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8372A -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8372A
KR20150138372A KR1020157031584A KR20157031584A KR20150138372A KR 20150138372 A KR20150138372 A KR 20150138372A KR 1020157031584 A KR1020157031584 A KR 1020157031584A KR 20157031584 A KR20157031584 A KR 20157031584A KR 20150138372 A KR20150138372 A KR 20150138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user
information
pr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1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요리 니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50138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03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 G06F3/1204Improving or facilitating administration, e.g. print management resulting in reduced user or operator actions, e.g. presetting, automatic actions, using hardware token storing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67Job repository, e.g. non-scheduled jobs, dela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5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 G06F3/1288Remote printer device, e.g. being remote from client or server in client-server-printer device configu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Image pull arrangements, e.g. to a multifunctional peripheral from a networked compu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 H04N1/00233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image data generation or reproduction, e.g. scan-to-email or network printing details of image data reproduction, e.g. network printing or remote imag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06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separate from the image data, e.g. in a different computer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4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to a particular document or image or par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2Image hardcopy reproduc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2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job number or identification, e.g. communication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8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출력 데이터 수신부;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출력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보존 처리부;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지하는 통지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출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관련 분야에서,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 등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인쇄 지시에 응답하여, 인쇄 데이터를 즉시 인쇄하는 것이 아니라, 인쇄 데이터를 사용자 이름과 관련지어서 소정의 서버 또는 화상 형성 장치내의 기억장치에 보존하는 시스템이 있다. 이어서,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조작 패널을 통해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기억 장치에 보존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 이름과 관련된 인쇄 데이터를 포함하는 목록 정보를 조작 패널에 표시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해당 목록 정보로부터 선택된 인쇄 데이터를 상기 기억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인쇄를 실행한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가 화상 형성 장치의 옆에 있을 때에 인쇄물이 출력된다. 따라서 인쇄물이 화상 형성 장치에 그대로 방치되거나, 타인이 인쇄물을 가지고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된 정보의 보안을 확보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르면, 정보 처리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정보 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출력 데이터 수신부;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출력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보존 처리부;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지하는 통지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식별정정보와 관련된 출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읽었을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먼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기술한다.
관련 분야에서 상술한 시스템에서는, 이전에 인증을 수신하기 위해 자신의 계정을 가진 사용자만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이러한 계정을 갖지 않은 방문자 등은 이러한 계정을 가진 사람에게 인쇄를 실행할 것을 요구한다. 방문자 등에게 공동 게스트 계정을 제공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공동 게스트 계정은 복수의 방문자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하나의 방문자가 다른 방문자의 인쇄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된 정보의 보안을 확보하는 시스템으로부터 취득된 상술한 이점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를 게스트에게 제공하는 또 다른 방법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초과 설치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방법은 우수하다고 말하기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이 점을 고려하여 고안되었으며 또한 실시형태의 목적은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계정을 갖지 않은 사용자에게 출력 권한을 줄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 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사용자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정보 생성 처리의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PIN 코드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로그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5는 사용자 기기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9는 인쇄 요구 메일을 이용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PIN 코드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2는 Web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상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We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PIN 코드를 발행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5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응답 수신지 주소 지정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26은 인쇄 요구메일을 이용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고 PIN 코드를 발행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27은 We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PIN 코드을 발행하고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28은 대리 계정 관리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9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과정의 일 예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나타낸 인쇄 시스템 (1)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30), 메일 서버(40), 관리 서버(10), 인증 서버(50), 보존 서버(60), 및 하나 이상의 화상형성 장치(20)는 로컬 에리어 네트워크(LAN) 또는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N1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함께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 N1의 일부 또는 전부는 무선통신 네트워크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0)와 네트워크 N1 사이에, 이동 통신망이 개재될 수 있다. 인쇄 시스템 (1)은 기업 등의 조직 내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조직는 "기업 A"라고 언급한다.
사용자 단말기(30)는 인쇄 시스템 (1)의 해당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정보 처리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를 조작하여 인쇄 시스템 (1)에 대한 인쇄요구를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기(30)의 일례로서 PC (Personal Computer), 휴대 전화, 스마트폰, 태블릿형 단말기, PDA (개인정보 단말기) 등을 들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30)의 각각은 서로 다른 기종도 있다.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쇄 시스템(1)의 사용자는 "정규 사용자"와 "게스트 사용자"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정규 사용자(authorized user)는 인쇄 시스템 (1)에 (엄격히 말하면, 이후에 기술되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해당 사용자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이다. 즉 정규사용자는 인쇄 시스템(1)의 사용자로 예정되어 있는 사용자이다. 정규 사용자의 일례로서 기업 A의 직원이 있다. 게스트 사용자(guest user)는 인쇄 시스템(1)에 해당 사용자의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이다. 즉, 게스트 사용자는 원래대로라면 인쇄 시스템(1)의 이용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다. 게스트 사용자의 일례로서 기업 A의 직원 이외의 사람이 있다.
메일 서버(40)는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송신된 전자 메일, 관리서버(10)에서 송신된 전자 메일 등을 전송하는 컴퓨터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 인쇄 요구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관리 서버(10)로 송신한다. 인쇄 요구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에는 인쇄대상의 전자 데이터가 첨부되어 있다. 전자 데이터의 데이터 형식은 소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송신된 인쇄 요구를 포함하는 전자 메일을 "인쇄 요구 메일"(print request mail)이라 언급한다.
인증 서버(50)는 기업 A의 사용자별 정보 (이하 "사용자 정보"라 한다)를 관리하고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처리과정을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예를 들어, 인증 서버(50)는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등이 지정된 인증 요구에 응답하여 인증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인증 서버(50)는 메일주소의 존재 확인 요구,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즉,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 이름과 관련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메일 주소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10)는 인쇄 요구 메일 수신에 응답하여 인쇄 요구 메일 등에 포함된 전자 데이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를 실행하는 컴퓨터이다. 인쇄 데이터는 화상 형성 장치(20)이 인쇄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는 데이터 형식을 가진다. 관리 서버(10)은 생성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송신자)의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 또는 인쇄 요구 메일마다 생성되는 "식별자"와 관련시켜 이를 보존 서버(60)에 송신한다.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가 사용자 이름과 관련되어 인증 서버(50)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 사용자 이름은 인쇄 데이터와 관련될 수 있다.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지 주소가 사용자 이름과 관련되어 인증 서버(50)에 의해 관리되는 조건이 만족스럽지 않은 경우, 인쇄 데이터는 인쇄요구 메일마다 생성되는 "식별자"(identifier)와 관련되어 있다. 이하, 이러한 "식별자"를, "PIN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코드"라고 한다. 또한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자 주소가 사용자 이름과 관련되고 인증 서버(50)에 의해 관리되는 경우에도 인쇄 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으면 인쇄 데이터는 해당 PIN 코드와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보존 서버(60)는 관리 서버(10)로부터 송신된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는 컴퓨터이다.
각각의 화상형성 장치(20)는 보존 서버(60)에 보존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 중, 사용자에 의해 상기 화상 형성 장치(20)에 입력된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와 관련된 인쇄 데이터의 인쇄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관리서버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에서 관리서버(10)는 각각 버스 B에서 상호 접속되는 드라이브 장치 (100), 보조기억 장치(102), 메모리 장치(103), CPU(104), 인터페이스 장치 (105) 등을 포함한다.
관리서버 (10)에서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CD-ROM 등의 기록 매체(101)에 의해 제공된다.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록 매체 (101)가 드라이브 장치 (100)에 세팅되면,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101)로부터 드라이브 장치(100)을 통해 보조 기억 장치(102)에 인스톨 된다. 그러나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101)로부터 인스톨될 필요가 없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다운로드 할 수도 있다. 보조 기억 장치(102)는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또한 필요한 파일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 장치(103)은, 프로그램의 시작 지시가 있는 경우, 보조 기억 장치(102)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저장한다. CPU(104)는 메모리 장치(103)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관리서버(10)에 관한 기능을 실행한다. 인터페이스 장치(105)는 네트워크와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형성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3에서 화상 형성 장치(20)은 컨트롤러(21), 스캐너 (22), 프린터(23), 모뎀(24), 조작 패널(2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 SD 카드 슬롯(27) 및 카드 리더(28) 등의 하드웨어를 갖는다.
컨트롤러(21)는 CPU(211), RAM(212), ROM(213), HDD(214), NVRAM(215) 등을 포함한다. ROM(213)에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 등이 저장되어 있다. RAM(212)는 프로그램을 로딩하기 위한 기억 영역이나, 로딩된 프로그램의 작업 영역 등으로 사용된다. CPU(211)은 RAM(212)에 로딩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각종 기능을 실행한다. HDD(214)는 프로그램이나 프로그램이 이용하는 각종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NVRAM(215)에는 각종 설정 정보 등이 기억된다.
스캐너(22)는 원고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할 수 있는 하드웨어 (화상 판독부)이다. 프린터(23)은 인쇄 데이터를 인쇄 용지에 인쇄하기 위한 하드웨어(인쇄부)이다. 모뎀(24)는 전화회선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며, 팩시밀리 통신을 통해 화상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해 사용된다. 조작 패널(25)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접수하기 위한 버튼 등의 입력부나, 액정 패널 등의 표시부 등을 구비한 하드웨어이다. 액정 패널은 터치 패널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상기 액정 패널은 입력부의 기능을 포함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는, LAN 등의 네트워크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음)에 접속하기 위한 하드웨어이다. SD 카드 슬롯(27)은 SD카드(8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기 위해 이용된다. 즉 화상 형성 장치 (20)에서는 ROM(213)에 기억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SD 카드(80)에 기억된 프로그램도 RAM(212)에 로딩되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SD 카드(80) 대신에 다른 기록 매체 (예를 들어, CD-ROM 또는 USB (UniversalSerial Bus) 메모리 등)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즉, SD 카드(80) 대신에 사용할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종류는 소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SD 카드 슬롯(27)은 대신에 사용되는 기록 매체의 종류에 해당하는 하드웨어로 대체될 수 있다. 카드 리더(28)는 카드 (90)에서 정보를 판독하는 이른바 "카드 리더"이다. 카드 리더(28)은 화상 형성 장치 (20)에 내장될 수 있거나, 또는 화상 형성 장치(20)가 구비하는 외부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USB 인터페이스)등을 통하여 화상 형성 장치(20)에 접속될 수도 있다. 또한 카드 리더(28)은 접촉형 또는 비접촉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카드(90)은 IC 카드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드(90)은 자기 카드 등, 카드(90)에 적어도 고유한 카드 ID (카드번호)가 기록 가능한 것이면 된다. 카드 ID는 일반적으로 Universa1 ID 또는 Card Seria1 Number로 불린다. 카드(90)의 구체예로서는 Proximity 카드, Mifare 카드, Java (등록상표)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카드(90)는 예를 들어, 정규 사용자가 속하는 조직 (예를 들면, 기업 A)에서 각각의 정규 사용자에게 배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운영상 필요한 보안 수준에 따라 복수의 정규 사용자가 한 장의 카드(90)를 공유할 수 있다. 한편, 게스트 사용자는 카드(90)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20)은 스캐너 (22) 및 모뎀 (24)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는 점을 주의한다. 즉 화상 형성 장치(20)는 또한 복합기 대신에 프린터일 수 있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관리서버(10)는 메일 수신부(11), 주소 확인부(12), PIN 코드 생성부(13), 인쇄 정보 생성부(14), 응답 메일 생성부(15), 메일 반신부(16) 및 인쇄 정보 송신부(17)등을 포함한다. 이들 각 부분은 관리서버 10에 인스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104)로 실행되는 처리에 의해 구현된다.
관리서버(10)는 PIN 코드 기억부(19)를 이용한다. PIN 코드 기억부(19)는 보조기억장치(102) 또는 관리 서버(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억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다.
메일 수신부(11)는 인쇄 요구 메일을 수신한다. 인쇄 요구 메일에는 사용자가 인쇄하고 싶은 인쇄 대상 데이터 (예를 들어, 메일 본문이나 첨부 파일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일을, 특정의 도메인의 메일 주소(수신지)로 전송한다. 메일 수신부(11)는 그의 수신지에 특정 도메인이 설정되어 있는 메일을 수신하면 해당 메일이 인쇄 요구 메일이라는 것을 인식한다.
주소 확인부(12)는 인증 서버(50)에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에 관한 존재 확인 요구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송신원 주소가 인증서버 (5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주소 확인부(12)는, 송신원 주소가 인증 서버 (50)에 등록되어 있는 경우, 해당 송신원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을 인증 서버(50)로부터 취득한다. PIN 코드 생성부(13)는, 송신원 주소가 인증 서버(5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에, PIN 코드를 생성한다.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인쇄 요구 메일에 대응하는 "인쇄 정보"를 생성한다. "인쇄 정보"에는 인쇄 데이터나 해당 인쇄 데이터의 인쇄 작업에 관한 정보 외에도,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 등이 포함된다.
응답 메일 생성부(15)는 인쇄 요구 메일에 대한 응답으로 전자메일 (이하 "응답 메일"이라 한다)을 생성한다. 응답 메일에는 각 인쇄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쇄 작업의 식별 정보가 포함된다. 응답 메일에는 또한 인쇄 요구 메일에 관하여 PIN 코드가 생성되는 경우 해당 PIN 코드가 포함된다.
메일 반신부(16)는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로 응답 메일을 반신한다. 인쇄 정보 송신부(17)는 인쇄 정보를 보존 서버(60)에 송신함으로써 해당 인쇄 정보를 보존 서버(60)에 보존한다.
PIN 코드 기억부 (19)는 PIN 코드 생성부(13)에 의해 생성된 PIN 코드 또는 인쇄 요구 메일에 지정된 PIN 코드를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관련하여 PIN 코드를 기억한다.
인증 서버(50)는 요구 응답부(51) 및 사용자 정보 기억부(52) 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52)는 정규사용자마다 사용자 정보를 기억한다. 요구 응답부(51)는 인증 요구, 메일주소의 존재 확인 요구, 및 메일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의 취득요구 등에 따라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요구 응답부(51)는 인증 서버 (50)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에 따라 인증서버(50)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에 의해 실현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52)는 인증서버(50)의 보조 기억 장치 또는 인증서버 (5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억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보존서버 (60)는 인쇄정보 수신부(61), 인쇄 정보 기억부 (62) 및 인쇄 정보 제공부(63) 등을 포함한다. 인쇄정보 수신부(61)는 관리서버(10)로부터 송신되는 인쇄정보를 수신하여 인쇄 정보 기억부(62)에 인쇄정보를 기억(보존)한다. 인쇄 정보 제공부(63)은, 화상 형성 장치(20)으로부터 보내진 인쇄 정보의 취득요구에 응답하여, 인쇄 정보 기억부 (62)에 기억(보존)되어 있는 인쇄 정보 중에서 해당 취득 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 (20)에 반신한다.
인쇄 정보 수신부(61) 및 인쇄 정보 제공부(63)는 보존 서버(60)에 인스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보존서버(60)의 CPU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로 실현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인쇄 정보 기억부(62)는 보존 서버(60)의 보조 기억 장치 또는 보존서버(60)로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억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현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은 인증 제어부(221), 인쇄 정보 취득부 (222) 및 인쇄 제어부(223) 등을 포함한다. 이들 부분은 화상 형성 장치(20)에 인스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211에 의해 실행되는 처리로 실현된다. 인증 제어부(221)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또는 "PIN 코드"의 입력을 받는다.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입력된 경우, 인증 제어부(221)는 해당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실행하도록 인증서버(50)에 요구한다. 인쇄정보 취득부(222)는 인쇄정보의 취득 요구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해당 인쇄 정보 취득 요구에는 인증 제어부(221)에 수신된 사용자 이름 및 PIN 코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지정된다. 인쇄 제어부(223)는 인쇄 정보 취득부(222)에 의해 취득된 인쇄 데이터에 관하여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이하, 인쇄 시스템(1)에서 실행되는 처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는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스텝 S101에서 사용자 단말기(30)는, 사용자의 지시 입력에 응답하여, 인쇄 요구 메일을, "소정의 메일 주소"로 송신한다. 인쇄 요구 메일에는 인쇄 대상의 전자 데이터가 첨부되어 있다. 인쇄요구 메일에는 또한 소정의 기술형식에 따라 PIN 코드를 지정할 수 있다. PIN 코드는 해당 사용자에게 발행된 것일 수도 있고, 아직 발행되지 않은 것(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지정된 것)일 수도 있다. 소정의 기술형식으로서는 인쇄 요구 메일의 제목이나 본문에 "PIN = xxx"라는 형식으로 "xxx"의 부분에 PIN 코드가 지정되는 예를 들 수 있다. 또한, 소정의 메일주소는 예를 들어,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로 미리 결정되어 있는 메일주소이다는 것을 주의한다.
메일 서버(40)는 전자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통상의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인쇄 요구 메일을 관리 서버 (10)에게 전송한다 (S102).
인쇄 요구 메일은 관리서버(10)의 메일 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다. 인쇄 요구 메일의 수신에 응답하여, 관리서버(10)는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를 지정하여 해당 주소의 존재 확인요구를 인증서버(50)에 송신한다 (S103). 상기 존재확인 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인증 서버(50)의 요구 응답부(51)는 존재 확인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메일주소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4).
도 6은 사용자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는 정규 사용자마다 사용자 정보를 기억한다. 사용자 정보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카드 ID 및 메일 주소 등이 포함된다. 또한 일 사용자에 대해 PC용 및 휴대 단말기용 등 복수의 메일주소가 등록될 수 있다. 카드 ID는 각 정규 사용자에게 배포되어 있는 카드(90)의 카드 ID이다.
스텝 S104에서 요구 응답부(51)는 존재 확인 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메일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 기억되어 있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정보의 메일 주소로서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다음에, 요구 응답부(51)는 확인결과를 포함하는 응답을 관리 서버(10)에 반신한다 (S105). 확인 결과는 메일 주소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확인결과의 수신에 응답하여, 관리 서버(10)는 인쇄 요구 메일에 관하여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인쇄정보 생성 처리)를 실행한다(S106). 이어서, 관리서버(10)에서 메일 반신부(16)는 인쇄요구 메일에 대한 응답 메일을,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로 반신한다(S107). 응답 메일은 메일서버(40)에 의해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인 사용자 단말기(30)으로 전송된다 (S108). 또한, 응답 메일은 인쇄 정보 생성 처리에서 생성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한편, 응답 메일의 반신 후, 관리 서버(10)의 인쇄 정보 송신부(17)는 인쇄 정보 생성 처리에서 생성된 인쇄 데이터, 및 해당 인쇄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쇄 정보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S109).
저장 서버(60)의 인쇄정보 수신부(61)는 인쇄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인쇄 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부(62)에 기억(보존)한다 (S110).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7에서 인쇄 정보 기억부(62)는 인쇄 데이터마다 인쇄정보를 기억한다. 인쇄정보는 작업 이름, 사용자 모드, 인쇄 데이터,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 등을 포함한다.
작업 이름은 인쇄 데이터마다 또는 인쇄 데이터마다 실행되는 각 인쇄작업의 식별 정보이다. 사용자 모드는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모드는 인쇄를 요구하는 사용자가 정규 사용자인지 게스트 사용자인지를 나타낸다. "U"는 정규 사용자를 나타내고, "G"는 게스트 사용자를 나타낸다. 사용자 이름은 인쇄 요구 메일의 사용자가 정규사용자인 경우에 해당 사용자의 사용자 이름이다. PIN 코드는 인쇄 데이터에 할당된 PIN 코드이다.
다음에, 스텝 S106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정보 생성 처리의 처리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201에서 PIN 코드 생성부(13)는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인쇄 요구 메일의 제목이나 본문에 "PIN = xxx"의 형식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S201에서 Yes), PIN 코드 생성부(13)는 해당 PIN 코드(이하 "지정 PIN 코드"라 한다)가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자 이외의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PIN 코드 기억부(19)를 판독하여 판정한다 (S202).
도 9는 PIN 코드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N 코드 기억부(19)에는 과거에 발행된 PIN 코드가 해당 PIN 코드의 발행원인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관련하여 기억되고 있다.
스텝 S202에서는 최근에 수신된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다른 메일 주소에, 지정 PIN 코드와 동일한 값을 관련시켜 PIN 코드 기억부(19)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지정 PIN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된 경우(S202에서 Yes), PIN 코드 생성 부(13)는 PIN 코드 기억부(19)에 기억된 PIN 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PIN 코드를,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지 주소와 관련시켜 이를 PIN 코드 기억부(19)에 기억한다 (S203). PIN 코드는 인쇄 요구 메일마다 다른 값을 갖는 한 어떤 방법에 의해 생성되어도 좋다. 그러나, PIN 코드는 화상 형성 장치(20)의 조작 패널(25)을 통해 또는 조작 패널(25)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통해 쉽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정 PIN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있지 않은 경우 (S202에서 No), PIN 코드 생성부(13)는 PIN 코드를 생성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의한다.
다음에, 주소 확인부(12)는 도 5의 스텝 S105에서 수신된 확인결과가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S204). 도 5의 스텝 S105에서 수신된 확인결과가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 (S204에서 Yes), 주소 확인부(12)는 해당 송신원 주소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을 인증서버(50)로부터 취득한다 (S205). 즉,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서 해당 송신원 주소와 관련된 사용자 이름이 취득된다.
다음에,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인쇄 요구 메일의 본문에 있는 전자 데이터(전자 대상 데이터) 및 인쇄요구 메일에 첨부된 전자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S206). 그러나, 첨부된 전자 데이터만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해당 전자 데이터가 복수의 파일을 포함하는 ziP 형식 등의 압축 파일형식을 갖는 경우,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전자 데이터를 압축된 파일마다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인쇄 요구메일에 대해 복수의 인쇄 데이터 (인쇄 작업)이 생성될 수 있다.
다음에, 인쇄정보 생성부(14)는 인쇄 데이터 세트마다 인쇄 정보를 생성한다 (S207). 즉, 각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작업이름이 생성되고, 각 인쇄 데이터는 해당 인쇄정보에 포함된다. 각 인쇄 정보에서 사용자 모드로서 "U"가 설정된다. 또한 스텝 S203에서 PIN 코드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PIN 코드가 각 인쇄정보에 설정되며, 또한 스텝 S203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는 지정 PIN 코드가 각 인쇄 정보에 설정된다. 복수의 인쇄정보가 생성되는 경우, 각각의 인쇄 정보에는 공통의 PIN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 인쇄정보에는 스텝 S205에서 취득된 사용자 이름이 설정된다. 생성된 인쇄정보는 스텝 S109에서 보관서버(60)로 송신된다.
다음에, 응답 메일 생성부(15)는 각 인쇄정보의 작업 이름과, 각 인쇄정보에 설정된 PIN 코드가 예를 들어, 본문에 기재된 응답 메일을 생성한다 (S219). 해당 응답 메일이 도 5의 스텝 S107 및 S108에서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인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된다. 해당 응답 메일을 판독하여 사용자는 인쇄요구 메일에 대해 생성된 각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작업 이름과 PIN 코드를 알 수 있다.
한편, 스텝 S204에서 수신된 확인결과가, 인쇄 요구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S204에서 No),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인쇄 요구 메일의 본문에 있는 전자 데이터 (인쇄 대상 데이터) 및 인쇄 요구 메일에 첨부된 전자 데이터의 각각에 대해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S208). 스텝 S208의 처리내용은 스텝 S206과 동일할 수 있다.
다음에,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인쇄 데이터마다 인쇄 정보를 생성한다 (S207). 즉, 각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작업이름이 생성되고, 각 인쇄 데이터는 대응하는 인쇄 정보에 포함된다. 각 인쇄 정보의 사용자 모드에는 "G"가 설정된다. 또한 스텝 S203에서 PIN 코드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PIN 코드가 각 인쇄 정보에 설정된다. 스텝 S203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는 지정 PIN 코드가 각 인쇄정보에 설정된다. 생성된 인쇄정보가 도 5의 스텝 S109에서 보존 서버(60)로 송신된다. 이어서 스텝 S219가 실행된다.
스텝 S201에서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S201에서 No), 주소 확인부(12)는 도 5의 스텝 S105에서 수신된 확인결과가 인쇄요구 메일의 해당 송신원 주소의 존재를 나타내는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S210). 확인결과가, 해당 송신원 주소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 (S210에서 Yes), 스텝 S205 및 S206와 동일한 처리가 스텝 S211 및 S212에서 실행된다. 이어서,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인쇄 데이터마다 인쇄정보를 생성한다 (S213). 즉, 각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작업 이름이 생성되고, 각 인쇄 데이터는 인쇄정보에 포함된다. 각 인쇄정보의 사용자 모드에는 "U"가 설정된다. 또한 각 인쇄정보에는 스텝 S211에서 취득된 사용자 이름이 설정된다. 여기서 생성된 인쇄정보가 도 5의 스텝 S109에서 보관 서버(60)로 송신된다.
다음에, 응답 메일 생성부(15)는 각 인쇄정보의 작업이름이 예를 들어, 본문에 기재된 응답 메일을 생성한다 (S214). 해당 응답 메일이 도 5의 스텝 S107 및 S108에서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인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된다. 해당 응답 메일을 판독하여 사용자는 인쇄요구 메일에 대하여 생성된 각 인쇄 데이터에 대응하는 작업 이름을 알 수 있다.
한편, 스텝 S210에서 확인결과가 해당 송신원 주소의 부재를 나타내는 경우 (S210에서 No), PIN 코드 생성부(13)는 인쇄요구 메일의 해당 송신원 주소가, PIN 코드 기억부(19)에서 PIN 코드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215). 해당 송신원 주소가 PIN 코드와 관련되어 있지 않는 경우 (S216에서 No), PIN 코드 생성부(13)는 스텝 S203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S216). 즉 새로운 PIN 코드가 생성된다.
스텝 S215에서 Yes인 경우 또는 스텝 S216에 이어서 스텝 S208 및 S209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S217, S218). 이어서, 스텝 S219이 실행된다.
도 8의 처리에 따르면, 게스트 사용자에 대하여는 항상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일이 반신된다. 한편, 정규 사용자에 대하여는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를 지정한 경우에, 해당 PIN 코드 또는 타인의 PIN 코드의 중복을 피하여 생성된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일이 반신된다. 다시 말하면, 정규사용자의 경우,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를 지정하지 않은 경우, 해당 정규사용자에 대하여 PIN 코드가 발행되지 않는다.
인쇄 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는 지정되지 않지만 PIN 코드의 발행이 요구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PIN 코드의 발행 요구는 예를 들어, "PIN"등 소정의 키워드가 인쇄 요구 메일의 제목이나 본문 등에 지정됨으로써 나타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스텝 S202는 실행되지 않고, 스텝 S203이 실행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그 후, 응답 이메일을 수신한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20)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화상 형성장치(20)를 조작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형성 장치 (20)가 실행되는 처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실행되는 처리절차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보존 서버(60)에 보존된 인쇄 데이터의 인쇄기능의 호출에 응답하여 인증 제어부(221)은 로그인 화면을 조작 패널(25)에 표시한다 (S301).
도 11은 로그인 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11에서 로그인 화면(510)은 PIN 코드 등의 입력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20)의 조작자가 정규 사용자이고, PIN 코드를 발행하지 않은 경우, 카드(90)는 화상 형성 장치 (20)의 카드 리더(28)에 세팅된다. "카드(90)가 세팅된다"라 함은 예를 들면 카드(90)이 카드 리더(28)에 삽입되거나 또는 카드(90)가 카드리더(28)에 담기도록 카드 리더(28)가 카드(90)에 기록된 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화상 형성 장치(20)의 조작자가 게스트 사용자인 경우, 또는 정규 사용자가 PIN 코드의 발행을 받은 경우, 응답 메일로 통지된 PIN 코드는 로그인 화면 510에 입력된다.
그러나, 조작자가 정규사용자인 경우, PIN 코드는 로그인 화면(510)에 입력되고, 또한 카드(90)은 카드 리더(28)에 세팅된다. 예를 들어, 정규사용자가 개인용 사용자 단말기의 메일 주소 즉,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기억되지 않은 메일 주소에서 인쇄 요구 메일을 송신한 경우, PIN 코드는 사용자 단말기(30)에 반신되는 응답 메일에 포함되어 있다. 또한, 해당 정규사용자는 별도로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 메일 주소 (이하 "정규 주소"라 한다)에서 인쇄요구 메일을 송신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 당해 정규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 이름과 관련되어 있지 않지만 PIN 코드와 관련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와, 사용자 이름과 관련된 인쇄 데이터가 보존서버 (60)에 혼합방식으로 보존되어 있다. 쌍방의 인쇄 데이터에 관하여 1회의 로그인 조작으로 인쇄 처리의 실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PIN 코드의 입력 및 카드(90)의 세팅의 모두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카드 리더(28)에 카드(90)이 세팅되면, PIN 코드가 로그인 화면(510)에 입력되어 OK 버튼(511)이 눌려지면, 또는 PIN 코드가 로그인 화면 (510)에 입력되어 카드 리더(28)에 카드(90)이 세팅되면, 인증 제어부(221)는 카드(90)이 세팅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를 분기시킨다 (S302). 카드(90)이 세팅된 경우 (S302에서 Yes), 인증 제어부(221)는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S303). 구체적으로, 인증 제어부(221)는 세팅된 카드(90)로부터 판독된 카드 ID가 지정된 인증요구를 인증서버(50)에 송신한다. 인증서버(50)의 요구 응답부(51)는 해당 카드 ID가 사용자 이름과 관련되어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해당 카드 ID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인증은 성공하게 된다. 해당 카드 ID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은 실패하게 된다. 요구 응답부(51)는 인증요구를 전송했던 화상형성 장치(20)의 인증 제어부(221)에 인증 성공 또는 인증 실패를 나타내는 정보를 반신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는, 해당 카드 ID와 관련된 사용자 이름도 또한 반신된다.
인증에 성공한 경우 (S304에서 Yes),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반신된 사용자 이름을 "지정정보"에 추가한다(S305). "지정정보"라 함은 이후에 기술되는 스텝 S308에 있어서 보존 서버(60)로부터 인쇄정보 목록을 취득하는 경우에, 지정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인증에 실패한 경우 (S304에서 No), 스텝 S305는 실행되지 않는다.
카드(90)이 세팅되지 않은 경우 (S302에서 No), 카드(90)에 기반하여 인증에 실패한 경우 (S304에서 No), 또는 스텝 S305가 실행되는 경우,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로그인 화면(510)에 PIN 코드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306). PIN 코드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S306에서 Yes),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당해 PIN 코드를 지정정보에 추가한다(S307). PIN 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S306에서 No), 스텝 S307은 실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인쇄정보 취득부(222)는 지정정보를 지정하여, 인쇄정보의 목록을 보존서버(60)로부터 취득한다 (S308). 더욱 자세하게,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지정 정보를 지정하여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인쇄 정보 목록의 취득 요구에 응답하여, 보존 서버(60)의 인쇄 정보 제공부(63)은 당해 취득 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부(62) (도 7)로부터 취득한다. 즉, 카드(90)가 세팅되어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모드 "U"를 가지며 해당 카드(90)의 카드 ID과 관련된 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인쇄 정보가 취득된다. 카드(90)은 세팅되지 않고, PIN 코드가 로그인 화면(510)에 입력된 경우, 해당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가 취득된다.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가 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인쇄 정보도 또한 취득된다.
로그인 화면(510)에 PIN 코드가 입력되고, 또한, 카드(90)가 세팅되어,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모드가 "U"이고 해당 사용자 이름이 포함된 인쇄정보와, 해당 PIN 코드이 포함된 인쇄 정보가 취득된다. 로그인 화면 510에 PIN 코드가 입력되고 또한 카드(90)이 세팅되어 인증에 실패한 경우, 해당 PIN 코드를 포함한 인쇄정보가 취득된다.
인쇄정보 제공부(63)는 취득된 인쇄정보 목록을 화상 형성 장치(20)에 반신한다. 또한 이렇게 반신된 각 인쇄정보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다음에, 화상형성 장치(20)의 인쇄정보 취득부(222)는 반신된 각 인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작업이름 등의 목록을 조작 패널(25)에 표시하게 한다 (S309). 해당 목록은 인쇄대상(들)의 후보를 나타낸다. 즉, 사용자는 해당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인쇄정보에 대하여 인쇄의 실행지시를 입력할 수 있다.
해당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이름을 선택하는 경우, 인쇄정보 취득부(222)는 해당 작업이름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보존 서버(60)로부터 취득한다(S310). 더욱 자세하게, 인쇄정보 취득부(222)는 해당 작업이름이 지정된 인쇄 데이터의 취득요구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인쇄정보 취득부(222)로부터 요구에 응답하여보존 서버(60)의 인쇄정보 제공부(63)은 해당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작업이름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20)에 반신한다.
하나의 인쇄 데이터에 대한 인쇄정보만이 입력된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로부터 취득되는 경우, 스텝 S309를 실행하지 않지만, 인쇄 정보 취득부(222)가 인쇄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또한 인쇄정보 제공부(63)가 인쇄정보 목록을 화상 형성 장치(20)에 반신하는 대신에, 인쇄정보 제공부(63)가 사용자 이름 또는 PIN 코드로부터 취득된 인쇄 데이터를 송신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다음에, 인쇄 제어부(223)는 당해 인쇄 데이터에 관한 인쇄작업의 실행을 제어한다 (S311). 그 결과 해당 인쇄 데이터가 인쇄된 용지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등의 계정이 인증서버(5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게스트 사용자에게도 인쇄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게스트 사용자가 정규사용자에게 인쇄를 의뢰할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PIN 코드의 통지는 인쇄 요구 메일마다 게스트 사용자에게 보내진다. 따라서 게스트 사용자마다 유사한 일시적 계정을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게스트 사용자가 조작 가능한 인쇄 데이터는 해당 사용자들로부터의 인쇄 요구 메일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에 한정된다. 그 결과, 다른 사용자의 인쇄 데이터가 게스트 사용자들 사이에서 쉽게 조작될 수 있는 상황의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사용자 전용의 화상형성 장치(20)을 인스톨할 필요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PIN 코드의 지정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의 지정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특히 카드(90)을 가정에서 잊어버린 정규사용자에게 편리하다.
즉, 만일 인쇄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의 지정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의 지정이 불가능한 경우, 정규 주소로부터의 인쇄요구 메일에 대해서는 PIN 코드는 생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정규 사용자가 정규주소로부터 반신한 인쇄요구 메일에 대응하는 인쇄 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20)에 실행시키기 위해, 카드(90)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20)에 로그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카드(90)을 가정 등에서 잊어버린 경우, 정규사용자는 정식주소로부터 인쇄요구 메일에 대응하는 인쇄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20)로 실행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정규사용자는 정식주소로부터 인쇄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의 지정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의 지정을 행함으로써, PIN 코드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장치(20)의 인쇄작업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정규주소로부터 취득되는 정규사용자의 사용자 이름도 PIN 코드와 관련된 것으로, PIN 코드를 발행하기 이전에 정규사용자의 사용자 이름과 관련하여 보존된 인쇄 데이터도 PIN 코드에 의해 취득하고 인쇄할 수 있다. 따라서 카드(90)를 잊어버린 정규사용자가 과거에 (PIN 코드 발행 이전에) 사용자 이름과 관련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하고 싶은 경우에도 다시 인쇄 요구 메일에 동일한 전자 데이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첨부할 필요가 없다.
또한 게스트 사용자의 경우, 사용자 이름이 특정되어 있지 않다는 것을 주의한다. 따라서 화상형성 장치(20)에서 인쇄에 관하여 로그 정보가 기록된 경우에도 인쇄를 수행한 사용자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래서 화상형성 장치(20)에서는 PIN 코드의 지정을 통하여 취득된 인쇄 정보에 관한 인쇄 데이터의 인쇄에 대한 제한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 가능한 매수에 상한값을 부여할 수 있으며, 컬러 인쇄는 금지할 수도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익명성을 악용하는 매우 많은 매수의 용지 인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가 정규주소가 아닌 경우, 해당 메일주소가 사용자 이름 대신에 로그 정보에 포함되어 기록되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메일주소와 같은 개인을 식별가능한 정보가 로그 정보에 포함됨으로써 익명성을 악용한 매우 많은 매수의 용지 인쇄 등에 관하여 심리적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PIN 코드에는 유효기간이 부여될 수 있다. 유효기간이 경과된 PIN 코드는 무효로 할 수 있다.
또한 화상형성 장치(20)에 대하여 정규사용자가 로그인 할 때의 인증 카드(90)이 아닌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등의 다른 인증정보가 인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그인 화면(510)는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등이 입력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로그인 화면(510)에 입력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등과,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등을 비교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인쇄정보에는 로그인 화면(510)에 입력되어 인증에 성공한 사용자 이름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 (20)를 오랫동안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잊어버린 정규 사용자는 정식주소로부터 인쇄 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를 지정하여 해당 인쇄 요구 메일에 대응하는 인쇄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20)로 실행시킬 수 있다.
다음에, 제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서버(10), 인증서버(50) 및 보존 서버(60)의 기능이 클라우드 서비스(cloud service)와 같이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제2 실시형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 및 메일 서버(40)"와, "관리서버(10)" 사이에, 및 "화상 형성 장치(20)"과 "인증서버(50) 및 보존서버(60)" 사이에 인터넷이 개재한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2에서 관리서버(10)는 추가로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18)를 갖는다.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18)는 각각의 기업 사용자에게 할당된 관리서버 10의 메일주소를 기억한다.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18)는 예를 들어, 보조 기억 장치(102) 또는 관리서버(10)에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기억 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다.
보존서버(60)는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를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기기정보 기억부(64)는 기업 사용자마다 해당 기업 사용자에 설치되어 있는 각 화상 형성 장치(20)의 식별 정보 (이하 "기기 ID"라 한다)를 기억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 데이터를 보존하는 처리과정은 도 5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스텝에 관하여 처리내용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101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30)은 인쇄 대상의 화상형성 장치(20)가 속하는(인쇄에 사용되는 화상 형성장치 (20)가 설치되어 있는) 기업 사용자에게 할당된 관리서버(10)에 메일주소를 지정하여 인쇄 요구 메일을 송신한다.
관리 서버(10)에서 메일 수신부(11)는 메일주소가 인쇄 요구 메일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메일 주소가 수신지로 전송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어느 기업 사용자의 화상 형성 장치(20)가 인쇄에 사용되어야 하는지를 판정한다. 판정을 위해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18)가 사용된다.
도 13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3에서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18)는 기업 사용자마다 기업 코드 및 수신용 주소 등을 기억한다.
기업코드는 기업 사용자별로 할당된 식별 정보이다. 수신용 주소는 기업 사용자에게 할당된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이다. 수신용 주소는 해당 기업 사용자로부터 인쇄 요구 메일을 수신하기 위한 관리서버(10)용 메일주소 (또는 메일주소의 일부분)이다.
메일 수신부(11)는 인쇄요구 메일이 수신된 메일주소에 해당하는 기업코드를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103)에 기억한다.
스텝 S109에서 인쇄 정보를 생성하는 처리에 있어서, 인쇄 정보 생성부(14)는 메모리 장치(103)에 기억되어 있는 기업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쇄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스텝 S112에서는 기업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정보가 보존서버(60)에 송신된다. 보존서버(60)의 인쇄정보 수신부(61)는 인쇄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인쇄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부(62)에 기억한다 (S113).
도 14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인쇄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서, 인쇄정보 기억부(62)는 인쇄 데이터마다 기업코드를 추가로 기억한다. 또한, 기업코드 별로, 인쇄 정보 기억부(62)를 제공할 수 있다.
그 후, 인쇄 요구 메일을 송신하는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20)가 설치된 장소에 가서, 화상형성 장치(20)를 조작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20)가 수행되는 처리절차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형태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20)가 실행하는 처리절차는 기본적으로 도 10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스텝에 관하여 처리내용이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스텝 S308에 있어서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기업코드 및 기기 ID를 더 포함하는 지정정보를 지정하여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기기ID는 화상형성 장치(20)의 기기 ID이며, 예를 들어, 화상형성 장치(20)의 ROM213, NVRAM215 또는 HDD 214 등에 기억되어 있다. 기업코드는 화상 형성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는 기업의 기업코드이며,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 (20)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설정된 기업코드는 예를 들어 NVRAM215 또는 HDD 214 등에 기억된다.
또한, 기기 ID는,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20)에 탑재되는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 경우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는 화상 형성 장치(20)를 기기 ID로 의해 식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특정의 화상 형성 장치(20)을 식별할 수 있는 한 특정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유지되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등이 기기 ID로서 이용될 수 잇다.
보존서버(60)에서 인쇄 정보 제공부(63)은 인쇄목록의 취득요구에 지정된 지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합과 동일한 기업코드 및 기기 ID의 조합이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도 15는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는 기업 사용자에게 설치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20)마다 당해 기업 사용자의 기업코드와, 화상 형성 장치(20)의 기기 ID를 관련시켜 이들을 저장한다.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서 지정된 지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조합과 동일한 기업코드 및 기기 ID의 조합이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쇄 정보 제공부(63)은 인쇄정보 목록을 반신하지 않는다. 이것은 이 경우 인쇄목록의 취득요구를 송신한 화상 형성 장치(20)의 정당성이 의심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20)의 정당성이라 함은 화상형성 장치(20)가 적절한 기업사용자에게 설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지정정보에 포함되는 조합과 동일한 기업코드 및 기기 ID의 조합이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인쇄 정보 제공부(63)는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지정정보를 포함하는 인쇄정보를 인쇄정보 기억부(62) (도 14)로부터 취득한다. 즉,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해당 지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기업코드와 동일한 기업코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인쇄정보가 취득된다. 인쇄정보 제공부(63)는 취득된 인쇄정보 목록을 화상 형성 장치(20)에 반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20)의 정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지정되는 지정정보에 기업코드가 포함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인쇄 정보 제공부(63)는 지정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 ID 및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에 의거하여 기기 ID에 해당하는 기업 코드를 확인하고 해당 기업 코드를 인쇄 정보 기억부(62)에서 인쇄정보의 취득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기업 사용자별로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가 다르다. 또한 화상형성 장치(20)으로부터 송신된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관하여 기업코드가 특정되고, 해당 기업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정보 목록이 화상형성 장치(20)에 반신된다. 따라서 만약 특정의 기업에서 송신된 인쇄요구 메일에 따른 인쇄정보가 다른 기업에서 동일한 사용자 이름을 가진 다른 사용자에 대하여 인쇄 후보가 되어버리는 등의 문제가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의 메일주소가 임의의 기업 사용자의 정규사용자의 메일주소와 동일한 경우, 정규사용자의 메일주소와 기업코드 사이의 대응정보를 관리 해두면 해당 메일주소로부터 기업코드를 특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정규사용자만의 사용을 고려하면, 기업 사용자별로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를 제공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인쇄 요구메일의 송신원 주소가 정규주소가 아닌 경우, 예를 들면 게스트 사용자 (이하 "사용자 X"라 한다)의 메일 주소인 경우, 상기 메일주소에 대응하는 기업 코드는 없다. 따라서 해당 인쇄 요구메일에 관하여, 인쇄에 대하여 기업 코드를 특정할 수 없다.
따라서 기업코드가 특정되지 않고, 기업코드를 포함하지 않는 인쇄정보가 보존 서버(60)에 보존되고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대응하여 인쇄정보를 취득하는 경우에, 기업 코드의 일치가 조건으로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X는 어느 기업으로부터도 인쇄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 제2 실시형태에서는 기업 사용자별로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가 다르도록 구성된다. 또한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기업코드가 지정되고, 해당 기업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정보의 목록이 반신된다.
또한 기업 사용자별로 할당된 관리서버(10)의 메일주소 자체가 기업코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 경우에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는 생략할 수 있다. 인쇄정보에는 해당 메일주소가 포함되어 보존서버(60)에 보존된다. 화상형성 장치(20)에는 미리 해당 메일주소가 기억된다. 화상 형성 장치(20)은 기기 ID와 함께 해당 메일주소가 지정된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를 보존서버(60)에 송신한다. 저장서버(60)은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메일주소를 포함하는 인쇄정보 목록을 반신한다.
이러한 구성에도, 상기와 같은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제3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따라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와 동일할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형성 장치(20)에서 사용자를 인증할 때에 실행되는 처리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의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는 카드 (90) 대신에 IC 카드와 유사한 1C 칩을 구비한 휴대형의 사용자 단말기(30)를 이용한다. 예를 들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30)의 기억부에는 카드 ID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30)가 화상 형성 장치(20)의 카드 리더에 담았을 때에, 당해 기억부로부터 카드 ID를 판독하고, 카드 리더를 통해 화상형성 장치(20)에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20)의 인증 제어부(221)는 카드 리더를 통해 수신된 카드 ID를 이용하여 인증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정규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를 화상형성 장치(20)에 담음으로로써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 단말기(30)의 사용자가 게스트 사용자인 경우, 또는 당해 사용자 단말기(30)으로부터 인쇄요구 메일에서 PIN 코드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기(30)에 의해 송신된 인쇄요구 메일에 대하여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메일이 반신되며, 해당 응답메일이 당해 사용자 단말기(30)의 기억부 내에 기억된다. 상술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가 화상형성 장치(20)의 카드리더에 담았을 때에 송신원 주소가 소정의 메일 주소인 전자메일 (즉, 상술한 응답메일)을 당해 사용자 단말기(30) 내로부터 검색하도록 구성된다. 이어서 해당하는 전자메일이 존재하는 경우는, 해당 전자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PIN 코드를 카드리더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20)에 송신한다. 화상 형성 장치(20)의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카드리더를 통해 수신된 PIN 코드를 지정하여 인쇄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30)를 화상형성 장치(20)에 담음으로써 자신에게 할당된 PIN 코드와 관련된 인쇄정보 목록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에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와 "PIN 코드"의 모두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 화상형성 장치(20)은 양측을 취득하여 사용자 이름에 대응하는 인쇄정보 및 PIN 코드에 대응하는 인쇄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화상형성 장치(20)에 의한 인쇄를 설명하였음을 주의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인쇄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로젝터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데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인쇄대상 데이터를 단말기에 의한 표시, 프로젝터에 의한 투영 등의 출력대상 데이터로 대체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메일에 의한 인쇄대상 데이터의 전송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메일 사용 이외의 통신수단에 의해 인쇄 대상 데이터가 관리서버(10)에 전송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서버(10)는 사용자 단말기(30)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 또는 "인쇄 대상 데이터와 사용자 이름"을 수신한다. 해당 사용자 이름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5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사용자 이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10)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 사용자 이름 및 PIN 코드가 수신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관리서버(10)는 수신된 PIN 코드가 다른 PIN 코드와 중복되지 않으면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송신한다. 수신된 PIN 코드가 다른 PIN 코드와 중복하는 경우, 관리서버(10)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PIN 코드 대신에 PIN 코드의 발행요청이 수신된 경우, 관리서버(10)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송신한다.
또한 제2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기업코드가 관리되는 경우, 관리서버(10)은 사용자단말기(30)으로부터 인쇄대상 데이터와 사용자 이름, 또는 인쇄대상 데이터에 추가하여 기업코드를 수신한다. 기업 코드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수신된 기업코드와 동일한 기업코드가 관리서버(10)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관리서버(10)는 인쇄대상 데이터의 인쇄가 허용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통지를 사용자 단말기 (30)에 송신한다. 동일한 기업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이지만, 수신된 사용자 이름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또는 사용자 이름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관리서버(10)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또한 수신된 사용자 이름과 동일한 사용자 이름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도, PIN 코드 또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가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경우 관리서버(10)은 수신된 PIN 코드 또는 생성한 PIN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30)에 전송한다.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서버(10) 및 보존 서버(60)은 한대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또한 관리서버(10), 보존서버(60) 및 인증서버(50)도 한대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20), 관리서버(10), 보존서버(60) 및 인증서버(50)의 각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관리 서버(10), 보존서버(60) 및 인증 서버(50)의 각각은 복수의 컴퓨터에 분산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관리서버(10)에서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는 예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인쇄요구 메일에 첨부된 전자 데이터에 관한 인쇄 데이터의 생성은 사용자 단말기(30), 관리서버(10), 보존서버(60) 또는 화상 형성 장치(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6은 제4 실시형태의 시스템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6에서, 도 1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70) 및 사용자 환경 E1은 인터넷 등의 광역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가능하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은 네트워크를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예시적 목적으로 구체적으로 채용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는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와 Web 서비스 등,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되는 각종 서비스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은 예를 들어, 액세스 제어장비(75), 인쇄 서비스 제공 장치(711), 서비스 A 제공장치(712), 서비스 B 제공장치(713), 공통 서비스 제공장치(72) 및 데이터베이스 장치(73) 등을 포함한다. 이들 장치의 각각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액세스 제어장치(75)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70) 내에서 컴퓨터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액세스를 제어하고 각 컴퓨터의 부하 분산을 수행한다.
인쇄 서비스 제공장치(711)는 클라우드 인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처리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이다. 클라우드 인쇄 서비스는 클라우드 환경 (본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에 인쇄 데이터를 업로드 해두고, 필요에 따라 업로드 된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장치(20a)에 인쇄시키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서비스A 제공 장치(712) 및 서비스B 제공 장치(712)는 각각 클라우드 인쇄 서비스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군을 예시한다.
공통 서비스 제공장치(72)는 인쇄서비스 제공장치(711), 서비스A 제공장치(712) 및 서비스B 제공장치(713) 등, 네트워크를 통해 직접적으로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각 장치에 공통되는 기능, 또는 복수의 장치에서 이용되는 기능 등을 갖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이다.
데이터베이스 장치(73)는 다양한 기억부로서 기능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또는기억 장치이다.
사용자 환경 E1은 사용자의 일례인 사용자 기업 등의 조직에서 시스템 환경이다. 도 16에 나타낸 사용자 환경 E1은 화상형성 장치(20a), 화상 투영 장치(2Ob), 휴대 단말기(20c), 기타 출력장치(20d) 및 사용자 단말기(30)를 포함한다. 이들 장치 및 단말기는 LAN (Local Area Network) 등의 네트워크 (유선형 또는 무선형)을 통해 접속된다.
화상형성 장치(20a)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20)이다.
화상 투영장치(20b)는 예를 들어, 프로젝터이며, 화상 데이터의 투영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휴대 단말기(20c)는 예를 들어,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ce), 태블렛형 단말기, 스마트폰, 또는 휴대 전화 등이다. 기타 출력 장치(20d)는 다양한 출력장치 중의 하나 이상이다.
사용자 환경 El은 또한 파이어 월 F1을 포함한다. 파이어 월 F1은 일반적인 파이어 월과 동일할 수 있다. 파이어 월 F1은 예를 들어 사용자 환경 E1의 외부로부터 요구를 차단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대해서는 사용자 환경 E1 이외의 환경에서도 액세스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20e) 또는 PC(2Of)등으로부터 인터넷 등을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액세스하는 것도 가능하다. 휴대 단말기(20e) 및 PC(20f)는 사용자 환경 El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7에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의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층 (71L), 공통 서비스 층 (72L), 및 데이터베이스 층(73L) 등으로 분류된다.
애플리케이션 층(71L)에는, 화상형성 장치(20a) 등의 기기와 제휴하는 서버측의 애플리케이션 (이하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이 인스톨 된다. 도 17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층(71L)은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 서비스 A 애플리케이션(712a) 및 서비스 B 애플리케이션(713a) 등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는 클라우드 인쇄 서비스에 관한 서버 애플리케이션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는 인쇄 서비스 제공 장치(711)에 인스톨 된다. 서비스 A 애플리케이션(712a) 및 서비스 B 애플리케이션(713a)는 다른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예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서비스 A 애플리케이션(712a) 및 서비스 B 애플리케이션(713a)의 각각은 서비스 A 제공장치 (712) 또는 서비스 B 제공장치(713)에 인스톨된다.
공통 서비스층(72L)은 복수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공통되는 기능, 또는 복수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되는 기본 기능 등을 포함하며, 공통 서비스 제공장치(72)에 인스톨 된다. 공통 서비스 층(72A)의 기능은 플랫폼 API(74)를 통해 호출할 수 있다. 플랫폼 API(74)는 기본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층 (71L)에서 서버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호출된다. 또한 플랫폼 API(74)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의 운영자 이외의 써드 벤더 등에 대하여 공개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이 경우에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써드 벤더 등에 의해 인스톨 된다. 즉,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플랫폼 API (74)을 이용하여 적절히 개발되어 추가된다.
도 17에서 공통 서비스층(72L)은 사용자 인증부(721), 기기 인증부(722), 관리 정보 취득부(723), 메일 취득부(724), 기기 통신부 (725), PIN 코드 발행부(726), PIN 코드 관리부(727) 및 데이터 변환부(728)등을 포함한다.
사용자 인증부(721)은 사용자를 인증한다. 기기 인증부(722)는 화상형성 장치 (20a), 사용자, 및 조직과의 대응관계를 인증한다. 조직은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업"이나 기타 단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제4의 실시형태에서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기업 코드"에 대응하는 식별 정보가 "조직코드"로 불린다는 것을 주의한다. 따라서, 사용자 및 조직과의 대응관계의 인증은 사용자 및 화상형성 장치가 해당 조직에 속하고 있다는 것의 검증을 포함한 처리이다.
관리 정보 취득부(723)은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층(71L)으로부터 요구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 층(73L)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취득한다. 메일 취득부(724)는 POP(Post Office Protocol)등에 따라 메일 서버(40)에 보존되어 있는 전자 메일을 취득(수신)한다. 장비 통신부(725)는 각종 기기와 통신한다. PIN 코드 발행부(726)는 PIN 코드를 발행(생성)한다. PIN 코드 관리부(727)은 PIN 코드와 조직 코드간의 대응관계를 관리한다. 데이터 변환부 (728)는 데이터 형식을 변환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데이터 변환부(728)는 인쇄 대상 데이터에 기초한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애플리케이션 층(71L)에서의 각 서버 애플리케이션 및 공통 서비스층 (72L)에서의 각 부분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포함되는 각 컴퓨터에 인스톨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에 따라 각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로 실행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데이터베이스층 (73L)은 각종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베이스 (기억부)를 포함하며, 데이터베이스 장치(73)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도 17에서 데이터베이스 층(73L)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731),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732),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 인쇄정보 기억부(734) 및 PIN 코드 기억부(735) 등을 포함한다.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731)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 (18) (도 13)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732)는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64) (도 15)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 (도 6)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와 사용자 정보 기억부(52)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인쇄 정보 기억부(734)는 인쇄 정보 기억부(62) (도 7)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PIN 코드 기억부(735)는 PIN 코드 발행 부(726)에 의해 생성된 PIN 코드, 또는 인쇄 요구 메일에 지정된 PIN 코드를,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 및 인쇄 요구 메일 대상에 해당하는 조직 코드에 관련시켜서 이를 저장한다.
도 17에 도시된 분류형태는 일례이다는 것을 주의한다. 본 실시형태를 실시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의 각 소프트웨어 및 각 기억부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계층으로 분류할 필요는 없다. 즉,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처리절차를 실행할 수 있는 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서 소프트웨어 및 기억부의 계층관계 등은 특정의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8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및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적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18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은 Web 브라우저(31) 및 메일 송신부(32) 등을 포함한다. Web 브라우저(31)는 일반적인 Web 브라우저이다. 메일 송신부(32)는 전자 메일을 전송한다. 본 실시형태에서, 메일 송신부(32)는 인쇄요구 메일을 송신한다. 또한, 메일 전송부(32)는 예를 들어, "메일러"(mailer)로 불리우는 프로그램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30)에서 실행되는 처리에 의해 실행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은 메일 분석부(81), 조직 코드 특정부(82), 사용자 이름 특정부(83), 인쇄 정보 생성부(84), 응답 메일 생성부(85), 메일 반신부 (86) 및 인쇄 정보 제공부(87)등을 포함한다.
메일 분석부(81)는 인쇄요구 메일을 분석하고, 인쇄 요구 메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 등을 추출한다. 조직 코드 특정부(82)는 인쇄 요구메일의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조직코드를 특정한다. 사용자 이름 특정부(83)은 인쇄 요구메일의 송신원 주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을 특정한다. 인쇄 정보 생성부(84), 응답메일 생성부(85), 메일 반신부(86), 및 인쇄 정보 제공부(87)의 기능은 도 12에서의 인쇄 정보 생성부(14), 응답 메일 생성부(15), 메일 반신부(16) 또는 인쇄 정보 제공부(63)과 동일하다.
이하, 제4 실시형태에서 실행되는 처리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4 실시형태에서 처리 과정의 개요는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인쇄 요구 메일을 이용하여 인쇄 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스텝 S401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의 메일 송신부(3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지시에 따라 인쇄요구 메일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조직에 대하여 할당된 메일 주소로 송신한다. 인쇄요구 메일의 내용에 대해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즉, 인쇄요구 메일에는 필요에 따라 PIN 코드가 지정된다.
다음에,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의 메일 취득부(724)는 메일서버(40)으로부터 당해 인쇄 요구 메일을 취득한다(S402). 이어서,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메일 분석부(81)는 인쇄 요구 메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S403). 이어서,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조직 코드 특정부(82)는 인쇄요구 메일의 수신지 주소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731)에 근거하여 인쇄 요구 메시지에 대한 조직코드를 특정한다 (S404). 즉, 수신지 주소와 관련하여 주소관련 정보 기억부(731)에 기억되어 있는 조직코드가 취득된다. 또한 제4 실시형태에서,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731)의 구성은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64) (도 13)과 동일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그러나,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 (64)의 "기업코드"는 "조직코드"로 대체된다.
다음에, PIN 코드 발행부(726)는 인쇄 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05). 인쇄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S405에서 Yes), PIN 코드 발행부(726)는 PIN 코드 기억부(735)를 판독하여 당해 PIN 코드 (이하 "지정 PIN 코드"라 한다)가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자과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06).
도 20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PIN 코드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IN 코드 기억부(735)은 도 9에서 PIN 코드 기억부(19) 외에도 조직코드 항목을 갖는다. PIN 코드의 고유성을 하나의 조직에서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스텝 S406에서는 스텝 S404에서 특정된 조직 코드(이하, "대상 조직 코드"라 한다)와 관련된 PIN 코드에 대하여 지정 PIN 코드와의 중복 여부가 판정된다. PIN 코드의 고유성을 복수의 조직 전반에 확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스텝 S406에서는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되어 있는 모든 PIN 코드에 대하여 지정 PIN 코드와의 중복 여부가 판정된다.
지정 PIN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된 경우 (S406에서 Yes), PIN 코드 발행 부(726)는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되어 있는 PIN 코드와 중복되지 않는 PIN 코드를 생성한다. PIN 코드 관리부(727)은 해당 PIN 코드를 대상 조직코드 및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 주소와 관련시켜 이를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한다 (S407). 지정 PIN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게 할당되지 않은 경우 (S406에서 No), PIN 코드 발행 부(726)는 PIN 코드를 생성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405 내지 S407은 도 8의 스텝 S201 내지 S203과 동일한 처리 과정이다는 것을 주의한다.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711a)의 사용자 특정부(83)는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에 따라 사용자 이름을 특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08). 구체적으로, 대상 조직 코드와 관련된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표적 조직 코드와 동일한 조직 코드와 관련되어 있고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도 21은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사용자 정보 기억부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1에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도 6)가 갖는 항목 이외에 조직코드 및 "역할"(role)을 갖는다.
역할은 각 사용자가 관리자인지 사용자인지를 구별하는 정보이다. 관리자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20a) 등, 서비스 제공 시스템(70)과 연계하는 기기의 관리자를 의미한다. 관리자는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20a)와 서비스 제공 시스템(70)과를 서로 연계시키기 위한 작업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이다.
스텝 S408에서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가 대상 조직코드와 동일한 기관 코드 및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지 여부가 확인된다. 해당 사용자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사용자 정보에 포함되는 사용자 이름 (이하, "대상 사용자 이름"이라 한다)이 특정된다.
대상 사용자 이름이 이렇게 특정된 경우 (S408에서 Yes),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의 데이터 변환부(728)는 인쇄 대상 데이터에 관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S409). 또한, 인쇄 대상 데이터가 변환되지 않더라도 인쇄 가능한 형식을 갖는 경우는 인쇄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다음에,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인쇄정보를 생성한다 (S410). 해당 인쇄 정보에는 작업 이름, 대상 조직코드, 대상 사용자 이름, PIN 코드 및 인쇄 데이터를 포함 한다.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생성된 인쇄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부(734)에 기억한다. 인쇄정보에 포함되는 PIN 코드는 인쇄 요구 메일에 지정된 PIN 코드 또는 단계 S407에서 생성된 PIN 코드이다.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응답 메일 생성부(85)는 응답 메일을 생성한다(S421). 해당 응답 메일은 예를 들어, 작업 이름 및 PIN 코드를 포함한다. 이어서, 메일 반신부(86)는 인쇄 요구메일의 송신주소로 응답 메일을 송신한다(S422).
한편, 스텝 S408에서 사용자 이름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S408에서 No), 스텝 S409에서와 같이 인쇄 대상 데이터에 관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S411). 이어서,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인쇄정보를 생성한다 (S412). 해당 인쇄정보에는 작업 이름, 대상 조직 코드, PIN 코드 및 인쇄 데이터가 포함된다.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생성된 인쇄정보를 인쇄 정보 기억부(734)에 기억한다. 인쇄정보에 포함된 PIN 코드는 인쇄요구 메일에 지정된 PIN 코드 또는 스텝 S407에서 생성된 PIN 코드이다. 이어서, 스텝 S421 및 S422가 실행된다.
한편, 스텝 S405에서 인쇄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 (S405에서 No), 사용자 특정부(83)는 스텝 S408과 마찬가지로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에 근거하여 대상 사용자 이름을 특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13).
대상 사용자 이름이 특정된 경우 (S413에서 Yes), 스텝 S409와 마찬가지로 인쇄 대상 데이터에 관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한다 (S414). 이어서, 인쇄정보 생성부(84)는 인쇄정보를 생성한다(S415). 해당 인쇄정보에는 작업 이름, 대상 조직 코드, 대상 사용자 이름 및 인쇄 데이터가 포함된다.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생성된 인쇄정보를 인쇄정보 기억부(734)에 기억한다. 이어서, 응답 메일 생성부(85)는 응답메일을 생성한다 (S416). 응답메일은 예를 들어 작업 이름을 포함한다. 이어서, 스텝 S422가 실행된다.
또한, 스텝 S413에서 사용자 이름이 특정되지 않는 경우 (S413에서 No), PIN 코드 발행부(726)는 인쇄 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PIN 코드 기억부(735)에서 PIN 코드와 관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17). 송신원 주소와 동일한 주소가 PIN 코드와 관련되지 않은 경우 (S417에서 No), PIN 코드 발행부(726) 및 PIN 코드 관리부(727)은 스텝 S407과 동일한 처리를 수행한다(S418). 즉 새로운 PIN 코드가 생성되고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된다.
스텝 S417에서 Yes인 경우에, 또는 스텝 S418에 이어서, 스텝 S411 및 S412과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 후 (S419, S420), 스텝 S421 및 S422가 실행된다.
따라서,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게스트 사용자에 대해서는 항상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 메일이 반신된다. 한편, 정규 사용자에 대해서는, 인쇄요구 메일에 PIN 코드를 지정한 경우에, 해당 PIN 코드 또는 타인의 PIN 코드와의 중복을 피하여 생성된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메일이 반신된다. 다시 말해, 정규사용자의 경우에, PIN 코드가 인쇄 요구 메일에 지정되지 않은 경우, 해당 정규사용자에 대하여 PIN 코드는 발행되지 않는다
다음에, 사용자 단말기(30)가 갖는 Web 브라우저(31)를 통하여 인쇄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4 실시형태에서는, 인쇄 요구 메일 사용 이외의 수단에 의해 인쇄 정보가 등록될 수 있다.
도 22는 We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처리 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2의 초기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의 Web 브라우저(31)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대한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스텝 S431에서 Web 브라우저(31)은 로그인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로그인 정보를 받는다.
도 23은 제4 실시형태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의 표시 예를 도시한다. 도 23에서 로그인 화면(520)은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패스워드 및 PIN코드 등의 입력 영역을 포함한다. 로그인 화면(520)은 OK 버튼 (521) 및 "PIN 발행" 버튼(522) 등을 추가로 포함한다.
로그인 방법에는 2가지 패턴이 있다. 패턴 1에서는 조직 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지정된다. 패턴 2에서는 조직코드 및 PIN 코드가 지정된다. 그러나, 사용자 단말기(30)가 카드 리더에 접속되는 경우 또는 사용자 단말기(30)가 카드 리더를 포함하는 경우, 카드(90)을 사용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패턴 2의 경우에 사용자는 미리 PIN 코드를 발행받을 필요가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사용자는 PIN 코드를 발행받기 위해 "PIN 발행" 버튼(522)를 누른다. "PIN 발행" 버튼(522)를 누르는 경우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로그인 화면(520)상의 OK 버튼(521)를 누르면 Web 브라우저(31)은 로그인 화면(520)에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S432). Web 브라우저(31)에 의해 실행된 처리는 Web 브라우저(31)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하고 있는 Web 페이지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데이터 등)에 포함된 정의에 기반한다는 것을 주의한다.
로그인 화명 (520)에 대하여,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입력된 경우 (S432에서 Yes), Web 브라우저 (31)는 조직 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의한 인증을 받는다(S433). 즉,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사용자 인증부(721)에 송신된다. 사용자 인증부(721)은 해당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의 조합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인증을 실행한다.
인증에 성공하고 로그인이 허가된 경우 (S434에서 Yes), Web 브라우저(31)는 데이터 투입 화면을 표시한다 (S435). 데이터 투입 화면은 사용자 단말기(30)에 보존되어 있는 파일 중에서 인쇄 대상으로 하는 파일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데이터 투입화면을 통해 파일이 선택되면, Web 브라우저(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대하여 해당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송한다 (S436).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있어서 해당 데이터가 수신되면 도 19의 스텝 S406 및 S407과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S437, S438). 그 결과 해당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쇄 정보가 인쇄정보 기억부(734)에 기억된다.
한편, 로그인 화면 (520)에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S432에서 No), Web 브라우저(31)는 입력된 것이 조직코드 및 PIN 코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S439). 입력된 것이 조직 코드 및 PIN 코드인 경우 (S439에서 Yes), Web 브라우저(31)는 조직 코드 및 PIN 코드에 기반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에 의한 인증을 받는다(S440). 즉, 조직코드 및 PIN 코드의 조합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인증이 수행된다.
인증에 성공하고 로그인이 허가된 경우 (S434에서 Yes), Web 브라우저(31)은 스텝 S435 및 이후의 스텝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 경우 스텝 S438에서는 도 19의 스텝 S412과 동일한 처리가 수행된다. 그 결과, 조직 코드 및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인쇄 정보는 정보 인쇄 정보 기억부(734)에 기억된다.
또한, 로그인 화면(520)에 대한 입력 패턴이 패턴 1도 아니고 패턴 2도 아닌 경우 (S439에서 No), 또는 로그인에 실패한 경우 (S434에서 No), Web 브라우저 (31)는 오류 화면을 표시한다 (S441). 이 경우에 인쇄 정보는 등록되지 않는다.
다음에, 조직 코드 및 PIN 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을 받기 전에 실행되는 Web 인터페이스를 통해 PIN 코드를 발행하는 처리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Web 인터페이스를 통해 PIN 코드를 발행하는 처리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24의 초기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의 Web 브라우저(31)에는 로그인 화면 (520) (도 23)이 표시되는 것으로 추정한다.
스텝 S451에서 Web 브라우저(31)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를 수신한다 (S451). PIN 코드의 발행 요구는 로그인 화면(520)에 조직코드 (이하, "대상 조직 코드"라 한다)가 입력된 후, PIN 발행 버튼(522) 누름으로써 접수된다. PIN 발행 버튼 (522)의 누름에 응답하여 Web 브라우저(31)는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응답자 주소지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도 25는 사용자 단말기에 표시된 응답 수진지 주소 지정화면의 표시예를 도시한다. 도 25에서 응답 수신지 주소 지정화면(530)은 체크 버튼(531), 주소 입력영역(532) 및 OK 버튼(533) 등을 포함한다.
주소 입력 영역(532)은 발행될 PIN코드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의 응답 수신지의 메일주소 (이하 "응답 수신지 주소"라 한다)의 입력을 받는다. 체크 버튼 (531)은 발행될 PIN 코드의 통지를 전자메일로 받을 것인지 여부에 대한 지시를 접수한다. 체크 버튼(531)이 체크되면 주소 입력 영역(532)에 대한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OK 버튼(533)를 누르면, Web 브라우저(31)은 로그인 화면 (520)를 통해 입력된 조직코드를 포함하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송신한다. 응답 수신지 지정화면(530)에서 응답 수신지 주소가 입력된 경우, PIN 코드의 발행 요구에는 응답 수신지 주소도 또한 포함된다.
다음에,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의 PIN 코드 발행부(726)는 기존의 PIN 코드와의 중복을 피하여 새로운 PIN 코드를 생성한다 (S452). 해당 PIN 코드는 대상 조직코드와 관련하여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된다. 여기에서 PIN 코드와 관련된 메일 주소를 기억할 필요는 없다.
다음에, PIN 코드 관리부(727)는 PIN 코드의 발행 요구에 응답 수신지 주소가 지정되어 있는지 여부에 따라 처리를 분기시킨다 (S453). 응답 수신지 주소가 지정되어 있는 경우 (S453에서 Yes), PIN 코드 관리부(727)은 해당 응답 수신지 주소에 대하여 생성된 PIN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S454 ). 응답 수신지 주소가 지정되지 않은 경우 (S453에서 No), PIN 코드 관리부(727)는 생성된 PIN 코드를 표시하는 Web 페이지를 PIN 코드의 발행 요구에 대한 응답에 포함시켜 Web 브라우저(31)에 반신한다(S455).
어떤 경우에도 사용자는 PIN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PIN 코드를 사용하여 도 22에서 기술된 패턴 2의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 흐름도를 이용하여 상술한 처리 과정에 포함된 일부 시나리오에 관한 처리과정에 대하여 시퀀스 다이어그램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인쇄 요구메일을 이용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고 PIN 코드를 발행하는 처리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즉, 도 26은 도 19의 처리과정중 인쇄요구 메일에 PIN 코드가 지정되고 (S406에서 Yes), 사용자 이름이 특정된 경우 (S408에서 Yes인 경우)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스텝 S501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의 메일 송신부 (32)는 PIN 코드가 지정된 인쇄 요구 메일을 해당 사용자가 위치하는 조직에 할당된 메일주소로 송신한다. 해당 인쇄 요구 메일은 예를 들어,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에 따라 메일 서버 (40)에 전송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의 메일 취득부(724)는 예를 들어, POP (Post Office Protocol)에 따라 메일서버(40)에 보존되어 있는 인쇄 요구 메일을 취득한다(S502, S503). 메일 취득부(724)는 인쇄요구 메일을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으로 전송한다 (S504).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메일 분석부(81)는 인쇄 요구 메일로부터 인쇄 대상 데이터를 추출한다 (S505).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조직코드 특정부(82)는 인쇄 요구 메일의 수신지 주소에 대응하는 조직 코드의 취득을 관리정보 취득부(723)에 요구한다 (S506). 관리정보 취득부(723)는 수신지 주소와 관련되고 주소 관련 정보 기억부(731) (도 13 참조)에 기억되어 있는 조직코드를 취득하고(S507), 해당 조직 코드 (이하, "대상 조직코드"라 한다)를 조직 코드 특정부(82)에 반신한다 (S508).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사용자 특정부(83)는 인쇄 요구 메일에 지정되어 있는 PIN 코드 (이하, "지정 PIN 코드"라 한다), 대상 조직 코드, 및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를 지정하여 PIN 코드가 지정된 것을 PIN 코드 관리부(727)에 통지한다(S509). PIN 코드 관리부(727)는 통지된 지정 PIN 코드, PIN 코드 기억부(735)를 판독하여 중복 발생 유무를 확인한다(S510). 지정 PIN 코드가 다른 PIN 코드와 중복되는 경우 PIN 코드 관리부(727)은 PIN 코드 발행부(726)에 대하여 PIN 코드의 발행을 요구한다 (S511). 이때 PIN 코드 발행부(726)에 대한 통지는 이미 발행된 PIN 코드목록을 포함할 수 있다. PIN 코드 발행부(726)는 새로운 PIN 코드를 생성하고, 해당 PIN 코드를 PIN 코드 관리부(727)에 반신한다(S512). PIN 코드 관리부(727)는, 해당 PIN 코드가 다른 PIN 코드와 중복되지 않으면, 해당 PIN 코드를 대상 조직코드 및 송신원 주소와 관련시켜 이를 PIN 코드 기억부(735)에 등록한다 (S513). 이어서, PIN 코드 관리부(727)는 해당 PIN 코드를 사용자 이름 특정부(83)에 반신한다(S514). 스텝 S510에서 PIN 코드의 중복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스텝 S511 및 S512는 실행되지 않고, 지정 P1N 코드가 PIN 코드 기억부(735)에 등록되고 (S514), 지정 PIN 코드가 사용자 이름 특정부(83)에 반신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S514).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사용자 특정부(83)은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의 취득을, 관리 정보 취득부(723)에 요구한다 (S515). 관리 정보 취득부(723)는 당해 송신원 주소와 관련시켜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 (도 21)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이름의 취득을 시도한다(S516). 여기에 해당하는 사용자 이름은 취득된 것으로 추정한다. 따라서 관리 정보 취득부(723)은 해당 사용자 이름 (이하 "대상 사용자 이름"이라 한다)을 포함하는 응답을 사용자 이름 특정부(83)에 반신한다 (S517).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인쇄정보 생성부(84)는 인쇄 대상 데이터에 대하여 인쇄 데이터로의 변환을 데이터 변환부(728)에 요구한다 (S518). 데이터 변환부(728)은 인쇄 대상 데이터에 기반하여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 된 데이터를 보조기억 장치에 기억한다 (S519). 데이터 변환부(728)는 생성된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식별 정보(데이터 ID)를 할당한다. 제4 실시형태에 따르면, 데이터 ID는 작업이름으로 사용된다. 이어서, 데이터 변환부(728)는 작업 이름과 인쇄 데이터가 보존되는 파일의 경로 이름을 포함하는 응답을 인쇄 정보 생성부(84)에 반신한다 (S520).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작업 이름, 대상 조직 코드, 대상 사용자 이름, PIN 코드, 및 인쇄 데이터를 저장한 파일의 경로 이름을 포함하는 인쇄정보를 생성한다 (S521). 상술한 구성에서는 인쇄정보가 인쇄 데이터를 포함한다고 기술되어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그러나 인쇄 정보는 인쇄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인쇄 데이터의 경로 이름 등, 인쇄 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14에서 "인쇄 데이터"의 항목에는 "인쇄 데이터의 경로 이름"이 기억될 수 있다.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응답 메일 생성부(85)는 작업 이름 및 PIN 코드 등을 포함한 응답메일을 생성한다 (S522). 이어서, 메일 반신부(86)는 해당 응답 메일을, 인쇄요구 메일의 송신원 주소로 송신한다 (S523).
다음에, 도 27은 Web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PIN 코드를 발행하고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처리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즉, 도 27은 도 24의 처리과정에 따라 PIN 코드를 발행하고, 도 22에서 조직코드 및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여 인쇄정보를 등록하는 경우의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스텝 S601에서 사용자 단말기(30)의 Web 브라우저(31)는, 로그인 화면(520) 및 응답처 주소 지정화면(530) 등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조직코드를 지정하여, PIN 코드의 발행 요구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에 송신한다.
PIN 코드 발행 요구에 따라, PIN 코드 관리부(727)는 대리계정을 대리계정 관리 테이블에서 취득한다(S602). 대리계정은 사용자의 진정한 계정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 대신에 이용된다. 즉 PIN 코드 발행을 요구하는 사용자는 계정을 가지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자 인증부(721)에 의해 인증을 받을 수 없으며, 그 결과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로그인 할 수 없다. 이것이 대리계정을 사용하는 이유이다.
도 28은 대리계정 관리 테이블의 구성예를 도시한다. 도 28에서 대리계정 관리 테이블에는 조직코드와 관련시키는 방식으로 대리계정의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스텝 S602에서 PIN 코드의 발행 요구에 지정된 조직코드에 대응하는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취득된다.
각 조직의 관리자의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가 대리 계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한다.
다음에, PIN 코드 관리부(727)은 조직코드와 대리계정의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를 지정하여 인증요구를 사용자 인증부(721)에 송신한다 (S603). 사용자 인증부 (721)은 해당 조직코드, 사용자 이름 및 패스워드에 관하여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를 판독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S604). 이어서, 사용자 인증부(721)는 인증 결과를 PIN 코드 관리부(727)에 반신한다(S605).
인증에 성공하면, PIN 코드 관리부(727)는 PIN 코드의 발행을 PIN 코드 발행부 (726)에 요구한다 (S606). PIN 코드 발행부(726)는 PIN 코드를 생성하고 (S607), 해당 PIN 코드를 PIN 코드 관리부(727)에 반신한다(S608). PIN 코드 관리부(727)는 대상 조직코드와 해당 PIN 코드를 서로 관련시켜 이들을 PIN 코드 기억부(735) (도 20)에 등록한다 (S609). 이어서, PIN 코드 관리부(727)는 해당 PIN 코드를 포함하는 응답을,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에 송신한다 (S610). 상기 응답의 형태는 전자메일 또는 Web 페이지일 수 있다. 전자 메일의 경우에 PIN 코드의 발행 요구에 지정된 응답 수진지 주소로 PIN 코드를 포함하는 전자메일이 송신된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0) 이외의 단말기에 의해 전자메일이 수신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PIN 코드를 취득한 사용자는 해당 PIN 코드를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로그인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의 Web 브라우저(31)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 (520) (도 23)에 조직코드 및 PIN 코드를 입력하고 OK 버튼(521)를 누른다. OK 버튼(521)의 누름에 따라 Web 브라우저(31)는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 요구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 (70)에 송신한다 (S611). 해당 로그인 요구에는 로그인 화면(520)에 입력된 조직코드 및 PIN 코드가 지정된다. 그러나 조직을 가로질러 PIN 코드의 고유성이 보증되는 경우 PIN 코드만이 지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하에 기술되는 처리에서 조직코드와 PIN 코드의 조합으로부터 특정되는 정보는 PIN 코드만을 이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의 PIN 코드 관리부(727)는 당해 로그인 요구에 지정되어있는 조직코드 및 PIN 코드를 인증한다 (S612). 구체적으로, 당해 조직코드 및 PIN 코드의 조합이,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조합이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인증은 성공한다. 상기 조합이 PIN 코드 기억부(735)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 인증은 실패한다.
PIN 코드의 인증에 성공하면 스텝 S602 내지 S605과 동일한 순서로 대리계정을 이용한 인증이 행해진다 (S613 내지 S616). 상기 인증에 성공하면 로그인에 성공하게 된다. 그래서 PIN 코드 관리부(727)은 로그인에 성공한 조직코드 및 PIN 코드를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에 통지한다(S617).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는 PIN 코드를 사용하는 로그인 요구에 대한 응답에 데이터 투입 화면를 표시하는 Web 페이지를 포함시키는 방식으로 사용자 단말기(30)에 반신한다(S618). 사용자 단말기(30)의 Web 브라우저(31)는 당해 Web 페이지를 기반으로 데이터 투입 화면을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기(30)에서 데이터 투입 화면을 통해 파일이 선택되면, Web 브라우저 (31)는 해당 파일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에 송신한다 (S619). 이어서, 도 26의 스텝 S518 내지 S521과 동일한 순서에 의해 해당 데이터에 관하여 인쇄 데이터가 생성되고, 해당 인쇄 데이터의 경로이름, 작업이름, 조직 코드 및 PIN코드를 포함하는 인쇄정보가 인쇄 정보 기억부(734)에 기억된다 (S620 내지 S623).
다음에, 도 29는 인쇄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과정의 일례를 설명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즉, 도 29는 도 26 또는 도 27의 처리에 의해 등록된 인쇄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쇄작업을 화상 형성 장치(20a)에 실행시키기 위한 처리과정을 나타낸다.
도 29에서 스텝 S701 내지 S710는 화상형성 장치(20a)에서 통상의 로그인 (조직 코드, 기기ID 및 카드 ID를 기반으로 로그인)이 행해지는 경우의 처리과정이다. 한편, 스텝 S801 내지 S810는 화상형성 장치(20a)에서 PIN 코드로의 로그인 (조직 코드, 기기 ID 및 PIN 코드를 기반으로 로그인)이 행해지는 경우의 처리과정이다.
화상 형성 장치(20a)의 조작패널(25)에 로그인 화면(510)(도 11)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카드(90)가 카드 리더(28)로 세팅되면, 인증 제어부(221)는 로그인 요구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송신한다 (S701). 로그인 요구에는 조직 코드, 기기 ID 및 카드 ID가 지정된다. 조직 코드 및 기기 ID는 화상형성 장치(20a)의 HDD(214)에 미리 기억될 수 있다. 그러나 조직 코드에 대해서는 로그인 화면(510)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로그인 화면(510)은 조직 코드 입력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있어서 로그인 요구가 수신되면, 기기 인증부(722)가 인증처리를 수행한다(S702). 구체적으로, 다음의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된 경우에 인증이 성공한다. 두 가지 조건 중 첫 번째는 당해 로그인 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조직 코드 및 기기 ID의 조합이 사용자 기기 정보 기억부(732) (도 15 참조)에 기억되어 있다. 두 가지 조건 중 두 번째는 로그인 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조합과 동일한 조직코드 (이하 "대상 조직 코드"라 한다) 및 카드 ID의 조합이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 (도 21)에 기억되어 있는 것이다. 해당 카드 ID와 관련되고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에 기억되어 있는 사용자 이름은 이하 "대상 사용자 이름"으로 언급된다는 것을 주의한다.
인증에 성공하면 기기 인증부(722)는 대상 조직코드 및 대상 사용자 이름을 지정하여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를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에 송신한다 (S 703). 인쇄정보 목록의 취득요구에는 인증 결과, 대상 조직코드 및 대상 사용자 이름 등이 지정된다.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인쇄 정보 제공부(87)는 대상 조직코드 및 대상 사용자 이름을 포함하는 인쇄정보 목록을 인쇄 정보 기억부(734)로부터 취득한다(S704). 여기에서는 인쇄 데이터의 실체를 취득할 필요가 없다. 이어서, 인쇄 정보 제공부(87)는 로그인 성공을 나타내는 정보와, 취득된 인쇄정보 목록(인쇄정보 세트)를 화상 형성 장치(20a)에 반신한다(S705).
화상형성 장치(20a)의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반신된 각 인쇄정보에 포함되어있는 작업 이름 등의 목록을 조작패널(25)에 표시한다 (S706). 해당 목록 중에서 하나 이상의 작업 이름을 선택하면 인쇄 정보 취득부(222)는 해당 작업 이름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의 취득요구를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에 송신한다 (S707).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인쇄정보 제공부(87)는 인쇄정보 기억부(734)를 판독하여 해당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작업이름과 관련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정보 기억부(734)로부터 취득한다 (S708). 이어서, 인쇄정보 제공부(87)는 해당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20a)에 반신한다(S709).
화상형성 장치(20a)의 인쇄 제어부(223)는 당해 인쇄 데이터에 관한 인쇄작업의 실행을 제어한다 (S710). 그 결과 해당 인쇄 데이터가 인쇄된 용지가 출력된다.
다음에,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20a)의 조작패널(25)에 표시되는 로그인 화면(510) (도 11)를 통해 PIN 코드를 입력하고 OK 버튼(511)을 누르면 인증 제어부(221)는 로그인 요구를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에 송신한다 (S801). 해당 로그인 요구에는 조직코드, 기기 ID 및 PIN 코드가 지정된다.
다음에, 도 27의 스텝 S612 내지 S616과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S802 내지 S806). 이어서, PIN 코드 관리부(727)는 로그인에 성공한 조직코드 및 PIN 코드를 지정하여 인쇄 데이터의 취득요구를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으로 송신한다 (S807).
다음에, 인쇄 서비스 애플리케이션(711a)의 인쇄정보 제공부(87)는 인쇄정보 기억부(734)를 판독하여 인쇄 데이터의 취득요구에 지정되어 있는 조직코드 및 PIN 코드와 관련된 인쇄 데이터를 인쇄정보 기억부(734)로부터 취득한다 (S808). 이어서, 인쇄정보 제공부(87)는 상기 인쇄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20a)에 반신한다 (S809).
화상 형성 장치(20a)의 인쇄 제어부(223)는 당해 인쇄 데이터에 관한 인쇄작업의 실행을 제어한다 (S810). 그 결과 해당 인쇄 데이터가 인쇄된 용지가 출력된다.
도 29에 있어서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인쇄정보 목록이 화상형성 장치(20a)에 제공되지 않는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것은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는 사용자는 일시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20a)를 이용하는 게스트 사용자 또는 카드 (90)를 잊어버린 정규사용자 등이며, 등록되어 있는 인쇄정보는 소량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사용자는 등록되어 있는 인쇄정보의 모두를 인쇄하고 싶은 사용자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PIN 코드를 이용하여 로그하는 경우에도 스텝 S705 및 이후의 스텝과 동일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로그인에 지정된 PIN 코드와 관련하여 인쇄정보 중에서 인쇄대상으로 하는 인쇄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서, 관리서버(10), 인증 서버(50) 및 보존서버(60)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70)은 정보 처리 시스템의 일례이다. 인쇄 데이터는 출력 데이터의 일례이다. 즉, 인쇄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가 화상형성 장치 또는 그 이외의 기기에 출력되는 경우에 대하여, 상술한 실시형태의 각각이 적용될 수 있다. 메일 수신부 (11) 및 메일 취득부(724)는 출력 데이타 수신부의 일례이다. 주소 확인부(12) 및 사용자 이름 특정부(83)은 특정부의 일례이다. 사용자 이름은 사용자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PIN 코드는 데이터 식별 정보의 일례이다. 즉 PIN 코드는 인쇄 요구마다 생성된다. 따라서 PIN 코드는 인쇄 대상의 데이터를 식별하는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인쇄 정보 생성부(14) 및 인쇄 정보 생성부(84)는 보존 처리부의 일례이다. 메일 반신부(16) 및 메일 반신부(86) 또는 PIN 코드 관리부(727)는 통지부의 일례이다. 인쇄 정보 제공부(63) 및 인쇄 정보 제공부(87)는 송신부의 일례이다. 사용자 정보 기억부 (52) 및 사용자 정보 기억부(733)는 사용자 정보 기억부의 일례이다. 인쇄 정보 기억부(62) 및 인쇄 정보 기억부(734)는 데이터 기억부의 일례이다. 인쇄 요구 메일 또는 인쇄 요구 메일에 포함되어 있는 인쇄 대상 데이터는 메일 데이터의 일례이다. PIN 코드 저장부(735)는 데이터 식별 정보 기억부의 일례이다. PIN 코드 관리부(727)은 제1 수신부 및 제2 수신부의 일례이다. 사용자 인증 부(721)는 제3의 수신부의 일례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를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술되고 정의된 바와 같은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본 특허출원은 2013년 5월 10일자 출원된 일본 우선권출원 제2013-099973호를 기본으로 하며, 이의 전문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포함된다.
선행기술 문헌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4-236348호
일본특허출원 공개 제2001-051915호

Claims (13)

  1.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출력 데이터 수신부;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에, 발행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보존 처리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지하는 통지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와 관련된 출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는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일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보존 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또는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가 상기 메일 데이터에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에 의해 통지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기억부;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 처리부는, 상기 제1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상기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된 사용자 식별 정보를,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특정하는 특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존 처리부는, 또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특정된 경우에,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키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보존하고,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관련된 제1 식별 정보와 관련되고,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며,
    상기 특정부는,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된 제1 식별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특정하기 위해, 상기 수신된 메일 데이터의 수신지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수신된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특정부가 상기 수신지의 주소 정보를 사용하여 제1 식별 정보를 특정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통지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3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는 상기 단말기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메일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자의 주소 정보와 상기 수신지의 주소 정보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부는, 상기 출력 데이터 수신부가 상기 단말기로부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에, 상기 제3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1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의해 기억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를 특정하는 것인, 정보 처리 시스템.
  7. 하나 이상의 정보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 발행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관련된 상기 출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계에서,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메일 데이터가 수신되고,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또는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가 상기 메일 데이터에 지정되는 경우에,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는 출력 데이터와 관련되고,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는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와 동일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상기 통지 단계에 의해 통지된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 기억부에 보존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는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되고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 및 상기 출력 데이터는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의해 보존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사용자 식별 정보가 특정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또한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보존되며,
    상기 사용자 정보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와 관련된 제1 식별 정보와 관련되고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보존되며,
    상기 특정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메일 데이터의 수신지의 주소 정보는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특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상기 특정된 제1 식별 정보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특정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통지 단계에서, 상기 수신된 제1 식별 정보와 동일한 제1 식별 정보가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보존되는 경우에, 또는 상기 특정 단계에서,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수신지의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되는 경우에, 데이터 식별 정보가 통지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제1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며,
    상기 특정 단계에서, 상기 메일 데이터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되는 경우에,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는 송신자의 주소 정보 및 수신지의 주소 정보로부터 특정되고,
    상기 특정 단계에서,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가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제1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제1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 기억부에 보존된 사용자 정보로부터 사용자 식별 정보가 특정되는 것인, 정보 처리 방법.
  13.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 기록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네트워크를 통해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가 수신된 경우에, 수신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상기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
    상기 출력 데이터 또는 출력 대상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식별 정보의 발행 요구가 수신된 경우에, 발행된 데이터 식별 정보를 출력 데이터와 관련시켜 이를 데이터 기억부에 보존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통지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관련된 상기 출력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송신하는 단계
    를 실행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정보 기록 매체.
KR1020157031584A 2013-05-10 2014-05-01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50138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99973 2013-05-10
JP2013099973A JP6079420B2 (ja) 2013-05-10 2013-05-10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PCT/JP2014/062539 WO2014181884A1 (en) 2013-05-10 2014-05-01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372A true KR20150138372A (ko) 2015-12-09

Family

ID=5186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1584A KR20150138372A (ko) 2013-05-10 2014-05-01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965228B2 (ko)
EP (1) EP2994823B1 (ko)
JP (1) JP6079420B2 (ko)
KR (1) KR20150138372A (ko)
CN (1) CN105190528B (ko)
CA (1) CA2911101C (ko)
WO (1) WO20141818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70397B2 (ja) 2013-05-10 2017-02-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17165B2 (ja) * 2014-10-21 2017-04-19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ジョブ管理プログラム
JP2016116088A (ja) * 2014-12-15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116092A (ja) * 2014-12-16 2016-06-23 株式会社リコー 伝送システム、伝送管理システム、伝送端末、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144798B1 (en) * 2015-09-18 2020-1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6805628B2 (ja) * 2016-08-23 2020-1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7056285B2 (ja) * 2017-03-31 2022-04-19 株式会社リコー 共有端末、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27697B1 (ja) * 2018-01-22 2018-11-21 株式会社Triart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7114980B2 (ja) 2018-03-28 2022-08-09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095354B2 (ja) 2018-03-28 2022-07-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61065B2 (en) 2020-02-24 2022-10-04 Ricoh Company, Ltd. Secure mobile cloud printing using user information and printing device groups
JP7484340B2 (ja) * 2020-03-31 2024-05-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端末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と端末装置と通信装置
JP2023080793A (ja) * 2021-11-30 2023-06-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特定の通信装置、及び、特定の通信装置のため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915A (ja) 1999-08-05 2001-02-23 Minolta Co Ltd ネットワーク環境における印刷システム、電子メール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4520057B2 (ja) * 2000-02-16 2010-08-04 株式会社リコー 出力端末
JP2004088726A (ja) * 2002-06-26 2004-03-18 Casio Comput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トシステム
JP3770264B2 (ja) 2004-03-04 2006-04-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印刷システム
US8162757B2 (en) * 2007-03-07 2012-04-24 Electronic Arts Inc. Multiplayer platform for mobile applications
JP2009116831A (ja) 2007-11-09 2009-05-28 Murata Mach Ltd 印刷システム
JP4983596B2 (ja) 2007-12-28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ータ提供システムとデータ提供装置
US8139564B1 (en) * 2008-09-24 2012-03-2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onfiguring guest users for a VoIP device of a primary user
JP5679890B2 (ja) 2011-04-20 2015-03-0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及び認証印刷データの管理権限委譲方法
JP2012230648A (ja) * 2011-04-27 2012-11-22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印刷制御方法、印刷装置、およびサーバ
JP5729137B2 (ja) 2011-05-27 2015-06-0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情報管理方法、及び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13088950A (ja) * 2011-10-14 2013-05-13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JP6136343B2 (ja) 2012-06-12 2017-05-3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361053B2 (en) * 2013-01-31 2016-06-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fidential-sender email addresses for printing
JP6155825B2 (ja) 2013-05-10 2017-07-0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070397B2 (ja) 2013-05-10 2017-02-0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29343B2 (ja) 2013-07-22 2017-11-15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99097B2 (ja) 2013-07-22 2018-03-28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209888B2 (ja) 2013-07-24 2017-10-11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219894A (ja) 2014-11-20
EP2994823B1 (en) 2021-03-24
CA2911101A1 (en) 2014-11-13
JP6079420B2 (ja) 2017-02-15
WO2014181884A1 (en) 2014-11-13
US20160070511A1 (en) 2016-03-10
CN105190528A (zh) 2015-12-23
EP2994823A1 (en) 2016-03-16
US9965228B2 (en) 2018-05-08
CA2911101C (en) 2018-10-30
CN105190528B (zh) 2018-08-28
EP2994823A4 (en)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7268C1 (ru) Система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JP6079420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5582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07039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182984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284075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921814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method of processing inform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27772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22618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39015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22900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