한 일조량 배가방법 및 장치
JP2004357649A (ja) * 2003-06-09 2004-12-24 Narasaki Seisakusho:Kk 温室
US20090158647A1 (en) * 2006-02-24 2009-06-25 Juergen Kleinwaechter Greenhouse, Greenhouse Covering, Filter System, Lighting System, Conducting System, Use and Feeder Apparatus
KR20100130520A (ko) * 2009-06-03 2010-12-13 박영환 온실 지붕의 양방향 환기창 개폐장치
KR20110122547A (ko) * 2010-05-04 2011-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합성 촉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실
KR20130023251A (ko) * 2010-05-28 2013-03-07 가부시키가이샤 세이와 온실용 재배 시스템
JP2012210171A (ja) * 2011-03-30 2012-11-01 Ehime Prefecture 可動式栽培用光反射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栽培方法
KR20130088508A (ko) * 2012-01-31 2013-08-08 권강용 과수 성장촉진 및 착색용 접이식 태양광 장치
KR20150007905A (ko) * 2013-06-14 2015-01-21 장민준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95B1 (ko) * 2017-11-30 2019-04-11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광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40739B1 (ko) * 2018-08-31 2019-01-24 (주)효성에너지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온실
KR101950880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에너지 자립형 온실
KR101950879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20200143619A (ko) * 2019-06-14 2020-12-24 박기철 식물재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519B1 (ko) 202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519B1 (ko) 작물 생장을 위한 광량 조절 장치
EP2825021B1 (en) Greenhouse and system for generating electrical energy and greenhouse cultivation
CN202697389U (zh) 用于农业种植的可调式遮光装置
KR102047532B1 (ko) 농업용지에서 태양광 발전 시 그늘 지역의 작물 생육을 위한 채광시스템
KR102002547B1 (ko) 폴딩형 태양광 발전장치
KR20150007905A (ko)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KR101406002B1 (ko) 태양광 발전 유닛을 구비한 유기농 음지식물 재배시설
KR101518966B1 (ko) 저온에서 성장하는 채소를 고온기에 재배할 수 있는 하우스 시스템
KR20150142155A (ko) 태양 전지 모듈을 갖는 온실
KR102317367B1 (ko) 농경지용 태양광 발전장치
WO2020171231A1 (ja) 植物工場
KR101571547B1 (ko) 식물공장 태양광 유입장치
US10342185B2 (en) Sun tracking growing system for photosynthetic organisms
CN208047479U (zh) 可导入太阳光的植栽工厂
KR101234907B1 (ko) 컨테이너형 식물재배장치
JP7137972B2 (ja) 施設栽培用の施設
KR20150142815A (ko) 태양에너지 발전 지붕
JP2020178647A (ja) 農業用ハウスの採光構造
KR102279501B1 (ko) 반사경을 이용한 식물의 재배구조
CN211671613U (zh) 一种农场用lora监测控制系统
JP6135027B2 (ja) 農業用ハウス
JPH07222527A (ja) 日射遮蔽装置
KR20170011601A (ko) 온실 천창의 개폐시스템
JPH034723A (ja) 栽培ハウス
RU2019079C1 (ru) Теплиц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