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883A - 혈장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혈장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883A
KR20150137883A KR1020140066512A KR20140066512A KR20150137883A KR 20150137883 A KR20150137883 A KR 20150137883A KR 1020140066512 A KR1020140066512 A KR 1020140066512A KR 20140066512 A KR20140066512 A KR 20140066512A KR 20150137883 A KR20150137883 A KR 201501378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blood
plasma
middle plate
central de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2949B1 (ko
Inventor
문현석
이태재
이석재
배남호
이문근
이경균
신수정
우동균
Original Assignee
(주)대영오앤이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영오앤이,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주)대영오앤이
Priority to KR1020140066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949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c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장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가 안착되는 챔버부를 갖는 중판; 상기 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중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혈장 분리 장치{PLASMA SEPAR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혈장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가 안착되는 챔버부를 갖는 중판; 상기 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중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혈액은 혈관 내를 유동하는 액체로서, 내부에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물질을 내포하며, 체내의 모든 곳에 영양소 및 각종 필요 요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상기 혈액의 상태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대변하는 중요 요소로서, 혈액 검사는 신체 검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이러한 혈액의 검사를 위해 혈장을 혈액에서 분리하여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가 다수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혈장 분리 장치는 소정의 필터를 사용해서 혈장을 분리해 내되, 혈장 분리를 위한 공간이 커서 공간 활용도가 낮았으며, 아울러 혈장 분리 과정에서 혈액 및 혈장의 유동이 매우 느려 분리 효율 또한 매우 낮은 단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10-2013-0016562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가 안착되는 챔버부를 갖는 중판; 상기 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중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는,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가 안착되는 챔버부를 갖는 중판; 상기 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중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패턴부는, 챔버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함몰 라인을 갖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의 양 측부에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소정의 어레이를 갖게 배열되는 제1 패턴부, 및 제2 패턴부를 갖고,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의 양 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돌출 패턴 및 상기 제2 돌출 패턴은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턴부의 각각의 돌출부와, 상기 제2 패턴부의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접하는 부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높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깊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은, 중심부의 깊이가 외측부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의 상부가 형성하는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함몰부에는, 상기 중앙 함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세 채널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부의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필터를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결합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과 상기 안착면 사이에 소정의 필터가 배치되어 상기 필터가 고정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주입구는, 상기 챔버부 외부에 형성되는 혈액 주입공, 및 상기 혈액 주입공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부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주입공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액 주입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혈액 주입공 및 상기 챔버 주입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은 상기 혈액 주입공과 상기 챔버 주입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액 주입 채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2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와 밀착하는 제2 홈부, 또는 제2 돌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장 배출구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배출공, 및 상기 챔버 배출공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혈장 배출공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장 배출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배출공 및 상기 혈장 배출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은 상기 챔버 배출공과 상기 혈장 배출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장 배출 채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와 밀착하는 제4 홈부, 또는 제4 돌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은, 상기 챔버부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챔버 내에 형성된 제1 공기 주입공, 및 제1 공기 주입공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주입공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공기 주입공은, 내면에 혈장 등의 유동을 방지하는 소수성 코팅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공기 주입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 주입공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은 상기 제1 공기 주입공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공기 주입 채널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와 밀착하는 제6 홈부, 또는 제6 돌부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은, 하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는 상부 챔버를 갖고, 상기 상부 챔버 내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필터를 가압하는 복수의 지지대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은, 상기 상부 챔버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부 배출구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부는, 사각형 외형을 갖게 구성되며, 상기 중판에는, 상기 사각형 외형을 갖는 챔버부가 복수 개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는, 분리된 혈액의 유동이 촉진되어 혈장 분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아울러, 혈액 주입 및 혈장 분리 과정에서 챔버부 내부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혈장 및 혈액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혈장 분리가 수행되는 챔버부가 사각형 외형을 가져 공간 활용도 또한 향상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상판, 중판, 하판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상판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상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상판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하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분리 패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분리 패턴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의 챔버부에 필터가 안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를 통한 혈장 분리에 따른 혈장의 유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를 통한 혈액 및 혈장의 유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하부", "상부", “측부”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부재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부재를 뒤집을 경우, 다른 부재의 “상부"로 기술된 부재는 다른 부재의 "하부”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상부"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부재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은 언급된 부재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부재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부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방향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상판(100), 중판(200), 하판(300) 사이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상판(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상판(100)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중판(2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중판(200)의 하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하판(3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분리 패턴부(40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분리 패턴부(400)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의 챔버부(220)에 필터(500)가 안치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를 통한 혈장 분리에 따른 혈장의 유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를 통한 혈액 및 혈장의 유동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는,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500)가 안착되는 챔버부(220)를 갖는 중판(200); 상기 중판(2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220)를 커버하는 상판(100); 상기 중판(200)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200)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300);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200)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220)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200)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부(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500)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상기 필터(500)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5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판(100), 중판(200), 하판(300)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를 구성하는 가장 큰 3 개의 부재가 배치되는 높이에 따라서 구분하여 지칭하는 명칭으로서, 혈장 분리 장치(1)를 배향하는 방식에 따라서 달리 보일 수 있다. 기본적으로, 혈액이 담기는 챔버부(220)가 형성된 부재를 중판(200), 상기 챔버부(220)를 덮는 부재를 상판(100), 중판(200)의 하부를 덮는 부재를 하판(300)이라고 하며, 상판(100), 중판(200), 상판(100)이라고 하여 반드시 플레이트 형태의 넓은 부재로 한정하여 해석되지는 아니한다.
중판(200)은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본체부(210)를 갖는 부재로서, 상기 본체부(210)에는 소정의 챔버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챔버부(220)는 혈액 등이 담겨지고 필터(500) 등이 안착되는 공간을 갖는 부분으로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함몰면(212)을 갖는 함몰 영역과 상기 함몰 영역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2 벽부(214)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부(22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외형을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혈장 분리 장치(1)에는 복수의 챔버부(220)가 형성되되, 공간적으로 조밀한 배치를 가질 수 있고, 따라서 공간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부(220)는 직사각형으로 구성되어 복수의 챔버부(220)가 나란히 배치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챔버부(220)은 소정의 격벽(W)을 사이에 두어 구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판(100)은 상기 중판(200)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220)를 커버한다. 상기 상판(100)은 소정의 면적을 갖는 바디(310)를 갖는다. 상기 상판(100)은 상기 중판(200) 상에 배치되고 중판(200)과 소정의 방법 및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00)에 소정의 밀착 돌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중판(200)에는 소정의 밀착 홈부(214)가 형성되어 중판(200)과 상판(100) 사이의 밀착 및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00)과 중판(200)은 밀착하여 결합되어 외부 환경에 내부가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챔버부(220) 내에 주입된 혈액 등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00)은, 소정의 몸체부(110)를 갖되, 상기 몸체부(110)에는 하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공간을 갖는 상부 챔버(120)를 갖고, 상기 상부 챔버(120) 내에는, 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필터(500)를 가압하는 복수의 지지대(130)가 배치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챔버부(220)에 대응하여, 상기 상판(100)에도 소정의 공간을 갖는 상부 챔버(12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판(100)은 소정의 플레이트(112), 및 상기 플레이트(112)의 외곽에 구비된 소정의 제1 벽부(114)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벽부(114)는 상기 중판(200)의 제2 벽부(214)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부 챔버(120)와 챔버부(220)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혈액의 충진 공간이 더욱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부(220) 상에 놓이는 필터(50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 챔버(120)에는 하부로 돌출되는 소정의 지지대(130)가 복수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판(100)의 제1 벽부(114)를 따라서 소정의 결합 돌부(116)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부(116)에 대응하여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각각의 챔버부(220)의 제2 벽부(214)를 따라서 상기 결합 돌부(116)와 결합하는 소정의 결합 홈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판(100)과 상기 하판(300) 사이의 밀폐 및 밀착이 달성되고 챔버부(220) 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 홈부(216)와 결합 돌부(116)는 서로 그 형성 위치가 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100)은, 상기 상부 챔버(1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상부 배출구(140)를 갖는다. 즉, 상기 혈액이 상기 챔버부(220) 내에 주입됨에 따라서 챔버부(220) 내의 공간이 혈액으로 충진되는데, 이때 상기 챔버부(220) 내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어 챔버부(220) 내에 혈액이 용이하게 충진되도록 상기 상판(100)에 소정의 상부 배출구(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배출구(140)는 상기 상판(100)의 상부 챔버(120)를 관통하는 소정의 홀로서, 비교적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상부 챔버(120)를 관통하면 되며 반드시 상면 상부에 형성될 필요는 없다.
하판(300)은 상기 중판(200) 하부에 배치되고, 하판(300)의 하면을 커버한다. 상기 하판(300)은 소정의 바디(310)를 갖고, 상기 바디(310)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 혈액 및 혈장, 공기 등이 유동하도록 소정의 리세스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리세스를 덮게 구성되며, 이에 따라서 이러한 혈액, 혈장, 및 공기 등이 유동하는 채널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챔버부(220)와 챔버부(220)에 형성된 분리 패턴부(400)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챔버부(220)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500)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400)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상기 필터(500)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5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상기 챔버부(22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함몰면(212)에는 소정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소정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분리 패턴부(400)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가 상기 챔버부(22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상기 챔버부(220) 내에 필터(500)가 놓임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실질적으로 필터(500)와 접하여 필터(500)가 지지되어 놓이는 지지면으로 작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돌출부 사이에 함몰부가 형성되어 필터(500) 하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함몰부는 상기 필터(500)를 지나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소정의 안내 유로로 작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의 상부가 형성하는 상면은 평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각각의 돌출부의 상부는 소정의 평탄면을 형성하여, 돌출부 상부에 소정의 필터(500)가 용이하게 안착되고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500)의 안착은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부(220)의 외형과 대응하는 형태의 필터(500)가 상기 챔버부(220) 내에 안착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부(220)의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필터(500)를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는 상기 챔버부(220) 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지 않고 챔버부(220)의 내측면에 대해 일부 공간을 두고 내측에 형성되여 챔버부(220)의 내측면 둘레 일부분에는 평탄한 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평탄면은 소정의 필터(500)가 안착되는 안착면으로 작용하며, 따라서 필터(500)의 안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 상에 필터(500)가 놓임에 따라서, 상기 챔버부(220)는 필터(500)를 통해 구분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즉, 필터(500)를 경계로 하여 필터(500) 하부의 하위 챔버부(222), 및 필터(500) 상부의 상위 챔버부(224)가 각각 서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하위 챔버부(222) 는 실질적으로 함몰부가 형성하는 공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결합 프레임(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프레임은, 예컨대 상기 안착면상에 배치되는 소정의 사각형 섀시와 같은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소정의 수단 및 방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 프레임과 상기 안착면 사이에 소정의 필터(5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필터(500)가 용이한 고정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챔버부(220)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함몰 라인(410)을 갖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의 양 측부에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소정의 어레이를 갖게 배열되는 제1 패턴부(420), 및 제2 패턴부(430)를 갖고, 상기 제1 패턴부(420) 및 상기 제2 패턴부(430)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의 양 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패턴부(420) 및 상기 제2 패턴부(430)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구성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상기 챔버부(220)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함몰 라인(410)을 갖는다.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은 길게 연장된 함몰부로 구성되며, 챔버부(220)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를 사이에 두고 제1 패턴부(420) 및 제2 패턴부(430)가 각각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는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를 갖게 구성되며, 상기 제1 패턴부(420) 및 제2 패턴부(430) 또한 동일하다. 이때, 상기 제1 패턴부(420) 및 상기 제2 패턴부(430)는 각각 중앙 함몰 라인(41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는 배치를 갖는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함몰 라인(410)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서로 나란히 배치되되 상기 복수의 돌출부 사이에 함몰부가 형성되게 배열된다. 이때, 상기 제1 패턴부(420)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를 제1 돌출부(422) 및 제1 함몰부(424)라고 하고, 상기 제2 패턴부(430)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를 제2 돌출부(432) 및 제2 함몰부(434)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 패턴부(400)는 중앙 함몰 라인(410)을 가운데에 두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으로부터 양 측방향으로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연장되게 형성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각각의 함몰부에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세 채널(4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함몰부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는 미세한 리세스로 구성된 미세 채널(436)이 형성되며, 상기 미세 채널(436)은 상기 함몰부 내에서 중앙 함몰 라인(410)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모세관력이 강화되어 분리된 혈장 등의 안내가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패턴부(420)의 각각의 돌출부와, 상기 제2 패턴부(430)의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턴부(420)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와 제2 패턴부(430)에 형성된 돌출부 및 함몰부는 서로 교차하여 상기 제1 패턴부(420)의 각각의 돌출부와, 상기 제2 패턴부(430)의 각각의 함몰부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재술하면, 상기 제1 패턴부(420)에 형성된 제1 돌출부는 제2 패턴부(430)에 형성된 제2 함몰부(434)와 마주하며, 상기 제1 패턴부(420)에 형성된 제1 함몰부(424)는 제2 패턴부(430)에 형성된 제2 돌출부(432)(422)와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유체의 유동을 촉진하여 분리된 혈장이 후술하는 챔버 배출공(242)을 통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리 패턴부(400)를 형성하는 각각의 돌출부 및 함몰부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을 중심으로 각각의 돌출부와 함몰부가 양측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치를 갖되, 각각의 돌출부는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큰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도 8 에 도시된 D2 및 C1 의 크기가 각각 D1 및 C2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작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접하는 부분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 형태를 갖는다. 한편, 이에 한정하지는 아니하며, 부분적으로 대각면을 갖거나 또는 일 부분의 폭이 작아지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함몰부가 중앙 함몰 라인(410) 방향으로 폭이 작아지는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모세관 현상에 의한 모세관력이 강화되며, 분리된 혈장의 안내가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높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깊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A1 의 크기가 A2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달리 표현하면,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중앙 함몰 라인(410) 방향으로 갈수록 깊어지는 소정의 경사를 갖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측면이 대체로 삼각형 형상을 갖되,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인접한 부분의 높이가 높아지고 중앙 함몰 라인(410)과 이격된 부분의 높이가 작아지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각각의 함몰부가 중앙 함몰부로 갈수록 깊어지며, 모세관 현상에 의한 모세관력이 강화되어 분리된 혈장의 안내가 촉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410)은, 중심부의 깊이가 외측부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다.
즉, 도 8 에 도시된 B1 의 크기가 B2 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달리 표현하면 중심부에 배치된 돌출부의 높이 및 함몰부의 깊이가 외측부에 배치된 돌출부의 높이 및 함몰부의 깊이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중앙 함몰 라인(410)은 중심부의 깊이가 외측부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되고 모세관 현상에 의한 모세관력이 강화되어 분리된 혈장의 안내가 촉진될 수 있다. 아울러, 분리된 혈장이 충진되는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혈장의 분리가 촉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챔버부(220) 내에 주입되거나 챔버부(220)에서 배출되는 혈액, 혈장 및 공기 등의 유동을 수행하는 각각의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주입구는, 상기 챔버부(220) 외부에 형성되는 혈액 주입공(234), 및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부(220)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주입공(232)을 갖는다.
상기 챔버부(220) 외부에는 소정의 홀과 같이 형성된 혈액 주입공(23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챔버부(220) 내부에는 혈액이 챔버부(220) 내로 주입되도록 하는 챔버 주입공(232)이 형성된다.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혈액 주입공(234)을 통해 주입된 혈액이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통해 챔버부(22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주입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혈액 주입공(234) 주변에는 소정의 기구를 통한 혈액 주입을 용이하게 하도록 소정의 주입 구조물(23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상기 챔버부(22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통해 주입된 혈액이 필터(500) 상부에 담겨져 필터(500)를 통한 분리가 수행될 수 있도록 상기 챔버부(220) 내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챔버부(220) 내의 상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통해 주입된 혈액이 필터(500) 상으로 흘러 분리가 수행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액 주입 채널(236)을 포함하며, 상기 혈액 주입공(234) 및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상기 중판(2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은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상기 챔버 주입공(232)은 중판(200)의 상, 하면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혈액 주입공(234)과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연결하는 소정의 리세스로 형성된 혈액 주입 채널(2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혈액 주입공(234)을 통해 주입된 혈액은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통해 챔버부(220)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액 주입 채널(320) 을 갖는다. 즉, 상기 하판(300)은 상기 중판(2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소정의 리세스와 같이 형성된 보조 혈액 주입 채널(320) 을 가질 수 있다. 보조 혈액 주입 채널(320)은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혈액 주입 채널(236)에 대응하여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채널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중판(200)과 하판(300)에 형성된 리세스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구조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혈액의 유동은 도 6 에 도시된 화살표 S 와 같다. 즉, 혈액 주입공(234)을 통해 주입된 혈액은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을 통해 유동하여 상기 챔버 주입공(232)을 통해 챔버부(220) 내로 주입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의 외측에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2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와 밀착하는 제2 홈부, 또는 제2 돌부(322)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1 홈부(238), 및 제2 돌부(322) 만이 도시되었으나, 그 역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에 대응하여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와 밀착하는 소정의 제2 홈부 또는 제2 돌부(322)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판(100)과 하판(300)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면 각각의 돌부와 홈부 사이의 결합이 달성되고 따라서 상기 혈액 주입 채널(236)과 보조 혈액 주입 채널(32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혈액 주입 채널(236)을 통해 혈액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초음파를 통해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238)와 제2 홈부 또는 제2 돌부(322)가 서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장 배출구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배출공(242), 및 상기 챔버 배출공(242)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혈장 배출공(244)을 갖는다.
상기 혈장 배출구는 기본적으로 상기 혈액 주입구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챔버부(220) 외부에는 소정의 홀과 같이 형성된 혈장 배출공(244)이 형성되고, 상기 챔버부(220) 내부에는 혈장이 챔버부(220) 내에서 배출되도록 하는 챔버 배출공(242)이 형성된다. 상기 혈장 배출공(244)과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필터(500)를 통해 분리된 혈장이 챔버부(2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혈장 배출공(244)과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서로 연결되어 소정의 배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혈장 배출공(244) 주변에는 소정의 기구를 통한 혈장 배출이 용이하게 하도록 소정의 배출 구조물(240)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상기 챔버부(220)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챔버 배출공(242)을 통해 혈장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상기 챔버부(220) 내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챔버부(220) 내의 하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챔버 배출공(242)을 통해 배출된 혈장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챔버 배출공(242)의 위치는, 상기 중앙 함몰 채널(410)의 중앙부로서, 함몰부가 가장 깊게 형성된 영역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200)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장 배출 채널(246)을 포함하며, 상기 혈장 배출공(244) 및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상기 중판(2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은 상기 혈장 배출공(244)과 상기 챔버 배출공(242)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혈장 배출공(244)과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중판(200)의 상, 하면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혈장 배출공(244)과 상기 챔버 배출공(242)을 연결하는 소정의 리세스로 형성된 혈장 배출 채널(246)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챔버 배출공(242)을 통해 배출된 혈장은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을 따라 유동한 후 상기 혈장 배출공(24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혈장의 유동은 도 6 에 도시된 화살표 T 와 같다. 즉, 챔버 배출공(242)을 통해 배출된 혈장은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을 통해 유동하여 상기 혈장 배출공(244)을 통해 챔버부(220) 내로 주입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을 갖는다. 즉, 상기 하판(300)은 상기 중판(2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소정의 리세스와 같이 형성된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을 가질 수 있다.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은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혈장 배출 채널(246)에 대응하여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라인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중판(200)과 하판(300)에 형성된 리세스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구조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에는 소정의 보조 채널(344)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 채널(344)는 혈장이 유동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즉, 상기 보조 채널(344)는 챔버 배출공(242)에서 혈장 배출공(244)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조 채널(344)이 구비됨에 따라서, 혈장의 이동이 촉진되며, 따라서 혈장이 용이하게 유동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 및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는 외형이 다각형이 아닌 라운딩을 갖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혈장이 구석부분에 모여 흡착되거나 응고되는 일 없이 용이하게 유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의 외측에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4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와 밀착하는 제4 홈부, 또는 제4 돌부(342)가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제3 홈부(248), 및 제4 돌부(342) 만이 도시되었으나, 그 역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도 6 및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와 밀착하는 소정의 제4 홈부 또는 제4 돌부(342)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판(100)과 하판(300)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면 각각의 돌부와 홈부 사이의 결합이 달성되고 따라서 상기 혈장 배출 채널(246)과 보조 혈장 배출 채널(342)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혈장 배출 채널(246)을 통해 혈액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초음파를 통해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248)와 제4 홈부 또는 제4 돌부(342)가 서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혈장의 유동은 도 11 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필터(500) 상부의 챔버부(220) 내에 담겨진 혈액 Y 이 필터(500)를 통해 분리되어 혈장이 하방향 화살표 E 와 같이 유동하며, 이때, 상기 혈장은 함몰부의 경사 방향을 나타낸 화살표 F 와 같이 유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혈장은 챔버부(220)의 중심부에 주로 모이게 되고 따라서 상기 혈장 배출공(244)을 따라서 하방향 G 로 유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혈장 및 혈액의 유동은 그 방향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즉, 중판(200)의 상부를 통해 주입된 혈액이 분리되고 혈장이 중판(200)의 상부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도 1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판(200)의 상부로 주입된 혈액이 유동하여 혈장이 하방향으로 배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혈장 배출공(244)은 하판(300)에 형성되거나, 또는 중판(2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200)은, 상기 챔버부(2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주입구를 갖는다.
즉, 상기 챔버부(220) 내에 혈액이 주입되고 혈액이 분리되어 필터(500) 하부에 혈장이 충진됨에 따라서, 상기 챔버부(220) 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소정의 공기 주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상판(100)에 형성된 상부 배출구(140)와 공기 주입구가 상이한 점은, 상기 상부 배출구(140)는 필터(500) 상부의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데 반해, 상기 공기 주입구는 필터(500)에 의해 분리된 혈장에 의해 충진되는 필터(500) 하부의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마련되는 점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챔버부(220) 내에 형성된 제1 공기 주입공(252), 및 제1 공기 주입공(252)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부(220)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주입공(250)을 갖는다.
상기 공기 주입구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혈장 배출구와 유사하다. 즉, 챔버부(220) 내에 소정의 제1 공기 주입공(252)이 형성되며, 챔버부(220) 외부에 제2 공기 주입공(25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이 서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이한 점은, 상기 챔버 배출공(242)은 혈장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혈장이 집중적으로 모이는 곳인 챔버부(220) 중앙의 하면에 형성되었으나,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은 비교적 챔버부(2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점이다. 다만, 이때도 필터(500) 하부 공간에 위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외측부에 위치한 함몰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이때,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은, 내면에 혈장 등의 유동을 방지하는 소수성 코팅이 형성된다. 따라서, 챔버부(220) 내에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이 위치함에도 불구하고 분리된 혈장이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을 통해 불필요하게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판(200)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공기 주입 채널(254)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은 상기 중판(200)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은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공기 주입 채널(330)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의 외측에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300)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6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와 밀착하는 제6 홈부, 또는 제6 돌부(332)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은 상술한 공기 주입 채널(254)과 유사하다. 즉,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과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은 중판(200)의 상, 하면의 일 부분을 관통하는 관통공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과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을 연결하는 소정의 리세스로 형성된 공기 주입 채널(25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판(300)은 상기 중판(200)의 하부에 결합되되, 소정의 리세스와 같이 형성된 보조 공기 주입 채널(330)을 가질 수 있다. 보조 공기 주입 채널(330)은 상기 중판(200)에 형성된 공기 주입 채널(254)에 대응하여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라인을 형성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중판(200)과 하판(300)에 형성된 리세스가 서로 결합되어 소정의 배관과 같은 구조를 형성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챔버부(220) 내부의 공기 유동은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2 공기 주입공(250)을 통해 주입된 외부의 공기는 제1 공기 주입공(252)을 통해 챔버부(220)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공기 주입공(252)과 제2 공기 주입공(250)은 소정의 라인 L 을 통해 유동하며, 그 방향은 화살표 H 와 같다. 이에 따라서, 혈장이 챔버 배출공(242)를 통해 배출될 때, 생성될 수 있는 빈 공간이 공기로 채워지므로 혈장의 유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 6 에서도 상기와 같은 공기의 유동 방향을 화살표 T 로 표시한다. 즉, 제1 공기 주입공(252)을 통해 배출된 챔버 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을 통해 유동하여 상기 제2 공기 주입공(25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판(200)의 하면에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에 대응하여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와 밀착하는 소정의 제6 홈부 또는 제6 돌부(332)가 상기 하판(300)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상판(100)과 하판(300)이 서로 밀착하여 결합되면 각각의 돌부와 홈부 사이의 결합이 달성되고 따라서 상기 공기 주입 채널(254)과 보조 공기 주입 채널(330)을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공기 주입 채널(254)을 통해 혈액이 새어나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초음파를 통해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256)와 제6 홈부 또는 제6 돌부(332)가 서로 접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5 홈부(256), 및 제6 돌부(332) 만이 도시되었으나, 그 역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 혈장 분리 장치
100: 상판
110: 몸체부
112: 플레이트
114: 제1 벽부
116: 결합 돌부
120: 상부 챔버
130: 지지부
140: 상부 배출구
200: 중판
210: 본체부
212: 함몰면
214: 제2 벽부
216: 결합 홈부
218: 밀착 홈부
220: 챔버부
222: 하위 챔버부
224: 상위 챔버부
230: 주입 구조물
232: 챔버 주입공
234: 혈액 주입공
236: 혈액 주입 채널
238: 제1 홈부
240: 배출 구조물
242: 챔버 배출공
244: 혈장 배출공
246: 혈장 배출 채널
248: 제3 홈부
250: 제2 공기 주입공
252: 제1 공기 주입공
254: 공기 주입 채널
256: 제5 홈부
300: 하판
310: 바디
312: 밀착 돌부
320: 보조 혈액 주입 채널
322: 제2 돌부
330: 보조 공기 주입 채널
332: 제6 돌부
342: 제4 돌부
342: 보조 혈장 배출 채널
400: 분리 패턴부
410: 중앙 함몰 라인
420: 제1 패턴부
422: 제2 돌출부
424: 제1 함몰부
430: 제2 패턴부
432: 제2 돌출부
434: 제2 함몰부
500: 필터

Claims (24)

  1. 혈장 분리 장치에 있어서,
    혈액이 충진되고 소정의 필터가 안착되는 챔버부를 갖는 중판;
    상기 중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챔버부를 커버하는 상판;
    상기 중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중판 하부를 커버하는 하판; 을 포함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상기 챔버부 내로 혈액을 주입하는 혈액 주입구가 구비되며,
    상기 중판의 일 측에는 혈액에서 분리된 혈장이 상기 챔버 외부로 배출되는 혈장 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필터가 안착되는 분리 패턴부가 형성되되,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필터의 적어도 일 부분과 접하여 상기 필터를 지지하는 복수의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 사이에 형성되며 분리된 혈장이 안내되는 공간이 형성된 복수의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된 혈장 분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 패턴부는,
    챔버의 중앙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함몰 라인을 갖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의 양 측부에 상기 돌출부 및 함몰부가 형성되게 구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분리 패턴부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소정의 어레이를 갖게 배열되는 제1 패턴부, 및 제2 패턴부를 갖고,
    상기 제1 패턴부 및 상기 제2 패턴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의 양 측부에 배치되되,
    상기 제1 돌출 패턴 및 상기 제2 돌출 패턴은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부 및 함몰부가 교대로 형성되게 구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패턴부의 각각의 돌출부와,
    상기 제2 패턴부의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혈장 분리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폭이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높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각각의 함몰부는,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인접한 부분의 깊이가 상기 중앙 함몰 라인과 이격된 부분의 깊이보다 크게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앙 함몰 라인은,
    중심부의 깊이가 외측부의 깊이보다 깊게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함몰부에는,
    상기 중앙 함몰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미세 채널이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챔버부의 내측 둘레에는,
    소정의 필터를 안착시키는 안착면이 형성되는 혈장 분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 상에 배치되는 결합 프레임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과 상기 안착면 사이에 소정의 필터가 배치되어 상기 필터가 고정되는 혈장 분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혈액 주입구는,
    상기 챔버부 외부에 형성되는 혈액 주입공, 및 상기 혈액 주입공과 연결되며 상기 챔버부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주입공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액 주입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혈액 주입공 및 상기 챔버 주입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은 상기 혈액 주입공과 상기 챔버 주입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혈장 분리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액 주입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액 주입 채널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혈액 주입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2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돌부, 또는 제1 홈부와 밀착하는 제2 홈부, 또는 제2 돌부가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1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혈장 배출구는,
    상기 챔버 내부에 형성되는 챔버 배출공, 및 상기 챔버 배출공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혈장 배출공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혈장 배출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챔버 배출공 및 상기 혈장 배출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관통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은 상기 챔버 배출공과 상기 혈장 배출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혈장 분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혈장 배출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혈장 배출 채널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혈장 배출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3 돌부, 또는 제3 홈부와 밀착하는 제4 홈부, 또는 제4 돌부가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1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상기 챔버부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공기 주입구를 갖는 혈장 분리 장치.
  20.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구는,
    상기 챔버 내에 형성된 제1 공기 주입공, 및 제1 공기 주입공과 연결되고 상기 챔버 외부에 형성되는 제2 공기 주입공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주입공은,
    내면에 혈장 등의 유동을 방지하는 소수성 코팅이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중판은,
    하면에 형성된 소정의 리세스로 구성되는 공기 주입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기 주입공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공은 상기 중판의 적어도 일 부분을 관통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은 상기 제1 공기 주입공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을 연결하도록 구성된 혈장 분리 장치.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 주입 채널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보조 공기 주입 채널을 갖는 혈장 분리 장치.
  24. 청구항 23에 있어서,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의 외측에는,
    상기 공기 주입 채널을 둘러싸는 소정의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판은,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와 대응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5 돌부, 또는 제5 홈부와 밀착하는 제6 홈부, 또는 제6 돌부가 형성된 혈장 분리 장치.
KR1020140066512A 2014-05-30 2014-05-30 혈장 분리 장치 KR10160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12A KR101602949B1 (ko) 2014-05-30 2014-05-30 혈장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512A KR101602949B1 (ko) 2014-05-30 2014-05-30 혈장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883A true KR20150137883A (ko) 2015-12-09
KR101602949B1 KR101602949B1 (ko) 2016-03-21

Family

ID=5487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512A KR101602949B1 (ko) 2014-05-30 2014-05-30 혈장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9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729A (ko) * 2016-10-24 2018-05-03 한국과학기술원 혈액 성분 분리 장치
KR20190113341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과학기술원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기 위한 멤브레인 기반의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7504A (ja) * 2002-01-15 2003-07-25 Minolta Co Ltd 血球分離用チップ及びフィルタ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4729A (ko) * 2016-10-24 2018-05-03 한국과학기술원 혈액 성분 분리 장치
KR20190113341A (ko) * 2018-03-28 2019-10-08 한국과학기술원 혈액으로부터 혈장을 분리하기 위한 멤브레인 기반의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949B1 (ko) 201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3783B2 (en) Nucleic acid extracting device
KR101602949B1 (ko) 혈장 분리 장치
RU2012104780A (ru) Микрожидкостные аналитические платформы
WO2015156331A1 (ja) 液体注入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液体注入方法
JP5990819B2 (ja) 医療用流体の処理のための装置および外部機能手段および処理機器
CN109475862A (zh) 样品装载到微流体装置中或与样品装载到微流体装置中相关的改进
US7128878B2 (en) Multiwell plate
KR20190080267A (ko) 핵산 추출용 카트리지의 유로 구조
JP2002531258A (ja) モジュール式固相抽出プレートアセンブリ
RU2015125066A (ru) Набор для выделения лейкоцитарной пленки
KR101242540B1 (ko) 마이크로 칩
JP6619577B2 (ja) 流路構造体、測定ユニット、測定対象液体の測定方法、および測定対象液体の測定装置
RU2412003C2 (ru) Многоячеечная плата
KR101515438B1 (ko) 다중 진단 키트
JP2013543427A (ja) マイクロ流体チップの流体接触のための接続構造
JP7036126B2 (ja) 流体デバイスおよび流路供給システム
US10456781B2 (en) Fluid inspection device
CN211050425U (zh) 一种透析用流体制备连接器
JP7111110B2 (ja) 流体デバイス
TWI582427B (zh) 流體檢測裝置
JP7070679B2 (ja) 流体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並びに混合方法
JP2019086062A (ja) ガスケットおよび密封構造
WO201704099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xcessive fluid flow in a cassette designed to receive a fluid sample
JP2019181158A (ja) 身体支持装置用マニホールド、および身体支持装置
KR20150073945A (ko) 막 여과판을 위한 막 및 두 여과판들의 배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