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289A -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289A
KR20150139289A KR1020140067704A KR20140067704A KR20150139289A KR 20150139289 A KR20150139289 A KR 20150139289A KR 1020140067704 A KR1020140067704 A KR 1020140067704A KR 20140067704 A KR20140067704 A KR 20140067704A KR 20150139289 A KR20150139289 A KR 201501392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oltage
current
signal generato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의
안민영
한대훈
공승곤
강현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7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9289A/ko
Priority to US14/550,828 priority patent/US20150346747A1/en
Priority to CN201410784368.1A priority patent/CN105278361A/zh
Publication of KR20150139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2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with digital contro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4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 G05F1/5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dc using semiconductor devices in series with the load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6Current mirr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7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uck topolog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flyback top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Dc-Dc Converters (AREA)
  • Electronic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전류의 제어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한 전원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덕터, 제어신호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되어 인덕터에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조절하는 스위치 및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를 적분하여 기설정된 기준전압의 크기를 비교하여, 스위치를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OFF SIGNAL GENERATOR AND POWER CONVETER INCLUD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벅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등의 스위치모드 전원장치들은 광범위한 전자기기에 사용되고 있다. 스위치모드 전원장치들은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여 전압을 생성할 수 있는데, 특히, LED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스위치모드 전원장치들은 LED에 일정한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밝기를 균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균일한 전류가 흐르도록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필요로 한다.
미국특허공개 제2009-0302774호
본 발명의 목적은, 균일한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는,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는 오프신호발생부, 및 제2신호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생성하여 오프신호발생부에 전달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오프신호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는, 제어부는,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온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신호발생기와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오프신호발생기를 포함하며, 오프신호발생기는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는 오프신호발생부 및 제2신호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생성하여 오프신호발생부에 전달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는, 온신호와 오프신호에 의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방법에 있어서, 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되, 제2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전류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은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오프신호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양이 균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가 채용된 전원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컨버터 및 그의 구동방법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프신호발생기(100a)는 제1신호(S1)를 전달받아 오프신호(OFF)를 출력하고, 제2신호(R1)를 전달받아 오프신호(OFF)가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는 오프신호발생부(110a)와 제2신호(R1)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생성하여 오프신호발생부(110a)에 전달하는 신호제어부(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일정한 시간 간격일 수 있고 시간 간격이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오프신호발생부(110a)는 제1신호(S1)를 전달받아 오프신호(OFF)를 출력하고, 제2신호(R1)를 전달받아 오프신호를 차단할 수 있다. 오프신호발생부(110a)는 RS 플립플롭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신호(S1)가 RS 플립플롭의 제1단(S)에 입력되고 제2신호(R1)가 RS 플립플롭의 제2단(R)에 입력될 수 있다. 제1단(S)에 제1신호(S1)가 입력되면 출력단(Q)에서 오프신호(OFF)를 출력하고 제2단(R)에 제2신호(R1)가 입력되면 출력단(Q)에서 오프신호(OFF)가 출력되지 않을 수 있다.
신호제어부(120a)는 제2신호(R1)를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생성하여 오프신호발생부(110a)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신호제어부(120a)는 제1전류(I11)를 충전하여 제1전압(VC1)을 출력하는 캐패시터(C11), 제1전압(VC1)이 제1기준전압(REF11)에 도달하면 제2신호(R1)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121a), 및 제2신호(R1)를 전달받아 캐패시터(C11)를 방전하는 스위치(M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비교기(121a)는 제1전압(VC1)과 제1기준전압(REF11)을 비교하고 제1전압(VC1)이 제1기준전압(REF11)이 되면 제2신호(R1)를 출력할 수 있다. 제1비교기(121a)는 제1전압(VC1)을 (+) 입력단에 입력받고 제1기준전압(REF11)을 (-) 입력단에 입력받을 수 있다. 제1비교기(121a)의 (+) 단에는 캐패시터(C11)가 연결되고 캐패시터(C11)는 제1전류(I11)에 의해 충전되어 제1비교기(121a)의 (+) 단에 제1전압(VC1)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캐패시터(C11)가 제1전류(I11)에 의해 충전이 계속되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제1전압(VC1)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캐패시터(C11)에 병렬로 연결된 스위치(M11)가 턴온되면 캐패시터(C11)는 방전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1전압(VC1)이 제1기준전압(REF11)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신호제어부(120a)는 제2전류(I21)를 구동하여 제1전류(I11)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신호제어부(120a)는 미러부(122a)를 포함하고, 제2전류(I21)가 구동되면, 미러링에 의해 제1전류(I11)가 흘러 캐패시터(C11)에 제1전류(I11)가 흐르도록 할 수 있다. 미러부(122a)는 제1전극이 제1전원(VDD)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1노드(N11)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1노드(N11)에 연결되는 제1트랜지스터(T11)와, 제1전극이 제1전원(VDD)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캐패시터(C11)의 일단과 제1비교기(121a)의 (+) 입력단에 연결되고 게이트전극이 제1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는 제2트랜지스터(T21)와, 제1전극이 제1노드(N11)에 연결되고 제2전극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며 게이트전극이 제3노드(N31)에 연결되는 제3트랜지스터(T31)와, (+) 입력단이 제1기준전압(REF11)을 전달받고 (-) 입력단이 제2노드(N21)에 연결되며 출력단이 제3노드(N31)에 연결되는 제2비교기(12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노드(N21)가 저항(RT11)을 통해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미러부(122a)에서 제1전류(I11)가 구동된다. 미러부(122a)에서 제1트랜지스터(T11)는 제1전극과 게이트전극이 연결되어 다이오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가 제1트랜지스터(T11)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2비교기(123a)는 제2노드(N21)의 전압이 제2기준전압(REF21)보다 낮으면 제3트랜지스터(T31)를 통해 저항(RT11)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고, 제2노드(N21)의 전압이 제2기준전압(REF21)보다 높으면 제3트랜지스터(T31)를 통해 저항(RT11)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비교기(123a)에 의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2전류(I21)가 제1전원(VDD)에서 접지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T11)와 제2트랜지스터(T21)는 미러링되어 있다. 즉, 제2트랜지스터(T21)의 게이트전극은 제1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트랜지스터(T21)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될 수 있어 제2트랜지스터(T21)의 제1전극에서 제2전극방향으로 제2전류(I21)에 의해 구동되는 제1전류(I11)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1트랜지스터(T11)의 채널과 제2트랜지스터(T21)의 채널의 비에 대응하여 제2전류(I21)에 의해 구동되는 제1전류(I11)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류(I11)가 구동되면, 캐패시터(C11)가 제1전류(I11)에 의해 충전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캐패시터(C11)는 제1전압(VC1)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1전압(VC1)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이때, 제1전압(VC1)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REF11)의 크기에 도달하게 되면 제1비교기(121a)는 제2신호(R1)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전류(I11)의 크기, 캐패시터(C11)의 용량, 제1기준전압(REF11)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캐패시터(C11)에서 출력되는 제1전압(VC1)이 제1기준전압(REF11)에 도달되는 시간이 고정되어 오프신호(OFF)의 펄스폭은 고정될 수 있다. 제1비교기(121a)가 제2신호(R1)를 출력하게 되면 오프신호발생부(110a)는 오프신호(OFF)를 차단할 수 있다. 오프신호발생부(110a)는 다시 제1신호(S1)를 전달받을 때까지 오프신호(OFF)를 차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프신호발생기(100b)의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100a)와 큰 차이가 없어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오프신호발생기(100ab)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보상전류원(124b)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보상전류원(124b)는 캐패시터(C12)에 보상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즉, 보상전류원(124b)에 의해 캐패시터(C12)에 제1전류(I12)와 보상전류(Ic)가 캐패시터(C12)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보상전류(Ic)는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의 비에 따라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보상전류원(124b)는 트랜스컨덕턴스 앰프(transconductance amplifier)와 같은 전류원일 수 있다. 트랜스컨덕턴스 앰프는 (+) 입력단과 (-) 입력단 사이의 전압 차이에 의해 보상전류(Ic)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컨덕턴스 앰프는 (+) 입력단에 출력전압(Vout)이 연결되고 (-) 입력단에 입력전압(Vin)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은 각각 오프신호발생기(100b)가 채용된 전자기기의 입력단전압과 출력단전압일 수 있다. 하지만, (+) 입력단과 (-) 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는 전압은 입력단전압과 출력단전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전압원으로부터 전달받은 전압일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미러부(122b)에서 제1전류(I12)가 구동된다. 미러부(122b)에서 제1트랜지스터(T12)는 제1전극과 게이트전극이 연결되어 다이오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전류(I22)가 제1트랜지스터(T12)의 제1전극에서 제2전극으로 흐를 수 있다. 이때, 제2비교기(123b)는 제2노드(N22)의 전압이 제2기준전압(REF22)보다 낮으면 제3트랜지스터(T32)를 통해 저항(RT1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증가시키고, 제2노드(N22)의 전압이 제2기준전압(REF22)보다 높으면 제3트랜지스터(T32)를 통해 저항(RT1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비교기(123b)에 의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제2전류(I22)가 제1전원(VDD)에서 접지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1트랜지스터(T12)와 제2트랜지스터(T22)는 미러링되어 있다. 즉, 제2트랜지스터(T22)의 게이트전극은 제1트랜지스터(T12)의 게이트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트랜지스터(T12)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2트랜지스터(T22)의 게이트전극에 인가될 수 있어 제2트랜지스터(T22)의 제1전극에서 제2전극방향으로 제2전류(I22)에 의해 구동되는 제1전류(I12)가 흐를 수 있다. 이때, 제1트랜지스터(T12)의 채널과 제2트랜지스터(T22)의 채널의 비에 대응하여 제2전류(I22)에 의해 구동되는 제1전류(I12)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전류(I12)가 구동되면, 캐패시터(C12)가 제1전류(I12)에 의해 충전될 수 있다. 또한, 보상전류원(124b)이 캐패시터(C12)에 연결되어 보상전류원(124b)이 캐패시터(C12)를 충전할 수 있기 때문에 캐패시터(C11)에 충전되는 제1전압(VC1)은 제1전류(I11)와 보상전류(Ic)에 의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보상전류(Ic)의 크기는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의 크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만약, 입력전압(Vin)의 크기와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같으면 보상전류(Ic)는 흐르지 않게 되고, 입력전압(Vin)의 크기보다 출력전압(Vout)의 크기가 작으면 보상전류(Ic)는 흐를 수 있다. 이때, 입력전압(Vin)의 크기와 출력전압(Vout)의 크기 차이가 크면 보상전류(Ic)의 크기는 입력전압(Vin)의 크기와 출력전압(Vout)의 크기 차이가 작은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보상전류(Ic)가 흐르게 도면, 제1전압(VC2)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REF12)의 크기에 도달하는 시간이 보상전류(Ic)가 흐르지 않는 경우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따라서, 보상전류(Ic)에 의해 제1전압(VC2)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REF12)에 도달되도록 하는 시간을 보다 더 짧게 할 수 있다. 즉, 보상전류(Ic)의 크기가 크면 제1전압(VC2)의 기울기(VC2a)가 가파르게 될 수 있고, 보상전류(Ic)의 크기가 작으면 제1전압(VC2)의 기울기(VC2b)가 완만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보상전류(Ic)가 없으면 제1전압(VC1)의 기울기(VC2c)가 더 완만하게 될 수 있다.
제1전압(VC2)의 크기가 제1기준전압(REF12)의 크기에 도달하게 되면 제1비교기(121b)는 제2신호(R2)를 출력할 수 있는데, 보상전류(Ic)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제2신호(R2)가 출력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보상전류(Ic)에 따라서 제2신호(R2)는 R2a,R2b,R2c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비교기(121b)가 제2신호(R2)를 출력하게 됨으로써, 오프신호발생부(110b)는 오프신호(OFF)를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오프신호(OFF)가 차단되는 시점을 소정의 시간 간격(Ta) 만큼 조절될 수 있다.
오프신호발생부(110b)는 다시 제1신호(S2)를 전달받을 때까지 오프신호(OFF)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오프신호(OFF)의 펄스폭을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발생기가 채용된 전원공급장치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500)는 코일(L), 코일(L)과 연결되어 코일(L)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부하(Load)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FET), 스위치(FET)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스위치(FET)를 턴온시키는 온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신호발생기(510a)와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오프신호를 발생시키는 오프신호발생기(5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온신호발생기(510a)로부터 온신호를 전달받고 오프신호발생기(510b)로부터 오프신호를 전달받아 스위치(FET)를 턴온/턴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발생기(5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신호발생기는 RS 플립플롭일 수 있고, 온신호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RS 플립플롭의 제1단(S)에 입력될 수 있고 오프신호발생기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RS 플립플롭의 제2단(R)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RS 플립플롭의 출력단(Q)가 스위치(FET)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공급장치(500)는 벅컨버터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이백컨버터, LLC 등 스위치 모드 컨버터일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500)는 전압원(dc)으로부터 입력전압(Vin)을 전달받아 부하(Load)에 전류를 공급하고, 부하는 코일(L)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전압원(dc)는 교류를 정류한 직류일 수 있다. 그리고, 코일(L)은 스위치(FET)와 연결되고 스위치(FET)의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코일(L)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부하(Load)는 복수의 LED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LED 열일 수 있다. 여기서, 부하인 LED 열은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때, LED의 애노드 전압과 캐소드 전압을 각각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하기의 수학식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의 비율에 따라 스위치의 턴온구간과 턴오프구간의 비율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입력전압(Vin)과 출력전압(Vout)의 비율에 대응하여 스위치(FET)의 듀티비를 조절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duty는 스위치(FET)의 턴온/턴오프구간의 비율, Vout은 LED의 캐소드 전압, Vin은 LED의 애노드 전압을 의미한다.
이때, 제어부(510)의 오프신호발생기(510b)가 도 1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100a)를 채용하면, 턴오프구간의 길이가 조절되지 않기 때문에 턴온구간이 줄어들게 되면 스위치(FET)의 턴온/턴오프되도록 하는 주파수는 짧아질 수 있다. 하지만, 제어부(510)의 오프신호발생기(510b)가 도 3에 도시된 오프신호발생기(100b)를 채용하면, 턴오프구간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턴온구간이 줄어들게 되면 턴오프시간을 길게 하고 턴온구간이 길어지면 턴오프시간을 줄어들게 함으로써 스위치의 턴온/턴오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500)의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은 전원공급장치(500)가 채용된 전자기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출력전압(Vout)은 전원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저항(Rf)에 인가되는 전압에 대응하여 스위치(FET)의 턴온시간을 조절하여 부하(Load)에 흐르는 전류가 균일하게 흐를 수 잇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510)는 제3비교기(520)로부터 턴온시간을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대응하는 전압인 저항(Rf)에 인가되는 전압과 제3기준전압(REF3)을 비교하여 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스위치(FET)가 턴온되어 있는 기간인 온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오프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신호와 오프신호에 의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방법은, 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00), 및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S610), 및 제2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되, 제2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S6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S600)에서 온신호에 의해 스위치가 턴온되어 부하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특히, 벅컨버터, 플라이백 컨버터 등 스위치모드 컨버터에 채용되어 있는 경우, 스위치는 코일에 연결되고 스위치의 턴온동작에 의해 코일에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그리고,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S610)에서, 스위치는 오프신호에 의해 턴오프되어 전류를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코일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에 오프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은 전달받은 제1신호에 대응하여 오프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되, 제2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도록 하는 단계(620)에서, 소정시간 경과 후 전달받은 제2신호에 의해 오프신호가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오프신호가 일정한 시간으로 전달되면 스위치의 오프시간은 고정될 수 있다. 만약, 듀티비를 제어하는 경우 스위치의 온시간을 변경하게 되면, 듀티비가 변할 수 있다. 하지만, 오프시간이 고정되기 때문에, 스위치가 턴온되는 시간이 길면 스위치가 턴온/턴오프되는 한 주기의 시간은 길고 스위치가 턴오프되는 시간이 짧으면 스위치가 턴온/턴오프되는 한 주기의 시간은 짧아질 수 있다. 즉, 스위치를 턴온/턴오프시키는 신호의 주파수가 변할 수 있다.
반면, 오프신호가 전달되는 시간이 조절되어 스위치의 오프시간을 조절할 수 있으면, 스위치의 온시간에 따라 스위치의 오프시간을 변경할 수 있다. 즉, 온시간이 길면 스위치의 오프시간을 짧게 하고 온시간이 짧으면 스위치의 오프시간을 길게함으로써 스위치가 턴온/턴오프되는 한 주기의 시간이 일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 도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기능들은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되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전용 하드웨어의 이용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이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일부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항들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표현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임의의 방식을 포괄하고, 이러한 요소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요소들의 조합, 또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회로와 결합된,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소프트 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의 '일 실시예'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이 실시예와 관련되어 특정 특징, 구조, 특성 등이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표현 '일 실시예에서'와, 본 명세서 전체를 통해 개시된 임의의 다른 변형례들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 또는 '연결하는' 등과 이런 표현의 다양한 변형들의 지칭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100a: 오프신호발생기 110a: 오프신호발생부
120a:신호제어부 121a: 제1비교부
122a: 미러부 123a: 제2비교부
500: 전원공급장치 VC1: 제1전압
T11: 제1트랜지스터 T21: 제2트랜지스터
T31: 제3트랜지스터 C11: 캐패시터

Claims (21)

  1.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는 오프신호발생부; 및
    상기 제2신호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생성하여 상기 오프신호발생부에 전달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오프신호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제1전류를 충전하여 상기 제1전압을 출력하는 캐패시터;
    상기 제1전압이 상기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및
    상기 제2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오프신호발생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1전압이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오프신호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제2전류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오프신호발생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신호발생기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보상전류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류원은 상기 캐패시터에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오프신호발생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류원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전달받고,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출력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보상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오프신호발생기.
  7. 코일;
    상기 코일과 연결되어 상기 코일에 흐르는 전류를 조절하여 부하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절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위치를 턴온시키는 온신호를 발생시키는 온신호발생기와 상기 스위치를 턴오프시키는 오프신호발생기를 포함하며,
    상기 오프신호발생기는,
    제1신호를 전달받아 오프신호를 출력하고, 제2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이 차단되는 오프신호발생부; 및
    상기 제2신호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생성하여 상기 오프신호발생부에 전달하는 신호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제1전류를 충전하여 상기 제1전압을 충전하는 캐패시터;
    상기 제1전압이 상기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신호를 출력하는 제1비교기; 및
    상기 제2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캐패시터를 방전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1전압이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제어부는 제2전류를 구동하여 상기 제1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전원공급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신호발생기는, 상기 기 설정된 시간 간격을 조절하는 보상전류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상전류원은 상기 캐패시터에 보상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전류원은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을 전달받고, 상기 입력전압과 상기 출력전압의 크기에 대응하여 상기 보상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원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전압은 상기 부하의 입력단 전압에 대응하고, 상기 출력전압은 상기 부하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전원공급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어신호발생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상기 온신호발생기로부터 상기 온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오프신호발생기로부터 상기 오프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위치의 턴온/턴오프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전원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발생기는 입력전압과 출력전압의 비에 따라 상기 온신호와 사이 오프신호의 간격이 조절되되, 상기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화하더라도 상기 제어신호의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원공급장치.
  16. 온신호와 오프신호에 의해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하여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전류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제1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프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제2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오프신호가 출력되는 것을 차단하되, 상기 제2신호는 기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발생하는 전류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제1전압이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는 시간 간격에 대응하는 전류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제1전류에 의해 제1전압을 생성하되, 상기 제1전압이 상기 제1기준전압에 도달하면, 상기 제2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오프신호가 차단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류제어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신호에 의해 상기 제1전압을 방전하는 전류제어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 간격은 상기 스위치의 턴온/턴오프비에 따라 조절될 수 있는 전류제어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의 턴온/턴오프비에 대응하여 상기 제1전류를 보상하는 보상전류를 생성하는 전류제어방법.
KR1020140067704A 2014-06-03 2014-06-03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KR2015013928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04A KR20150139289A (ko) 2014-06-03 2014-06-03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US14/550,828 US20150346747A1 (en) 2014-06-03 2014-11-21 Off signal generator and power conveter including the same
CN201410784368.1A CN105278361A (zh) 2014-06-03 2014-12-16 断开信号发生器和包括断开信号发生器的电力转换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704A KR20150139289A (ko) 2014-06-03 2014-06-03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289A true KR20150139289A (ko) 2015-12-11

Family

ID=5470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704A KR20150139289A (ko) 2014-06-03 2014-06-03 오프신호 발생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50346747A1 (ko)
KR (1) KR20150139289A (ko)
CN (1) CN1052783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29870B (zh) * 2020-06-29 2021-06-01 新唐科技股份有限公司 恆定功率控制電路
TWI796199B (zh) * 2022-02-21 2023-03-11 立錡科技股份有限公司 功率轉換器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6505C3 (de) * 1972-09-22 1975-06-05 Computer Gesellschaft Konstanz Mbh, 7750 Konstanz Schaltungsanordnung zur unterbrechungsfreien Stromversorgung eines Gleichstromverbauchers mit konstanter Spannung
US4769753A (en) * 1987-07-02 1988-09-06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mpensated exponential voltage multiplier for electroluminescent displays
FR2709026B1 (fr) * 1993-08-10 1995-10-13 Ela Medical Sa Convertisseur continu-continu pour charge à tension variable.
KR20100078882A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슬로프 보상 회로
US8879283B2 (en) * 2009-11-05 2014-11-04 On-Bright Electronics (Shanghai) Co., Ltd. System and method providing protection in the event of current sensing failure for power converter
US20110227550A1 (en) * 2010-03-19 2011-09-22 Intersil Americas Inc. Modulation scheme using a single comparator for constant frequency buck boost converter
CN102195481A (zh) * 2010-03-19 2011-09-21 英特赛尔美国股份有限公司 将单个比较器用于恒频降压升压转换器的调制方案
JP5304745B2 (ja) * 2010-07-30 2013-10-0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絶縁型電源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5100804B2 (ja) * 2010-09-13 2012-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始動制御ユニット、及びそれに対する始動指令信号発生装置
CN201904774U (zh) * 2010-12-24 2011-07-20 日银Imp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桥式驱动电路的单端高压电平转换电路
JP5788748B2 (ja) * 2011-09-13 2015-10-07 リコー電子デバイス株式会社 Dc/dcコンバータの制御回路及びdc−dcコンバータ
US8736246B2 (en) * 2011-09-22 2014-05-27 Acbel Polytech Inc. Power factor control circuit and power factor control method
CN102510439B (zh) * 2011-11-21 2014-02-05 四川虹微技术有限公司 一种电流钳位电路漏电流自适应补偿装置
CN103107719B (zh) * 2013-02-19 2015-10-21 昂宝电子(上海)有限公司 通过调节开关过程来减少电磁干扰的系统和方法
TWI521841B (zh) * 2015-01-21 2016-02-11 杰力科技股份有限公司 輸入側不採用電解電容器的電源轉換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46747A1 (en) 2015-12-03
CN105278361A (zh)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08520B2 (en) Mode control device, voltage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used in the voltage converter
US9362833B2 (en) Constant voltage constant current control circuits and methods with improved load regulation
EP2852258B1 (en) Light source control device
US7262582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KR101679629B1 (ko) 발광 다이오드 부하를 구동하는 전자 회로 및 방법
US8841895B2 (en) Electronic device for average current mode DC-DC conversion
JP4631916B2 (ja) 昇圧形dc−dcコンバータ
KR102062566B1 (ko) Led 발광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20190098712A1 (en) Control circuit, control method and switching power supply thereof
US20080180039A1 (en) Led drive circuit
US8558528B2 (en) High accuracy inductor peak current control scheme for switching power supply
EP2804302B1 (en) Adaptive low-power zero-cross comparator for discontinuous current mode operated switching mode power supply
KR20070086169A (ko) 스위칭 전원 및 그 제어 회로와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
KR102575945B1 (ko) 스위칭 레귤레이터
JP2013149479A (ja) 発光素子駆動装置
US20100289473A1 (en) Current sense circuit and switching regulator using the same
JP2008072877A (ja) 電源システム及び出力電圧の制御方法
US20190379211A1 (en) Switching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EP3503371B1 (en) Voltage regulator and method for operating a voltage regulator
US9559593B2 (en) Synchronous rectification converter and control method of synchronous rectification converter
US20080055943A1 (en) Control unit,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8547078B2 (en) Methods for light load efficiency improvement of a buck boost voltage regulator
US10468981B2 (en) Switching power supply device
WO2015008456A1 (ja) Dc/dcコンバータ
US9401650B2 (en) Power suppl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