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41044A - 감지기 - Google Patents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1044A
KR20150141044A KR1020140069536A KR20140069536A KR20150141044A KR 20150141044 A KR20150141044 A KR 20150141044A KR 1020140069536 A KR1020140069536 A KR 1020140069536A KR 20140069536 A KR20140069536 A KR 20140069536A KR 20150141044 A KR20150141044 A KR 2015014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ference value
sensing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1638B1 (ko
Inventor
윤중오
염재호
Original Assignee
윤중오
염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중오, 염재호 filed Critical 윤중오
Priority to KR102014006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63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지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제1기준 값과 제2기준 값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기준 값과 상기 제2기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회로와,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와,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기준 값보다 클 때와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감지기{DETECTO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감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에게 소리, 진동, 및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감지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알림 신호를 무선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기계에서 이상이 발생하여 상기 기계가 심하게 진동하거나 상기 기계에서 이상 소음이 발생하는 경우, 방문객이 주택의 초인종을 누르는 경우, 아기가 우는 경우, 또는 위험 상황을 음성으로 알리는 경우와 같은 상황에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진동, 소리, 또는 음성을 정확하게 인식하기 어렵다. 즉,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진동, 소리, 또는 음성에 적절히 반응하여 대응하기 어렵다.
화재 또는 건물 붕괴에 같은 긴급 상황이 발생한 경우, 일반적으로 상기 긴급 상황은 소리 또는 음성으로 알려진다. 이때,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상기 긴급 상황을 정확하고 빠르게 알 수 없으므로 상기 긴급 상황에서 신속하게 대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상술한 상황을 빠르게 알 수 있는 장치들이 필요하다.
1. 청각 장애인 등을 위한 알림 시스템; 공개특허공보 10-2009-0094572 (2009.09.08 공개) 2.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공개특허공보 10-2010-0004642 (2010.01.13.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다양한 센서들 각각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기준 신호들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감지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감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제1기준 값과 제2기준 값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기준 값과 상기 제2기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회로와,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와,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와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상기 감지기는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3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기준 값과 상기 제2기준 값 각각을 보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제1기준 값, 제2기준 값, 및 제3기준 값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및 제3기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회로와,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와,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및 상기 제3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는 제1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1DIP 스위치와, 제2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2DIP 스위치와,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와,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와,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와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기는 제3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3DIP 스위치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및 상기 제3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는 다양한 센서들 각각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기준 신호들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따라 감지 결과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상기 감지 결과를 청각적 요소가 아닌 시각적 요소(예컨대, 빛) 또는 촉각적 요소(예컨대, 진동)로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기는 상기 기준 신호들 각각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감지기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비교 신호를 발생하는데 필요한 감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처리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감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감지 경보 시스템(100A)은 감지기(200A)와 이동 통신 단말기 (300A)를 포함한다.
감지기(200A)는 일정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기계 또는 기구 등의 감지가 필요한 곳에 부착(또는 장착)될 수 있다. 감지기(200A)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또는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IoE))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감지기(200A)는 처리 회로(210A), 메모리(220), 소리 감지 센서(230), 및 진동 감지 센서(232)를 포함한다.
처리 회로(210A)는 집적 회로 또는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으로 구현될 수 있고, 메모리(220), 소리 감지 센서(230), 및 진동 감지 센서(232) 각각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회로(210A)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부터 무선으로 출력된 제1기준 값(REF1)과 제2기준 값(REF2)을 수신하고, 제1기준 값(REF1)과 제2기준 값 (REF2)을 메모리(22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본 명세에서 무선 신호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이용한 무선 신호,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신호, 또는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를 이용한 무선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처리 회로(210A)는 센서들(230과 232) 각각에 의해 감지된 감지 신호(DET1과 DET2)와 메모리(220)에 저장된 기준 값들(REF1과 REF2) 각각을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에 상응하는 알림 신호(ALM)를 무선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기(200A)로 전원이 공급될 때, 메모리(220)에 저장된 기준 값들(REF1과 REF2) 각각은 처리 회로(310A)로 로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처리 회로(310A)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230과 232)로부터 출력된 적어도 하나의 감지 신호(DET1과 DET2)가 수신될 때마다, 메모리(2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값(REF1과 REF2)을 리드하고, 상술한 비교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처리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감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부터 도 3을 참조하며,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A)의 CPU(310)에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제1기준 값(REF1)과 제2기준 값 (REF2)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이동 통신 단말기(300A)는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태블릿 PC, 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IoT)) 장치 또는 만물 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IoE))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감지기(200A)는 알림 신호(ALM)를 전송할 수 있는 무선 송신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동 통신 단말기(300A)는 알림 신호(ALM)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수신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를 이용하여, 제1기준 값(REF1)과 제2기준 값(REF2)을 처리 회로(210A)의 무선 송수신 모듈(212A)로 전송할 수 있다 (S120). 이동 통신 단말기(300A)의 처리 회로(320)는 무선 송수신 모듈(212A)과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14)는 무선 송수신 모듈(212A)로부터 출력된 제1기준 값(REF1)과 제2기준 값(REF2)을 메모리(22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소리 감지 센서(230)는 감지기(200A)의 주변 소리(또는 음성)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1감지 신호(DET1)를 출력할 수 있다(S132). 예컨대, 소리 감지 센서(230)는 소리(또는 음성)의 크기(amplitude)가 높은지 낮은지 또는 상기 소리(또는 음성)의 주파수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1)는 제1감지 신호(DET1)를 제1디지털 값 (DDET1)으로 변환한다.
제1비교기(216-2)는 제1디지털 값(DDET1)과 메모리(220)로부터 출력된 제1기준 값(REF1)을 비교하고,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1기준 값(REF1)보다 클 때, 제1레벨(예컨대,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 중에서 어느 하나)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1기준 값(REF1)보다 작을 때, 제1비교기(216-2)는 제2레벨(예컨대, 하이 레벨과 로우 레벨 중에서 다른 하나)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진동 감지 센서(232)는 감지기(200A)의 주변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2감지 신호(DET2)를 출력한다(S134). 예컨대, 진동 감지 센서(232)는 진동의 크기(amplitude)의 높은지 낮은지 또는 상기 진동의 주파수가 높은지 또는 낮은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에서 S132와 S134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S134가 S132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3)는 제2감지 신호(DET2)를 제2디지털 값 (DDET2)으로 변환한다.
제2비교기(216-4)는 제2디지털 값(DDET2)과 메모리(220)로부터 출력된 제2기준 값(REF2)을 비교하고,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2기준 값(REF2)보다 클 때,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2기준 값(REF2)보다 작을 때, 제2비교기(216-4)는 제2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4)는 제1감지 신호(DET1) 또는 제1디지털 값(DDET1)이 메모리 (220)에 저장된 제1기준 값(REF1)보다 클 때와, 제2감지 신호(DET2) 또는 제2디지털 값(DDET2)이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2기준 값(REF2)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한다(S140).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의 발생 횟수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의 발생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된 횟수가 일정 회수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의 발생 지속 시간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 (CP2)의 발생 지속 시간을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A)의 처리 회로(320)는 알림 신호(ALM)를 수신하고, CPU(31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에 의해 수신된 알림 신호(ALM)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또는 빛을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 (330)를 통해 알림 신호(ALM)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APP)은 알림 신호(ALM)의 수신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상기 진동, 상기 빛, 또는 디스플레이 (330)를 통해, 감지기(300A)의 주변 소리와 주변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범위보다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기(200A)는 감지기(200A)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 회로(210A)는 제3감지 신호(DET3)를 이용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1기준 값 (REF1)과 제2기준 값(REF2) 각각을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감지기(200A)는 감지기(200A)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A)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제1기준 값(REF1), 제2기준 값(REF2), 및 제3기준 값(REF3)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를 이용하여, 제1기준 값(REF1), 제2기준 값(REF2), 및 제3기준 값(REF3)을 처리 회로(210A)의 무선 송수신 모듈(212A)로 전송할 수 있다(S120).
프로세서(214)는 무선 송수신 모듈(212A)로부터 출력된 제1기준 값(REF1), 제2기준 값(REF2), 및 제3기준 값(REF3)을 메모리(220)에 프로그램할 수 있다.
온도 센서(234)는 감지기(200A)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한다(S136).
S132, S134, 및 S136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132, S134, 및 S136은 각 감지 신호(DET1, DET2, 및 DET3)의 발생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3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5)는 제3감지 신호(DET3)를 제3디지털 값 (DDET3)으로 변환한다.
제3비교기(216-6)는 제3디지털 값(DDET3)과 메모리(220)로부터 출력된 제3기준 값(REF3)을 비교하고, 제3디지털 값(DDET3)이 제3기준 값(REF3)보다 클 때, 제1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3디지털 값(DDET3)이 제3기준 값(REF3)보다 작을 때, 제3비교기(216-6)는 제2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4)는 제1감지 신호(DET1) 또는 제1디지털 값(DDET1)이 메모리 (220)에 저장된 제1기준 값(REF1)보다 클 때, 제2감지 신호(DET2) 또는 제2디지털 값(DDET2)이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2기준 값(REF2)보다 클 때, 및 제3감지 신호(DET3) 또는 제3디지털 값(DDET3)이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3기준 값(REF3)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 (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한다 (S140).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의 발생 횟수,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의 발생 횟수,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의 발생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된 횟수가 일정 회수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의 발생 지속 시간,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의 발생 지속 시간,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의 발생 지속 시간을 클락 신호를 이용하여 카운트하고, 카운트 값이 기준 카운트 값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A)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A)로 전송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A)의 처리 회로(320)는 알림 신호(ALM)를 수신하고, CPU(31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에 의해 수신된 알림 신호(ALM)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빛을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알림 신호(ALM)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S150). 애플리케이션(APP)은 알림 신호(ALM)의 수신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3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상기 진동, 상기 빛, 또는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감지기(300A)의 주변 소리, 주변 진동, 및 주변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범위보다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감지 경보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감지 경보 시스템(100B)은 감지기(200B)와 이동 통신 단말기 (300B)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처리 회로의 구체적인 블록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감지 경보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데이터 흐름도를 나타낸다.
감지기(200B)는 처리 회로(210B), 제1딥 스위치(DIP1), 제2딥 스위치(DIP2), 소리 감지 센서(230), 및 진동 감지 센서(232)를 포함한다. 각 딥 스위치(DIP1과 DIP2)는 수동 전기 스위치의 일 실시 예이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는 제1딥 스위치(DIP1)를 이용하여 제4기준 값(DIPS1)을 설정하고 (S202), 제2딥 스위치(DIP2)를 이용하여 제5기준 값(DIPS2)을 설정할 수 있다 (S204).
소리 감지 센서(230)는 감지기(200B)의 주변 소리(또는 음성)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1감지 신호(DET1)를 출력한다(S212).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1)는 제1감지 신호(DET1)를 제1디지털 값 (DDET1)으로 변환한다.
제1비교기(216-2)는 제1디지털 값(DDET1)과 제1딥 스위치(DIP1)로부터 출력된 제4기준 값(DIPS1)을 비교하고,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4기준 값(DIPS1)보다 클 때,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4기준 값(DIPS1)보다 작을 때, 제1비교기(216-2)는 제2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CP1)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진동 감지 센서(232)는 감지기(200B)의 주변 진동을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2감지 신호(DET2)를 출력한다(S214).
도 6에서 S212와 S214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S214가 S212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3)는 제2감지 신호(DET2)를 제2디지털 값 (DDET2)으로 변환한다.
제2비교기(216-4)는 제2디지털 값(DDET2)과 제2딥 스위치(DIP2)로부터 출력된 제5기준 값(DIPS2)을 비교하고,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5기준 값(DIPS2)보다 클 때,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5기준 값(DIPS2)보다 작을 때, 제2비교기(216-4)는 제2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4)는 제1감지 신호(DET1) 또는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4기준 값(DIPS1)보다 클 때와, 제2감지 신호(DET2) 또는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5기준 값(DIPS2)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B)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B)로 전송한다(S220).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 (CP1)의 발생 횟수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의 발생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된 횟수가 일정 회수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B)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B)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B)의 처리 회로(320)는 알림 신호(ALM)를 수신하고, CPU(31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에 의해 수신된 알림 신호(ALM)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빛을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알림 신호 (ALM)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
따라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상기 진동, 상기 빛, 또는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감지기(300A)의 주변 소리와 주변 진동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범위보다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감지기(200B)는 감지기(200B)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처리 회로(210B)는 제3감지 신호(DET3)를 이용하여 제4기준 값(DIPS1)과 제5기준 값 (DIPS2) 각각을 보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감지기(200B)는 감지기(200B)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감지기(200B)에 구현된 제3딥 스위치(DIP3)를 제6기준 값 (DIPS3)을 설정할 수 있다(S206).
온도 센서(234)는 감지기(200B)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의 결과에 따라 제3감지 신호(DET3)를 출력한다(S216).
S212, S214, 및 S216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S212, S214, 및 S216은 각 감지 신호(DET1, DET2, 및 DET3)의 발생 순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3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16-5)는 제3감지 신호(DET3)를 제3디지털 값 (DDET3)으로 변환한다.
제3비교기(216-6)는 제3디지털 값(DDET3)과 제3딥 스위치(DIP3)로부터 출력된 제6기준 값(DIPS3)을 비교하고, 제3디지털 값(DDET3)이 제6기준 값(DIPS3)보다 클 때, 제1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제3디지털 값(DDET3)이 제6기준 값(DIPS3)보다 작을 때, 제3비교기(216-6)는 제2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를 프로세서(214)로 출력한다.
프로세서(214)는 제1감지 신호(DET1) 또는 제1디지털 값(DDET1)이 제4기준 값(DIPS1)보다 클 때, 제2감지 신호(DET2) 또는 제2디지털 값(DDET2)이 제5기준 값 (DIPS2)보다 클 때, 및 제3감지 신호(DET3) 또는 제3디지털 값(DDET3)이 제6기준 값(DIPS3)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B)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B)로 전송한다 (S220).
프로세서(214)는,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제1레벨을 갖는 제1비교 신호 (CP1)의 발생 횟수, 제1레벨을 갖는 제2비교 신호(CP2)의 발생 횟수, 및/또는 제1레벨을 갖는 제3비교 신호(CP3)의 발생 횟수를 누적하고, 누적된 횟수가 일정 회수보다 클 때 알림 신호(ALM)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AML)를 무선 송수신 모듈(212B)을 통해 이동 통신 단말기(300B)로 전송할 수 있다(S220). 이때, 상기 일정 회수는 애플리케이션(APP)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300B)의 처리 회로(320)는 알림 신호(ALM)를 수신하고, CPU(310)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APP)은 처리 회로(320)에 의해 수신된 알림 신호(ALM)에 응답하여 진동을 발생하거나 빛을 발생하거나 디스플레이(330)를 통해 알림 신호 (ALM)의 수신을 알릴 수 있다(S230).
따라서 청각 장애가 있는 사람은, 상기 진동, 상기 빛, 또는 디스플레이 (330)를 통해, 감지기(300B)의 주변 소리, 주변 진동, 및 주변 온도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설정 범위보다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와 100B; 감지 경보 시스템
200A와 200B; 감지기
210A와 210B; 처리 회로
220; 메모리
230; 소리 감지 센서
232; 진동 감지 센서
234; 온도 감지 센서
212A와 212B; 무선 송수신 모듈
214; 처리 회로
216A와 216B; 비교 회로
300A; 이동 통신 단말기
310: CPU
320; 처리 회로
330; 디스플레이
DIP1, DIP2, 및 DIP3; 딥 스위치(dip switch)

Claims (9)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제1기준 값과 제2기준 값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기준 값과 상기 제2기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회로;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 및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와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기.
  2. 제1항에 있어서,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3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1기준 값과 상기 제2기준 값 각각을 보정하는 감지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를 제1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디지털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제1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제2감지 신호를 제2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2디지털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제2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 신호와 상기 제2비교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답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알림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감지기.
  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설정된 제1기준 값, 제2기준 값, 및 제3기준 값을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1기준 값, 상기 제2기준 값, 및 제3기준 값을 메모리에 저장하는 처리 회로;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 및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및 상기 제3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를 제1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디지털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제1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제2감지 신호를 제2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2디지털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제2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3감지 신호를 제3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3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3디지털 값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제3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 신호, 상기 제2비교 신호, 및 상기 제3비교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답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알림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감지기.
  6. 제1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1DIP 스위치;
    제2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2DIP 스위치;
    소리를 감지하고 제1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소리 감지 센서;
    진동을 감지하고 제2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진동 감지 센서; 및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와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알림 신호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처리 회로를 포함하는 감지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를 제1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디지털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제1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제2감지 신호를 제2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2디지털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제2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 신호와 상기 제2비교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답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알림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감지기.
  8. 제7항에 있어서,
    제3기준 값을 설정할 수 있는 제3DIP 스위치; 및
    온도를 감지하고 제3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온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상기 제2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및 상기 제3감지 신호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일 때,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감지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감지 신호를 제1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1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1디지털 값이 상기 제1기준 값보다 클 때, 제1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상기 제2감지 신호를 제2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2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2디지털 값이 상기 제2기준 값보다 클 때, 제2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3감지 신호를 제3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제3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상기 제3디지털 값이 상기 제3기준 값보다 클 때, 제3비교 신호를 출력하는 제2비교기;
    상기 제1비교 신호, 상기 제2비교 신호, 및 상기 제3비교 신호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응답하여 상기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알림 신호를 무선 신호로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감지기.
KR1020140069536A 2014-06-09 2014-06-09 감지기 KR101641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36A KR101641638B1 (ko) 2014-06-09 2014-06-09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36A KR101641638B1 (ko) 2014-06-09 2014-06-09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44A true KR20150141044A (ko) 2015-12-17
KR101641638B1 KR101641638B1 (ko) 2016-07-21

Family

ID=55080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536A KR101641638B1 (ko) 2014-06-09 2014-06-09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6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230B1 (ko) * 2019-01-22 2020-05-1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화장실 양변기 물내림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61B1 (ko) * 2006-11-17 2008-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음 및 진동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4572A (ko) 2008-03-03 2009-09-08 한승룡 청각장애인 등을 위한 알림 시스템
KR20100004642A (ko) 2008-07-04 2010-01-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30128063A (ko) * 2012-05-16 2013-11-26 (주) 일아아이티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561B1 (ko) * 2006-11-17 2008-04-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소음 및 진동 관리방법 및 시스템
KR20090094572A (ko) 2008-03-03 2009-09-08 한승룡 청각장애인 등을 위한 알림 시스템
KR20100004642A (ko) 2008-07-04 2010-01-13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청각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식 장치 및 방법
KR20130128063A (ko) * 2012-05-16 2013-11-26 (주) 일아아이티 모바일 앱 기반 수배전반 통합 관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230B1 (ko) * 2019-01-22 2020-05-14 홍익대학교세종캠퍼스산학협력단 화장실 양변기 물내림 알람 장치 및 알람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638B1 (ko)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4897B1 (en) Mobile terminal and abnormal call processing method therefor
EP2905949B1 (en) Notification volume adjustment based on distance from paired device
KR100695081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JP2010171911A (ja) 携帯通信端末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10575102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aid apparatus and hearing aid apparatus
CN108200493B (zh) 耳机组件、耳机的功能控制方法及装置
KR101641638B1 (ko) 감지기
KR20130084743A (ko) 양방향 소지품 분실 방지 방법 및 장치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JP2011250243A (ja) 音量調整システムおよび音量調整方法
KR102223653B1 (ko) 음성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단말
KR101872611B1 (ko) 휴대용 스마트기기 연동 구조의 보청기
JP5343800B2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受信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無線通信システム
KR101672947B1 (ko)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
KR101895807B1 (ko)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장치, 시스템, 방법
JP2015177201A (ja) 電子機器及び音響通信システム
KR101833030B1 (ko) 청각 장애인용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06223677A (ja) 電気機器及びガス機器制御システム
US20070298759A1 (en) Alarm device for mobile phone
GB2550118A (e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larm bell of siren
NL2016751B1 (en)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alarm bell of siren
KR101955389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1024045A (ja) 情報処理装置
KR20160133637A (ko) 가전기기 전원 온오프 전환 모니터링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200410432Y1 (ko) 전자기기 제어신호에 따른 비상통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