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061A -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 Google Patents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061A
KR20150139061A KR1020140066720A KR20140066720A KR20150139061A KR 20150139061 A KR20150139061 A KR 20150139061A KR 1020140066720 A KR1020140066720 A KR 1020140066720A KR 20140066720 A KR20140066720 A KR 20140066720A KR 20150139061 A KR20150139061 A KR 201501390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lling
hammer bit
hammer
diame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3036B1 (ko
Inventor
한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민토평창리조트
한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민토평창리조트, 한현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민토평창리조트
Priority to KR102014006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036B1/ko
Publication of KR20150139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4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of roller-cutter type
    • E21B10/345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of roller-cutter type cutter shif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2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cutter shif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26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 E21B10/32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 E21B10/327Drill bits with leading portion, i.e. drill bits with a pilot cutter; Drill bits for enlarging the borehole, e.g. reamers with expansible cutting tools the cutter being pivoted about a longitudin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0Drill bits
    • E21B10/62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 E21B10/627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 E21B10/633Drill bits characterised by parts, e.g. cutting elements, which are detachable or adjustable with plural detachable cutting elements independently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뚝기초의 시공, 착정 및 시추 등의 목적으로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비트(hammer bit) 장착 지반 천공장치 및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천공장치 굴진체 선단의 선도관(10)에 다수의 해머비트를 설치하되, 수직 굴착을 수행하는 기립해머비트(30)와 측방 확경을 수행하는 측방해머비트(20)를 동반 장착하고, 이들 기립해머비트(30) 및 측방해머비트(20)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굴착공의 확대 초기에는 공벽을 측방으로 타격함으로써 굴착공의 신속하고 정밀한 확대가 가능하며, 일단 굴착공 확대가 완료된 후에는 확경된 굴착공 하단을 수직으로 타격하여 신속한 굴진이 가능하여, 부분 확경형 지반 천공 공사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이로써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SIDE STROKE TYPE DIAMETER ADJUSTABLE GROUND DRILLING APPARATUS AND EXTENSION B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말뚝기초의 시공, 착정 및 시추 등의 목적으로 지반을 천공하는 해머비트(hammer bit) 장착 지반 천공장치 및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에 관한 것으로, 천공장치 굴진체 선단의 선도관(10)에 다수의 해머비트를 설치하되, 수직 굴착을 수행하는 기립해머비트(30)와 측방 확경을 수행하는 측방해머비트(20)를 동반 장착하고, 이들 기립해머비트(30) 및 측방해머비트(20)를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지반천공은 말뚝기초의 시공, 착정(鑿井), 시추, 지하구조물 시공을 위한 토류벽 가설 또는 연약지반 개량을 위한 압밀촉진 등의 목적으로 지반에 수직 또는 수직에 근사한 방향의 굴착공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지반의 특성이나 소요심도에 따라서 다양한 장비와 공법이 적용된다.
굴착공의 형성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기성말뚝을 삽입하는 말뚝기초는 전술한 지반천공 수요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종이라 할 수 있는데, 말뚝기초는 선단지지력과 주면(柱面)마찰력에 의하여 말뚝상부 구조물의 하중이나 지하수로 인한 지중구조물의 부압(浮壓)에 저항하게 되므로, 지반특성 및 굴착심도가 동일한 조건하에서는 굴착공의 직경이 확대될수록 말뚝기초의 지지력이 향상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암반 등 경질 지반에서와 같이, 선단지지력이 주효한 지반에서는 굴착공 직경의 확대를 통하여 말뚝기초의 지지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데, 전체 굴착심도에 걸친 굴착공 확대에는 공사비용 증액, 장비수급 곤란 및 공기지연 등의 제약이 수반될 뿐 아니라, 전체 말뚝의 자중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일단 소구경으로 굴착을 진행하다가 계획 굴착심도 도달이 임박하면 굴진체를 확대 조절하여 굴착공의 하단부 직경을 선택적으로 확대하고, 굴착이 완료되면 굴진체를 축소 조절하여 지상으로 철수함으로써, 굴착공의 하단부에만 직경이 확장된 공동(空洞)을 형성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08-83403호를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08-83403호를 비롯한 종래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치는 도 1에서와 같이, 파일드라이버 등 굴착장치의 굴진체 선도관(10)에 다수에 해머비트(19)가 장착된 것으로, 굴착 직경 확대 계획지점에 선도관(10)이 도달하면 도 1의 하부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선도관(10)에 장착된 다수의 해머비트(19)를 상호 이격하는 방식으로 굴착경을 확대하게 된다.
즉, 도 1의 상부 타원내 확대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치에서는 선도관(10)에 기립상태의 해머비트(19)가 다수 설치되고, 이들 해머비트(19) 사이에는 유압실린더 등의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해머비트(19)를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굴착공을 확대하는 것이다.
이렇듯, 종래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치는 기립상태의 해머비트(19)가 측방 이동하는 방식으로 작동되는 바, 굴착 직경의 확대 초기 암질 지반의 파쇄 효율이 극히 낮으며, 과도한 동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불필요한 여굴이 발생되어 상부 굴착공의 공벽이 붕괴될 수 있고, 해머비트(19)에 과도한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장치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
도 1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종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지의 선도관(10)에서는 해머비트(19)가 기립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여기서 기립상태란 지반을 직접 타격하는 해머비트(19) 선단의 비트헤드(bit head)가 하방을 지향하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굴착 직경의 확대 또는 축소 상태를 막론하고 해머비트(19)는 굴착공 하단의 지반을 수직으로 타격하게 된다.
즉, 굴착 직경을 확대하기 위하여 해머비트(19)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해머비트(19)의 비트헤드는 상하로 진동하면서 직하부 지반을 수직으로 타격하게 되는 바, 지반을 분쇄하는 타격의 방향과 굴착공을 확대하기 위하여 해머비트(19)를 이동하는 방향이 완전히 직교하게 되며, 따라서 굴착공을 확대하는 측방 타격 및 분쇄효과를 전혀 기대할 수 없고, 해머비트(19)의 외측 이동에 극심한 저항이 발생되는 바, 굴착 직경의 확대 초기 암질 지반의 파쇄 효율 및 작업속도가 급감할 뿐 아니라, 기립상태의 해머비트(19)를 강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해머비트(19)에 극심한 외력 및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비트헤드의 마모가 촉진되고 해머비트(19)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이 파손되거나 변형되는 등 해머비트(19)의 수명이 급격하게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전술한 굴진 불량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도관(10)의 회전속도를 가속하거나 해머비트(19) 진동주기를 단축하는 과정에서 막대한 동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여굴(餘掘)이 발생될 경우 상부 굴착공이 붕괴되거나, 상부 토사층의 공벽 유지를 위하여 관입된 케이싱(90)이 과도하게 침하되어 상부 지반이 함몰되는 등의 심각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다수의 해머비트(hammer bit)가 굴진체 선도관(1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해머비트간 거리가 조절되어 굴착공의 직경이 조절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선도관(10)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하방 돌출된 벽체로서 수평 유도홈(15)이 절개된 한쌍의 지지판(11)이 형성되고, 한쌍의 지지판(11) 사이에는 측면에 결합봉(23)이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가 결합봉(23)이 지지판(11)의 유도홈(15)에 결합되어 수평상태로 설치되되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는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선도관(10)의 상부에는 평면상 선도관(10)을 횡단하는 한쌍의 유도봉(32)이 상기 지지판(11)과 평면상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한쌍의 유도봉(32) 사이에는 측면에 리니어부시(31)가 장착된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가 리니어부시(31)가 유도봉(32)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되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는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를 연결하는 평행구동실린더(25)와 상기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를 연결하는 직교구동실린더(35)가 설치되어, 평행구동실린더(25) 및 직교구동실린더(35)가 각각 신축됨에 따라 측방해머비트(20)간 거리 및 기립해머비트(30)간 거리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이다.
또한, 상기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지반 천공 공법에 있어서, 천공 대상 지반에 소구경 굴착공을 천공하는 사전천공단계(S11)와, 소구경 굴착공에 선도관(10)을 투입하되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가 선도관(10)의 중심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투입하는 투입단계(S12)와, 선도관(10)이 확경 계획 지점에 도달하면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전진시키며 가동하여 굴착공 공벽을 분쇄하는 확경단계(S21)와, 확경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를 선도관(10)의 외측으로 전진시켜 굴착면을 확대하는 확대단계(S31)와, 기립해머비트(30)가 굴착공을 확공하면서 굴진하는 굴진단계(S32)와, 계획 심도까지 굴진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 및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중심측으로 후퇴시킨 후 선도관(10)을 철수하는 철수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굴착공의 확대 초기에는 공벽을 측방으로 타격함으로써 굴착공의 신속하고 정밀한 확대가 가능하며, 일단 굴착공 확대가 완료된 후에는 확경된 굴착공 하단을 수직으로 타격하여 신속한 굴진이 가능하여, 부분 확경형 지반 천공 공사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공기를 단축하며, 이로써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종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치를 이용한 확경 천공시 빈발하였던 불필요한 여굴 발생 및 이로 인한 각종 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기술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과도한 동력 및 장기간의 공기 소요 문제는 물론 장비 수명의 급감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굴착경 가변식 천공장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천공장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선도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선도관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선도관 부분절단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측방해머비트 이동방식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립해머비트 이동방식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을 통한 굴착직경 조절방식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설명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지반 굴착 장비를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는 장주형 기립 지지대인 리더(leader)가 장착된 자주식 파일드라이버(pile driver)로서, 리더를 따라 승강되고 회전하면서 지반에 관입되는 굴진체의 하단에는 선도관(10)이 연결되며, 선도관(10)에는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가 장착되어 암질 지반을 타격 파쇄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 선도관(10)의 사시도 및 저면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도관(10)에는 다수의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가 장착되며, 이들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는 선도관(1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선도관(10)이 굴착하는 굴착공의 직경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도관(10)에 장착되는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는 압축공기 등의 작동유체에 의하여 작동되는 일종의 유체기계로서 실린더 형태의 본체와 본체 선단에 설치되고 본체에 유체압이 인가됨에 따라 본체 축방향으로 진동하는 비트헤드(bit head) 등으로 구성된다.
측방해머비트(20)는 비트헤드가 선도관(10) 측방 외측을 지향하는 것으로 가동시 굴착공 공벽을 직접 타격 분쇄하게 되며, 기립해머비트(30)는 통상의 굴착장치에서와 같이 비트헤드가 선도관(10) 하방을 지향하는 것으로 가동시 굴착공 하단을 타격 분쇄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 선도관(10)의 부분절단 분해사시도로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방해머비트(20)는 선도관(10) 하부에 형성된 지지판(11)에 결합되어 설치되고, 기립해머비트(30)는 선도관(10) 상부에 설치된 유도봉(32)에 결합되어 설치된다.
지지판(11)은 선도관(10) 하부에서 수직으로 하방 돌출된 벽체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도관(10)의 하단부를 횡단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통로의 양 측벽으로서 지지판(11)이 형성되며, 통로 양측의 지지판(11) 사이에 측방해머비트(20)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지지판(11)에는 측방해머비트(20)의 결합봉(23)이 결합되는 유도홈(15)이 수평으로 절개되며, 후술할 평행구동실린더(25)가 신축됨에 따라 측방해머비트(20)가 이동함에 있어서, 측방해머비트(20)의 결합봉(23)이 지지판(11)의 유도홈(15)을 따라 활동(sliding)하면서 측방해머비트(20)의 안정적인 이동을 유도하게 되며, 측방해머비트(20)의 본체 외주면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봉(23)은 측방해머비트(20)의 측면당 최초 2개를 형성함으로써 측방해머비트(20)가 수평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쌍의 지지판(11) 사이에 설치되는 측방해머비트(20)는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가 선단의 비트헤드가 선도관(10) 외측을 향하도록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이들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 사이에는 평행구동실린더(25)가 설치되어 측방해머비트(20)를 이동시키게 된다.
도 5에서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의 양 측면에 각각 평행구동실린더(25)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양측 평행구동실린더(25)의 양단은 각각 측방해머비트(20)의 선도관(10) 중심측 결합봉(23)에 힌지(hinge)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러한 평행구동실린더(25)의 측방해머비트(20) 양 측면 설치를 통하여 평행구동실린더(25)의 작동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측방해머비트(20)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도관(10)의 상부에는 평면상 선도관(10)을 횡단하는 한쌍의 유도봉(32)이 전술한 지지판(11)과 평면상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이들 한쌍의 유도봉(32) 사이에는 측면에 리니어부시(linear bush)(31)가 장착된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가 설치된다.
도 5에서와 같이, 기립해머비트(30)의 본체 양 측면에 장착된 리니어부시(31)는 유도봉(32)에 결합되어 기립해머비트(30)를 지지함과 동시에, 후술할 직교구동실린더(35)가 신축됨에 따라, 유도봉(32)을 따라 활동하면서 기립해머비트(30)의 이동을 유도하게 되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봉(32)을 상, 하 2조로 설치함으로써 기립해머비트(30)를 일층 안정적으로 지지 및 구동할 수 있다.
전술한 평행구동실린더(25) 및 직교구동실린더(35)는 공히 유체압에 의하여 신축되는 장치로서, 이러한 구동관련 구성요소는 물론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 등 선도관(10)에 장착되는 장치는 가급적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을 이루거나, 평면상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방사상(放射狀)으로 등간격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선도관(10)을 비롯한 굴진체의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진동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니어부시(31)를 통하여 유도봉(32)에 결합되는 기립해머비트(30)는 본체가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하단에 하방을 지향하는 비트헤드가 장착된 것으로서, 이 역시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은 각각 측방해머비트(20)의 구동 상태 및 기립해머비트(30)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는 평행구동실린더(25)에 의하여 상호 이격 및 근접하게 되며, 역시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는 직교구동실린더(35)에 의하여 상호 이격 및 근접하게 되는데, 이들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 및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가 이격됨에 따라 굴착공이 확공된다.
도 8은 이러한 본 발명의 선도관(10)을 적용하여 굴착공을 확경하는 과정을 예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 암질 지반에 이르는 소구경 굴착공을 우선 천공한 후, 본 발명 선도관(10)이 연결된 굴진체를 굴착공에 투입하는데, 이때 암질 지반 상층의 토사층에서 공벽을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싱(90)이 오거(auger) 등의 굴착장비와 동반 관입될 수도 있다.
소구경 굴착공에 대한 선도관(10) 투입시 선도관(10)에 장착된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는 모두 선도관(10) 중심측으로 이동하여 선도관(10)의 직경이 최소화된 상태로 확경 계획지점까지 하강하게 되며, 이후 선도관(10)이 확경 계획지점에 도달하면 일단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이동시키면서 굴착공 공벽을 타격하여 확경하게 된다.
측방해머비트(20)가 완전히 전진하여 해당 지점의 확경이 일단 완료되면, 도 8의 우단 도면에서와 같이 기립해머비트(30)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확경된 굴착공 하단을 타격 분쇄함으로써 확경된 상태로 수직 굴진을 진행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굴착이 완료된 후 선도관(10)을 전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조작하면 선도관(10)의 철수시 굴착공 상부의 소구경 구간도 무리없이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을 단계별로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은 천공 대상 지반에 일단 소구경 굴착공을 천공하는 사전천공단계(S11)로 개시된다.
계획심도에 이르는 소구경 굴착공의 천공이 완료되면 굴착공에 본 발명의 선도관(10)을 투입하되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가 선도관(10)의 중심측으로 후퇴된 상태 즉, 선도관(10)의 직경이 축소된 상태로 투입하는 투입단계(S12)가 수행된다.
기 굴착된 소구경 굴착공을 따라 하강하던 선도관(10)이 확경 계획 지점 즉, 굴착공 직경의 확대 계획 지점에 도달하면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전진시키며 가동하여 굴착공 공벽을 타격하여 분쇄하는 확경단계(S21)가 수행된다.
확경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를 선도관(10)의 외측으로 전진시켜 굴착면을 확대하는 확대단계(S31)가 수행된 후, 기립해머비트(30)가 굴착공을 확공하면서 하방으로 굴진하는 굴진단계(S32)가 수행됨으로써, 직경이 확장된 굴착공이 천공된다.
이후 계획 심도까지 굴진 즉, 굴착공 직경 확장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 및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중심측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선도관(20)의 직경을 축소한 상태에서 선도관(10)을 철수하는 철수단계(S40)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을 통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이 완료된다.
10 : 선도관
11 : 지지판
15 : 유도홈
19 : 해머비트
20 : 측방해머비트
23 : 결합봉
25 : 평행구동실린더
30 : 기립해머비트
31 : 리니어부시
32 : 유도봉
35 : 직교구동실린더
90 : 케이싱
S11 : 사전천공단계
S12 : 투입단계
S21 : 확경단계
S31 : 확대단계
S32 : 굴진단계
S40 : 철수단계

Claims (2)

  1. 다수의 해머비트(hammer bit)가 굴진체 선도관(10)에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해머비트간 거리가 조절되어 굴착공의 직경이 조절되는 지반천공장치에 있어서,
    선도관(10)의 하부에는 수직으로 하방 돌출된 벽체로서 수평 유도홈(15)이 절개된 한쌍의 지지판(11)이 형성되고;
    한쌍의 지지판(11) 사이에는 측면에 결합봉(23)이 돌출 형성된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가 결합봉(23)이 지지판(11)의 유도홈(15)에 결합되어 수평상태로 설치되되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는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선도관(10)의 상부에는 평면상 선도관(10)을 횡단하는 한쌍의 유도봉(32)이 상기 지지판(11)과 평면상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한쌍의 유도봉(32) 사이에는 측면에 리니어부시(31)가 장착된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가 리니어부시(31)가 유도봉(32)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되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는 선도관(10)의 중심을 축으로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측방해머비트(20)를 연결하는 평행구동실린더(25)와 상기 한쌍의 기립해머비트(30)를 연결하는 직교구동실린더(35)가 설치되어, 평행구동실린더(25) 및 직교구동실린더(35)가 각각 신축됨에 따라 측방해머비트(20)간 거리 및 기립해머비트(30)간 거리가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
  2. 청구항 1의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지반 천공 공법에 있어서,
    천공 대상 지반에 소구경 굴착공을 천공하는 사전천공단계(S11)와;
    소구경 굴착공에 선도관(10)을 투입하되 측방해머비트(20) 및 기립해머비트(30)가 선도관(10)의 중심측으로 후퇴된 상태로 투입하는 투입단계(S12)와;
    선도관(10)이 확경 계획 지점에 도달하면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외측으로 전진시키며 가동하여 굴착공 공벽을 분쇄하는 확경단계(S21)와;
    확경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를 선도관(10)의 외측으로 전진시켜 굴착면을 확대하는 확대단계(S31)와;
    기립해머비트(30)가 굴착공을 확공하면서 굴진하는 굴진단계(S32)와;
    계획 심도까지 굴진이 완료되면 기립해머비트(30) 및 측방해머비트(20)를 선도관(10) 중심측으로 후퇴시킨 후 선도관(10)을 철수하는 철수단계(S4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KR1020140066720A 2014-06-02 2014-06-02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KR101593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20A KR101593036B1 (ko) 2014-06-02 2014-06-02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720A KR101593036B1 (ko) 2014-06-02 2014-06-02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061A true KR20150139061A (ko) 2015-12-11
KR101593036B1 KR101593036B1 (ko) 2016-02-12

Family

ID=55020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720A KR101593036B1 (ko) 2014-06-02 2014-06-02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44B1 (ko) * 2020-12-18 2021-06-28 (주)범양이엔씨 지하연속벽 판넬 홈파기 시공용 굴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755A (ko) * 2005-12-31 2006-01-19 주식회사 동아지질 인입식 선단확대 굴착비트
KR20080083403A (ko) * 2007-03-12 2008-09-18 (주)하이탑 사각 해머 비트용 굴착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6755A (ko) * 2005-12-31 2006-01-19 주식회사 동아지질 인입식 선단확대 굴착비트
KR20080083403A (ko) * 2007-03-12 2008-09-18 (주)하이탑 사각 해머 비트용 굴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9744B1 (ko) * 2020-12-18 2021-06-28 (주)범양이엔씨 지하연속벽 판넬 홈파기 시공용 굴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036B1 (ko) 2016-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132B1 (ko) 천공 및 항타 작업이 동시에 가능한 파일 시공장치
JP5265809B2 (ja) 大口径地盤穿孔方法及び装置
JP2013515182A (ja) 穿孔装置用エアハンマー
KR101592832B1 (ko) 가변식 확경비트가 구비된 굴착기용 천공 헤드
CN102619224B (zh) 变截面钻孔灌注桩的施工方法
AU2007293634B2 (en) Method for drilling rock
CN104963626A (zh) 用于成型长螺旋扩孔桩的长螺旋钻机及成桩方法
KR101593036B1 (ko) 측방 굴착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KR101851114B1 (ko) 시트파일용 오거 크레인에 사용되는 천공가이드
JP4249254B1 (ja) 既設杭引き抜き装置
KR101578127B1 (ko) 회동식 굴착직경 조절형 지반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굴착직경 확장형 지반 천공 공법
KR102092514B1 (ko) 기초보강을 위한 기존 기초 하부면의 확대굴착 방법
KR102125149B1 (ko) 천공기용 링크이동식 확경비트
CN106351588A (zh) 一种高效的用于岩石开凿的风动式凿岩机
KR20140048721A (ko) 굴착장치
KR101469155B1 (ko) 조합형 확경 함마
KR20120039856A (ko) 장심도 슬롯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진동 암반 굴착 방법
CN104563886A (zh) 一种长螺旋钻机分段钻头
JP2019183497A (ja) 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及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
CN204402365U (zh) 一种长螺旋钻机变径钻头
CN210033299U (zh) 一种用于固定非开挖钻机的可调式锚杆
KR102356585B1 (ko) 확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확공말뚝 시공 방법
CN104453720A (zh) 两段式旋挖扩底钻头
KR101598198B1 (ko) 코어 배럴 작업용 굴착함마의 확공장치
KR20040036214A (ko) 자주식 지반 굴착기 및 그 굴착기를 이용한 굴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