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2115A -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2115A
KR20150142115A KR1020140070051A KR20140070051A KR20150142115A KR 20150142115 A KR20150142115 A KR 20150142115A KR 1020140070051 A KR1020140070051 A KR 1020140070051A KR 20140070051 A KR20140070051 A KR 20140070051A KR 20150142115 A KR20150142115 A KR 20150142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p
door lock
cis
information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0181B1 (ko
Inventor
조현태
경종민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Priority to KR1020140070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18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상기 ISP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LOW POWER DOOR-LOCK APPARATUS BASED ON BATTERY USING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door-lock)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평상시에는 도어락 장치가 카메라 모듈만을 작동하는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경우에만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배터리 기반 도어락 장치는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저전력 모드와 정상 모드의 구분 없이 동작하기 때문에,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에 의한 전력 소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평상시에 카메라 모듈만이 작동하다가,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도어락 장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는 평상시에는 카메라 모듈만을 작동하는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경우, 자동으로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함으로써,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평상시에는 카메라 모듈만을 작동하는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경우, 자동으로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의 작동에 기초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IS(CMOS Image Sensor),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모듈, 스위치 또는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상기 ISP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ISP의 동작 또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ISP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ISP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CIS 및 상기 ISP 각각은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개폐부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는 상기 CIS에서 IR(Infrared)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발광하는 IRED(Infrared Emitting Di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IRED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 또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상기 CIS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CIS의 동작 또는 상기 ISP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CIS의 동작 또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CIS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이전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ISP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상기 CIS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CIS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CIS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ISP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상기 CIS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CIS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ISP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CIS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는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및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된다.
상기 ISP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ISP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평상시에는 카메라 모듈만을 작동하는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경우, 자동으로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선택적으로 구동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의 작동에 기초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CIS(CMOS Image Sensor), ISP(Image Signal Processor) 또는 검출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카메라 모듈, 스위치 또는 근접 센서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파악하는 도어락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110)는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111), 메뉴 설정 및 이미지 확인을 위한 디스플레이부(112), 내부에 장착되는 CIS, ISP, 검출부, 메모리, 제어부, 통신부 및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장치(110)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락 장치(110)는 평상시에 작동되는 카메라 모듈로서, CIS 및 ISP를 포함하는 제1 실시예, CIS만을 포함하는 제2 실시예 및 CIS, ISP 및 검출부를 포함하는 제3 실시예로 나뉠 수 있다. 각각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3 및 4를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각각의 실시예에서, 도어락 장치(110)는 평상시에 카메라 모듈만을 작동하는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피사체(120)가 도어락 장치(110)의 전면에 나타나는 경우, 자동으로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하여 정상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은 제1 실시예에서 검출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 실시예에서는 ISP, 검출부,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3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를 기반으로 동작하는 도어락 장치(110)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함으로써, 기존의 도어락 장치보다 저전력을 사용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도어락 장치(110)는 카메라 모듈을 이용하여 피사체(120)가 도어락 장치(110)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력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110)는 근접 센서(113) 또는 스위치(114)를 이용하여 피사체(120)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근접 센서(113)의 동작 또는 스위치(11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피사체(120)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파악하여,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 역시 스위치(11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근접 센서(113)의 동작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의 카메라 모듈 및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 각각은 평상시에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다가, 스위치(11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거나, 근접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를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된 경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되어 구동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락 장치(110)는 CIS에서 IR(Infrared)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IRED(Infrared Emitting Di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RED는 도어락 장치(110)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113)의 동작 또는 스위치(114)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장치(110)는 주변이 어두운 상태에서도 피사체(120)에 대한 파악 및 인식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2)는 도어락 장치(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메뉴 설정, 촬영에 의해 획득된 피사체(120)에 대한 이미지의 확인 및 메모리에 저장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이미지의 확인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2)는 피사체(120)가 인식됨에 응답하여 도어 개폐부가 동작되어 도어락 장치(110)가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도어락 장치(110)가 해제 상태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만약, 피사체(120)가 인식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12)에는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가 디스플레이되거나, 경고음이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다.
통신부는 도어락 장치(110)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락 장치(110)는 피사체(120)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피사체(120)가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통신부를 통하여 경고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110)는 피사체(120)가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통신부를 통하여 피사체(120)에 대한 정보(예컨대, 피사체(120)의 얼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평상시에 작동되는 카메라 모듈(210)로서 CIS(211) 및 ISP(212)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220)로서 검출부(221),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를 포함하며, 제어부(223)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23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통신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IS(211)는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락 장치는 CIS(211)가 IR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IR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RED는 주변의 밝기에 따라 기회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RED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다가, CIS(211)에서 획득되는 이전 광 신호의 밝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광 센서를 통해서 획득되는 이전 광 신호의 밝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따라서, IRED는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경우에만 기회적으로 활성화되어 발광함으로써,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상태에서도 CIS(211)가 원활하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IRED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 또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ISP(212)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CIS(211)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ISP(212)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에 대해 보간, 색보정, 감마 보정, 노이즈 차감 또는 디모자이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CIS(211) 및 ISP(212)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SP(212)는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생성된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경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ISP(212)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와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경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되면, ISP(212)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2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지 않음이 파악되면, ISP(212)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220)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CIS(211) 및 ISP(212)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 CIS(211) 및 ISP(212) 모두가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거나, 근접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를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검출부(221)는 ISP(212)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예컨대, 눈, 코, 입 및 귀 각각의 형태, 크기 및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부(221)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검출부(221)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ISP(212)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221)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ISP(212)로부터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와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ISP(212)에서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이 파악된 경우, ISP(212)는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결과 신호를 검출부(221)로 전송하고, 검출부(221)는 결과 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221)는 ISP(212)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221)는 CIS(211) 및 ISP(212)의 동작과 상관없이, 근접 센서로부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메모리(222)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된다. 여기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도어락 장치가 피사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피사체의 얼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제어부(223)는 검출부(221)로부터 전달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222)에 저장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23)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23)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23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폐부(230)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설정하는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서, 제어부(223)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23)는 도어 개폐부(23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부(240)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240)는 도어락 장치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를 거쳐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 외에, 3G 또는 LTE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23)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고,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ISP(212)의 동작 또는 검출부(221)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는 ISP(212)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검출부(20)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는 검출부(221)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220) 내에서, 검출부(221),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는 ISP(212)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는 CIS(211) 및 ISP(212)의 동작과 상관없이, 근접 센서로부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됨으로써, 검출부(221)가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경우, 검출부(221)와 동시에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하, 검출부(221) 및 제어부(223)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은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검출부(221), 메모리(222) 및 제어부(223)를 포함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220)은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211) 및 ISP(212)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210)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평상시에 작동되는 카메라 모듈(310)로서 CIS(311)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320)로서 ISP(321), 검출부(322),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를 포함하며, 제어부(324)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통신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IS(311)는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락 장치는 CIS(311)가 IR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IR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RED는 도 1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IRED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CIS(311)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IS(311)는 이전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생성된 현재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CIS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경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CIS(311)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를 포함함으로써,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CIS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비교하여, 변화가 발생된 경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되면, CIS(311)는 피사체 인식을 위함 모듈(3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지 않음이 파악되면, CIS(311)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320)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CIS(311)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 CIS(311)가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거나, 근접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를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ISP(321)는 CIS(311)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CIS(311)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ISP(321)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에 대해 보간, 색보정, 감마 보정, 노이즈 차감 또는 디모자이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ISP(321)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311)로부터 현재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이전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ISP(321)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311)로부터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CIS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IS(311)에서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이 파악된 경우, CIS(311)는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결과 신호를 ISP(321)로 전송하고, ISP(321)는 결과 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ISP(321)는 CIS(311)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SP(321)는 CIS(311)의 동작과 상관없이, 근접 센서로부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검출부(322)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부(322)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메모리(323)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된다. 여기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도어락 장치가 피사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피사체의 얼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제어부(324)는 검출부(322)로부터 전달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323)에 저장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324)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24)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33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폐부(330)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설정하는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서, 제어부(324)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324)는 도어 개폐부(33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부(340)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340)는 도어락 장치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를 거쳐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40)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 외에, 3G 또는 LTE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24)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사용자와 일치하지 않음을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거나, 경고음을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검출부(322)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311)의 동작 또는 ISP(321)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322)는 CIS(311)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ISP(321)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검출부(322)는 ISP(321)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320) 내에서, ISP(321) 및 검출부(322)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 역시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311)의 동작 또는 검출부(322)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는 CIS(311)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ISP(321) 및 검출부(322)와 동시에 활성화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는 검출부(322)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됨으로써,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320) 내에서, ISP(321), 검출부(322),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 순서로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검출부(322),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는 CIS(311)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322),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는 CIS(311)의 동작과 상관없이, 근접 센서로부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됨으로써, ISP(321)가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경우, ISP(321)와 동시에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하, 검출부(322) 및 제어부(324)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과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과정은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ISP(321), 검출부(322), 메모리(323) 및 제어부(324)를 포함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320)은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311)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310)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평상시에 작동되는 카메라 모듈(410)로서 CIS(411), ISP(412) 및 검출부(413)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420)로서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를 포함하며, 제어부(422)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통신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CIS(411)는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 이 때,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어락 장치는 CIS(411)가 IR 신호를 처리할 수 있도록 발광하는 IR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IRED는 도 1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IRED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ISP(412)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CIS(411)로부터 전달받은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ISP(412)는 디지털 이미지 신호에 대해 보간, 색보정, 감마 보정, 노이즈 차감 또는 디모자이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검출부(413)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CIS(411), ISP(412) 및 검출부(413)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413)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출부(413)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면,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되면, 검출부(413)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420)을 활성화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지 않음이 파악되면, 검출부(413)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420)을 비활성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CIS(411), ISP(412) 및 검출부(413)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또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활성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상시에 CIS(411), ISP(412) 및 검출부(413)가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거나, 근접 센서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락 장치를 사용하려는 것이 감지된 경우, 활성화될 수 있다.
메모리(421)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된다. 여기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사전에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정보로서, 도어락 장치가 피사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피사체의 얼굴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미리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을 참조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제어부(422)는 검출부(413)로부터 전달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421)에 저장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422)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422)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430)를 동작시킴으로써,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개폐부(430)는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설정하는 물리적인 구성 요소로서, 제어부(4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반면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422)는 도어 개폐부(430)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통신부(440)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통신부(440)는 도어락 장치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기 때문에,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를 거쳐 사용자 단말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440)는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 외에, 3G 또는 LTE 이동 통신망을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검출부(413)의 동작에 기초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는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 신호가 검출부(413)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413)에서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이 파악된 경우, 검출부(413)는 피사체가 도어락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결과 신호를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로 전송하고,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는 결과 신호에 응답하여 비활성화 상태로부터 활성화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는 검출부(413)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는 검출부(413)의 동작과 상관없이, 근접 센서로부터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났음을 알리는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ISP(412) 및 검출부(413)를 별도의 구성 요소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구성 요소로 존재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및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과정은 하나의 구성 요소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421) 및 제어부(422)를 포함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420)은 평상시에는 비활성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CIS(411), ISP(412) 및 검출부(413)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410)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CIS에서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510). 이 때,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상태인 경우, 도어락 장치는 IRED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CIS에서 광 신호를 원활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ISP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520).
여기서, CIS 및 ISP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CIS 및 ISP는 평상시에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 때, 도어락 장치는 CIS 및 ISP를 평상시에 활성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CIS 및 ISP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53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ISP에 포함되는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이미지 데이터와 ISP에서 생성된 현재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ISP에 포함되는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CIS 및 ISP를 이용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그 다음,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검출부를 활성화하여, 검출부에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540).
또한, 도어락 장치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여, 제어부에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한다(55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어락 장치는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검출부, 메모리 및 제어부는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됨에 응답하여, 동시 활성화되거나,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CIS에서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610). 이 때,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상태인 경우, 도어락 장치는 IRED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CIS에서 광 신호를 원활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CIS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CIS는 평상시에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 때, 도어락 장치는 CIS를 평상시에 활성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CIS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62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CIS에 포함되는 CIS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CIS에서 생성된 현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CIS에 포함되는 CIS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CIS에서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CIS를 이용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ISP를 활성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630).
그 다음, 도어락 장치는 검출부에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640).
또한, 도어락 장치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여, 제어부에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한다(65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어락 장치는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ISP, 검출부, 메모리 및 제어부는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됨에 응답하여, 동시 활성화되거나,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CIS에서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한다(710). 이 때, 주변의 밝기가 어두운 상태인 경우, 도어락 장치는 IRED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킴으로써, CIS에서 광 신호를 원활하게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ISP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한다(720).
그 다음, 도어락 장치는 활성화 상태인 검출부에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한다(730).
여기서, CIS, ISP 및 검출부는 평상시에 항상 활성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반면에, CIS, ISP 및 검출부는 평상시에 비활성화 상태로 저전력 모드를 유지하다가,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발생되는 경우, 활성화될 수도 있다.
이 때, 도어락 장치는 CIS, ISP 및 검출부를 평상시에 활성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검출부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74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장치는 검출부를 이용하는 대신에,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를 이용하여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을 자동으로 파악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을 활성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장치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및 제어부를 활성화하여, 제어부에서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잠금/해제를 제어한다(750). 예를 들어, 도어락 장치는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만약,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다면, 도어락 장치는 도어 개폐부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통하여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 및 제어부는 피사체가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나타나는 것이 파악됨에 응답하여, 동시 활성화되거나, 순차적으로 활성화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위에서 상술한 제1 실시예-도어락 장치가 카메라 모듈(810)로서 CIS(811), ISP(812)를 포함하고,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820)로서 검출부(821), 메모리(822) 및 제어부(823)를 포함하며, 제어부(823)에 의해 제어되어,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830) 및 통신부(840)를 포함하는 경우-에 따른 도어락 장치의 구조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거나 한정되지 않고,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 모두에서 적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하,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820)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에서, 카메라 모듈(810)에 의해 활성화된 상태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피사체 인식을 위한 모듈(820)은 위에서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카메라 모듈(810)에 의해 자동으로 활성화될 수 있고, 근접 센서 또는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사용자를 등록하는 과정을 수행하는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될 수도 있다.
CIS(811)는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하고,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ISP(812)는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거친 후, 검출부(821)는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보(예컨대, 눈, 코, 입 및 귀 각각의 형태, 크기 및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검출부(821)는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받는 입력을 수신한 후에,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822)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821)는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 및 재촬영할 것인지 또는 저장할 것인지를 묻는 선택 입력창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만약, 검출부(821)가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받는 입력을 수신하는 과정에서, 재촬영을 요구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다시 한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 검출부(821)는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받는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후에, 메모리(822)에는 검출부(821)로부터 전달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메모리(822)에 저장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위에서 상술한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되는 과정에 이용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경우 도어락 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어락 장치는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촬영함으로써, CIS에서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910).
이어서, 도어락 장치는 ISP에서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920).
이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910) 및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과정(920)은 사용자를 촬영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그 다음, 도어락 장치는 검출부에서 사용자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930). 여기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는 등록되는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도어락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확인 받는 입력을 수신한 후에, 검출된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로 전달할 수 있다.
그 후, 도어락 장치는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여 유지할 수 있다(940).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9)

  1.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상기 ISP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
    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ISP의 동작 또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IS 및 상기 ISP 각각은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도어 개폐부를 이용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락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는 AP(Access Point)와 통신하는 통신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도어락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IS에서 IR(Infrared) 신호를 처리하기 위하여, 발광하는 IRED(Infrared Emitting Diode)
    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IRED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 또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1.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상기 CIS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어,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Image Signal Processor);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
    를 포함하는 도어락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CIS의 동작 또는 상기 ISP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되고,
    상기 메모리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CIS의 동작 또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IS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이전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ISP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상기 CIS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CIS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IS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CIS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ISP는
    상기 CIS에서 변환된 디지털 이미지 신호가 상기 CIS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디지털 이미지 신호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CIS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근접 센서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CIS는
    상기 도어락 장치에 포함되는 스위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7. 배터리 기반의 도어락(door-lock)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어락 장치의 전면에 부착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획득하여 디지털 이미지 신호로 변환하는 CIS(CMOS Image sensor);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이미지 신호를 처리하는 ISP;
    상기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메모리;
    상기 피사체에 대한 정보를 상기 기준 피사체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도어락 장치의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도어락 장치를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전환하는 도어 개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및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의 동작에 따라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이전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ISP는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가 저장되어 유지되는 ISP 메모리
    를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ISP에서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가 상기 ISP 메모리에 저장된 배경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데이터와 비교된 결과 신호가 상기 ISP로부터 수신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도어락 장치.
KR1020140070051A 2014-06-10 2014-06-10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KR10160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51A KR101600181B1 (ko) 2014-06-10 2014-06-10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051A KR101600181B1 (ko) 2014-06-10 2014-06-10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15A true KR20150142115A (ko) 2015-12-22
KR101600181B1 KR101600181B1 (ko) 2016-03-07

Family

ID=55081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051A KR101600181B1 (ko) 2014-06-10 2014-06-10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09A (ko) * 2017-09-01 2019-03-11 네스트필드(주)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KR101992307B1 (ko) * 2018-01-26 2019-06-25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얼굴 검출기가 집적된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저 전력 얼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949A (ko)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이미지 센서 튜닝 장치 및 방법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JP2011191812A (ja) * 2010-03-11 2011-09-29 Hitachi Ltd セキュリティ装置
KR20130126357A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에스원 도어락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949A (ko) * 2006-05-24 2007-1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이미지 센서 튜닝 장치 및 방법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JP2011191812A (ja) * 2010-03-11 2011-09-29 Hitachi Ltd セキュリティ装置
KR20130126357A (ko) * 2012-05-11 2013-11-20 주식회사 에스원 도어락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309A (ko) * 2017-09-01 2019-03-11 네스트필드(주) 저전력 무선 도어락 시스템
KR101992307B1 (ko) * 2018-01-26 2019-06-25 주식회사 유엑스팩토리 얼굴 검출기가 집적된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저 전력 얼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0181B1 (ko) 201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5204B1 (ko) 다목적 경보 장치 기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창문 감시 방법 및 창문 감시 시스템
KR1014374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464344B1 (ko) 감시 영상의 정상 상태 학습을 통한 이상 상태 감지 방법과 이를 적용한 감시 카메라 및 영상 관리 시스템
US10250327B2 (en) Illumin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1251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llecting sounds corresponding to surveillance images
JP2005338967A (ja) 監視システム
US2016019809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control method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ing apparatus, and program
CN105844209B (zh) 基于红外辐射探测的访客识别
US10408625B2 (en) Vision-assist systems with room scanners to detect and notify users of out-of-order room states
KR20120048158A (ko) 보안기능이 강화된 도어록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10768682B2 (en) Detection-based wakeup of detection devices
US20200226909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disarming an intrusion detection system
KR101600181B1 (ko) 얼굴 인식을 이용하는 배터리 기반의 저전력 도어락 장치
KR20210019218A (ko) 스마트 도어
EP3225510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self-balanced vehicle to park
KR101629553B1 (ko) 이동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154432B1 (ko) 영상 촬영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991809B2 (en) Techniques and remote control for wireless control of a smart lamp or smart illumination system
JP2007303913A (ja) 異物検知装置、それを用いたロボット装置、異物検知方法および異物検知プログラム
KR20160005204A (ko) 사람의 얼굴 또는 사람의 형체 감지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 및 방법
JP2016197809A5 (ja) 制御装置、冷蔵庫、冷蔵庫撮影制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991872B1 (ko) 보안 기능을 갖는 도어로봇 및 이를 이용한 보안 감시방법
CN105844827A (zh) 入侵报警系统
KR20190083470A (ko)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19215274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