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128A -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 Google Patents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128A
KR20150141128A KR1020150033684A KR20150033684A KR20150141128A KR 20150141128 A KR20150141128 A KR 20150141128A KR 1020150033684 A KR1020150033684 A KR 1020150033684A KR 20150033684 A KR20150033684 A KR 20150033684A KR 20150141128 A KR20150141128 A KR 201501411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card
terminal device
caregiver
patient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춘래
김정표
박성용
윤순기
이관표
하문호
김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Publication of KR20150141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1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1Recording time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220/00Business processing using cryptograph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는 단계;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관리 서버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관리 서버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여, 관리 서버가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CARING SERVICE, AND TERMINAL APPARATUS, MANAGEMENT SERVER AND SMART CARD FOR MANAGING CARING SERVICE}
본 발명은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집이나 요양소에 거주하고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방문 간병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방문 간병 서비스란, 서비스 공급 업체에 소속된 간병인이 직접 환자를 방문하여 환자에게 적합한 간병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간병인은 간호(Nursing), 치료(Therapy), 목욕(Bathing), 옷 입혀주기(Dressing), 식사 준비(Preparation of meals), 식료품 구입(Grocery shopping), 처방전 발급 대행, 세탁, 병원 동행 및 기타 개인업무 (Personal care) 등의 간병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한다.
방문 간병 서비스는 공공 의료보험 체계 또는 개인 의료보험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정확한 장소로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사람이 방문하여 예정된 서비스를 정확하게 제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종래에는,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시작되는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 및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종료되는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이 서류를 통해 관리되었는데, 이는 간병인에게 과도한 업무 부담이 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간병인이 단말 장치를 지니고 환자를 방문한 경우, GPS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의 위치를 확인하여, 단말 장치가 환자의 집에 도착한 시간을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으로 결정하고, 단말 장치가 환자의 집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진 시간을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으로 결정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간병인의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가 항상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 서버는 단말 장치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되고, 이에 따라,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과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방법들에 의하면, 간병인이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 및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의도적으로 조작할 가능성이 있어, 간병 서비스의 제공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는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간병인의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제공 시간을 정확하게 관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는 간병 서비스 제공 시간에 대한 간병인의 임의 조작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는,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기 저장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되,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스마트카드로 제 1 시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복호화 키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의 스마트카드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간병인의 단말 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는,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의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는 단말 장치와 관리 서버가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간병인의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제공 시간을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 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는 간병 서비스 제공 시간에 대한 간병인의 임의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가 관리 서버로부터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출력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가 단말 장치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 출력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의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은 단말 장치(110), 스마트카드(150) 및 관리 서버(13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에 의해 소지되며, 스마트카드(150)는 환자에 의해 소지된다. 단말 장치(110)와 스마트카드(150)는 서로 간에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환자에게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단말 장치(110)를 스마트폰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폰 이외에 휴대폰, PDA, 노트북, 테블릿 PC 등 공지된 다양한 모바일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환자에 대한 간병 일정 데이터 및 환자에 대해 제공되는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시간 정보 등을 관리한다. 관리 서버(130)와 단말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의 단말 장치(110)와 스마트카드(150)는 근거리 통신 채널을 통해 간병 서비스와 관련된 시간 정보들을 송수신하고, 단말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30)와 연결 가능한 경우, 관리 서버(130)로 상기 시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단말 장치(110)와 관리 서버(130)가 항상 온라인 상태이어야 한다는 종래 기술의 제약 조건을 극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한다.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되면 스마트카드(150)와 근거리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간병인은 단말 장치(110)를 소지하고, 환자가 위치하는 집 또는 요양소에 방문하여 단말 장치(110)를 통해 환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가 태깅(tagging)되거나, 단말 장치(110)의 카드 인식부에 슬라이딩되면 해당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0)에는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하기 위한 카드 인식부가 내장되거나, 동글(dongle) 형태의 카드 인식부가 단말 장치(110)의 연결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가 오후 1시에 인식된 경우, 오후 1시라는 시간 정보 또는 오후 1시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1 암호 데이터는 스마트카드(150)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로서,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암호화된 제 1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 및 해쉬값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 키를 저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단말 장치(110)의 소유자인 간병인은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변경할 수 없다.
S24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를 저장하고 있으며,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한다.
또한, 단말 장치(11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기 전에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30)와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말 장치(11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서버(130)와 연결이 가능한 경우, 제 1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고,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정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관리 서버(130)와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재판단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110)는 재판단 결과,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가능하게 된 경우, 관리 서버(130)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은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 및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암호 데이터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통해 복수의 환자 중에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한 후,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므로, 단말 장치(110)와 관리 서버(130)가 항상 온라인으로 연결되어 있을 필요 없이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 정보를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암호화되지 않은 제 1 시간 정보가 아닌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암호화된 제 1 암호 데이터를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수신하므로, 사용자는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시간 정보를 임의로 조작할 수 없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110)가 관리 서버(130)와 연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단말 장치(110)가 제 1 시간 정보 자체를 저장하고 있는 경우, 제 1 시간 정보가 간병인에 의해 조작될 위험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간병인에 의한 임의 조작을 방지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로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S30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한다.
S3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한다.
S31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 및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제 1 시간 정보 외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는 관리 서버(130)를 위한 정보이며,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는 단말 장치(110)를 위한 정보이다.
S32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인지를 판단한다. 즉,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와 간병인의 매칭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110)는 단말 장치(110)의 소유자인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들의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와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수신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인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가 아니라면, S32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가 아니라면, 이는 간병인이 방문하지 않아야 할 환자에게 방문한 것이므로,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이 방문하여야 할 환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이다.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라면, S33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한다.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에게 어떠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S33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110)와 관리 서버(130)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S34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S34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와 관리 서버(130)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단말 장치(11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110)에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복호화 키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므로, 간병인은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조작할 수 없다. 관리 서버(130)는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 1 시간 자체를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제 1 시간과 소정 시간 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시간을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S35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를 재인식한다.
S35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재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한다.
S36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2 암호 데이터는 스마트카드(150)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이다. 제 2 암호 데이터에는 제 2 시간 정보 이외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카드(150)는 제 2 암호 데이터와 함께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10)는, S320 단계와 같이, 수신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통해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S365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제 2 암호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하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복호화하여 제 2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 2 시간 자체를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제 2 시간과 소정 시간 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시간을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제 1 암호 데이터와 제 2 암호 데이터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환자를 선택하고,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한 뒤에,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제 2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만약, 제 2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와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서로 동일하지 않다면, 관리 서버(130)는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제 2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다른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으로부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환자의 상태 정보는 간병인이 간병 서비스를 환자에게 제공하면서 파악한 환자의 상태에 관한 정보로서,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으로부터 입력된 환자의 상태 정보를 관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으로부터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생체 인식 정보를 통해 단말 장치(110)를 소지한 간병인이 진정한 간병인인지를 인증할 수 있다. 제 3 자가 진정한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를 소지하고 환자를 방문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 장치(110)는 단말 장치(110)를 소지한 간병인으로부터 지문, 홍채, 음성 등의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받고, 기 저장된 진정한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단말 장치(110)를 소지한 간병인을 인증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단말 장치(110)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시간에 대한 간병인의 엑세스를 차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현재 시간을 측정하면서,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데, 단말 장치(110)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시간 자체가 간병인에 의해 조작된다면, 제 1 시간 정보의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간병 일정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가 관리 서버(130)로부터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에서 출력된 간병 일정 데이터(50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41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 간병 일정을 요청한다. 단말 장치(110)는 간병 일정을 관리 서버(130)로 요청하면서,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도 함께 전송할 수 있다.
S42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간병 일정 데이터를 다운로드한다.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간병 일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수신된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 일정 데이터를 선택하여 단말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S43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의 입력에 기초하여, 다운로드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병인은 단말 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간병 일정(500)을 참조하여 간병인이 방문하여야 할 환자 및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간병 일정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로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파일 형태로 다운로드하여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간병 일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S440 단계에서,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에 저장된 간병 일정이 변경되면, 관리 서버(130)로부터 푸시(push)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간병인은 단말 장치(110)로 푸시 메시지가 수신되면, 간병 일정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고, 변경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관리 서버(130)로부터 다시 다운로드하여 변경된 간병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부터 수신되는 간병 일정을 참조하여,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방문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내에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되지 않으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간병인이 방문하여야 할 환자에 대한 정보를 간병인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동작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S61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제 1 암호 데이터는,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생성되어 단말 장치(110)로 전송된 데이터이다.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카드(150)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S63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획득한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한다. 제 1 암호 데이터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하고,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로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S70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S71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복호화 키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S71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한다.
S72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상기 선택된 환자가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한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제 1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면서,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환자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 S72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상기 선택된 환자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선택된 환자에게 방문하여야 할 간병인이 아닌 다른 간병인이 상기 선택된 환자를 방문하였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상기 선택된 환자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된 경우, S73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를 더 수신한다. 구현예에 따라서는, 관리 서버(130)가 단말 장치(110)로부터 제 1 암호 데이터와 생체 인식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다.
S73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에 매칭되는지를 판단한다. 관리 서버(130)에는 복수의 간병인에 대한 생체 인식 정보가 기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각각의 생체 인식 정보는 복수의 간병인이 사용하는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에 매칭되지 않는 경우, S72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이는, 진정한 간병인이 아닌 제 3 자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를 소지하고 환자를 방문한 것이기 때문이다.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가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에 매칭되는 경우, S74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한다. 관리 서버(130)는 제 1 시간 정보 자체를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으로 저장할 수 있고, 제 1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만큼 차이가 나는 시간을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
S74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제 2 암호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 2 암호 데이터에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에 재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S75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 키로 복호화하여 제 2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관리 서버(130)는, S720 단계와 같이,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S755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택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는 제 2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와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제 2 시간 정보를 기초로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10)로부터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는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생성된 해쉬(hash)값이 포함될 수 있는데,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획득되는 해쉬값에 기초하여 제 1 암호 데이터의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간병인이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정보들을 변조하면 해쉬값도 변경되기 때문에, 관리 서버(130)는 해쉬값의 비교를 통해 제 1 암호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가 단말 장치(110)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에 출력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S81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간병 일정 요청을 수신한다. 관리 서버(130)는 간병 일정 요청을 수신하면서,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관리 서버(130)에는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간병 일정이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정보는 복수의 환자 각각의 이름, 주소, 스마트카드의 식별번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간병 일정은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간병 서비스의 시작 시간 및 종료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간병 일정은 간병인 및 간병인의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간병 일정은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간병 일정(910), 복수의 환자 각각의 이름(920), 복수의 환자 각각에게 할당된 간병인의 이름(93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간병인에 의해 방문 간병 서비스가 제공된 경우, 해당 간병인의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940) 및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950)도 출력할 수 있다.
S82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간병 일정 데이터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다. 관리 서버(130)는 간병 일정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식이 아닌 파일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단말 장치(110)가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지 않더라도 파일 형태의 간병 일정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S83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 간병 일정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
간병 일정이 변경된 경우, S840 단계에서, 관리 서버(130)는 단말 장치(110)로 간병 일정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하여 단말 장치(110)가 변경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다시 다운받을 수 있게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100)의 동작 플로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① 단말 장치(110)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한다. ② 단말 장치(110)는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하고, ③ 스마트카드(150)는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 1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한다. 제 1 암호 데이터에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④ 스마트카드(150)는 제 1 암호 데이터 및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다. ⑤ 단말 장치(110)는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말 장치(110)는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통해 환자와 간병인의 매칭 여부를 1차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환자와 간병인이 서로 매칭된 경우, ⑥ 단말 장치(110)는 관리 서버(130)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⑦ 관리 서버(130)는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 및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한다. ⑧ 관리 서버(130)는 복수의 환자 중에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하고, ⑨ 해당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2차적으로 판단한다. 환자와 간병인의 매칭 여부는 단말 장치(110)가 아닌 관리 서버(130)에서만 판단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제 1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는 단말 장치(110)에 의해 변조될 수 없으므로, 관리 서버(130)가 매칭 여부를 더욱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⑩ 단말 장치(110)는 간병인과 환자가 서로 매칭된 경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한다. 관리 서버(130)는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가 단말 장치(110)로부터 재수신된 경우, 제 2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150)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위에서는 제 1 시간 정보 또는 제 2 시간 정보가 단말 장치(110)에 의해 획득되어 스마트카드(150)로 전송된다고 설명하였지만, 도 11에 기재된 실시예는 제 1 시간 정보 또는 제 2 시간 정보가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제 1 시간 정보 또는 제 2 시간 정보가 간병인에 의해 변조되는 것이 원천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S111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150)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를 인식한다. 스마트카드(150)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에 태깅되거나, 단말 장치(110)에 구비된 카드 인식부에 슬라이딩된 경우, 스마트카드(150)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를 인식할 수 있다.
S112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150)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를 인식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한다. 스마트카드(150)는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중에 간병인의 단말 장치(11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을 제 1 시간 정보로 획득할 수 있다.
S113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150)는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한다. 스마트카드(150)는 제 1 암호 데이터에 제 1 시간 정보 외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 및 해쉬값을 포함시킬 수도 있다.
S1140 단계에서, 스마트카드(15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다. 단말 장치(110)로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관리 서버(130)로 전송되어 관리 서버(130)에 의해 복호화되고, 관리 서버(130)는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카드 인식부(112), 제 1 통신부(114), 제 2 통신부(116) 및 제어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카드 인식부(11), 제 1 통신부(114), 제 2 통신부(116) 및 제어부(118)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카드 인식부(112)는 단말 장치(110)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고, 단말 장치(110)의 USB 단자, 오디오 단자 등의 연결 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카드 인식부(112)는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한다. 카드 인식부(112)는 환자의 스마트카드(150)가 단말 장치(110)에 태깅되거나, 카드 인식부(112)에 슬라이딩되면 해당 스마트카드(150)를 인식할 수 있다.
제 1 통신부(114)는 스마트카드(15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스마트카드(150)가 카드 인식부(112)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스마트카드(150)로 전송하고, 스마트카드(150)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수신한다. 제 1 통신부(114)는 스마트카드(150)로부터 제 1 암호 데이터 외에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116)는 관리 서버(13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관리 서버(13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할 수 있는 관리 서버(130)로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한다. 관리 서버(130)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18)는 단말 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18)는 타이머 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시간 정보들을 통해 카드 인식부(112)에 스마트카드(15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타이머 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현재 시간에 대한 간병인의 엑세스를 차단시킴으로써, 스마트카드(150)의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가 변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8)는 환자와 간병인의 매칭 여부, 단말 장치(110)를 소지하고 있는 간병인이 진정한 간병인인지 여부 등을 판단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전술하였는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10)는 사용자 입력부 및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와 출력부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간병인의 소정 입력을 수신하며,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터치스크린, 음성 인식부 등 간병인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입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간병인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환자의 상태 정보, 생체 인식 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는 간병인에게 소정 정보를 출력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스피커 등의 다양한 출력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부는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 알람 메시지 및 관리 서버(130)로부터 다운로드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130)는 통신부(132), 복호화부(134), 저장부(136) 및 제어부(138)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2), 복호화부(134), 저장부(136) 및 제어부(138)은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32)는 단말 장치(11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단말 장치(11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구체적으로, 통신부(132)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제 1 암호 데이터, 제 2 암호 데이터, 생체 인식 정보 등을 수신하고, 단말 장치(110)의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110)로 간병 일정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132)는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 간병 일정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단말 장치(110)로 간병 일정이 변경되었다는 것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복호화부(134)는 저장부(136)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단말 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저장부(136)는 암호 데이터가 복호화됨으로써 획득되는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한다. 저장부(136)에는 복수의 환자 각각에 대한 정보 및 간병 일정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부(136)는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기초로 해당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 및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8)는 관리 서버(130)에 포함된 각 구성들을 제어한다. 제어부(138)는 암호 데이터에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 경우, 해당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를 선택하고, 선택된 환자가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8)는 단말 장치(110)로부터 전송되는 생체 인식 정보를 통해 단말 장치(110)의 소지자가 진정한 간병인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암호 데이터에 포함된 해쉬값을 통해 암호 데이터의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15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카드(150)는 단말 장치 인식부(152), 타이머 모듈(154), 암호화부(156) 및 통신부(158)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장치 인식부(152), 타이머 모듈(154), 암호화부(156) 및 통신부(158)는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말 장치 인식부(152)는 스마트카드(150)가 단말 장치(110)에 태깅되거나 단말 장치(110)의 카드 인식부(112)에 슬라이딩된 경우, 해당 단말 장치(110)를 인식한다.
타이머 모듈(154)은 단말 장치(110)가 인식된 시점을 획득하기 위해 현재 시간 정보를 측정한다.
암호화부(156)는 단말 장치(110)가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암호 데이터를 생성한다. 암호 데이터에는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 및 해쉬값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58)는 단말 장치(110)와 소정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암호화부(156)에 의해 생성된 암호 데이터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158)는 암호 데이터를 단말 장치(110)로 전송하면서 암호화되지 않은 스마트카드(150)의 식별 정보를 단말 장치(110)로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
110: 단말 장치
112: 카드 인식부
114: 제 1 통신부
116: 제 2 통신부
118: 제어부
130: 관리 서버
132: 통신부
134: 복호화부
136: 저장부
138: 제어부
150: 스마트카드
152: 단말 장치 인식부
154: 타이머 모듈
156: 암호화부
158: 통신부

Claims (42)

  1.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경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것이며,
    상기 서버에는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의 복호화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재인식되면, 상기 재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현재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현재 시간에 대한 상기 간병인의 액세스를 차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방문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내에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간병 일정이 변경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간병 일정의 변경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간병인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간병인으로부터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간병인을 인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 여부를 재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3.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기 저장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생성된 해쉬(Hash)값을 포함하되,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해쉬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의 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간병인에 의해 단말 장치에 입력된 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한 간병인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과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재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 및 간병 일정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간병 일정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간병 일정이 변경되면, 상기 간병 일정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20.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의 스마트카드에 의한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에 있어서,
    간병인의 단말 장치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2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하에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의 스마트카드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제 1 시간 정보를 기초로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더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경우에,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이 방문한 환자가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가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것이며,
    상기 관리 서버에는 상기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복호화 키는 상기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의 복호화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재인식되면, 상기 재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를 상기 스마트카드로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7.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현재 시간을 측정하며, 상기 측정되는 현재 시간에 대한 상기 간병인의 액세스를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8.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에게 제공되어야 할 서비스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9.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에 대한 방문 예약 시간으로부터 소정 시간 간격 이내에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인식되지 않으면, 알람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간병 일정이 변경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간병 일정의 변경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으로부터 상기 환자의 상태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입력받은 환자의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으로부터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 받고, 상기 생체 인식 정보를 통해 상기 간병인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저장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 여부를 재판단하며, 상기 네트워크를 통한 상기 관리 서버와의 연결이 가능한 경우, 상기 관리 서버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관리 서버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기 저장된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되,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환자가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생성된 해쉬(Hash)값을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가 복호화되어 획득된 상기 해쉬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의 변조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에 의해 상기 단말 장치에 입력된 생체 인식 정보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생체 인식 정보를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의 생체 인식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단말 장치에 생체 인식 정보를 입력한 간병인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 매칭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매칭되지 않는 경우,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간병인의 단말 장치에 재인식된 시점에 대응하는 제 2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2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시작 시간을 저장하고, 상기 제 2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종료 시간을 저장하되, 상기 제 2 암호 데이터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기 저장된 암호화 키에 의해 암호화되어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간병 일정 요청 및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 장치의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간병 일정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병인에게 할당된 환자의 간병 일정이 변경되면, 상기 간병 일정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푸시 메시지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서버.
  41. 환자에 대한 방문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스마트카드가 인식되면, 상기 스마트카드로 제 1 시간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카드에 의해 암호화되어 생성된,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스마트카드로부터 수신하는 단말 장치;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와 연결되면,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복호화 키로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복호화하고,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병 서비스 관리 시스템.
  42. 방문 간병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의 스마트카드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간병인의 단말 장치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 시점에 대응하는 제 1 시간 정보를 획득하고, 기 저장된 암호화 키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암호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 1 암호 데이터를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하되,
    상기 단말 장치로 전송된 제 1 암호 데이터는, 상기 단말 장치로부터 관리 서버로 전송되어 상기 관리 서버에 의해 복호화되고,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 1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간병 서비스 관련 시간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카드.
KR1020150033684A 2014-06-09 2015-03-11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KR201501411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300,067 2014-06-09
US14/300,067 US10026507B2 (en) 2014-06-09 2014-06-0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care ser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128A true KR20150141128A (ko) 2015-12-17

Family

ID=5476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684A KR20150141128A (ko) 2014-06-09 2015-03-11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026507B2 (ko)
KR (1) KR201501411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937B1 (ko) 2020-07-13 2021-03-04 주식회사 케어닥 맞춤형 간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210058535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유니메오 간병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74825B1 (ko) 2022-06-29 2022-12-06 주식회사 씨플러스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US20230004953A1 (en) * 2018-10-02 2023-01-05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to perform contactless card activ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811060A (zh) * 2016-08-26 2018-03-16 智慧行動傳播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設備及解碼程式
US11157601B2 (en) * 2017-08-03 2021-10-26 Morphotrust Usa, Llc Electronic identity verification
US10318957B2 (en) 2017-10-23 2019-06-11 Capital One Services, Llc Customer identification verification process
WO2020072474A1 (en) 2018-10-02 2020-04-09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cryptographic authentication of contactless cards
US11429730B2 (en) * 2019-11-25 2022-08-30 Duality Technologies, Inc. Linking encrypted datasets using common identifiers
US10915888B1 (en) * 2020-04-30 2021-02-09 Capital One Services, Llc Contactless card with multiple rotating security key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3368A (ja) 2000-03-24 2001-10-05 Hitachi Ltd 居宅介護サービス実績管理システム
GB0401575D0 (en) * 2004-01-24 2004-02-25 Kam Kin F A compact electronic activity reminder device
JP2008257699A (ja) 2007-03-13 2008-10-23 Heal:Kk 介護支援および管理システム
US20090210712A1 (en) * 2008-02-19 2009-08-20 Nicolas Fort Method for server-side detection of man-in-the-middle attacks
EP2525297A1 (en) 2011-05-16 2012-11-21 Ntt Docomo, Inc. Method for enhancing security in a tag-based interaction
US20130086201A1 (en) * 2011-09-29 2013-04-04 Computer Sciences Corporation Mobile Patient Information System
US20130232082A1 (en) * 2012-03-05 2013-09-05 Mark Stanley Krawczewicz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Medical ID Car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04953A1 (en) * 2018-10-02 2023-01-05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to perform contactless card activation
KR20210058535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유니메오 간병 서비스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222937B1 (ko) 2020-07-13 2021-03-04 주식회사 케어닥 맞춤형 간병 가이드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74825B1 (ko) 2022-06-29 2022-12-06 주식회사 씨플러스 비대면 간병서비스 매칭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6507B2 (en) 2018-07-17
US20150356256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41128A (ko) 간병 서비스 관리 방법 및 시스템,및 간병 서비스를 관리하는 단말 장치, 관리 서버 및 스마트카드
JP5701855B2 (ja) 装置とユーザ認証
US11012438B2 (en) Biometric device pairing
KR101666187B1 (ko) 간호 정보 보호를 위한 간호 제공자 단말,방법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US11663868B1 (en) Scannerless venue entry and location techniques
CN105339949B (zh) 用于管理对医学数据的访问的系统
KR102216877B1 (ko) 전자장치에서 생체 정보를 이용한 인증 방법 및 장치
US20180053200A1 (en) Incentivizing sharing of wearable technology sensor data
KR101800737B1 (ko) 사용자 인증을 위한 스마트기기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WO2012042775A1 (ja) 生体認証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生体認証装置、および生体認証方法
CN107004077B (zh) 用于提供安全且可独立操作的生物特征认证的方法和系统
CN105339977A (zh) 安全实时健康记录交换
US20210067964A1 (en) Devices, systems, and processes for authenticating devices
CN104781823B (zh) 具有身体耦合通信接口的生物计量系统
WO2015014128A1 (zh) 穿戴式设备的认证方法及穿戴式设备
RU2013140418A (ru) Безопасный доступ к персональным записям о состоянии здоровья в экстренных ситуациях
CN109863730A (zh) 多会话认证
CN103957105A (zh) 用户身份认证方法和sim卡
US20210243185A1 (en) Tap and Go PHI System
WO2015036458A1 (en) Wireless headset
JP2021157827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82706A (ko) 클라이언트 기기의 응용을 처리하는 휴대 단말 장치 및 처리 방법
JP2009232967A (ja) マッサージシステム及びマッサージサービス提供方法
JP4633668B2 (ja) 情報記憶システム、当該情報記憶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送信装置、当該情報記憶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情報記憶サーバ、当該情報記憶サーバを実現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当該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6100706B2 (ja)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