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903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138903A KR20150138903A KR1020140065697A KR20140065697A KR20150138903A KR 20150138903 A KR20150138903 A KR 20150138903A KR 1020140065697 A KR1020140065697 A KR 1020140065697A KR 20140065697 A KR20140065697 A KR 20140065697A KR 20150138903 A KR20150138903 A KR 2015013890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light
- shielding layer
- light shielding
- alignment mar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12788 optical fil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538 encap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10272 inorganic materi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147 in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68 organ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65 sea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44—Marks applied to semiconductor devices or parts, e.g. registration marks, alignment structures, wafer map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구비한 제1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2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차광층의 차광도는 상기 제1 차광층의 차광도보다 낮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감이 증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무게와 부피를 줄임으로써 장치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였고, 응답속도나 화질 등에 있어서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현재 품질 면에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술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과 더불어 수요자들에 보다 어필할 수 있는 제품의 디자인적인 면에서의 연구개발의 필요성이 특히 부각되고 있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노력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수요자의 미적 감각에 호소하여 구매를 자극할 수 있는 미감이 증진된 디자인에 대한 요구가 점차로 증진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미감 증진을 위한 디자인 개발은 종전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그대로 채용하면서 그 구성요소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 왔고,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의 미감을 증진할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을 개발함에 있어서 어느 정도 한계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종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0), 박막 트랜지스터층(20), 발광 다이오드층(30), 봉지층(encapsulation layer)(40), 광학 필름층(50), 및 외부 케이스(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은 상기 기판(1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은 다수의 배선들과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봉지층(4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4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광학 필름층(50)은 상기 기판(1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50)은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상에 형성된다. 도 1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상기 기판(10)의 하면을 통해 화상이 표시되는 소위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을 도시한 것이며, 따라서, 상기 광학 필름층(50)은 상기 기판(1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외부 광의 반사를 방지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60)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최외곽을 감싸도록 형성되어있다. 특히 상기 외부 케이스(60)는 상기 기판(10)의 하면의 외곽부도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상기 표시영역 외곽의 비표시영역을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외부 케이스(60)는 상기 기판(10)의 하면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베젤(Bezel) 영역을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외부 케이스(60)가 기판(10)의 하면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외부 케이스(60)로 인해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베젤 폭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외부 케이스(60)와 상기 기판(10)의 하면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를 제거함으로써 베젤 폭을 줄이고 화상 표시면의 단차를 제거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구비한 제1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2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차광층의 차광도는 상기 제1 차광층의 차광도보다 낮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적용되던 외부 케이스가 제거됨으로써 베젤 폭이 줄어들고 화상 표시면의 단차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차광층을 형성함으로써 비표시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한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들이 육안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광층은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제1 얼라인 마크를 인식할 수 있어 모듈 공정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차광층이 형성되어 있어 모듈 공정 이후 상기 제1 얼라인 마크가 선명하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라는 용어로 두 구성요소 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된 경우,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접촉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구성들 사이에 제3의 구성이 개재되는 경우까지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발광 다이오드층(300), 봉지층(encapsulation layer)(400), 제1 차광층(510), 버퍼층(600), 및 광학 필름층(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100)은 유리 또는 구부리거나 휠 수 있는 투명한 플라스틱, 예로서, 폴리이미드가 이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 예로서 상기 기판(1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및 전원 배선 등과 같은 다수의 배선들, 상기 다수의 배선들과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 및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선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전극들의 조합에 의해서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을 구성하는 배선들 및 복수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구체적인 구성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은 양극, 음극, 및 양극과 음극 사이에 형성된 발광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양극(310)은 상기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양극(310) 상에 차례로 적층된 정공주입층(Hole Injecting Layer),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ng Layer)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음극은 상기 발광부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발광 다이오드층(300)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유기발광층에서 흰색의 광이 방출될 경우에는 각각의 화소별로 컬러필터가 추가로 형성되며, 이와 같은 컬러필터는 전술한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을 덮도록 형성되어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 내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봉지층(400)은 서로 상이한 무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고, 무기물과 유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금속층이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봉지층(400)이 서로 상이한 무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 또는 무기물과 유기물이 교대로 적층된 구조를 포함할 경우, 상기 봉지층(400) 상에 유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대향 기판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상기 대향 기판과의 접착을 위해서 실런트(sealant)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차광층(510)은 상기 기판(100)의 타면, 예로서 상기 기판(100)의 하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이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제1 차광층(510)은 화상 표시면에 해당하는 상기 기판(100)의 하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비표시영역은 상기 표시영역의 외곽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차광층(510)은 상기 비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비표시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들이 육안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다.
전술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60)가 비표시영역을 가리기 때문에 상기 기판(100)의 타면 상에 별도의 차광층이 필요하지 않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에는 외부 케이스가 생략되기 때문에 비표시영역을 가리는 상기 제1 차광층(510)이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의 배선들과 연결되는 다수의 패드들이 형성되어 있고, 탭(Tap) 공정을 통해서 상기 다수의 패드들에 게이트 구동 또는 데이터 구동을 위한 구동부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제1 얼라인 마크(151) 및 제2 얼라인 마크(1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 및 제2 얼라인 마크(152))는 상기 기판(100)의 일면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을 구성하는 배선과 동일한 층, 예로서 게이트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 및 제2 얼라인 마크(15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적층 또는 부착할 때 각각 구성요소들의 정확한 위치 정렬을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는 모듈 공정에서 구성요소들을 적층 또는 부착할 때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152)는 모듈 공정 이전에 구성요소들을 적층 또는 부착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예로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는 상기 광학 필름층(700)을 부착할 때 또는 전술한 패드에 구동부를 연결하는 탭(Tap) 공정에 사용하는 것이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152)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및 발광 다이오드층(300)을 형성할 때 사용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는 상기 제1 차광층(510)을 형성한 이후의 공정을 위한 것이고, 상기 제2 얼라인 마크(152)는 상기 제1 차광층(510)을 형성하기 이전의 공정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2 얼라인 마크(152)는 이미 그 역할을 수행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1 차광층(510)에 의해 가려져도 무방하지만,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는 아직 그 역할을 수행하기 이전 상태이므로 상기 제1 차광층(510)에 의해 가려질 경우 이후 공정 진행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차광층(510)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H)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개구부(H)를 통해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개구부(H)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의 인식을 위해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버퍼층(600)은 상기 제1 차광층(51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층(600)은 상기 제1 차광층(510)과 상기 광학 필름층(700) 사이에 형성되며, 무기절연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버퍼층(600)은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 필름층(700)은 상기 버퍼층(6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층(600)이 생략된 경우 상기 광학 필름층(700)은 상기 기판(100)의 하면 및 상기 제1 차광층(51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광학 필름층(700)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층(700)은 보호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반사방지용도의 편광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터치 전극이 형성된 터치 스크린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광학 필름층(700)은 전술한 복수 개의 필름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평면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도 2b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즉, 도 2a의 하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편의상 제1 차광층(510) 위주로 도시하였다.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의 중앙부는 표시영역이 되고 외곽부는 비표시영역이 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제1 차광층(510)이 형성되어 비표시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이 차단되고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들이 육안으로 인식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종래에 적용되던 외부 케이스가 제거됨으로써 베젤 폭이 줄어들고 화상 표시면의 단차가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2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제1 차광층(510)에 개구부(H)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H)를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가 인식되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를 이용하여 모듈 공정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모듈 공정 이후에도 상기 개구부(H)를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가 선명하게 인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화상을 시청할 때 상기 개구부(H) 영역으로 인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상기 개구부(H) 영역으로 인한 시인성 저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2 차광층(520)이 추가로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2a 및 도 2b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a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제1 차광층(510)과 기판(100) 사이에 제2 차광층(520)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차광층(520)은 상기 제1 차광층(510)과 상이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차광층(520)은 상기 기판(100)의 하면 상의 비표시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2 차광층(520)는 상기 제2 얼라인 마크(152)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도 가리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제2 차광층(520)는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차광층(520)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H) 영역을 통해 제1 얼라인 마크(151)가 선명하게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차광층(520)에 의해서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지만 상기 제2 차광층(520)에 의해서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의 인식이 어려워질 경우 모듈 공정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차광층(520)은 화상장치, 예로서 카메라를 통해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의 인식이 가능할 정도의 광투과도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즉, 상기 제2 차광층(520)은 한편으로는 시인성 향상을 위해서 어느 정도 광투과가 차단되어야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의 인식을 위해서 어느 정도 광투과가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상기 제2 차광층(520)의 차광도는 상기 제1 차광층(510)의 차광도보다 낮아야 한다. 예로서, 상기 제2 차광층(520)은 반투과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차광층(510)은 광차단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b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면, 즉, 도 3a의 하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3b에서 알 수 있듯이, 기판(100)의 중앙부는 표시영역이 되고 외곽부는 비표시영역이 되며, 상기 비표시영역에는 제1 차광층(510)이 형성되어 비표시영역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이 차단되고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다수의 배선들이 육안으로 인식되지 않는다.
특히, 비표시영역에 형성된 제1 차광층(510)에 개구부(H)가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개구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2 차광층(520)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구부(H)를 통해서 제1 얼라인 마크(151)를 인식할 수 있으면서도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가 선명하게 인식되지 않게 되어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시인성 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차광층(520)의 형성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즉, 전술한 도 3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제1 차광층(510)과 기판(100) 사이에 제2 차광층(520)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제2 차광층(520)과 기판(100) 사이에 제1 차광층(5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는 상기 제2 차광층(520)이 형성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2 차광층(520)이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차광층(520)의 형성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3a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5에 따르면, 제2 차광층(520)이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2 차광층(520)은 상기 제1 차광층(510)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차광층(520)은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를 통해서 제1 얼라인 마크(151)가 선명하게 인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만 형성되어도 충분하다.
이상은 화상이 아래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보텀 에미션(bottom emission) 방식에 관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화상이 위쪽으로 방출되는 소위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100),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발광 다이오드층(300), 봉지층(encapsulation layer)(400), 제1 차광층(510), 제2 차광층(520), 버퍼층(600), 및 광학 필름층(7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은 상기 기판(100)의 일면, 예로서 상기 기판(100)의 상면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2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지층(400)은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3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차광층(510) 및 제2 차광층(520)은 상기 봉지층(4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봉지층(400) 상에 유리 또는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대향 기판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차광층(510) 및 제2 차광층(520)은 상기 대향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비표시영역에는 제1 얼라인 마크(151) 및 제2 얼라인 마크(15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차광층(510)은 상기 제1 얼라인 마크(151)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H)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 차광층(520)은 상기 봉지층(400)과 상기 제1 차광층(51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에 대응하는 영역에도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버퍼층(600)은 상기 제1 차광층(510)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광학 필름층(700)은 상기 버퍼층(6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차광층(520)의 형성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즉,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제1 차광층(510)과 봉지층(400) 사이에 제2 차광층(520)이 형성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에는 제2 차광층(520)과 봉지층(400) 사이에 제1 차광층(5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에는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는 상기 제2 차광층(520)이 형성되지 않은 모습을 도시하였지만, 제2 차광층(520)이 상기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이는 제2 차광층(520)의 형성 위치가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 전술한 도 6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와 동일하다.
도 8에 따르면, 제2 차광층(520)이 제1 차광층(510)의 개구부(H) 영역 내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상은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 예로서 액정표시장치 등을 포함한다.
100: 기판 200: 박막 트랜지스터층
300: 발광 다이오드층 400: 봉지층
510: 제1 차광층 520: 제2 차광층
600: 버퍼층 700: 광학 필름층
300: 발광 다이오드층 400: 봉지층
510: 제1 차광층 520: 제2 차광층
600: 버퍼층 700: 광학 필름층
Claims (10)
-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 및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된 제1 얼라인 마크;
상기 비표시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얼라인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에 개구부를 구비한 제1 차광층; 및
상기 개구부에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된 제2 차광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차광층의 차광도는 상기 제1 차광층의 차광도보다 낮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층과 상이한 층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광층은 상기 제1 차광층과 동일한 층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얼라인 마크보다 크게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표시 영역에 제2 얼라인 마크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차광층은 상기 제2 얼라인 마크를 가리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은 광차단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차광층은 반투과물질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기판 상에 형성된 광학 필름층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은 상기 기판과 상기 광학 필름층 사이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기판의 일면 상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 형성된 발광 다이오드층,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층 상에 형성된 봉지층을 추가로 포함하여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은 상기 기판의 타면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광층 및 제2 차광층은 상기 봉지층 상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697A KR102132176B1 (ko) | 2014-05-30 | 2014-05-30 | 디스플레이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5697A KR102132176B1 (ko) | 2014-05-30 | 2014-05-30 | 디스플레이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8903A true KR20150138903A (ko) | 2015-12-11 |
KR102132176B1 KR102132176B1 (ko) | 2020-07-10 |
Family
ID=55020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5697A KR102132176B1 (ko) | 2014-05-30 | 2014-05-30 | 디스플레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32176B1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78980A (ko) * | 2015-12-29 | 2017-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113734A (ko) * | 2016-03-24 | 2017-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9970143B2 (en) | 2015-11-02 | 2018-05-1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
US10000879B2 (en) | 2015-11-02 | 2018-06-1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047473B2 (en) | 2015-11-02 | 2018-08-14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20190036116A (ko) * | 2017-09-27 | 2019-04-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US10344422B2 (en) | 2015-11-02 | 2019-07-0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110389466A (zh) * | 2018-04-19 | 2019-10-29 | 夏普株式会社 | 显示面板 |
EP3599502A1 (en) * | 2018-07-25 | 2020-01-2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0711389B2 (en) | 2015-11-02 | 2020-07-14 | Lg Electronics Inc. |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815602B2 (en) | 2015-11-02 | 2020-10-27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CN113711116A (zh) * | 2019-04-16 | 2021-11-26 | 株式会社日本显示器 | 显示装置 |
WO2022114923A1 (ko) * | 2020-11-30 | 2022-06-02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유닛 픽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US11437358B2 (en) * | 2019-09-02 | 2022-09-06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38025A (ja) * | 2005-06-02 | 2006-12-14 | Lg Phillips Lcd Co Ltd | 液晶表示素子 |
JP2010217481A (ja) * | 2009-03-17 | 2010-09-30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KR20100112409A (ko) * | 2009-04-09 | 2010-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
2014
- 2014-05-30 KR KR1020140065697A patent/KR10213217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338025A (ja) * | 2005-06-02 | 2006-12-14 | Lg Phillips Lcd Co Ltd | 液晶表示素子 |
JP2010217481A (ja) * | 2009-03-17 | 2010-09-30 | Seiko Epson Corp |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
KR20100112409A (ko) * | 2009-04-09 | 2010-10-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094063B2 (en) | 2015-11-02 | 2018-10-0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
USRE50115E1 (en) | 2015-11-02 | 2024-09-10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9970143B2 (en) | 2015-11-02 | 2018-05-1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fabricat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or |
US10000879B2 (en) | 2015-11-02 | 2018-06-1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006159B2 (en) | 2015-11-02 | 2018-06-26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047473B2 (en) | 2015-11-02 | 2018-08-14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711389B2 (en) | 2015-11-02 | 2020-07-14 | Lg Electronics Inc. | Door hinge of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161076B2 (en) | 2015-11-02 | 2018-12-25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815602B2 (en) | 2015-11-02 | 2020-10-27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266983B2 (en) | 2015-11-02 | 2019-04-23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10344422B2 (en) | 2015-11-02 | 2019-07-09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RE50151E1 (en) | 2015-11-02 | 2024-10-01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USRE49269E1 (en) | 2015-11-02 | 2022-11-01 | Lg Electronics Inc.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KR20170078980A (ko) * | 2015-12-29 | 2017-07-1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KR20170113734A (ko) * | 2016-03-24 | 2017-10-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20190036116A (ko) * | 2017-09-27 | 2019-04-04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CN110389466A (zh) * | 2018-04-19 | 2019-10-29 | 夏普株式会社 | 显示面板 |
EP3599502A1 (en) * | 2018-07-25 | 2020-01-29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1335737B2 (en) | 2018-07-25 | 2022-05-1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10804336B2 (en) | 2018-07-25 | 2020-10-13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CN113711116B (zh) * | 2019-04-16 | 2024-04-26 | 株式会社日本显示器 | 显示装置 |
CN113711116A (zh) * | 2019-04-16 | 2021-11-26 | 株式会社日本显示器 | 显示装置 |
US11437358B2 (en) * | 2019-09-02 | 2022-09-06 |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
WO2022114923A1 (ko) * | 2020-11-30 | 2022-06-02 | 서울바이오시스주식회사 | 유닛 픽셀 및 그것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32176B1 (ko) | 2020-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32176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 |
US9673231B2 (en) | Array substrate having via-hole conductive layer and display device | |
US9337248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lignment mark and light shielding pattern | |
US9874962B2 (en) | Touch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US20200243794A1 (en) | Display device | |
KR20200120845A (ko) | 표시 장치 | |
TWI514055B (zh) | 顯示面板與其製造方法 | |
US10177176B2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261355B2 (en) | Display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US9401375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US10656476B2 (en) | Liquid crystal panel | |
KR20140001374A (ko) | 플렉서블 표시 패널,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US11086452B2 (en) | Pixel array substrate | |
KR102405117B1 (ko) |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200117101A (ko) | 표시 장치 | |
US20220091454A1 (en) | Display device | |
KR20150097890A (ko) | 곡면 표시 장치 | |
KR20190095633A (ko) | 표시 장치 | |
JP2017111327A (ja) | 液晶表示装置 | |
CN112909042A (zh) | 包括阻挡图案的显示装置 | |
JP5178327B2 (ja) | 液晶表示パネル、液晶表示パネルを備えた電子機器、及び液晶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 |
US20160274427A1 (en) | Tft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US10571753B2 (en) | Liquid crystal panel | |
KR102211702B1 (ko) |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
JP6707418B2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基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