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723A -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723A
KR20150139723A KR1020140067909A KR20140067909A KR20150139723A KR 20150139723 A KR20150139723 A KR 20150139723A KR 1020140067909 A KR1020140067909 A KR 1020140067909A KR 20140067909 A KR20140067909 A KR 20140067909A KR 20150139723 A KR20150139723 A KR 201501397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specific
tag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9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11910B1 (en
Inventor
강기천
허재형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1910B1/en
Publication of KR201501397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1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19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are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 method thereof, an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apparatus. The apparatus applied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enables a user to recognize content (for example, a coupon) of which a usage period when the content can be used in a surrounding area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is about to expire by using a mobile terminal having a local area wireless communications function (for example, NFC).

Description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 device applied thereto,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본 발명은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NFC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using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A coupon) to a user, and a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device.

최근, 대기업 뿐 아니라 중소기업, 개인 사업자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쿠폰을 고객(사용자)에게 발급하여 보다 많은 고객을 유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In recent years, not only large companies but als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and individual businesses have been trying to attract more customers by issuing various types of online or offline coupons to customers (users).

이러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쿠폰들은, 일반적으로 그 쿠폰을 사용함으로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 다시 말해 사용기간이 일정하게 정해져 있다.These on-line or off-line coupons generally have a fixed period of time during which they can benefit from using the coupon.

따라서, 쿠폰을 발급받은 고객(사용자) 입장에서는, 쿠폰을 사용기간 내에 사용해야만 할인 등의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customer (user) who has received the coupon, the coupon must be used within the period of use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benefits such as a discount.

헌데, 고객(사용자) 입장에서는, 너무 많은 업체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쿠폰을 발급받은 상태에서 자신이 보유한 쿠폰 모두를 인지하고 있기 어렵고 더욱이 자신이 보유한 쿠폰 모두에 대해 각각 사용기간이 얼마나 남아있는지 인지하고 있기란 더욱 어려울 것이다. 결국, 고객(사용자)는, 쿠폰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사용기간 내에 사용하지 못하고 쿠폰의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However, in terms of the customer (user),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all of the coupons that he / she holds while receiving various kinds of coupons from too many companies, and furthermore, Will be more difficult. As a result, the customer (user) often has the coupon but can not use the coupon within the period of use.

한편, 현대 사회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사용자)들은, 자신 만의 모바일 단말을 하나씩은 소지하고 있으며, 또한 결제 및 도어 잠금(Door-lock) 등과 같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서비스의 보급이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최근 출시되는 모바일 단말에는 이러한 NFC 기능이 탑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modern society, most people (users) have their own mobile terminals, and the spread of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settlement and door lock Most of the recently released mobile terminals are equipped with such NFC functions.

이러한 NFC 기능은,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가 존재한다. NFC 리더기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카드 모드의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드이며, NFC 카드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리더기 모드의 상대방에게 인식될 수 있는 모드이다.This NFC function exists in the NFC card mode and the NFC reader mode. The NFC reade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ther party of the NFC card mode accessed within a specific short distance is recognized. The NFC card mode is a mod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other party in the NFC reader mode.

이에, 본 발명에서는, NFC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is utilized to allow a user to recognize a content (e.g., a coupon) scheduled to expire by a use period available in a peripheral area (e.g., a merchant shop) And the like.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고,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며,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면,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 terminal to acquire ta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heck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nd i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onfirms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remaining in a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contents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nd remaining less than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providing the terminal with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to allow the user to perceive the content (e.g., coupon) of the expiration date available in the area near the location (e.g., merchant).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며,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및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other object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on the basis of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pecific tag through the short- A content identification unit configured to identify content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terminal and to identify a content of the content based on a specific distance range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which is usable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the usage period and which is less than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and allowing the terminal to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By provid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apparatus and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rea (eg merchant) content of the planned period expires Available from: is to allow that the cause (eg coupons) to the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는,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확인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검색부;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a location information for confirm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a specific tag based on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specific tag via a short- part; A contents checking unit for checking contents already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A content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remains at or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and allowing the terminal to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이며,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쿠폰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쿠폰을 검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ent is a coupon that is available in at least one of online and offline, and the content searching unit searches the coupon for the use of the coupon, You can search for specific coupons that are available and remain under the expiration d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를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ent searching unit searches for a content avail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nd if the usage period of the retrieved contents remains less than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The content retrieval unit searches for the content as the specific content, and for the content that is not usable in various countries among the contents retrieved as being usable in the surrounding area, the main issuing country related to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Different expiration date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untry is consistent according to loca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기간이 상기 제1만료예정일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ontent retrie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use, when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coincide with each other, If the remaining period of time is less than the first expected expiration date, searching for the specific content, and if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If it is less than the predetermined date, it can be retrieved as the specific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정보제공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인 경우,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a type usable in various countrie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may identify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nd convert the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into the language of the confirmed country To th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은,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comprising: acquiring ta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rify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rifying the user's content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a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that have been issued to the user by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whose usage period is less than a scheduled expiration date; And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ith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확인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검색단계;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operation method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erminal confirms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specific tag via a short- ; A contents checking step of checking contents already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A content retrieval step of retrieving a specific content which is usable in a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nd which remains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of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검색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색된 컨텐츠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를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retriev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retrieving a content usable in the peripheral area based on an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nd a second step of searching for a content remaining below a predetermined date as the specific content, and for a content that is not usable in a plurality of countries among contents retrieved as being us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A different expiration due date can be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untry is matched accor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ssociated with the specific tag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검색단계의 제2단계는,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기간이 상기 제1만료예정일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second step of the content searching step further comprises a step of searching for content that is not usable in a plurality of countries among contents retrieved as being usable in the peripheral area,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If the usage period is not equal to the first issuing country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the usage period is the first expiration date It is possible to search for the specific content as long as it remains below the second expected expiration d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인 경우,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Preferably, in the case where the specific content is a type usable in various countries,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a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nd convert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ntent into the language of the confirmed country To the termina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및 단말이 획득한 상기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including: a terminal for obtaining ta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hecking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and checking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searches for a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nd remains at or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provides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the terminal.

이에, 본 발명의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근거리 무선통신기능(예 : NFC)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apparatus and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pplied to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e.g., NFC) It is possible to achieve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content (for example, a coupon) of the expiration date available in the area (for example, the merchan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의 제어 흐름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1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flow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비스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content provid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단말(100) 및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rminal 100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여기서, 단말(100)은,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하는 상대방장치를 인지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지원하는 단말로서, 예컨대 이동전화단말(예 : 스마트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Here, the terminal 100 may include a mobile phone terminal (e.g.,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or the like, which supports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capable of recognizing a partner device accessing within a specific short distance.

이때,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은, 앤에프씨(NFC : Near Field Communications) 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단말(100)은, 전술의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지원하는 NFC모듈(미도시)가 탑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s) system. That is, the terminal 100 is preferably equipped with an NFC module (not shown) supporting the aforementioned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he NFC system.

NFC 기능은,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가 존재한다. NFC 리더기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카드 모드의 상대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드이며, NFC 카드 모드는 특정 근거리 이내로 접근되는 NFC 리더기 모드의 상대방에게 인식될 수 있는 모드이다.There are NFC functions, NFC card mode and NFC reader mode. The NFC reader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ther party of the NFC card mode accessed within a specific short distance is recognized. The NFC card mode is a mode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other party in the NFC reader mode.

이에, 단말(100)은,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 중 하나의 모드로 동작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NFC 리더기 모드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0 can operate in one of the NFC card mode and the NFC reader mode. Hereinafter, the terminal 100 will be described as having the NFC reader mod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이러한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상대방 즉 특정 태그(또는, NFC 태그)를 인식하여,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Such a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e other party, that is, a specific tag (or NFC tag) through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he NFC method, and obtain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이때, 태그(10)는, NFC 카드 모드 및 NFC 리더기 모드 중 NFC 카드 모드로 동작하여, NFC 리더기 모드인 단말(100)이 인식하게 되는 상대방에 해당될 것이다.At this time, the tag 10 will operate in the NFC card mode among the NFC card mode and the NFC reader mode, and correspond to the other party to be recognized by the terminal 100 in the NFC reader mode.

이처럼, 단말(100)은,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태그정보와 단말(100)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rminal 100 acquires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through the NFC scheme, the terminal 100 transmits the acquired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at can identify the terminal 100 itself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태그정보 및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onfirms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그리고,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이에 따른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하여, 단말(100)에서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used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Searches for content,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recognize specific content.

이러한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100)과 독립된 서버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as a server independent of the terminal 100 as shown in FIG. 1, but this is only an example.

예컨대,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각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성되어 단말(100) 내부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For exampl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may be configured in an application form capable of executing each function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nd installed in the terminal 1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reference numerals in FIG. 1 will be referred to.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단말(100)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210)와, 단말(100)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확인부(220)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검색부(230)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하여, 단말(100)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부(240)를 포함한다.2, the apparatus 200 for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pecific tag 10 based on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specific tag 10 through a short- A content checking unit 220 for checking the content issued by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100, A content retrieval unit 230 for retrieving specific contents remaining in the peripheral region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100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위치확인부(210)는, 단말(100)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한다.The location confirmation unit 210 confirm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100 from the specific tag 10 via 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100)은, 획득한 태그정보와 단말(100)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that has acquired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through the NFC scheme transmits the acquired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terminal 100 itself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200).

이에, 위치확인부(210)는,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us, the position confirming unit 210 can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위치확인부(210)는, 태그정보에 포함된 접속정보 및 태그식별정보(예 : Tag UID)에 기초하여 접속정보에 따른 NFC서비스서버(미도시)에 접속하고 NFC서비스서버(미도시)에서 관리되는 태그식별정보(예 : Tag UID)에 따른 정보 즉 설치위치정보로부터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cation checking unit 210 accesses an NFC service server (not shown) according to the connec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access information and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Tag UID) included in the ta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from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Tag UID) managed by the server (not shown), that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컨텐츠확인부(220)는, 단말(100)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한다.The content checking unit 220 checks the content issued by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terminal 100. [

즉, 컨텐츠확인부(220)는,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the content checking unit 220 can check the content that has been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ustomer ID,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확인부(220)는, 전술과 같이 단말(100)로부터 태그정보 및 사용자식별정보가 제공되면, 컨텐츠관리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금번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verification unit 220 accesses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nd transmits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The customer ID) can be confirmed.

이때, 컨텐츠관리서버(미도시)는, 각 사용자의 고객ID 별로,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된 컨텐츠를 통합 관리하는 서버로서, 컨텐츠를 발급하는 다양한 발급처(예 : 대기업, 중소기업, 개인 사업자 등) 측 서버와의 연동을 통해서 컨텐츠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collectively manages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by the customer ID of each user, and includes various servers (e.g., large companies,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The content can be integrated and managed.

여기서, 컨텐츠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is a coupon which can be used in at least one of online and offline.

다시 말해, 컨텐츠확인부(220)는, 컨텐츠관리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금번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ontent checking unit 220 accesses a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nd confirms the content, i.e., the coupon, which has been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번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으로서, 쿠폰1,2,3,4...가 확인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00)을 조작하여 특정 태그(10)을 태깅한 주체 즉 단말(100)의 사용자는, 사용자A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coupons 1, 2, 3, 4, ... are provided as contents or coupons issued to user A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I will mention the cases that have been confirmed. At this time, the subject who has tagged the specific tag 10 by operating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may be referred to as the user A.

컨텐츠검색부(230)는,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중, 위치확인부(210)에 의해 확인된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을 검색한다.The content retrieving unit 230 retrieves the contents of the coupons 1, 2, 3, 4, ... that have been issued to the user A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confirmed by the position checking unit 210 Search for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at a merchant in a nearby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e.g., a radius of 200 meters) and remains below the expiration date, i.e., a specific coup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컨텐츠검색부(230)는,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즉 쿠폰을 검색하고, 이렇게 검색된 컨텐츠 즉 쿠폰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예 : 1주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 즉 쿠폰을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retrieving unit 230 retrieves the content (e.g., coupon 1, 2, 3, 4, ...) (I.e., 200 meters in radius), and searches for the content that has been searched for, i.e., the remaining content of the coupon that is less than the expiration date (e.g., one week) of the coupon, that is, can do.

이하에서는,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인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을 검색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process of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that is, a specific coupon that can be used at a merchant in a peripheral area (e.g., a radius of 200 meters)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and whose usage period is due to expire will be described more concretely .

컨텐츠검색부(230)는,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즉 쿠폰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쿠폰1,2,5가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인 것으로 검색된다고 가정한다.The content retrieving unit 230 retrieves the contents (e.g., coupons 1, 2, 3, 4, ...) Retrieves content available at a merchant, i.e., a coupon. For example, suppose that coupons 1, 2, and 5 are searched for coupons available at an affiliate store within a surrounding area (e.g., a radius of 200 meters).

이때, 컨텐츠검색부(230)는,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즉 쿠폰1,2,5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하, 글로벌타입이라 함)이 아닌 컨텐츠 즉 쿠폰에 대해서는,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tent searching unit 230 searches for a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global type) usable in a content among coupons 1, 2, and 5, which is searched for available at an affiliated store within a surrounding area A different expiration due date can be applied to the content A, that is, the coupon, depending on whether the country A matches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related to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A.

예컨대, 쿠폰1 및 2는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글로벌타입의 쿠폰이고, 쿠폰5는 글로벌타입이 아닌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는 한국이라고 가정해 보겠다.For example, suppose that coupons 1 and 2 are global type coupons available in various countries, coupon 5 is not a global type, and that the main issuing country associated with the previously issued content to user A is Korea.

이때, 컨텐츠검색부(230)는,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각각의 쿠폰정보(예 : 쿠폰이미지, 쿠폰이름, 쿠폰번호, 쿠폰 사용기간, 쿠폰 발급처, 발급국가, 글로벌타입 여부 등)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쿠폰과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를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ent searching unit 230 obtains the coupon information (e.g., coupon image, coupon name, coupon number, coupon use period, coupon Issuer country, issuing country, global type, etc.), the user A can confirm the main issuing country related to the coupon issued.

컨텐츠검색부(230)는,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즉 쿠폰1,2,5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 즉 글로벌타입이 아닌 컨텐츠 즉 쿠폰5에 대해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한국)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한다.The content retrieval unit 230 retrieves the content of the retrieved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that is, the content that is not available in the countries of the coupons 1, 2, 5, that is, the non-global type, (For example, Korea)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and the usage period is less than the first expiration date (for example, one week), it is searched for a specific content, that is, a specific coupon.

한편, 컨텐츠검색부(230)는, 쿠폰5에 대해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예 : 3주) 이하로 남아있으면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e.g., Korea)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does not coincide with the coupon 5, the content retrieving unit 230 may search the first expiration date (e.g., (For example, three weeks) longer than the second expected expiration date (for example, one week).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가 한국이라는 것은, 사용자A가 대부분의 시간 동안 한국에 거주하는 사람일 것으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The main issuing country related to the content issued to user A is Korea, which is the basis on which user A can be regarded as a person who lives in Korea most of the time.

이때, 사용자A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금번 사용자A가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NFC 태깅한 특정 태그(10)가 설치된 위치의 국가(예 : 미국)가 일치하는 경우라면, 현재 사용자A가 한국에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country (e.g., USA) of the location where the specific tag 10 tagged by the NFC tag is installed using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A and the main issuing country associated with the user A If the user A is present in Korea, he / she will be satisfied.

한편, 사용자A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금번 사용자A가 자신의 단말(100)을 이용하여 NFC 태깅한 특정 태그(10)가 설치된 위치의 국가(예 : 미국)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면, 현재 사용자A가 한국이 아닌 외국(예 : 미국)에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사용자A의 주요발급 국가가 한국인 점을 감안한다면 현재 사용자A가 미국에 있는 것은 잠시 동안의 체류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untry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where the specific tag 10 tagged by the NFC tag 10 is installed using th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user A If it is, then user A may be considered to be in a foreign country (eg,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in Korea. Also, given that user A is the main issuing country of Korea, it is reasonable that current user A is in the United States as a stay for a while.

또한, 이 경우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5는, 사용자A가 미국 내 체류 중에 발급받은 쿠폰으로서,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만 특히 미국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쿠폰에 해당되며, 따라서 사용자A가 미국 체류를 마치고 한국으로 돌아간다면 사용기간이 만료되지 않더라도 사용할 수 없는 쿠폰일 것이다.In this case, the coupon 5, which is not a global type, is a coupon issued by the user A while staying in the United States. The coupon 5 is a coupon that is issued only to a merchant in the surrounding area (for example, a radius of 200 meters) , So if user A returns to Korea after his / her stay in the US, it will be a coupon that can not be used even if the expiration date does not expire.

이에, 컨텐츠검색부(230)는,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쿠폰1,2,5 중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5에 대해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한국)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1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하는 반면,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미국)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예 : 3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3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한다.The content retrieving unit 230 retrieves the coupon 5 from among the coupons 1, 2, and 5 that are found to be usable in the surrounding area, (For example, one week) is applied to a case where the use period is less than one week, the user is searched for a specific coupon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ser. On the other hand, If the country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main issuing country (for example, Korea) and the specific tag 10 is not matched, a longer second expiration date (for example, 3 weeks) If it remains less than a week, it searches for a specific coupon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ser.

물론, 컨텐츠검색부(230)는,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쿠폰1,2,5 중 글로벌타입인 쿠폰1 및 2에 대해서는,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일반적인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1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tents retrieving unit 23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coupon 1 and 2, which are global types of coupons 1, 2 and 5 searched for available in the surrounding are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country is matched by location, a general first expiration date (e.g., one week) may be applied to search for a particular coupon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ser if the usage period remains less than one week.

컨텐츠정보제공부(240)는, 컨텐츠검색부(230)에서 검색된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하여, 단말(100)에서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provides the terminal 100 with the specific contents retrieved from the contents retrieving unit 230, that is, the specific coupon, so that the terminal 100 can recognize specific contents, that is, a specific coupon .

예컨대, 컨텐츠정보제공부(240)는, 컨텐츠검색부(230)에서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으로서 쿠폰1,5가 검색된 경우라면, 검색된 쿠폰1,5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contents retrieval unit 240 retrieves the coupons 1,5 as the specific coupons that need to be notified to the user by the content retrieval unit 230,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retrieved coupons 1,5 to the terminal 100 .

이때, 쿠폰1,5에 대한 정보는, 쿠폰1,5 각각의 쿠폰정보(예 : 쿠폰이미지, 쿠폰이름, 쿠폰번호, 쿠폰 사용기간, 쿠폰 발급처, 발급국가, 글로벌타입 여부 등)에 기초하여, 쿠폰의 사용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으며 주변영역의 어떤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지를 알릴 수 있도록 구성된 정보일 것이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on the coupons 1 and 5 is based on the coupon information of each coupon 1,5 (e.g., coupon image, coupon name, coupon number, coupon use period, coupon issuer, issuing country, This information may be configured to inform you of the availability of the coupon and the availability of the merchant in the surrounding area.

더 나아가, 컨텐츠정보제공부(240)는, 특정 컨텐츠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 즉 전술의 글로벌타입인 경우,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를 확인하고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여 단말(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Furthermore, when the specific content is a type that can be used in various countries, that is, the above-described global typ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may check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It may be converted into the language of the country and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즉, 컨텐츠정보제공부(240)는, 특정 컨텐츠 즉 전술의 컨텐츠검색부(230)에서 검색된 쿠폰1,5 중 쿠폰1이 글로벌타입인 경우라면,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미국)를 확인하고 쿠폰1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국가(예 : 미국)의 언어(예 : 영어)로 변환하여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That is, if the coupon 1.5 coupon 1 searched by the content searching unit 230 is a global typ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may search for a country (e.g.,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converts the information about coupon 1 into the language (e.g., English) of the confirmed country (e.g., US), and provide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물론, 컨텐츠정보제공부(240)는, 컨텐츠검색부(230)에서 검색된 쿠폰1,5 중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 예컨대 쿠폰5에 대한 정보는 언어 변환 없이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240 may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on the coupon 5, such as coupon 5, which is not the global type among the coupons 1.5 searched by the content searching unit 230, without language conver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텐츠정보제공장치 및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포함된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은, NFC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NFC 태그를 태깅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 입장에서 쿠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including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he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the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the NFC function to perform a simple operation of tagging the NFC tag,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contents (for example, coupons) scheduled to expire the usable period available in the nearby peripheral area (for example, a merchant),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of the coupon from the user's standpoint Can lead to.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전술의 도 1 내지 도 2의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numerals of Figs. 1 and 2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First,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단말(100)은, 근거리 무선통신방식 즉 NFC 방식을 통해 상대방 즉 특정 태그(10)를 인식(태깅)하여,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10).The terminal 100 can acquire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by recognizing (tagging) the other party, that is, the specific tag 10 through the near fiel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the NFC method (S10).

단말(100)은,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면, 획득한 태그정보와 단말(100)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S20).The terminal 100 obtains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through the NFC method and provides the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terminal 100 itself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S20).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태그정보 및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고(S30),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한다(S40).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confirms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30), and confirms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S40 ).

그리고,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는,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S50), 이에 따른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한다(S60).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can be used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The content is searched (S50), and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is provided to the terminal 100 (S60).

이에, 단말(100)에서는, 제공된 특정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여(S70), 단말(100)의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ly, the terminal 100 displays th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content provided (S70), so that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e information.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0)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한다(S100).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is determined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the specific tag 10 via the short- (S100).

전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FC 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10)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한 단말(100)은, 획득한 태그정보와 단말(100)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사용자식별정보를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에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100 that has acquired the tag information from the specific tag 10 through the NFC scheme transmits the acquired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pable of identifying the terminal 100 itself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100. [ (2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r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태그정보에 포함된 접속정보 및 태그식별정보(예 : Tag UID)에 기초하여 접속정보에 따른 NFC서비스서버(미도시)에 접속하고 NFC서비스서버(미도시)에서 관리되는 태그식별정보(예 : Tag UID)에 따른 정보 즉 설치위치정보로부터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ag UID) managed by an NFC service server (not shown), that is,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0)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한다(S110).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the content that has been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100 (S110).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That is, the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hecking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customer ID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단말(100)로부터 태그정보 및 사용자식별정보가 제공되면, 컨텐츠관리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금번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when the tag information and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re provided from the terminal 100 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content that has been previously issu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provided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여기서, 컨텐츠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인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is a coupon which can be used in at least one of online and offline.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컨텐츠관리서버(미도시)에 접속하여, 금번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을 확인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connecting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not shown) and sending a request to a user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The coupon can be confirmed.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금번 단말(100)로부터 제공된 사용자식별정보(예 : 고객ID)에 따른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으로서, 쿠폰1,2,3,4...가 확인된 경우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이때, 단말(100)을 조작하여 특정 태그(10)을 태깅한 주체 즉 단말(100)의 사용자는, 사용자A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it is assumed that coupons 1, 2, 3, 4, ... are provided as contents or coupons issued to user A according to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customer ID) I will mention the cases that have been confirmed. At this time, the subject who has tagged the specific tag 10 by operating the terminal 100, that is, the user of the terminal 100, may be referred to as the user A.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중, S100단계에 의해 확인된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을 검색한다.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arch for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at a merchant in a nearby area within a certain distance range (e.g., a radius of 200 meters) based on location and that remains below the expiration dat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즉 쿠폰1,2,3,4... 중,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 즉 쿠폰을 검색한다(S120). 예를 들어, 쿠폰1,2,5가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인 것으로 검색된다고 가정한다.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g., a radius of 200 meters)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merchant (S120). For example, suppose that coupons 1, 2, and 5 are searched for coupons available at an affiliate store within a surrounding area (e.g., a radius of 200 meters).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20단계에서 검색된 컨텐츠 즉 쿠폰1,2,5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예 : 1주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 즉 쿠폰을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content retrieved in step S120, that is, the content remaining in the coupon 1,2,5, That is, a specific coupon.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주변영역(예 : 반경 200미터)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즉 쿠폰1,2,5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 즉 글로벌타입의 쿠폰과,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을 구분할 수 있다(S130).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type that is available in a country, that is, a global type coupon and a non-global type coupon (S 130).

예컨대, 쿠폰1 및 2는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글로벌타입의 쿠폰이고, 쿠폰5는 글로벌타입이 아닌 것으로 가정하고,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는 한국이라고 가정해 보겠다.For example, suppose that coupons 1 and 2 are global type coupons available in various countries, coupon 5 is not a global type, and that the main issuing country associated with the previously issued content to user A is Korea.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쿠폰1,2,5 중 글로벌타입인 쿠폰1 및 2에 대해서는(S130 ①),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와 무관하게, 일반적인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1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할 수 있다(S140).Accordingly,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for coupons 1 and 2, which are global types of coupons 1, 2, and 5, Regardless of whether the country is matched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for example, Korea), a general first expiration date (for example, one week) is applied to notify the user if the usage period remains one week or less (Step S140).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쿠폰1,2,5 중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5에 대해서는(S130 ②), 사용자A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for a coupon 5 that is not a global type among coupons 1, A different expiration due date may be applied depending on whether the country is matched accor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ssociated with the content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

즉,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한국)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50).That is,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ecks whether the country (for example, Korea) correspon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for example, Korea) a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is coincident (S15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5에 대해서,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한국)가 일치하는 경우에는(S150 Yes) 일반적인 제1만료예정일(예 : 1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1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하는 반면(S140), 주요발급 국가(예 : 한국) 및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미국)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S150 No)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예 : 3주일)을 적용하여 사용기간이 3주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인 것으로 검색한다(S160).Therefo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140). If the usage period is less than one week (S140), it is determined that the coupon is a specific coupon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ser (S140) (For example, 3 weeks) longer than the first country (for example, Korea) and the country (for example, the United States)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10 do not match If the usage period is less than three weeks, the user is searched for a specific coupon that needs to be notified to the user (S160).

이후,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40 및 S160단계에서 검색된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하여, 단말(100)에서 특정 컨텐츠 즉 특정 쿠폰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S170).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on specific contents retrieved in steps S140 and S160, So that the coupon can be recognized (S170).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40 및 S160단계에서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특정 쿠폰으로서 쿠폰1,5가 검색된 경우라면, 검색된 쿠폰1,5에 대한 정보를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coupons 1,5 are searched as the specific coupons that need to be notified to the user in steps S140 and S160, To the terminal 100.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쿠폰1,5 중 쿠폰1이 글로벌타입인 경우라면, 특정 태그(10)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예 : 미국)를 확인하고 쿠폰1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국가(예 : 미국)의 언어(예 : 영어)로 변환하여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Her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if the retrieved coupon 1.5 coupon 1 is a global type, the country (e.g., the United States)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10 And converts the information about coupon 1 into the language (e.g., English) of the confirmed country (e.g., US) and provides the converted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00.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제공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검색된 쿠폰1,5 중 글로벌타입이 아닌 쿠폰 예컨대 쿠폰5에 대한 정보는 언어 변환 없이 단말(100)에 제공할 수 있다.Of course,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terminal 100 with information on the coupon 5, such as coupon 5, which is not the global type among the coupons 1.5 searched, without language convers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NFC 기능이 탑재된 모바일 단말을 활용하여 NFC 태그를 태깅하는 간단한 동작 만으로,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 입장에서 쿠폰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까지 이끌어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n NFC function by simply tagging an NFC tag, The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recognize the content (for example, a coupon) scheduled to expire at the time of use of the coupon can be derived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reby effectively utilizing the coupon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및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and recorded in a computer readable medium. The computer-readable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medium may be thos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media include magnetic media such as hard disk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 optical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Magneto-optical media, and hardware devices specific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machine language code such as those produced by a compiler, as well as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The hardware devices described abov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as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the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및 그 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현재 위치와 가까운 주변영역(예 :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한 사용기간 만료 예정의 컨텐츠(예 : 쿠폰)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and a devi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ent (for example, a coupon ), It is possible to not only use the related technology but also to be able to carry out the application 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is is an invention that is industrially applicable.

10 : 태그
100 : 단말
200 : 컨텐츠정보제공장치
10: Tag
100: terminal
200: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Claims (11)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확인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검색부;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A location confirmation unit for confirm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a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contents checking unit for checking contents already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A content retrieval unit for retrieving a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remains at or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and allowing the terminal to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중 적어도 하나에서 사용 가능한 쿠폰이며,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쿠폰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 내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쿠폰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ent is a coupon available on at least one of online and offline,
The content retrieving unit,
Wherein the searching unit searches for a specific coupon that is available to the merchant in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upons issued to the user and remains less than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를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retrieving unit,
Searching for a content avail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searching for a content remaining in the searched content that is less than a scheduled expiration date as the specific content ,
The contents which are not usable in various countries among the contents searched for us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related to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And the expiration date is applied.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검색부는,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기간이 상기 제1만료예정일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tent retrieving unit,
For a content which is not usable in various countries among contents retrieved as us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If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coincide with each other,
If the usage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expiration due date which is longer than the first expiration due date in the case where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정보제공부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인 경우,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unit,
If the specific content is of a usable type in a plurality of countries, identifies a country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conver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ntent into a language of the confirmed country, and provide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terminal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방법.
The terminal acquiring ta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rify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verifying the user's content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that is available in a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that have been issued to the user by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device and whose usage period is less than a scheduled expiration date; And
And providing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with information on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획득한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단계;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는 컨텐츠확인단계;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는 컨텐츠검색단계;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여, 상기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컨텐츠정보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A location confirmation step of confirm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ag information acquired from a specific tag by a terminal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 contents checking step of checking contents already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with the terminal;
A content retrieval step of retrieving a specific content which is usable in a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nd which remains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nd
And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ntent to the terminal, so that the terminal can recognize the specific cont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검색단계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1단계와,
상기 검색된 컨텐츠 중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컨텐츠를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해서는,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와 관련된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이한 만료예정일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retrieving step may include:
A first step of searching for a content avail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based on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a second step of retrieving, from among the searched contents, content remaining less than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as the specific content,
The contents which are not usable in various countries among the contents searched for us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related to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and the country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tag And the expiration date is applied.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검색단계의 제2단계는,
상기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 검색된 컨텐츠 중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이 아닌 컨텐츠에 대하여,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는 경우 사용기간이 제1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며,
상기 주요발급 국가 및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기간이 상기 제1만료예정일 보다 긴 제2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으면 상기 특정 컨텐츠인 것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In the second step of the content searching step,
For a content which is not usable in various countries among contents retrieved as usable in the peripheral region,
If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coincide with each other,
If the usage period is less than or equal to a second expiration due date which is longer than the first expiration due date in the case where the country corresponding to the main issuing country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do not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operating method of the providing apparatu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정보제공단계는,
상기 특정 컨텐츠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타입인 경우,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에 따른 국가를 확인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확인한 국가의 언어로 변환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I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step,
If the specific content is of a usable type in a plurality of countries, identifies a country according to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converts the information about the specific content into a language of the confirmed country, and provides the converted content to the terminal And an operation method of th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특정 태그로부터 태그정보를 획득하는 단말; 및
단말이 획득한 상기 태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과 맵핑된 사용자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식별정보에 따른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를 확인하여, 상기 컨텐츠정보제공장치가 상기 사용자에게 기 발급된 컨텐츠 중, 상기 특정 태그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특정 거리범위 내의 주변영역에서 사용 가능하며 사용기간이 만료예정일 이하로 남아있는 특정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컨텐츠정보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정보 제공 서비스 시스템.
A terminal for acquiring tag information from a specific tag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he method includes confirming an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based on the tag information acquired by the terminal, confirming the content issued to the user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based on the us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ed to the terminal, Searching for a specific content which is available in the surrounding area within a specific distance range and remains below the expected expiration date on the basi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specific tag among the contents issued to the user by the providing apparatus, And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for providing the terminal with information on the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KR1020140067909A 2014-06-03 2014-06-03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KR1022119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09A KR102211910B1 (en) 2014-06-03 2014-06-03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909A KR102211910B1 (en) 2014-06-03 2014-06-03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23A true KR20150139723A (en) 2015-12-14
KR102211910B1 KR102211910B1 (en) 2021-02-03

Family

ID=5502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909A KR102211910B1 (en) 2014-06-03 2014-06-03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191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45983A (en) * 2011-10-27 2013-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KR101330522B1 (en) * 2009-06-29 2013-1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upon of translation language to mobile roaming termin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522B1 (en) * 2009-06-29 2013-11-18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coupon of translation language to mobile roaming terminal
KR20130045983A (en) * 2011-10-27 2013-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1910B1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9754B1 (en) System for payment of off-line transaction, method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CN104735021B (en) A kind of account number login method, device and system
US20150339652A1 (en) Method for controlling payment device for selecting payment means
KR101496646B1 (en) method of entrance control through instant QR code
KR101588425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upon service
KR101445137B1 (en) Method for providing smart card sevice information based near field communication
CN112491885A (en) Electronic certificate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JP6229332B2 (en) Management system and program
US20150317631A1 (en) Matching personal photo images with purchase history
KR20120042461A (en) System, apparatus,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movement route information
KR101819157B1 (en) System and method for shop service app connecting with telecommunication company server
US9189560B2 (en) Discovery of asset information through scanning of communication tags associated with assets
KR20150139723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s information providing servic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pplied to the same
KR20140136626A (en)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CN108734814B (en) Visit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JP2008071108A (en) Authentica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management device, authentication management method, and authentication management program
KR20150096626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call bell
Lim et al. Smart cane system: direction guidance system for the blind using GS1 and EPCIS system
KR102243961B1 (en) Termin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3rd party server,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2014007964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lient data distribution
KR102141057B1 (en) Terminal and service providing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KR102399319B1 (en) Terminal, service providing device and coupon server, electronic wallet system comprising the same,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having computer program recorded therefor
US20190188663A1 (en) Method for relaying payment using representative card and payment gateway server
KR101469658B1 (en) Mehtod for providing service based on identity
KR20140072437A (en) Ticket reserv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ticket reservation integrated management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