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6315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6315A
KR20150136315A KR1020140063645A KR20140063645A KR20150136315A KR 20150136315 A KR20150136315 A KR 20150136315A KR 1020140063645 A KR1020140063645 A KR 1020140063645A KR 20140063645 A KR20140063645 A KR 20140063645A KR 20150136315 A KR20150136315 A KR 20150136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search filter
filter condition
category
catego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3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고창석
견재기
장성현
이관민
이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3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6315A/ko
Publication of KR2015013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4Content or additional data filtering, e.g. blocking 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고,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명령을 통해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TV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이때,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하기 위해서는 시청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찾기 위한 메뉴 구조와 탐색 방법은 전통적인 계층 구조 방식으로서, 상세한 탐색을 위해서는 하위 카테고리를 계속해서 진입해야 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최상위 메뉴-> 첫 번째 하위 메뉴 -> 두 번째 하위 메뉴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컨텐츠를 탐색해야 하며, 두 번째 하위 메뉴에 원하는 카테고리가 없을 경우, 다시 첫 번째 메뉴로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또한, 현재 메뉴 구조와 컨텐츠 탐색 방법에서는 두 번째 하위 메뉴에서 바로 최상위 메뉴로 이동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현재 메뉴 탐색 방법에는 리모컨이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을 뿐,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없는 불편한 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색 필터 생성 UI 및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더욱 직관적으로 컨텐츠를 검색하여 저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상기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검색어로 설정하여 상기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를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며,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상기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검색어로 설정하여 상기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를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생성하며,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
도 3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음성을 이용하여 검색어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을 간략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음성 입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스마트 TV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다양한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10)는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120)는 검색 필터 생성 UI에서 검색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음성 입력부(13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다. 이때, 음성 입력부(130)는 검색어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입력부(120)를 통해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입력부(130)를 통해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기 위하여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검색 필터 생성 UI는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검색 필터 생성 UI는 최상위 계층의 카테고리부터 최하위 계층의 카테고리 순서로 검색어를 설정하는 것이 아닌 카테고리의 순서에 상관없이 카테고리의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20)를 통해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검색어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검색어로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설정된 복수의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검색 필터 생성 UI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를 통해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140)는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며, 입력부(120)를 통해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필터 조건이 생성된 후, 음성 입력부(140)를 통해 검색어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검색어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에는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예를 들어, with, and, like 등)를 포함할 수 있다.
검색 필터 조건이 생성된 경우, 제어부(140)는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의 서버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검색된 컨텐츠를 생성된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140)는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유사한 다른 검색 필터 조건에 의해 검색된 컨텐츠 역시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제어부(140)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폴더에 저장된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수신부(210), 영상 처리부(220), 디스플레이부(230), 오디오 출력부(240), 저장부(250), 통신부(260), 음성 입력부(270), 입력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컨텐츠 검색 기능, 디스플레이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각종 구성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따라서, 실시 예에 따라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 중 일부는 생략 또는 변경될 수도 있고, 다른 구성요소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영상 수신부(210)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영상 수신부(210)는 외부의 방송국으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VOD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등)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220)는 영상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영상 처리부(220)에서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영상 수신부(210)로부터 수신한 영상 데이터를 영상 처리부(220)에서 처리한 비디오 프레임 및 그래픽 처리부(293)에서 생성된 다양한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230)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복수의 아이템을 통해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는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30)는 신규 컨텐츠가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40)는 오디오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과 같은 다양한 처리 작업이 수행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저장부(2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모듈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250)에는 베이스 모듈, 센싱 모듈, 통신 모듈, 프리젠테이션 모듈, 웹 브라우저 모듈, 서비스 모듈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모듈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포함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이다. 센싱 모듈은 각종 센서들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분석 및 관리하는 모듈로서, 얼굴 인식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NFC 인식 모듈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로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렌더링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웹 브라우저 모듈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서비스 모듈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저장부(250)는 다양한 프로그램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으나,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가령, 상술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스마트 폰으로 구현된 경우, 베이스 모듈에는 GPS 기반의 위치를 판단하기 위한 위치 판단 모듈을 더 포함하며, 센싱 모듈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50)는 제어부(290)의 제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컨텐츠 저장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저장 폴더는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이름을 가질 수 있다.
통신부(260)는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통신부(260)는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칩, 무선 통신 칩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칩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 NFC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 NFC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한다. 이 중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와이파이 칩이나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특히, 통신부(260)는 외부의 서버로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270)는 마이크를 통해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다. 특히, 음성 입력부(270)는 검색어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검색어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에는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예를 들어, with, and, like 등)가 포함될 수 있다.
입력부(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특히, 입력부(280)는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입력부(280)는 상하 좌우의 사방향 키 및 확인 키를 포함하는 리모컨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터치 스크린, 마우스, 포인팅 디바이스 등과 같은 다양한 입력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9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버스(296)를 포함한다. 이때, RAM(291), ROM(292), 그래픽 처리부(293), 메인 CPU(29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 295-n) 등은 버스(296)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ROM(29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294)는 ROM(29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RAM(29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291)에 복사하고, RAM(29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293)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템,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입력부(28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3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5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CPU(294)는 저장부(25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95-1 내지 29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280)를 통해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90)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고, 음성 입력부(270)를 통해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컨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컨텐츠 리스트는 특정 검색 필터 조건에 의해 검색된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280)를 통해 컨텐츠 리스트의 일 영역에 개시된 아이템(31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리스트의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4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때, 검색 필터 생성 UI(410)에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복수의 아이템(411,4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검색 필터 생성 UI(410)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415)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아이템(411,413)을 포함하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부(280)를 통해 제1 아이템(411)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411)에 대응되는 제1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1 리스트(42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리스트(420)를 통해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검색어를 제1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스트(420)를 통해 "Recommanded"라는 검색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Recommanded"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아이템(411,413)을 포함하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부(280)를 통해 제2 아이템(413)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템(413)에 대응되는 제2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2 리스트(5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리스트(510)를 통해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검색어를 제2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스트(510)를 통해 "Movies"라는 검색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Movies"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템(411,413)을 포함하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부(280)를 통해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415)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카테고리 리스트(6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카테고리 리스트(610)에 포함된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테고리 리스트(610)에 포함된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Genre"라는 추가 카테고리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nre"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3 아이템(710)을 추가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카테고리가 추가된 경우, 제어부(290)는 문장 순서에 따라 아이템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enre" 카테고리가 추가된 경우, 문장 구조상 "Genre" 카테고리가 제2 카테고리에 앞에 위치하는 것이 자연스러우므로, 제어부(2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Genre"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3 아이템(710)을 제2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413)보다 앞에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아이템(411,710, 413)을 포함하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 입력부(280)를 통해 제3 아이템(710)이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아이템(710)에 대응되는 제3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포함하는 제3 리스트(810)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리스트(810)를 통해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선택된 검색어를 제3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리스트(810)를 통해 "Action"라는 검색어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3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Action"를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어부(290)는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commanded Action Movies"라는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검색 필터 생성 UI(410)에 포함된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카테고리가 최상위 계층을 이루며, 제2 카테고리 및 제3 카테고리 순으로 계층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검색어 설정은 계층 구조의 순서에 따라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검색 필터 생성 UI(410)는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에 포함된 제2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제1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보다 먼저 설정할 수 있으며, 제3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제1 및 제2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들보다 먼저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검색 필터 생성 UI(410)에 포함된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복수의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90)는 제3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로 "Action"뿐만 아니라 "S/F"도 함께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 필터 조건이 생성된 후,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검색어 추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를 포함된 경우에만, 제어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Recommanded Action Movies"라는 검색 필터 조건가 생성된 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입력부(270)를 통해 "with Brad Pitt"라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290)는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인 "with"를 추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추출된 "with" 뒤에 부가된 단어인 "Brad Pitt"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검색 필터 조건으로 "Recommanded Action Movies with Brad Pitt"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가 "with"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단어(예를 들어, and, like 등)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검색 필터 조건이 생성된 경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저장부(250)에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기 저장된 컨텐츠 또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중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검색된 컨텐츠를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도록 저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검색된 컨텐츠가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ecommanded Action Movies with Brad Pitt"라는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A"라는 영화가 검색되어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A"라는 영화가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오디오 형태의 안내 메시지를 함께 출력하도록 오디오 출력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90)는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유사한 다른 검색 필터 조건에 의해 검색된 컨텐츠 역시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된 제1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제2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2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검색 필터 조건으로 "Recommanded Action Movies with Brad Pitt"가 저장되고, 제2 검색 필터 조건으로 "Popular action 2000's movies with Brad Pitt"가 저장된 경우, 제어부(290)는 제1 검색 필터 조건과 제2 검색 필터 조건이 일치하는 단어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일치하므로, 제1 검색 필터 조건과 제2 검색 필터 조건이 유사한 검색 필터 조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90)는 제1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제2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를 저장하도록 저장부(2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90)는 제1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에 저장된 제2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제1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한다(S1210). 이때, 검색 필터 생성 UI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2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고,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가 선택된 경우(S122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한다(S123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 필터 생성 UI를 통해 선택된 검색어를 조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40). 이때,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에는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예를 들어, with, and, like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S1240-Y),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한다(S125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한다(S1260).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컨텐츠를 더욱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검색 필터 조건에 의해 검색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내부에 저장된 컨텐츠인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외부의 컨텐츠 서버로부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1300)은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컨텐츠 제공 서버(131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검색 필터 조건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제공 서버(1310)로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310)는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데이터를 가지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된 컨텐츠를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필터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230: 디스플레이부 120, 280: 입력부
130, 270: 음성 입력부 140, 290: 제어부
210: 영상 수신부 220: 영상 처리부
240: 오디오 출력부 250: 저장부
260: 통신부

Claims (20)

  1.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상기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검색어로 설정하여 상기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를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생성하며,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하기 위한 검색 필터 생성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사용자 음성을 입력받는 음성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생성 UI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의 카테고리에 대한 검색어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고, 상기 음성 입력부를 통해 검색어 추가를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며, 상기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가 추가된 검색 필터 조건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는 계층 구조를 이루며,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상기 계층 구조의 순서와 상관없이 상기 복수의 카테고리 각각에 대한 검색어를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복수의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에 포함된 복수의 아이템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검색어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검색어를 선택된 아이템에 대응되는 카테고리의 검색어로 설정하여 상기 검색 필터 조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 필터 생성 UI는,
    카테고리를 추가하기 위한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카테고리 추가 아이템이 선택된 경우,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복수의 추가 카테고리 중 하나가 선택된 경우, 상기 선택된 추가 카테고리에 대응되는 아이템을 생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검색어 추가를 위한 기설정된 단어를 포함된 경우, 상기 입력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검색어를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폴더를 생성하며,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과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도록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된 컨텐츠가 상기 생성된 폴더에 저장된 경우, 신규 컨텐츠가 폴더에 저장되었음을 안내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생성된 검색 필터 조건에 포함된 복수의 검색어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의 단어가 일치하는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이 검색된 경우,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을 통해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폴더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폴더에 저장된 상기 다른 검색 필터 조건의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에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외부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 필터 조건에 대응되는 메타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외부의 서버로부터 상기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주기적으로 수신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63645A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36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5A KR20150136315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645A KR20150136315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315A true KR20150136315A (ko) 2015-12-07

Family

ID=54872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645A KR20150136315A (ko) 2014-05-27 2014-05-27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63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932B1 (ko) * 2015-12-23 2017-03-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룸 필터를 이용한 아이템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4932B1 (ko) * 2015-12-23 2017-03-09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룸 필터를 이용한 아이템 추출 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59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KR10209216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US9851862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ing method for changing a cursor based on a user change of manipulation mode
US20160334988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ed characters from same
EP2743814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of
US9690459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210510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수정 방법
KR102352764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사용자 단말 장치와 연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연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363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정보 제공 방법
KR201501110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102381A (ko) 전자 기기 및 이의 컨텐츠 추천 방법
KR102019975B1 (ko)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KR1016389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17933A (ko) 검색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083164B2 (en) Adding rows and columns to a spreadsheet using addition icons
KR2016013435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40083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KR201400727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사용자 메뉴 제공 방법
KR201401410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검색 결과를 표시하는 방법.
KR201501363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72055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문자 입력 방법
US20200267453A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0032410B (zh) 用于提供用户界面的显示装置和方法
US9633400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10232606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서버 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과 그 컨텐츠 제공 방법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