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7064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7064A
KR20150137064A KR1020157025952A KR20157025952A KR20150137064A KR 20150137064 A KR20150137064 A KR 20150137064A KR 1020157025952 A KR1020157025952 A KR 1020157025952A KR 20157025952 A KR20157025952 A KR 20157025952A KR 20150137064 A KR20150137064 A KR 20150137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cp
entity
rlc
terminal
establis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5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9983B1 (ko
Inventor
이승준
이선영
이영대
박성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137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72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resource information of target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04W76/0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방법은: 셀(cell)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상기 무선 베어러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에서 상기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 변경 절차는 상기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re-establishment)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PERFORMING A CELL CHANG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3GPP LTE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이하 "LTE"라 함) 통신 시스템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은 기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에서 진화한 시스템으로서, 현재 3GPP에서 기초적인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E-UMTS는 LTE(Long Term Evolution) 시스템이라고 할 수도 있다. UMTS 및 E-UMTS의 기술 규격(technical specification)의 상세한 내용은 각각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echnical Specification 그룹 Radio Access Network"의 Release 7과 Release 8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E-UMTS는 단말(User Equipment; UE)과 기지국(eNode B; eNB), 네트워크(E-UTRAN)의 종단에 위치하여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접속 게이트웨이(Access Gateway; AG)를 포함한다. 기지국은 브로드캐스트 서비스, 멀티캐스트 서비스 및/또는 유니캐스트 서비스를 위해 다중 데이터 스트림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한 기지국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한다. 셀은 1.25, 2.5, 5, 10, 15, 20Mhz 등의 대역폭 중 하나로 설정돼 여러 단말에게 하향 또는 상향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로 다른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다수의 단말에 대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 하향링크(Downlink; D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하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단말에게 데이터가 전송될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Hybrid Automatic Repeat and reQuest)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또한, 상향링크(Uplink; UL) 데이터에 대해 기지국은 상향링크 스케줄링 정보를 해당 단말에게 전송하여 해당 단말이 사용할 수 있는 시간/주파수 영역, 부호화, 데이터 크기, HARQ 관련 정보 등을 알려준다. 기지국간에는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핵심망(Core Network; CN)은 AG와 단말의 사용자 등록 등을 위한 네트워크 노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AG는 복수의 셀들로 구성되는 TA(Tracking Area) 단위로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한다.
무선 통신 기술은 WCDMA를 기반으로 LTE까지 개발되어 왔지만, 사용자와 사업자의 요구와 기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다른 무선 접속 기술이 계속 개발되고 있으므로 향후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 진화가 요구된다. 비트당 비용 감소, 서비스 가용성 증대, 융통성 있는 주파수 밴드의 사용, 단순구조와 개방형 인터페이스, 단말의 적절한 파워 소모 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cell change)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해결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다른 기술적 과제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신 시스템의 단말(user equipment, UE)을 위한 방법은, 셀(cell)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상기 무선 베어러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에서 상기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 변경 절차는 상기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re-establishment)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말은, RF (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셀(cell)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식별자는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셀 변경 절차를 상기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상기 무선 베어러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에서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셀 변경 절차는 상기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유형 셀 상의 제1 기지국 또는 제2 유형 셀 상의 제2 기지국에 의하여 지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DCP 엔티티는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되는 경우 보안 키를 변경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RL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릴리즈(release)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RLC 엔티티가 추가, 변경 또는 릴리즈된 경우 PDCP 상태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DCP 상태 보고는 어떤 PDCP SDU(Service Data Unit)들이 올바르게 수신되고 어떤 PDCP SDU들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알려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베어러의 네트워크 측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는 상이한 기지국 상에 상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엔티티는 상기 PDCP 엔티티로 하여금 보안 키의 변경 없이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RR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릴리즈되도록 요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변경 절차가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특히, 셀 변경 절차에 있어서의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의 재확립(re-establishment)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 및 참조된 도면들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도면은 다음과 같다.
도 1은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로서 E-UMTS 망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며, 도 2b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E-UMTS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물리 채널 구조의 일 예시이다.
도 5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 사이의 이중 연결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이중 연결성 시스템의 셀 변경 절차에 대한 개념도이다.
도 7은 헨드오버 절차에서 RLC 엔티티와 PDCP 엔티티 재확립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변경 절차에서의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변경 수행을 수행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는 유럽 시스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GSM),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에 기반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서 동작하는 3 세대(3rd Generation, 3G) 비대칭 이동 통신 시스템이다. UMTS의 LTE(Long-Term Evolution)는 UMTS를 규격화하는 3GPP에 의하여 논의중이다.
3GPP LTE는 고속 패킷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사용자 및 제공자 비용을 감소시키고,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며, 커버리지(coverage) 및 시스템 용량을 확장 및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LTE 과제들을 위한 많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3G LTE는, 상위-레벨 요구로서, 비트(bit)당 비용 감소, 증가된 서비스 가용성, 주파수 대역의 유연성, 단순한 구조, 개방형 인터페이스, 및 단말의 적절한 전력 소모를 요구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3GPP 시스템에 적용된 예들이다.
본 명세서는 LTE 시스템 및 LTE-A 시스템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정의에 해당되는 어떤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는 FDD 방식을 기준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는 예시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H-FDD 방식 또는 TDD 방식에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2a는 E-UTRAN(Evolved-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망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E-UMTS는 LTE 시스템으로서 호칭될 수도 있다. 통신망은 IMS 및 패킷 데이터를 통한 VoIP(Voice over IP)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널리 배치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E-UMTS 망은 E-UTRAN(evolved 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EPC(Evolved Packet Core), 및 하나 이상의 단말들을 포함한다. E-UTRAN은 하나의 셀에 위치될 수도 있는 하나 이상의 eNB(evolved NodeB, 20) 및 복수의 단말들(10)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E-UTRAN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게이트웨이(30)는 네트워크의 종단에 위치되고 외부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하향링크(downlink)”는 eNB(20)로부터 단말(10)로의 통신을 지칭하며, “상향링크(uplink)”는 단말(10)로부터 eNB(20)로의 통신을 지칭한다. 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하여 운반되는 통신 장비를 지칭하며, 또한, 이동국(Mobile Station, MS),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또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지칭될 수도 있다.
도 2b는 일반적인 E-UTRAN과 EPC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0)는 사용자 플레인(User Plane) 및 제어 플레인(Control Plane)의 엔드 포인트(end point)를 UE(10)에게 제공한다. MME/SAE 게이트웨이(30)는 세션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의 엔드 포인트를 UE(10)에게 제공한다. eNB(20) 및 MME/SAE 게이트웨이(30)는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eNB(20)는 일반적으로 UE(10)와 통신하는 고정국이고 기지국(BS) 또는 액세스포인트라 칭하여지기도 한다. 하나의 eNB(20)가 셀 마다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트래픽을 송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eNB(20)사이에 사용될 수 있다.
MME는 eNB 20에 대한 NAS 시그널링, NAS 시그널링 보안, AS 보안 제어, 3GPP 접속 네트워크간의 이동성을 위한 인터 CN 노드 시그널링, (페이징 재전송의 제어 및 실행을 포함하는) 유휴 모드 UE 접근성(Reachability), (유휴 및 활성 모드의 UE를 위한) 트랙킹 영역 리스트 관리, PDN GW 및 서빙 GW 선택, MME 변화가 수반되는 핸드오버를 위한 MME 선택, 2G 또는 3G 3GPP 접속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를 위한 SGSN 선택, 로밍, 인증, 전용 베어러 설정을 포함하는 베어러 관리, PWS (ETWS 및 CMAS를 포함) 메시지 전송을 위한 지원을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SAE 게이트웨이 호스트는 퍼-유저(Per-user) 기반 패킷 필터링 (예, K 패킷 검사를 사용), 적법한 인터셉션(Lawful Interception), UE IP 주소 할당, 하향링크에서 전송 포트 레벨 패킷 마팅, UL 및 DL 서비스 레벨 과금, 게이팅 및 레이트 강화, APN-AMBR에 기초한 DL 레이트 강화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MME/SAE 게이트웨이(30)는 명확성을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 단순히 "게이트웨이"라 칭한다. 그러나, MME/SAE 게이트웨이(30)는 MME 및 SAE 게이트웨이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복수의 노드가 eNB(20)와 게이트웨이(30) 사이에서 S1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eNB(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고 이웃 eNB들은 X2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메쉬 네트워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2b는 일반적인 E-UTRAN 및 일반적인 EPC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20)는 게이트웨이(30)에 대한 선택, 무선 자원 제어(RRC) 활성화 동안 게이트웨이를 향한 라우팅, 페이징 메시지의 스케줄링 및 송신, 브로드캐스트 채널(BCCH) 정보의 스케줄링 및 송신, 상향링크 및 하향링크 모두에서 UE(10)들을 위한 동적 자원 할당, eNB 측정의 구성 및 준비, 무선 베어러 제어, 무선 승인 제어(RAC), 및 LTE_ACTIVE 상태에서 연결 이동성 제어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EPC에서, 게이트웨이(30)는 페이징 발신, LTE_IDLE 상태 관리, 사용자 플레인 암호화, 시스템구조에볼루션(SAE) 베어러 제어, 및 비-접속 계층(NAS) 시그널링의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와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EPC는 이동성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서빙-게이트웨이(serving-gateway, S-GW), 및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게이트웨이(Packete Data Network-Gateway, PDN-GW)를 포함한다. MME는 주로 단말들의 이동성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연결 및 가용성에 대한 정보를 갖는다. S-GW는 E-TRAN을 종단점으로서 갖는 게이트웨이이고, PDN-GW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를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도 3은 3GPP 무선 접속망 규격을 기반으로 한 단말과 E-UTRAN 사이의 무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Radio Interface Protocol)의 제어평면(Control Plane) 및 사용자평면(User Plane)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평면은 단말(User Equipment; UE)과 네트워크가 호를 관리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제어 메시지들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사용자평면은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생성된 데이터, 예를 들어, 음성 데이터 또는 인터넷 패킷 데이터 등이 전송되는 통로를 의미한다.
제1계층인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하여 상위 계층에게 정보 전송 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한다. 물리계층은 상위에 있는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계층과는 전송채널(Transport Channel)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전송채널을 통해 매체접속제어 계층과 물리계층 사이에 데이터가 이동한다. 송신측과 수신측의 물리계층 사이는 물리채널을 통해 데이터가 이동한다. 상기 물리채널은 시간과 주파수를 무선 자원으로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물리채널은 하향 링크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되고, 상향 링크에서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으로 변조된다.
제2계층의 매체접속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계층은 논리채널(Logical Channel)을 통해 상위계층인 무선링크제어(Radio Link Control; RLC)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제2계층의 RLC 계층은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지원한다. RLC 계층의 기능은 MAC 내부의 기능 블록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계층의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계층은 대역폭이 좁은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IPv4나 IPv6와 같은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불필요한 제어정보를 줄여주는 헤더 압축(Header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제3계층의 최하부에 위치한 무선 자원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계층은 제어평면에서만 정의된다. RRC 계층은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들의 설정(Configuration), 재설정(Re-configuration) 및 해제(Release)와 관련되어 논리채널, 전송채널 및 물리채널들의 제어를 담당한다. RB는 단말과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달을 위해 제2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단말과 네트워크의 RRC 계층은 서로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eNB의 하나의 셀은 1.25, 2.5, 5, 10, 15 및 20 MHz와 같은 대역들 중 하나에서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대역에서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이한 셀들은 상이한 대역들을 제공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E-UTRAN으로부터 단말로의 송신을 위한 하향링크 전송 채널(Downlink transport Channel)은 시스템 정보를 전송하는 BCH(Broadcast Channel), 페이징 메시지들을 전송하는 PCH(Paging Channel), 및 사용자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들을 전송하기 위한 하향링크 공유 채널(Shared Channel, SCH)을 포함한다. 하향링크 멀티캐스트 또는 브로드캐스트 서비스의 트래픽 또는 제어 메시지의 경우 하향링크 SCH를 통하여 전송될 수도 있고, 또는 별도의 하향링크 MC(Multicast Channel)을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한편, 단말에서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전송채널로는 초기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RACH(Random Access Channel)와 그 이외에 사용자 트래픽이나 제어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향링크 SCH(Shared Channel)가 있다. 전송채널 상위에 있으며, 전송채널에 매핑되는 논리채널(Logical Channel)로는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 PCCH(Paging Control Channel), CCCH(Common Control Channel), MCCH(Multicast Control Channel), MTCH(Multicast Traffic Channel) 등이 있다.
도 4는 E-UMTS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물리채널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물리채널은 시간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프레임과 주파수축상에 있는 여러 개의 서브캐리어(Sub-carrier)로 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시간 축 상에 복수의 심볼(Symbol)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자원블록(Resource Block)들로 구성되며, 하나의 자원블록은 복수의 심볼들과 복수의 서브캐리어들로 구성된다. 또한 각 서브프레임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즉, L1/L2 제어채널을 위해 해당 서브프레임의 특정 심볼들(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의 특정 서브캐리어들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L1/L2 제어정보 전송 영역(해칭 부분)과 데이터 전송 영역(해칭하지 않은 부분)을 도시하였다.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인 E-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시스템에서는 10 ms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을 사용하고 하나의 무선 프레임은 10 개의 서브 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된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두 개의 연속되는 슬롯들로 구성된다.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이다. 또한, 하나의 서브 프레임은 다수의 OFDM 심볼들로 구성되며, 다수의 OFDM 심볼들 중 일부 심볼(예를 들어, 첫 번째 심볼)은 L1/L2 제어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을 위한 시간 단위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은 1ms이다.
기지국과 단말은 일반적으로 특정 제어 신호 또는 특정 서비스 데이터를 제외하고는 전송 채널인 DL-SCH를 이용하는 PDSCH를 통하여 데이터를 송신/수신한다. PDSCH의 데이터가 어떤 단말(하나 또는 복수의 단말)에게 전송되는 것이며, 상기 단말들이 어떻게 PDSCH 데이터를 수신하고 디코딩(decoding)을 해야 하는 지에 대한 정보 등은 PDCCH에 포함되어 전송된다.
예를 들어, 특정 PDCCH가 "A"라는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ty)로 CRC 마스킹(masking)되어 있고, "B"라는 무선자원(예, 주파수 위치) 및 "C"라는 전송형식정보(예, 전송 블록 사이즈, 변조 방식, 코딩 정보 등)를 이용해 전송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가 특정 서브프레임을 통해 전송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셀 내의 단말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RNTI 정보를 이용하여 PDCCH를 모니터링하고, "A" RNTI를 가지고 있는 하나 이상의 단말이 있다면, 상기 단말들은 PDCCH를 수신하고, 수신한 PDCCH의 정보를 통해 "B"와 "C"에 의해 지시되는 PDSCH를 수신한다.
도 5는 매크로 셀과 스몰 셀 사이의 이중 연결성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한편, LTE-A 이후 차기 시스템에서는 트래픽 최적화 등을 위해 커버리지가 큰 셀 (예, 매크로 셀) 내에 커버리지가 작은 다수 셀 (예, 마이크로 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단말에 대해 매크로 셀과 마이크로 셀이 병합될 수 있고, 매크로 셀은 주로 이동성 관리 용도 (예, PCell )로 사용되고, 마이크로 셀은 주로 쓰루풋 부스팅 용도(예,SCell )로 사용되는 상황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단말에게 병합되는 셀들은 서로 다른 커버리지를 가질 수 있고, 각각의 셀은 지리적으로 떨어진 서로 다른 기지국 (흑은, 이에 상응하는 노드 (예,릴레이))에 의해 각각 관리될 수 있다 (인터-사이트 CA).
이중 연결성(dual connectivity)은 단말이 매크로 셀과 스몰 셀 모두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중 연결성으로, 핸드오버(handover) 가능성을 낮추기 위하여 매크로 셀 내의 스케쥴링 무선 베어러들(Scheduling Radio Bearer, SRB) 또는 다른 DRB들을 유지하는 동시에 높은 처리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몇몇 데이터 무선 베어러 (Data Radio Bearer, DRB)는 스몰 셀로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매크로 셀은 주파수 f1을 통하여 MeNB(Macro cell eNB)에 의하여 작동되고, 스몰 셀은 주파수 f2를 통하여 SeNB(Small cell eNB)에 의하여 작동된다. 주파수 f1 및 f2는 동일할 수도 있다. MeNB와 SeNB 사이의 백홀(backhaul) 인터페이스는, 백홀에 상당한 지연이 있어 하나의 노드에서의 중앙화된 스케쥴링이 불가능하므로, 비-이상적이다.
이중 연결성에 의한 이득을 얻기 위하여, 예를 들어, SRBs 또는 실시간 트랙픽과 같은 다른 트래픽들이 매크로 셀에 의하여 여전히 서비스되는 동안, 지연 내성(delay tolerant)인 베스트-에포트 트래픽(best-effort traffic)은 스몰 셀로 오프로드된다.
도 6은 이중 연결성 시스템의 셀 변경 절차에 대한 개념도이다.
단말은 셀이 추가, 변경, 또는 제거되었을 때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셀을 지원하는 특정 무선 베어러가 추가, 변경, 또는 제거되었을 때 단말은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매크로 셀과 스몰 셀 사이의 이중 연결성 시스템에서, 셀이 추가, 변경, 또는 제거되었을 때 단말은 매크로 셀 기지국(MeNB)과 통신하는 RLC 및 PDCP 엔티티들에서 스몰 셀 변경(Small Cell Change, SCC) 절차를 수행한다. 스몰 셀(예를 들어, 피코 셀(pico-cell), 펨토 셀(femto-cell), 등)은 서빙 셀(예를 들어,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보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셀일 수 있다. 스몰 셀 기지국(SeNB)은 스몰 셀 커버리지 상의 하나의 기지국으로서, 스몰 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와 스몰 셀의 커버리지는 서로 중첩되는 영역을 갖는다.
단말이 SCC 절차를 수행할 때, 스몰 셀 상에 상주할 수도 있는 네트워크의 모든 엔티티들의 무선 베어러 또는 네트워크의 RLC/MAC/PHY(또는 RLC 엔티티 만이)의 무선 베어러만이 MeNB로부터 SeNB로, SeNB1으로부터 다른 SeNB2로, 또는 SeNB로부터 MeNB로 이동될 수도 있다. PDCP 엔티티는 변경된 셀(분할 베어러 구조) 상에 상주할 수도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MeNB에 연결된 단말이 SeNB1 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예를 들어 BE-DRB(Best Effort-DRB)와 같은 일부 DRB들은 SeNB1으로 오프로드(offload)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BE-DRB의 RLC/MAC/PHY는, PDCP 엔티티가 MeNB 내에 유지된 채로, MeNB로부터 SeNB1으로 변경된다.
도 6의 (b)의 경우, MeNB에 연결된 단말이 SeNB1 하의 영역으로부터 SeNB2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SeNB1에 의하여 서빙되는 BE-DRB는 SeNB2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BE-DRB의 RLC/MAC/PHY는, PDCP 엔티티가 MeNB 내에 유지된 채로, SeNB1으로부터 SeNB2로 변경된다.
도 6의(c)의 경우, MeNB에 연결된 단말이 SeNB2 하의 영역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SeNB2에 의하여 서빙되는 BE-DRB는 MeNB로 이동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BE-DRB의 RLC/MAC/PHY는, PDCP 엔티티가 MeNB 내에 유지된 채로, SeNB2로부터 MeNB로 변경된다.
도 7은 헨드오버 절차에서 RLC 엔티티와 PDCP 엔티티 재확립의 개념도이다.
RLC 엔티티와 PDCP 엔티티는 핸드오버 절차에서 재확립된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mobilityControlInfo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RRCConnectionReconfiguration를 수신하면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한다.
단말은 확립된 모든 무선 베어러들에 대한 MAC을 리셋하고 PDCP 엔티티를 재확립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알려지지 않은 PDCP SDU들의 (연관된 상태 보고 또한) 재전송 및 SN(Sequence Number) 및 HFN(Hyper Frame Number)의 취급과 같은 PDCP 재확립의 성공적 완료 이후의 무선 베어러의 취급은 관련 3GPP 규격에 의하여 참조될 수 있다.
단말은 확립된 모든 무선 베어러들에 대한 RLC 엔티티를 재확립할 수도 있다. 단말은 하위 계층들이 SCell(Secondary Cell)들을 고려하도록, 설정된다면, 비활성 상태에 있고 newUE-Identity 값을 C-RNTI로서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말은 하위 계층들이 무결성(integrity) 보호 알고리즘 및 KRRCint 키를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무결성 보호 설정은, 절차의 성공적 완료를 나태내기 위하여 이용되는 메시지를 포함하여, 단말에 의하여 수신 및 송신되는 모든 후속 메시지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은 하위 계층들이 암호화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KRRCenc 키와 KUPenc 키, 예를 들어, 암호화 설정은, 절차의 성공적 완료를 나타내기 위하여 이용되는 메시지를 포함하여, 단말에 의하여 수신 및 송신되는 모든 후속 메시지들에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릴레이 노드(Relay Node, RN)로서 연결된 경우, 단말은 하위 계층들이 무결성 보호가 적용되도록 설정된 현재 또는 후속하여 확립된 DRB들에 대한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 및 KUPint 키를 적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PDCP 재확립 절차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는 경우, 단말은 대응 RLC 모드에 대하여 본 섹션에서 설명되는 절차를 한번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PDCP 재확립 절차는 U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와 D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를 포함한다.
RLC A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UL 데이터 전송의 경우, 상위 계층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단말은 상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하고 IR 상태로 U-모드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단말이 RN으로서 연결된 경우, 재확립 절차 동안 단말은 (설정된 경우)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단말은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하위 계층들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은 대응 PDCP PDU(Protocol Data Unit)의 성공적 전송을 위한 첫번째 PDCP SDU(Service Data Unit)로부터, 단말은 하기에 특정된 바와 같이 PDCP 재확립에 앞서 PDCP SDU에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PDCP SN들과 기연관된 모든 PDCP SDU들의 송신 또는 재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1) PDCP SDU의 헤더 압축을 수행, 2) RN으로서 연결된 경우, 이 PDCP SDU와 연관된 COUNT 값을 이용하여 PDCP SDU의 무결성 보호를 수행, 3) 이 PDCP SDU와 연관된 COUNT 값을 이용하여 PDCP SDU의 암호화를 수행, 4) 결과물인 PDCP 데이터 PDU를 하위 레이어로 제출.
RLC U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UL 데이터 전송의 경우,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그리고 DRB가 헤더 압축 프로토콜로 설정되고 drb-ContinueROHC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하고 U-모드에서 IR 상태로 시작할 수도 있다.단말은 Next_PDCP_TX_SN와 T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재확립 절차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단말이 RN으로서 연결된 경우, 단말은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PDCP SN과 기연관되었으나 이전에 하위 계층들로 제출되지 않은 대응 PDU에 대한 PDCP SDU 각각에 대하여, 1) PDCP SDU들은 상위 계층 레이어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간주되고, 2) 폐기 타이머(discardTimer)를 재시작하지 않고 PDCP 재확립 이전에 PDCP SDU에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송신을 수행한다.
SRB들의 U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단말은 Next_PDCP_TX_SN와 T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저장된 모든 PDCP SUD들과 PDCP PDU들을 폐기하며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RLC A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D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단말은 하위 계층들의 재확립으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처리할 수도 있다. 단말은 하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하고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단말이 RN으로서 연결된 경우, 단말은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을 적용할 수도 있다.
RLC U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D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단말은 하위 계층들의 재확립으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처리할 수도 있다. 단말은, DRB가 헤더 압축 프로토콜로 설정되고 arb-ContinueROHC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Next_PDCP_RX_SN과 R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단말이 RN으로서 연결된 경우, 단말은 (설정된 경우)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암호화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SRB들에 대한 DL 데이터 전송 절차의 경우,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단말은 하위 계층들의 재확립으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폐기하고, Next_PDCP_RX_SN과 R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저장된 모든 PDCP SDU들과 PDCP PDU들을 폐기하며, 재확립 절차 동안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제공된 무결성 보호 알고리즘 및 키를 적용할 수도 있다.
RLC 재확립 절차
RLC 재확립은 RRC의 요청시에 수행되고, 기능은 AM, UM 및 TM RLC 엔티티들에 적용가능하다.
RLC 엔티티가 재확립되어야 함을 나타내는 RRC가 TM RLC 엔티티로 송신되는 경우, RLC 엔티티는 모든 RLD S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수신 UM RLC 엔티티의 경우, 가능하다면, RLC 엔티티는 SN<VR(UH)로 UMD PDU들로부터 RLC SDU들을 재조립(reassemble)할 수도 있고, 이 과정에서 RLC 헤더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전에 전달되지 않았으며 모든 잔여 UMD PDU들을 폐기하지 않았다면, RLC SN의 오름 차순으로 재조립된 모든 RLC PDU들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송신 UM RLC 엔티티인 경우, RLC 엔티티는 모든 RLC S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AM RLC 엔티티의 경우, 가능하다면, RLC 엔티티는 수신측에서 SN<VR(MR)로 AMD PDU들의 임의의 바이트 세그먼트들로부터 RLC SDU들을 재조립할 수도 있고, RLC 헤더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전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 RLC SN의 오름 차순으로 재조립된 모든 RLC SDU들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RLC 엔티티는 잔여 수신측의 AMD PDU들의 바이트 세그먼트들 및 AMD PDU들을 폐기할 수 있으며, 송신측의 AMD PDU들 및 RLC SDU들 모두를 폐기할 수 있으며, 모든 RLC 제어 P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그 후, RLC는 모든 타이머를 정지 및 리셋할 수도 있으며, 모든 상태 변수들을 각각의 초기 값으로 리셋할 수도 있다.
핸드오버 절차에서,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PDCP 및 RLC 엔티티들 모두는 재확립된다. 그러나,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3가지 유형의 셀 변경 절차에 있어서, PDCP가 여전히 MeNB에 유지되는 등, 이러한 재확립이 핸드오버 절차로 간주되기 않기 때문에, 이러한 재확립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셀 변경 절차에서 RLC 엔티티들의 변경으로 인한 패킷 손실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셀 변경 절차”에 특정된 패킷 손실을 최소화하는 특별한 메커니즘이 요구된다.
도 8은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셀 변경 절차에서의 RLC 엔티티 및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의 개념도인다.
이 메시지를 단말이 수신하는 경우, RRC는 지시된 무선 베어러들의 PDCP 및 RLC로 하여금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도록 요구한다. 그 후, 요구된 PDCP 및 RLC 엔티티들은 하기와 같이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한다.
하기 행동을 포함하는 RLC 엔티티에서의 셀 변경 절차
송신 TM RLC 엔티티인 경우, 단말은 모든 RLC S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수신 UM RLC 엔티티의 경우, 가능하다면, 단말은 SN<VR(UH)로 UMD PDU들로부터 RLC SDU들을 재조립할 수도 있고, 이 과정에서 RLC 헤더들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이전에 전달되지 않은 경우에, RLC SN의 오름차순으로 재조립된 RLC SDU들을 상위 계층들로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모든 잔여 UMD P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송신 UM RLC 엔티티인 경우, 단말은 모든 RLC S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AM RLC 엔티티인 경우, 가능하다면, 단말은 수신 측에서 SN<VR(MR)로 AMD PDU들의 세그먼트들로부터 RLC SDU들을 재조립할 수도 있으며, 이 과정에서 RLC 헤더들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이전에 전송되지 않은 경우, RLC SN의 오름차순으로 상위 계층에 재조립된 모든 RLC SDU들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수신측의 잔여 AMD PDU들 및 AMD PDU들의 바이트 세그먼트들을 폐기할 수 있으며, 송신 측의 모든 RLC SDU들과 AMD PDU들DMF 을 폐기할 수 있으며, 모든 RLC 제어 P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후에 단말은 모든 타이머들을 정지하고 리셋할 수도 있으며, 모든 상태 변수들을 각각의 초기값으로 리셋할 수도 있다.
하기 행동을 포함하는 PDCP 엔티티에서의 셀 변경 절차
RLC A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PDCP 송신측 절차의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하고 IR 상태로 U-모드에서 시작할 수도 있다. 하위 계층들에 의하여 확인되지 않은 대응 PDCP PDU의 성공적 전송을 위한 첫번째 PDCP SDU로부터, 단말은 하기에 특정된 바와 같이 PDCP 재확립에 앞서 PDCP SDU에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PDCP SN들과 기연관된 모든 PDCP SDU들의 송신 또는 재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1) PDCP SDU의 헤더 압축을 수행, 2) 이 PDCP SDU와 연관된 COUNT 값을 이용하여 PDCP SDU의 암호화를 수행, 3) 결과물인 PDCP 데이터 PDU를 하위 레이어로 제출.
RLC UM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PDCP 송신측 절차의 경우, DRB가 헤더 압축 프로토콜로 설정되고 drb-ContinueROHC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단말은 상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하고 U-모드에서 IR 상태로 시작할 수도 있다. 단말은 Next_PDCP_TX_SN과 TX_HFN을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PDCP SN과 기연관되었으나 이전에 하위 계층들로 제출되지 않은 대응 PDU에 대한 PDCP SDU 각각에 대하여, 단말은 PDCP SDU들은 상위 계층 레이어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간주하고, 폐기 타이머(discardTimer)를 재시작하지 않고 셀 변경 절차의 PDCP 이전에 PDCP SDU에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PDCP SDU의 송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SRB들에 대한 PDCP 송신 측 절차의 경우, 단말은 Next_PDCP_TX_SN 및 T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저장된 모든 PDCP SDU들과 PDCP P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RLC AM 상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PDCP 수신 측 절차의 경우, 단말은 셀 변경 절차의 RLC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처리할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Reodering_Window 인 경우 또는 0 <= Last_Submitted_PDCP_RX_SN ? 수신된 PDCP SN < Reordering_Window 이고, 수신된 SN > Next_PDCP_RX_SN인 경우, 단말은 RX_HFN-1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하여 PDCP PDU를 해독하거나, RX_HFN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하여 PDCP PDU를 해독할 수도 있다. 또한, 그 후에 단말은 헤더 압축해제 및 해당 PDCP_SDU의 폐기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달리 Next_PDCP_RX_SN ? 수신된 PDCP SN > Reordering_Window인 경우라면, 단말은 RX_HFN을 1 증가시키고, PDCP PDU의 해독을 위하여 RX_HFN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하며, Next_PDCP_RX_SN을 수신된 PDCP SN + 1로 설정할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Next_PDCP_RX_SN >= Reordering_Window인 경우, 단말은 PDCP PDU 해독을 위하여 RX_HFN ? 1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할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Next_PDCP_RX_SN인 경우, 단말은 PDCP PDU 해독을 위하여 RX_HFN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하고, Next_PDCP_RX_SN을 수신된 PDCP SN + 1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Next_PDCP_RX_SN이 Maximum_PDCP_SN보다 큰 경우, 단말은 Next_PDCP_RX_SN을 0으로 설정하고 RX_HFN을 1 증가시킬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Next_PDCP_RX_SN인 경우, 단말은 PDCP PDU 해독을 위하여 RX_HFN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할 수도 있다. 위 절차에서 PDCP PDU가 폐기되지 않았다면, 단말은 PDCP PDU에 대한 해독 및 헤더 압축 해제(설정된 경우)를 수행할 수 있다. 동일한 PDCP SN을 PDCP SDU가 저장된 경우, 단말은 해당 PDCP SDU를 폐기하거나 저장할 수도 있다.
PDCP에 의하여 수신된 PDCP PDU가 RLC SCC 절차로 인한 것이 아닌 경우, 단말은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차순으로 PDCP PDU를 상위 계층들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은 수신된 PDCP SDU와 연관된 COUNT 값보다 작은 COUNT 값과 연관된 모든 저장된 PDCP PDU(들), 또는 수신된PDCP SDU와 연관된 COUNT 값으로부터 시작하는 COUNT 값(들)과 계속적으로 연관된 모든 저장된 PDCP PDU(들)을 상위 계층들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은 Last_Submitted_PDCP_RX_SN을 상위 계층으로 전달된 마지막(last) PDCP SDU로 설정할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1이거나 수신된 PDCP SN = Last_Submitted_PDCP_RX_SN ? Maximum_PDCP_SN인 경우, 단말은 수신된 PDCP SDU와 연관된 연관된 COUNT 값으로부터 시작하는 COUNT 값과 계속적으로 연관된 모든 저장된 PDCP PDU(들)을 연관된 COUNT 값의 오름 차순으로 상위 계층들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은Last_Submitted_PDCP_RX_SN을 상위 계층들로 전달된 마지막 PDCP SDU의 PDCP SN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그 후에, 단말은 하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할 수도 있다.
RLC UM 상에 매핑된 DRB들에 대한 PDCP 수신 측 절차의 경우, 단말은 셀 변경 절차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UD들을 처리할 수도 있다.
수신된 PDCP SN < Next_PDCP_RX_SN인 경우, 단말은 RX_HFN을 1 증가시킬 수도 있다. 단말은 RX_HFN 및 수신된 PDCP SN에 기초한 COUNT를 이용하여 PDCP 데이터를 해독할 수 있으며, Next_PDCP_RX_SN을 수신된 PDCP SN + 1로 설정할 수도 있다. Next_PDCP_RX_SN > Maximum_PDCP_SN인 경우, 단말은 Next_PDCP_RX_SN을 0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RX_HFN을 1 증가시킬 수 있다. 단말은(설정된 경우) 해독된 PDCP 데이터 PDU의 헤더 압축 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으며 결과물인 PDCP SDU를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단말은 DRB가 헤더 압축 프로토콜로 설정되고 drb-ContinueROHC이 설정되지 않은 경우, 하향링크에 대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리셋할 수도 있으며, Next_PDCP_RX_SN 및 RX_HFN을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SRB들에 대한 PDCP 수신 측 절차에 있어서, 단말은 RLC SCC 절차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폐기할 수 있으며, Next_PDCP_RX_SN, 및 RX_HFN을 0으로 설정하고 저장된 모든 PDCP SDU들 및 PDCP PDU들을 폐기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측의 RLC 및 PDCP 엔티티들 또한 셀 변경 절차에서 상술한 행동들을 수행한다. 셀 변경 절차의 PDCP는 MeNB 내의 PDCP 엔티티에 의하여 수행된다. 그러나 셀 변경 절차의 RLC는 셀 변경 절차가 수행된 뒤에 제거되는(또는 이용되지 않는) 구 기지국 내의 RLC 엔티티에 의하여 수행된다. 예를 들어, DRB의 경로가 MeNB로부터 SeNB로 변경된 경우, MeNB 내의 RLC 엔티티는 상술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그 후에 제거될 수도 있다.
셀 변경 절차는 변경된 재확립 절차로서 보여질 수 있다. 차이점은 보안 키가 PDCP 재확립 절차에서는 변경되는 반면, 셀 변경 절차의 PDCP에서는 보안키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이며, RLC 재확립 절차 이후에는 RLC 엔티티가 유지되나 RLC SCC 절차 이후에는 RLC 엔티티가 제거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RRC는 새로운 보안 키의 적용 없이 재확립 절차를 수행할 것을 PDCP에 요구할 수 있으며, RLC로하여금 재확립 절차를 수행하고 릴리즈(release)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셀 변경 절차가 수행된 후, 어떤 PDCP SDU들이 올바르게 수신되고 어떤 PDCP SDU들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알려주기 위하여 PDCP 수신 측은 PDCP 상태 정보를 PDCP 송신 측으로 송신한다. 이는 PDCP 상태 보고가 셀 변경 절차에 의하여 트리거링(triggering)됨을 의미한다. PDCP 송신측이 PDCP 상태 보고를 수신하면, PDCP송신 측은 PDCP 수신 측에 의하여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은 PDCP SDU들을 재송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셀 변경 수행을 수행하는 방법의 개념도이다.
단말은 셀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S901)한다. 셀 변경 절차는 단말과의 연결 동안에 서빙 셀이 데이터를 타겟 셀로 오프로드할 필요가 있을 때에 수행된다.
바람직하게, 서빙 셀은 특정 인디케이터를 이용하여 셀 변경 절차의 요청을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단말은 특정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스스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설정 정보는 매크로 셀 상의 매크로 기지국 또는 스몰 셀 상의 스몰 기지국에 의하여 지시될 수도 있다. 스몰 셀(예를 들어, 피코 셀, 펨토 셀 등)은 서빙 셀(예를 들어, 매크로 셀)모다 작은 커버리지를 갖는 셀일 수 있다. 매크로 기지국(MeNB)은 매크로 셀 커버리지 상의 하나의 기지국이며 매크로 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스몰 기지국(MeNB)은 스몰 셀 커버리지 상의 하나의 기지국이며 스몰 셀 커버리지를 제공한다. 매크로 셀의 커버리지와 스몰 셀의 커버리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설정 정보는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수신된다. 단말이 설정 정보를 수신하면, 단말은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무선 베어러의 RLC(Radio Link Control) 및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들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S903~S905). 셀 변경 절차는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RLC 엔티티의 재확립(S903)의 경우, 단말은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해오딘 후에 RLC 엔티티를 릴리즈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PDCP 엔티티의 재확립(S904)의 경우, 단말은 새로운 보안 키의 적용 없이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되는 매크로 기지국 내의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단말은 RLC 엔티티가 추가, 변경, 또는 릴리즈되었을 때 PDCP 상태 보고를 송신(S907)한다. RLC AM 상에 매핑된 무선 베어러들에 대하여, 상위 계층들이 PDCP 재확립을 요청하였을 때, 무선 베어러가 상위 계층들에 의하여 PDCP 상태 보고를 상향링크로 송신하도록 설정된 경우, 단말은 하위 계층들의 재확립으로 인하여 하위 계층들로부터 수신된 PDCP 데이터 PDU들을 처리한 후에 하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태 보고를 컴파일(compile)하고, 첫 번째 누락 PDCP SDU의 PDCP SN에 FMS 필드를 설정하여 상태 보고를 송신을 위한 첫 번째 PDCP PDU로서 하위 계층들에 제출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아웃-오브-시퀀스(out-of-sequence) PDCP SDU가 저장된 경우, 8의 다음 배수로 라운드-업(rounded up)된, 첫 번째 누락 PDCP SDU를 제외하고 첫 번째 PDCP SDU로부터 마지막 아웃-오브-시퀀스 PDCP SDU을 포함하고 마지막 아웃-오브-시퀀스 PDCP SDU까지의 PDCP SN들의 숫자와 동일한 비트들의 길이의 비트맵 필드를 할당함으로써 단말은 이를 송신을 위한 첫 번째 PDCP PDU로서 하위 계층들에 제출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PDCP 하위 계층에 의하여 지시된 대로 수신되지 않은 모든 PDCP SDU들과, 선택적으로, 압축 해제에 실패한 PDCP SDU들에 대하여, PDCP 보고는 비트맵 필드 내의 대응하는 위치를 ‘0’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은, 다른 모든 PDCP SDU들에 대하여 비트맵 필드를 ‘1’로 나타낼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장치는 상술한 매커니즘을 수행하도록 적응된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UE) 및/또는 eNB일 수 있으나, 동일한 작업을 수행하는 임의의 장치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마이크로프로세서(110) 및 RF(Radio Frequency) 모듈(송수신기; 135)을 포함할 수도 있다. DSP/마이크로프로세서(110)는 송수신기(13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송수신기(135)를 제어한다. 장치는, 설계자의 선택에 따라서, 전력 관리 모듈(105), 베터리(155), 디스플레이(115), 키패드(120), 메모리 디바이스(130), 스피커(145) 및 입력 디바이스(150)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0은 네트워크로부터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35) 및 네트워크로 타이밍 송/수신 타이밍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135)를 포함하는 단말을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송신과 수신기는 송수신기(135)를 구성할 수 있다. 단말은 송수신기(수신기 및 송신기, 135)에 연결된 프로세서(1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은 단말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135) 및 단말로부터 송수신 타이밍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135)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 프로세서(110)는 송수신 타이밍 정보에 기초하여 지연을 계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별도로 명시되지 않는 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청구항에서 정의된 범위 내에서 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고, 청구 범위 내로 해석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이 소정 형태로 결합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기지국(BS)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상위 노드의 BS에 의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명백하게, BS를 포함하는 복수의 네트워크 노드들에서, MS와의 통신을 위하여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이 기지국에 으하여 수행되거나 기지국 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 ‘eNB’라는 용어는 ‘고정국(fixed station)’, ‘NodeB, ‘기지국(BS)’, 액세스 포인트,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수단들에 의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하드웨어 설정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하나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19)

  1. 통신 시스템의 단말(user equipment, UE)을 위한 방법으로서,
    셀(cell)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식별자를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상기 무선 베어러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에서 상기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셀 변경 절차는 상기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re-establishment)을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유형 셀 상의 제1 기지국 또는 제2 유형 셀 상의 제2 기지국에 의하여 지시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엔티티는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되는 경우 보안 키를 변경하지 않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릴리즈(release)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RLC 엔티티가 추가, 변경 또는 릴리즈된 경우 PDCP 상태 보고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상태 보고는 어떤 PDCP SDU(Service Data Unit)들이 올바르게 수신되고 어떤 PDCP SDU들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알려주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베어러의 네트워크 측의 PDCP 엔티티와 RLC 엔티티는 상이한 기지국 상에 상주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엔티티는 상기 PDCP 엔티티로 하여금 보안 키의 변경 없이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RR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로 하여금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릴리즈되도록 요구하는, 방법.
  11. 통신 시스템의 단말로서,
    RF (Radio Frequency) 모듈; 및
    상기 RF 모듈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셀(cell) 변경 절차가 수행될 무선 베어러(radio bearer)의 식별자는 지시하는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셀 변경 절차를 상기 설정 정보에서 지시된 상기 무선 베어러의 RLC (Radio Link Control) 및 PDCP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엔티티(entity)들에서 수행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셀 변경 절차는 상기 RLC 및 PDCP 엔티티들의 재확립을 포함하는, 단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제1 유형 셀 상의 제1 기지국 또는 제2 유형 셀 상의 제2 기지국에 의하여 지시된, 단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 정보를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메시지를 통하여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되는 경우 상기 PDCP 엔티티의 보안 키를 변경하지 않도록 더 구성된, 단말.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상기 RLC 엔티티를 릴리즈(release)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RLC 엔티티가 추가, 변경 또는 릴리즈된 경우 PDCP 상태 보고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된, 단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PDCP 상태 보고는 어떤 PDCP SDU(Service Data Unit)들이 올바르게 수신되고 어떤 PDCP SDU들이 올바르게 수신되지 않았는지를 알려주는, 단말.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엔티티는 상기 PDCP 엔티티로 하여금 보안 키의 변경 없이 상기 PDCP 엔티티의 재확립을 수행하도록 요청하는, 단말.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의 RRC 엔티티는 상기 RLC 엔티티의 재확립이 수행된 후에 상기 RLC 엔티티가 릴리즈되도록 요청하는, 단말.
KR1020157025952A 2013-04-02 2014-03-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199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807337P 2013-04-02 2013-04-02
US61/807,337 2013-04-02
PCT/KR2014/002270 WO2014163309A1 (en) 2013-04-02 2014-03-18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chang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064A true KR20150137064A (ko) 2015-12-08
KR102219983B1 KR102219983B1 (ko) 2021-02-25

Family

ID=5165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952A KR102219983B1 (ko) 2013-04-02 2014-03-1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변경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075881B2 (ko)
EP (1) EP2982173B1 (ko)
JP (1) JP6240747B2 (ko)
KR (1) KR102219983B1 (ko)
CN (1) CN105103610B (ko)
WO (1) WO2014163309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09021A1 (ko) * 2016-07-08 2018-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90053098A1 (en) * 2017-08-10 2019-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90017309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 버전 변경에 따른 재설정 방법 및 장치
WO2019066427A1 (en) * 2017-09-27 2019-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LOSS-FREE DATA IN A UM RLC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90116885A (ko) * 2018-04-05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KR20200018672A (ko) * 2017-06-23 2020-02-1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용되는 보안 키들에 영향을 주는 연결 재구성의 일부로서 베어러 특정 변경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00061405A (ko) * 2017-11-16 2020-06-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KR20230030609A (ko) * 2018-04-05 202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0747B2 (ja) * 2013-04-02 2017-11-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セル変更手順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CN105103598B (zh) * 2013-04-05 2019-02-26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操作无线接入网基站的方法和相关网络节点
ES2890499T3 (es) * 2013-09-11 2022-01-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y sistema para posibilitar una comunicación segura para una transmisión inter-eNB
CN104581824A (zh) * 2013-10-17 2015-04-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包分流传输的方法及系统
US20150109927A1 (en) * 2013-10-18 2015-04-23 Qualcomm Incorporated Base station to access point interface for data bearer routing
CN104812000A (zh) * 2014-01-27 2015-07-2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ES2759428T3 (es) * 2014-01-28 2020-05-11 Huawei Tech Co Ltd Método de cambio de clave de seguridad y equipo de usuario
CN104170341B (zh) * 2014-01-29 2017-09-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和系统
US9967784B2 (en) * 2014-03-21 2018-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a plurality of carriers
EP3018936B1 (en) * 2014-11-07 2018-05-30 Alcatel Lucent Secondary base station bearer change
CN106332048B (zh) * 2015-06-30 2022-08-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无线网络节点和通信系统
US10251052B2 (en) * 2015-08-27 2019-04-02 Mediatek Inc. Method of dynamic PDCP status report polling for LTE-WLAN aggregation
JP6041964B1 (ja) * 2015-09-24 2016-12-14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6941733B (zh) * 2016-01-04 2022-05-1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双连接中实现重配置的方法、主服务基站及辅服务基站
RU2713502C2 (ru) 2016-01-08 2020-02-05 Нек Корпорейшн Система радиостанции, радио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ы в них
CN108702673B (zh) * 2016-02-12 2021-09-17 苹果公司 用于减少由于切换操作而导致的数据传输中断的系统和方法
WO2017152360A1 (zh) * 2016-03-08 2017-09-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为无线承载进行安全配置方法和设备
WO2018013110A1 (en) * 2016-07-13 2018-01-18 Intel Corporation Multi-connectivity support and fast cell switching for mmwave cellular radio access technologies
CN109691155B (zh) 2016-08-09 2023-05-30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管理用户平面操作的方法和装置
US11172402B2 (en) * 2016-09-29 2021-11-09 Lg Electronics Inc. Restricting PDCP control PDUs on specific link
WO2018089803A1 (en) * 2016-11-14 2018-05-17 Intel IP Corporation Dynamic protocol stack reset during radio handover
CN108243468B (zh) * 2016-12-23 2021-09-21 夏普株式会社 用户移动性方法和设备
CN108282824B (zh) * 2017-01-05 2020-03-06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状态更新方法、节点和用户终端
US20190349810A1 (en) * 2017-01-06 2019-11-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lossless data packet based on quality of service (qos) framewor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0237784B2 (en) * 2017-03-24 2019-03-19 Motorola Mobility Llc Split bearer packet data converge protocol protocol data unit routing
CN110583072B (zh) * 2017-05-02 2023-10-20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基站及无线通信方法
KR102359746B1 (ko) 2017-06-05 2022-02-10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인액티브 모드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4210380A1 (en) 2017-06-05 2023-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dcp device and sdap devic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9031947A1 (en) * 2017-08-11 2019-02-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TRANSF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90053110A1 (en) * 2017-08-11 2019-02-14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of Handling a Bearer Change in Dual Connectivity
CN110999519B (zh) 2017-08-11 2023-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对为用户设备配置的多个承载执行承载类型改变的方法
US10448447B2 (en) * 2017-08-17 2019-10-15 Htc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a bearer type change for a radio bearer
US11297502B2 (en) * 2017-09-08 2022-04-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device for negotiating security and integrity algorithms
CN109757130B (zh) * 2017-09-08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配置分组数据汇聚协议pdcp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602207B1 (ko) * 2017-09-18 2023-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헤더 압축 프로토콜을 위한 pdcp 장치 재수립 방법 및 장치
US10917815B2 (en) * 2017-09-18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packe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716822B (zh) * 2017-09-25 2020-06-2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控制终端设备产生上行信令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AU2017433998B2 (en) 2017-09-28 2023-06-0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EP3669578B1 (en) 2017-09-28 2022-07-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pdcp oper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434183B (zh) 2017-09-29 2024-03-12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以双连接处理用户平面的方法和用户设备
ES2926848T3 (es) 2017-10-30 2022-10-28 Huawei Tech Co Ltd Métodos, aparatos, sistema y medio de almacenamiento legible por ordenador para obtener capacidades de seguridad del equipo del usuario
US10972947B2 (en) * 2018-04-05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version change
CN110475386A (zh) * 2018-05-10 2019-11-1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rrc连接重建的承载配置方法、终端及网络设备
WO2019221421A1 (en) * 2018-05-18 2019-11-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nits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818748B1 (en) * 2018-08-06 2024-02-21 Google LLC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US11689970B2 (en) 2018-08-06 2023-06-27 Google Llc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handover
KR102655629B1 (ko) * 2018-10-26 2024-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50997A1 (en) * 2019-01-25 2020-07-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Apparatus and methods to support dual-protocol for mobility enhancement
CN112153689B (zh) * 2019-06-29 2022-09-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发送方法及装置
JP6903097B2 (ja) * 2019-07-17 2021-07-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方法
WO2021062690A1 (zh) * 2019-09-30 2021-04-0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以太帧包头压缩处理方法、装置、用户终端、基站和介质
WO2021066404A1 (en) * 2019-10-02 2021-04-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1066307A1 (en) * 2019-10-03 2021-04-0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target network configuration by user equip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50948A (ko) * 2020-04-08 2022-11-11 애플 인크. Sl 유니캐스트의 보안 개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444A (ko) * 2008-01-04 2010-10-0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무선 링크 제어 리셋
KR20130004935A (ko) * 2010-04-30 2013-01-14 소니 주식회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8636B2 (en) * 2002-06-21 2006-06-27 Asustek Computer Inc. Method for determining RLC entity re-establishment during SRNS relocation
CN1323563C (zh) * 2005-03-28 2007-06-2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多媒体广播/组播服务控制信息的接收方法
KR101266207B1 (ko) * 2005-10-04 2013-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Rlc 재설정을 위한 무선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EP1943777B1 (en) * 2005-10-31 2016-07-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08060097A1 (en) * 2006-11-15 2008-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ciphered packet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BRPI0816033B1 (pt) * 2007-09-28 2020-11-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étodo para regular a transmissão de pacotes de protocolo de convergência de pacote de dados em uma comunicação sem fio
KR101488015B1 (ko) * 2008-01-25 201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 수행방법 및 데이터 생성방법
KR101531513B1 (ko) * 2008-02-04 2015-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랜덤 접속의 접속 지연 재개 방법
US8396037B2 (en) * 2008-06-23 2013-03-12 Htc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PDCP operations after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thereof
US20100034169A1 (en) 2008-08-04 2010-02-11 Qualcomm Incorporated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al end of handover indication
CN102026324B (zh) 2009-09-18 2014-01-2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聚合小区的重配置方法、设备和系统
KR101315853B1 (ko) 2009-12-21 2013-10-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스 기지국 시스템에서 핸드오버 처리 방법 및 소스 기지국 시스템
KR101480929B1 (ko) * 2010-02-12 2015-01-1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다중 사이트 간의 데이터 분할
CN102281535A (zh) * 2010-06-10 2011-12-1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密钥更新方法与装置
WO2013040028A2 (en) * 2011-09-12 2013-03-21 Ntt Docomo, Inc.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with fdd resource allocation
WO2013044982A1 (en) * 2011-09-30 2013-04-04 Nokia Siemens Networks Oy Interrup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s
GB2502954B (en) * 2012-05-23 2014-10-15 Nvidia Corp Processing data units
US9408125B2 (en) * 2012-07-05 2016-08-02 Qualcomm Incorporated Aggregation of data bearers for carrier aggregation
CN103581933B (zh) 2012-08-08 2018-04-17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小区管理的方法、系统和设备
US9144091B2 (en) * 2013-01-17 2015-09-22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establishing multiple connections
US20150365849A1 (en) * 2013-02-07 2015-12-17 Broadcom Corporation Handover procedure between local area cells which are under the same coverage of a macro cell
US9578671B2 (en) * 2013-03-15 2017-02-21 Blackberry Limited Establishing multiple connections between a user equipment and wireless access network nodes
JP6240747B2 (ja) * 2013-04-02 2017-11-2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でセル変更手順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この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444A (ko) * 2008-01-04 2010-10-06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무선 리소스 제어 시그널링을 사용하는 무선 링크 제어 리셋
KR20130004935A (ko) * 2010-04-30 2013-01-14 소니 주식회사 요소 반송파를 선택하는 방법, 기지국,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236A (ko) * 2016-07-08 2018-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1843941B2 (en) 2016-07-08 2023-12-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1323874B2 (en) 2016-07-08 2022-05-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8009021A1 (ko) * 2016-07-08 2018-01-1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018672A (ko) * 2017-06-23 2020-02-19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용되는 보안 키들에 영향을 주는 연결 재구성의 일부로서 베어러 특정 변경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20151001A (ko) * 2017-06-23 2022-11-11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이용되는 보안 키들에 영향을 주는 연결 재구성의 일부로서 베어러 특정 변경들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11032740B2 (en) 2017-08-10 2021-06-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751271B2 (en) 2017-08-10 2023-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establishing PDC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1034340A (zh) * 2017-08-10 2020-04-17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重建pdcp的方法和设备
US20190053098A1 (en) * 2017-08-10 2019-02-1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1034340B (zh) * 2017-08-10 2023-10-20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重建pdcp的方法和设备
US10575213B2 (en) * 2017-08-10 2020-02-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a re-establishment of a PDCP entity associated with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KR20190017309A (ko) * 2017-08-10 2019-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pdcp 버전 변경에 따른 재설정 방법 및 장치
US11330660B2 (en) 2017-08-10 2022-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re-establishing PDCP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9066427A1 (en) * 2017-09-27 2019-04-04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MANAGING LOSS-FREE DATA IN A UM RLC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US11190977B2 (en) 2017-09-27 2021-11-3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data lossless in a UM RLC entit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US11304107B2 (en) 2017-11-16 2022-04-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US11627510B2 (en) 2017-11-16 2023-04-11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00061405A (ko) * 2017-11-16 2020-06-02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데이터 처리 방법과 장치, 및 컴퓨터 저장 매체
US11902844B2 (en) 2017-11-16 2024-02-13 Huawei Technologies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20230030609A (ko) * 2018-04-05 2023-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US11678268B2 (en) 2018-04-05 2023-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rotocol layer of terminal in inactive mode in next-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20190116885A (ko) * 2018-04-05 2019-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비활성화 모드에 있는 단말의 셀 선택 및 재선택 수행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0747B2 (ja) 2017-11-29
CN105103610B (zh) 2020-06-16
EP2982173B1 (en) 2018-05-02
US20180376386A1 (en) 2018-12-27
WO2014163309A1 (en) 2014-10-09
US10785690B2 (en) 2020-09-22
US20200367117A1 (en) 2020-11-19
CN105103610A (zh) 2015-11-25
EP2982173A1 (en) 2016-02-10
US20160014647A1 (en) 2016-01-14
JP2016514922A (ja) 2016-05-23
US11405832B2 (en) 2022-08-02
US10075881B2 (en) 2018-09-11
KR102219983B1 (ko) 2021-02-25
US20220330103A1 (en) 2022-10-13
EP2982173A4 (en)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5832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cell change proced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CN110431876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执行与um rlc实体相关联的pdcp实体的重建的方法及其设备
US10939337B2 (en) Method for establishing/releasing a MAC (medium access control) ent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 device therefor
JP6422514B2 (ja) 端末が二重連結システムでpdcp pdu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JP6604955B2 (ja) 二重接続性における上りリンクデータ送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9839066B2 (en) PDCCH monitoring regardless of DRX configuration
KR2017009591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pdcp 리오더링 타이머를 재설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41743A (ko) D2d 통신 시스템을 위한 수신된 rlc pdu를 처리하는 방법 및 그 장치
WO2016021820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function at a user equipment in a dual connectivity system and device therefor
KR2016000855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이용가능 데이터 양을 보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6526841A (ja) 無線リンク制御再送信失敗報告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WO2017163670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JP2020520582A (ja) データユニットを送信する方法及び装置
KR20190027337A (ko) 무선 통신에서의 자원 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