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171A - 틀니용 지지바 - Google Patents

틀니용 지지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171A
KR20150139171A KR1020140067317A KR20140067317A KR20150139171A KR 20150139171 A KR20150139171 A KR 20150139171A KR 1020140067317 A KR1020140067317 A KR 1020140067317A KR 20140067317 A KR20140067317 A KR 20140067317A KR 20150139171 A KR20150139171 A KR 20150139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ar
bar body
denture
alveolar bone
to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5967B1 (ko
Inventor
김용협
Original Assignee
김용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협 filed Critical 김용협
Priority to KR102014006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967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3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to residual teeth by using bolt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1Palates or other bases or supports for the artificial teeth;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10Fastening of artificial teeth to denture palat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틀니용 지지바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치조골의 상부에 지지바몸체가 결합구로 결합되어지는 틀니용 지지바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는 치조골을 따라 얹혀지게 형성된 지지바몸체의 가장자리 하부에 둘레를 따라 세이프 존이 내,외측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바몸체의 상단부에 V자형상의 제로포인트부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로포인트부는 외측경사부와 내측경사부가 지지바몸체의 상부 가운데를 향하여 낮아지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국부적인 압력의 증가로 틀니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틀니용 지지바{Support free den bar for denture}
본 발명은 틀니용 지지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로포인트부인 스트레스 해소(Safe zon)를 갖는 지지바몸체가 결합구에 의하여 치조골의 상부에 안정되게 결합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틀니란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을 말하는 것으로 틀니는 부분 틀니와 전체 틀니로 구분할 수 있고, 자연 치아의 결손 부위가 일부 일 때는 부분 틀니를 적용하고, 상악 또는 하악에 잔존하는 자연 치아가 전무한 경우에 전체 틀니를 적용한다.
최근에는 인공 치아를 식립하여 틀니를 착탈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고, 등록실용신안 제357420호는 틀니와의 결합용 지대주를 갖으며 잇몸 속에 심는 인공치아가 개시되어 있으나, 인공치아가 지대주를 통해서만 틀니와 국부적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틀니와 지대주와의 결합 위치를 찾아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지대주와 틀니와의 국부적인 결합력이 강하게 요구되어 틀니 착탈시 많은 힘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틀니에 움직임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과다 과중의 힘이 작용하여 식립된 임플란트의 파괴속도가 진행되어 롱텀(Long Tem)에 문제가 있고, 재시술 등의 비용부담과 치료의 공포, 고통이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틀니의 움직임에 의하여 음식물 침전이 발생되어 잦은 청소의 불편이 많았다.
본 발명은 틀니가 용이하게 결합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이를 통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틀니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프라그의 침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인공치아의 보존과 틀니의 안정성을 중요시 하였다.
본 발명은 치조골의 상부에 지지바몸체(10)가 결합구(20)로 결합되어지는 틀니용 지지바(A)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A)는 치조골을 따라 얹혀지게 형성된 지지바몸체(10)의 가장자리 하부에 둘레를 따라 세이프 존(11)이 내,외측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에 V자형상의 제로포인트부(1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로포인트부(12)는 외측경사부(121)와 내측경사부(122)가 지지바몸체(10)의 상부 가운데를 향하여 낮아지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바몸체(10)는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부 내,외측에 각각 에어홈(13)이 연결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구(20)는 나사머리(22)에 나사산(23)이 형성된 나사몸체(21)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홀(24)에서 상기 치조졸에 매립된 픽스츄어(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몸체(10)를 상기 치조골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20)는 치조골에 구비된 자연치아(50)를 절삭하여 치아돌부(5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치아돌부(51)에 대응되는 치아안치홈(52)이 지지바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치아돌부(51)와 치아안치홈(52) 사이에 접착제(53)가 포도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지바몸체의 상부로 제로포인트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결합구에 의하여 결합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국부적인 압력의 증가로 인하여 틀니가 흔들리는 즉, 움직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틀니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심미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프라그의 침착을 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틀니용 지지바에 의하여 틀니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틀니용 지지바가 치조골과 틀니 사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틀니용 지지바의 종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틀니용 지지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틀니용 지지바(A)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40)에 틀니(60)를 지지하는 지지바몸체(10)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결합구(20)에 의하여 결합되어지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바(A)는 치조골(40)의 상부로 구비되는 틀니(60)가 안정되게 지지되어지도록 하는 가운데 씹는 과정에서 유동(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틀니(60)가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도록 하고, 치아의 미관을 높일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바(A)는 치조골(40)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얹혀지게 형성된 지지바몸체(10)의 가장자리 하부에 둘레를 따라 단턱형태를 갖는 세이프 존(11)이 내,외측으로 형성되어 지지바(A)에 끼워지게 결합된 틀니(60)가 충분하기 지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틀니(60)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지지바몸체(10)에 끼워지는 것을 더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지지바(A)와 틀니(60) 사이로 에어층(70)이 형성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에 제로포인트부(Zero point)(12)가 형성되어 임의 방향에서 가해지는 즉, 음식물을 씹는 과정에서 틀니(60)의 내,외측 임의 방향에서 힘이 가해질 경우에도 항상 일정한 곳으로 집중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제로포인트부(12)는 V자 형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측경사부(121)와 내측경사부(122)가 지지바몸체(10)의 상부 가운데를 향하여 낮아지게 형성되어 힘을 가운데로 모으고, 틀니의 안정성을 주기 위함이다.
상기 지지바몸체(10)는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두껍게 점진적으로 증가되게 형성되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지지바몸체(10)는 충분한 지지력이 확보되도록 하는 가운데 생체 친화적인 재료인 지르코늄, 티타늄, 골드, 크롬코발트, 니켈크롬, 아세탈 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부 내,외측에 각각 에어홈(13)이 하나로 연결되어지게 형성되어 틀니(60)가 결합된 상태에서 충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빠지는 것을 더 막을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구(20)는 치조골(40)에 지지바몸체(10)가 안정된 상태에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으로 나사머리(22)에 나사산(23)이 형성된 나사몸체(21)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구(20)는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로 형성된 단턱홀(24)을 나사몸체(21)가 관통되는 가운데 나사머리(22)가 단턱홀(24)에 걸져짐과 동시에 나사몸체(21)의 나사산(23)이 상기 치조골(40)에 매립된 픽스츄어(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몸체(10)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틀니용 지지바(A)는 먼저, 치조골(40)의 외측 즉,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픽스츄어(30)가 삽입된 상태로 매립되도록 한 후 이어 픽스츄어(30)의 상부를 포함하는 치조골(40)의 상부에 지지바몸체(10)의 하부가 맞대어지도록 한다. 이때, 지지바몸체(10)에 형성된 단턱홀(24)의 중심이 픽스츄어(30)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한다.
다음, 지지바몸체(10)에 형성된 단턱홀(24)을 통해 나사몸체(21)가 관통되어 나사몸체(21)에 형성된 나사산(23)이 픽스츄어(30)에 형성된 암나사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지지바몸체(10)가 결합된다. 이때, 나사몸체(21)에 형성된 나사머리(22)가 단턱홀(24)에 걸려지게 되면서 나사몸체(21)의 조임력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치조골(40)에 구비된 지지바몸체(10)의 상부로 틀니(60)가 끼워 맞추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때 지지바몸체(10)의 상부로 형성된 제로포인트부(12)와 틀니(60)의 상부 내측 사이로 형성된 공간에 에어층(70)이 형성된 상태에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음식물을 씹을 때 발생되는 하중이나 충격이 완충되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틀니(60)를 지지바몸체(1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차가운 물을 입속에 넣고 가글함과 동시에 온도에 의하여 공기층(70)의 체적이 줄어 들므로써,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지지바몸체(10)가 자연 치아(50)가 전혀 없는 치조골(40)의 상부로 픽스츄어(30) 및 나사머리(22)를 갖는 나사몸체(21)에 의하여 결합되지게 하였으나, 이러한 형태 이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40)에 자연치아(50)가 일부 남아 있을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차연치아(50)에 구비되는 결합구(20)로는 치조골(40)에 구비된 자연치아(50)를 절삭하여 치아돌부(51)가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치아돌부(51)에 대응되는 치아안치홈(52)이 지지바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치아돌부(51)와 치아안치홈(52) 사이에 접착제(53)가 포도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지지바 10:지지바몸체
11:세이프 존 12:제로포인트부
13:에어홈 20:결합구
21:나사몸체 22:나사머리
23:나사산 24:단턱홀
30:픽스츄어 50:자연치아
51:치아돌부 52:치아안치홈
53:접착제 121:외측경사부
122:내측경사부

Claims (4)

  1. 치조골의 상부에 지지바몸체(10)가 결합구(20)로 결합되어지는 틀니용 지지바(A)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A)는 치조골을 따라 얹혀지게 형성된 지지바몸체(10)의 가장자리 하부에 둘레를 따라 세이프 존(11)이 내,외측으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에 V자형상의 제로포인트부(12)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로포인트부(12)는 외측경사부(121)와 내측경사부(122)가 지지바몸체(10)의 상부 가운데를 향하여 낮아지게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지지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몸체(10)는 상부에서 하부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부 내,외측에 각각 에어홈(13)이 연결되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지지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0)는 나사머리(22)에 나사산(23)이 형성된 나사몸체(21)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바몸체(1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단턱홀(24)에서 상기 치조졸에 매립된 픽스츄어(30)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지지바몸체(10)를 상기 치조골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지지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구(20)는 치조골에 구비된 자연치아(50)를 절삭하여 치아돌부(51)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치아돌부(51)에 대응되는 치아안치홈(52)이 지지바몸체(10)의 하부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치아돌부(51)와 치아안치홈(52) 사이에 접착제(53)가 포도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틀니용 지지바.
KR1020140067317A 2014-06-03 2014-06-03 틀니용 지지바 KR101585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317A KR101585967B1 (ko) 2014-06-03 2014-06-03 틀니용 지지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317A KR101585967B1 (ko) 2014-06-03 2014-06-03 틀니용 지지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171A true KR20150139171A (ko) 2015-12-11
KR101585967B1 KR101585967B1 (ko) 2016-01-15

Family

ID=55020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317A KR101585967B1 (ko) 2014-06-03 2014-06-03 틀니용 지지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96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575A (ja) * 2003-10-17 2005-05-12 Ivoclar Vivadent Ag 歯科補綴材
KR20080028800A (ko) * 2006-09-27 2008-04-01 데구덴트 게엠베하 연결기 설계 방법
US20090325125A1 (en) * 2007-10-19 2009-12-31 Cagenix, Inc. Dental Framework
KR101253498B1 (ko) * 2012-10-18 2013-04-11 김용협 기능성 임플란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8575A (ja) * 2003-10-17 2005-05-12 Ivoclar Vivadent Ag 歯科補綴材
KR20080028800A (ko) * 2006-09-27 2008-04-01 데구덴트 게엠베하 연결기 설계 방법
US20090325125A1 (en) * 2007-10-19 2009-12-31 Cagenix, Inc. Dental Framework
KR101253498B1 (ko) * 2012-10-18 2013-04-11 김용협 기능성 임플란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967B1 (ko) 201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ko) 비접착식 나사형 임플란트
US8540512B2 (en) Dental implant system
KR101633259B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1311250B1 (ko) 틀니용 어태치먼트
KR102304199B1 (ko) 비접착식 압정형 어버트먼트 및 이를 구비한 임플란트
HU214177B (hu) Enosszális implantátum rögzített fogpótláshoz
US20220160474A1 (en) Cementless Type Dental Implant
TW201306806A (zh) 能夠收容以多種角度製作的核冠並在附著帽後用作牙齦成形器的基台和利用該基台的種植體補綴物的製作方法及種植手術方法
KR101537233B1 (ko) 두 줄 나사산 방식의 고정체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US20160199161A1 (en) Attachment for denture
KR10238770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결합조립체
KR100662583B1 (ko) 크라운 임시고정용 임플란트 유니트
CA3050089C (en) Dental implant
KR20160051482A (ko) 하이브리드 도자기형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20090016560A (ko) 성장기 개인에서 단일 치아 대치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585967B1 (ko) 틀니용 지지바
KR101571759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JP2002035013A (ja) 歯科インプラント用義歯の固定基盤
KR101608169B1 (ko) 임플란트 유닛
US11259900B2 (en) Cemented dental crown removal system
KR100743929B1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과 마운트의 결합구조
KR102024911B1 (ko) 편심형 힐링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