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9975B1 -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 Google Patents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9975B1
KR102019975B1 KR1020120095261A KR20120095261A KR102019975B1 KR 102019975 B1 KR102019975 B1 KR 102019975B1 KR 1020120095261 A KR1020120095261 A KR 1020120095261A KR 20120095261 A KR20120095261 A KR 20120095261A KR 102019975 B1 KR102019975 B1 KR 102019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question
sorting
display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5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9741A (ko
Inventor
최형탁
최원종
권오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95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9975B1/ko
Priority to CN201310385131.1A priority patent/CN103678441B/zh
Priority to PCT/KR2013/007767 priority patent/WO2014035157A2/en
Priority to JP2013177913A priority patent/JP2014049133A/ja
Priority to US14/013,490 priority patent/US9582542B2/en
Priority to AU2013309655A priority patent/AU2013309655B2/en
Priority to EP13182260.3A priority patent/EP2725505A3/en
Priority to RU2015111167A priority patent/RU2015111167A/ru
Publication of KR20140029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9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7Query processing with adaptation to user nee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의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및,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며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 DEVICE AND CONTENTS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휴대 전화, 카메라, PC 등과 같은 전자 장치들이 컨텐츠 저장을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 장치에 저장되는 컨텐츠의 수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종래 사용자들은 전자 장치에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마우스 또는 터치 조작 등을 통해 일일이 컨텐츠를 검색하여야 했다. 이는, 사용자들이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는 불편함을 초래하였고, 특히, 컨텐츠의 수가 증가할수록 이러한 불편은 가중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간편한 방법으로 쉽게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출력하고, 복수의 답변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는 디바이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부,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의 컨텐츠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질문을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며 상기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복수의 소팅(sorting)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상기 제1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UI 화면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부,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 및 제2 질문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제1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고, 상기 제2 질문에 대한 제2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기준(a second criterion)을 획득하며, 상기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질문 및 상기 제2 질문 각각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검색되면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상기 제2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복수의 컨텐츠는,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복수의 소팅(sorting) 기준을 확인하는 단계 및,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상기 제1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은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은 상기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제1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는 단계,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2 질문에 대한 제2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기준(a second criterion)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검색되면 상기 제1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상기 제2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응답에 기초하여 그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들에게 보다 쉽고 정확하게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하여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PMP, PDA, 태블릿 PC,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휴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춘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장치뿐만 아니라 TV, 모니터, 키오스크 등 거치형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바이스(10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을 출력하고 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 자체에 마련된 저장 공간에 저장되거나,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소팅(sorting) 기준을 확인하고, 소팅 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복수의 그룹으로 소팅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선택된 답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메타데이터란, 컨텐츠에 대한 속성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 위치, 이용 내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들 중에서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소팅한 경우가 다른 정보들을 이용하여 소팅한 경우보다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디바이스(100)는 "컨텐츠를 생성한 장소는?"과 같이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으로 컨텐츠가 생성된 장소(가령, 가령, A 지역, B 지역, C 지역,...)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B 지역을 선택하면, 디바이스(100)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B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부(110), 입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10)는 다양한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즉,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이 포함된 UI 화면,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 등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터치 패드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어, 디스플레이된 UI 화면 상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0)는 UI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0)는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 상에 마련된 검색창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UI 화면 상에 가상 키보드를 중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가상 키보드를 통해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12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응답을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입력부(120)는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20)는 디바이스(10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에서 전송되는 리모컨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IR 수신부(미도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2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명령, UI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복수의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사용자 명령, 검색어를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 검색 중지를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입력부(120)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UI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된 커서를 선택하고자 하는 답변으로 이동시키고 확인 버튼을 입력하여 복수의 옵션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입력부(120)에 구비된 키패드를 통해 UI 화면 상에 마련된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할 수도 있다.
특히, 입력부(120)가 디스플레이부(110)와 함께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입력부(120)는 질문에 대한 옵션을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 조작 및 검색어 입력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저장부(130)는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음악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13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30)는 컨텐츠 속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각 컨텐츠로부터 추출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컨텐츠 속성 정보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40)는 디바이스(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으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한다. 여기에서, 메타데이터는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 컨텐츠를 생성한 날짜, 컨텐츠의 종류, 컨텐츠 타이틀, 컨텐츠 생성 정보, 컨텐츠를 재생한 날짜,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컨텐츠를 재생한 위치, 컨텐츠를 재생한 기기, 컨텐츠를 저장한 기기,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 디바이스(100)로 컨텐츠를 전송한 기기,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인물, 컨텐츠 내에 포함된 장소에 대한 정보, 컨텐츠를 전송한 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으로부터 추출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 속성 정보를 테이블 형태(이하, 속성 정보 테이블)로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어부(140)는 각 컨텐츠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속성 정보 테이블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생성 시간, 컨텐츠 생성 날짜, 컨텐츠 생성 위치, 컨텐츠 종류, 컨텐츠 재생 날짜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생성 시간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대응되는 컨텐츠 생성 시간대에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시간 대를 새벽(0 ~ 6시), 오전(6 ~ 12시), 오후(12 ~ 18시), 저녁(18 ~ 24시)으로 구분하고, 각 컨텐츠를 대응되는 시간대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1과 컨텐츠 2는 오후 시간대, 컨텐츠 3은 새벽 시간대, 컨텐츠 4는 저녁 시간대, 컨텐츠 5는 오전 시간대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생성 날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대응되는 구간에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날짜를 1 년 이내, 1~3 년 이내, 3~5년 이내, 5~10 년 이내, 10 년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컨텐츠를 대응되는 구간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1은 5~10 년, 컨텐츠 2는 3~5 년, 컨텐츠 3은 1 년 이내, 컨텐츠 4는 10 년 이상, 컨텐츠 5는 1~3 년 이내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생성 위치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컨텐츠 생성 위치가 위도/경도 좌표 또는 GPS 정보로 표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하여 컨텐츠가 생성된 지역을 판단하고, 각 컨텐츠를 대응되는 지역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1과 컨텐츠 2는 A 지역, 컨텐츠 3은 B 지역, 컨텐츠 4와 컨텐츠 5는 C 지역으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종류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종류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1과 컨텐츠 2은 이미지, 컨텐츠 3은 음악, 컨텐츠 4는 텍스트, 컨텐츠 5는 동영상으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 재생 날짜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 각각을 대응되는 구간에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컨텐츠 재생 날짜를 1 년 이내, 1~3 년 이내, 3~5년 이내, 5~10 년 이내, 10 년 이상으로 구분하고, 각 컨텐츠를 대응되는 구간에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1은 5~10 년, 컨텐츠 2는 3~5 년, 컨텐츠 3은 1 년 이내, 컨텐츠 4는 10 년 이상, 컨텐츠 5는 1~3년 이내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속성 정보 테이블은 컨텐츠 생성 시간, 생성 날짜, 생성 위치, 종류, 재생 날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일 예일 뿐이다.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다양한 정보 즉, 컨텐츠를 재생한 기기, 컨텐츠를 재생한 위치, 컨텐츠를 재생한 시간,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인물, 컨텐츠 내에 포함된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저장한 기기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저장 기기를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각 컨텐츠에 대응되는 컨텐츠 생성 기기를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새로운 컨텐츠가 저장부(130)에 저장되면, 새롭게 저장된 컨텐츠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새롭게 저장된 컨텐츠의 생성 시간, 생성 날짜, 생성 위치, 종류, 재생 날짜, 재생 기기, 재생 위치, 재생 시간, 컨텐츠 내에 포함된 인물, 컨텐츠 내에 포함된 장소 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컨텐츠별로 대응되는 정보를 매핑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제1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소팅 기준으로 하여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기준에 의해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의 개수를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산출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 10개의 컨텐츠가 저장되고, 이들에 기초하여 생성된 속성 정보 테이블이 하기의 표 1과 같은 경우를 가정한다.

컨텐츠 생성 위치 컨텐츠 생성한 시간 컨텐츠 재생 기기
A 지역 B 지역 C 지역 새벽
(0~6)
오전
(6~12)
오후
(12~18)
저녁
(18~24)
A 기기 B 기기
컨텐츠1
컨텐츠2
컨텐츠3
컨텐츠4
컨텐츠5
컨텐츠6
컨텐츠7
컨텐츠8
컨텐츠9
컨텐츠10
표 1을 참조하면,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은 컨텐츠 생성 위치에 따라 A 지역, B 지역, C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을 컨텐츠 생성 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은 A 지역 그룹, B 지역 그룹, C 지역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소팅 그룹의 개수가 3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은 컨텐츠 생성 시간에 따라 새벽, 오전, 오후, 저녁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을 컨텐츠 생성 시간에 따라 분류할 때,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은 새벽 시간 그룹, 오전 시간 그룹, 오후 시간 그룹, 저녁 시간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소팅 그룹의 개수는 4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은 컨텐츠 재생 기기에 따라 A 기지, B 기기에서 재생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1 내지 컨텐츠 10을 컨텐츠 재생 기기에 따라 분류할 때,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은 A 기기 그룹, B 기기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소팅 그룹의 개수는 2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부(130)에 표 1과 같은 속성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 경우,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은 컨텐츠 생성 시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시간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 사항(가령,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을 제1 질문으로 생성하고, 제1 질문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하여, 제1 질문과 함께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표 1에서, 컨텐츠 생성 시간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므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시간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인 "새벽, 오전, 오후, 저녁"을 제1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질문 사항인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과 그에 대한 선택 가능한 답변으로 "새벽, 오전, 오후, 저녁"이 포함하도록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1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이 하나의 UI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각각을 포함하는 별도의 UI 화면을 구성하고, 이들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며,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옵션을 제1 기준으로 결정하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에 대한 답변으로 "오후"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 자체를 재생하거나,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는 컨텐츠 명칭, 생성 시간, 재생 시간, 썸네일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컨텐츠가 이미지인 경우, 제어부(140)는 이미지를 풀 뷰 형태 또는 썸네일 이미지 형태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슬라이드 쇼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이미지에 대한 명칭 등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검색된 컨텐츠가 동영상 또는 음악인 경우, 제어부(140)는 동영상 또는 음악을 전체 또는 일부 재생하거나, 동영상의 경우 썸네일 이미지, 음악의 경우 앨범 표지를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동영상 또는 음악에 대한 명칭, 재생 시간, 썸네일 이미지, 앨범 표지 등을 포함하는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해 복수의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해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1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 및 제2 질문을 출력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제1 질문 및 제2 질문 각각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제1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고, 제2 질문에 대한 제2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기준(a second criterion)을 획득하며,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 기준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검색되면 제1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개수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즉, 제어부(140)는 출력된 질문에 대한 답변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에 기초하여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이면, 컨텐츠 검색을 위한 추가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제2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에 대한 답변으로 "오후"가 선택되면,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인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가 검색된다. 이때, 기설정된 개수가 5개 미만인 것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을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표 1을 참조하면,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는 컨텐츠 생성 위치에 따라 A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을 컨텐츠 생성 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은 A 지역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소팅 그룹의 개수는 1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표 1을 참조하면,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는 컨텐츠 재생 기기에 따라 A 기기, B 기기에서 재생된 컨텐츠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을 컨텐츠 재생 기기에 따라 분류할 때, 분류될 수 있는 소팅 그룹은 A 기기 그룹, B 기기 그룹인 것으로 판단하고, 소팅 그룹의 개수는 2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결국,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를 컨텐츠 재생 기기에 기초하여 분류하는 경우,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므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재생 기기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사항(가령, "컨텐츠를 재생한 기기는?")을 제2 질문으로 생성하고, 제2 질문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2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하여, 제2 질문과 함께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획득된 제1 기준에 기초하여 검색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선택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은 컨텐츠 재생 기기이므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재생 기기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인 "A 기기, B 기기"를 제2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생성하고, 질문 사항인 "컨텐츠를 재생한 기기는?"과 그에 대한 선택 가능한 답변인 "A 기기, B 기기"가 포함되도록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2 질문과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이 하나의 UI 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제2 질문과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각각을 포함하는 별도의 UI 화면을 구성하고, 이들 UI 화면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옵션을 제2 기준으로 결정하고, 제1 기준에 부합하는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2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재생한 기기는?"에 대한 답변으로 "B 기기"을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기준을 부합하는 컨텐츠 즉,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1,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 중에서 B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2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 자체를 재생하거나,제2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는 컨텐츠 명칭, 생성 시간, 재생 시간, 썸네일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40)는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중복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1 질문 생성 시 이용된 소팅 기준 다음으로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소팅 기준을 이용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표 1을 예로 들면, 컨텐츠 생성 시간 다음으로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소팅 기준은 컨텐츠 생성 위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위치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사항(가령,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는?")을 제2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소팅 그룹의 개수가 2번째로 많은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표 1을 예로 들면, 컨텐츠 생성 위치를 기준으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2번째로 많게 되므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위치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인 "A 지역, B 지역, C 지역"을 제2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및 제2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하나의 UI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질문과 제1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 및 제2 질문과 제2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는?"과 그에 대한 답변으로 "새벽, 오전, 오후, 저녁" 및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는?"과 그에 대한 답변으로 "A 지역, B 지역, C 지역"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각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획득하고,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획득된 제1 기준 및 제2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에 대한 답변으로 "저녁"을 선택하고,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는?"에 대한 답변으로 "C 지역"을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저녁 시간대 생성된 컨텐츠 중에서 C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6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6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질문이 사용자가 명확히 기억하고 있지 않은 이벤트에 대한 질문일 수 있다는 점에서, 제어부(140)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에, 해당 질문을 스킵하기 위한 옵션(가령, "기억 안남")을 부가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질문을 스킵하기 위한 옵션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소팅 그룹의 개수를 기준으로, 스킵된 질문 생성 시 이용된 소팅 기준 다음으로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어부(140)는 해당 질문을 스킵하기 위한 옵션을 부가할 수 있다.
표 1을 예로 들면, 제어부(140)는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컨텐츠 생성 시간을 문의하기 위한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새벽, 오전, 오후, 저녁, 기억 안남"을 생성하고, 이들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에 대한 답변으로 "기억 안남"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별도의 컨텐츠를 검색함이 없이 소팅 그룹의 개수가 다음으로 많은 소팅 기준 즉, 소팅 그룹의 개수가 2번째로 많은 컨텐츠 생성 위치를 문의하기 위한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는?"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A 지역, B 지역, C 지역, 기억 안남"을 생성하고, 이들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때, 기설정된 개수의 옵션만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를 판단하고, 소팅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가 많은 순으로 기설정된 개수만큼의 소팅 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에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컨텐츠 생성 시간을 기준으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은 새벽, 오전, 오후, 저녁 시간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새벽 시간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1개(즉, 컨텐츠 10), 오전 시간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1개(즉, 컨텐츠 2), 오후 시간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5개(즉, 컨텐츠 1,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8), 저녁 시간 그룹에 포함된 컨텐츠는 2개(즉, 컨텐츠 6, 컨텐츠 9)이다.
이때, 2개의 답변이 출력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복수의 소팅 그룹 중 소팅 그룹 내에 포함된 컨텐츠의 개수가 많은 2개의 소팅 그룹 즉, 오후 시간 그룹과 저녁 시간 그룹의 명칭만이 포함되도록 컨텐츠 생성 시간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과 "오후, 저녁"를 포함하도록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소팅 기준에 의해 분류되었지만,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으로 출력되지 않은 소팅 그룹을 선택 가능한 답변에 추가시킬 수도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40)는 "오후, 저녁"과 함께 "기타"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하고, "기타"가 선택되면 새벽과 오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컨텐츠를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동일한 소팅 기준이 존재하는 경우,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따라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소팅 기준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우선 순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종류를 소팅 기준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소팅하는 경우와 컨텐츠 재생 날짜를 소팅 기준으로 복수의 컨텐츠를 소팅하는 경우가 소팅 그룹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우선 순위가 높은 컨텐츠 종류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40)는 제2 질문 외에도 추가적인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2 질문을 통해 획득한 제2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인 경우,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이 될 때까지 제3 질문, 제4 질문,... 등 추가적인 질문 및 각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계속적으로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부(140)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획득한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 사항을 생성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이 포함되도록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각 질문에 대한 응답에 대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 중에서 하나의 옵션이 선택되고, 선택된 옵션을 컨텐츠 검색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사용자는 2개 이상의 옵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선택된 2개 이상의 옵션을 컨텐츠 검색을 위한 기준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에 따라 컨텐츠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마찬가지로, 제어부(140)는 선택된 2개 이상의 옵션에 기초하여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질문 및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어부(140)가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검색되는 경우, 추가적인 제2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의 개수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 검색되는 경우라도, 별도의 검색 중지 명령이 입력될 때까지 추가적인 제2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속성 정보 테이블이 저장부(13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라도,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로부터 메타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의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즉, 제어부(140)는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소인 소팅 기준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해당 소팅 기준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을 포함하도록 답변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디바이스(100)가 외부 서버(가령, 클라우드 서버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ing Service, 이하 SNS) 서버(미도시)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한 경우, 제어부(140)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함으로써,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외부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 모듈(미도시)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각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각종 정보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외부 서버(미도시)에 대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이용하여, 각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답변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검색어는 컨텐츠와 관련된 다양한 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어는 컨텐츠의 명칭, 생성 날짜, 생성 시간, 생성 위치, 컨텐츠에 포함된 인물, 컨텐츠에 포함된 장소, 장르, 종류, 제작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컨텐츠와 관련된 키워드를 기억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5 년 전에 A 지역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검색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종류, 생성 날짜, 생성 위치를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별다른 고민 없이 기억하고 있는 검색어만으로는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정확히 검색할 수는 없다. 따라서, 제어부(140)는 검색어에 따라 추출된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1 질문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하기의 표 2를 참조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에 저장된 10개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속성 정보 테이블이 하기의 표 2과 같은 경우를 가정한다.

컨텐츠 생성 위치 컨텐츠 생성 시간 컨텐츠 생성 기기
A 지역 B 지역 오전
(6~12시)
오후
(12~18시)
저녁
(18~24시)
A 기기 B 기기
컨텐츠 1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6
컨텐츠 7
컨텐츠 8
컨텐츠 9
컨텐츠 10
한편,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생성 위치와 관련된 검색어로 "B 지역"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B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표 2와 같은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에서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7, 컨텐츠 8, 컨텐츠 10을 추출한다.
이후, 제어부(140)는 추출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추출된 컨텐츠를 복수의 컨텐츠로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소팅 기준에 따라 추출된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제1 질문으로 생성한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 3, 컨텐츠 4, 컨텐츠 5, 컨텐츠 7, 컨텐츠 8, 컨텐츠 10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은 컨텐츠 생성 시간 및 컨텐츠 재생 기기가 되고, 컨텐츠 생성 기기에 기초하여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므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기기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가령,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는?")을 제1 질문으로 생성하고, 제1 질문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생성하여, 제1 질문과 함께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기기에 따라 분류된 소팅 그룹의 명칭인 "A 기기, B 기기"를 제1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으로 생성하고, 질문 사항인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는?"과 "A 기기, B 기기"를 포함하도록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해당 질문을 스킵하기 위한 답변 사항인 "기억 안남"을 추가로 생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제1 기준을 획득하며,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는?"에 대한 답변으로 "B 기기"를 선택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B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4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4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하여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개수 미만으로 검색될 때까지 추가적인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검색어를 먼저 입력받고 입력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일 뿐이다. 즉,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생성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이후, 컨텐츠 검색을 위한 검색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나의 옵션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옵션을 컨텐츠 검색을 위한 기준으로 하여, 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이후, 검색어를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 상에서 검색어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옵션에 기초하여 검색된 컨텐츠 중에서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표 2와 같은 예에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컨텐츠 생성 시간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인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과 그에 대한 답변으로 "오전, 오후, 저녁"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저녁"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저녁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인 컨텐츠 3 내지 컨텐츠 5, 컨텐츠 7, 컨텐츠 8 및 컨텐츠 10을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UI 화면 상에서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와 관련된 검색어로 "A 기기"가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저녁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인 컨텐츠 3 내지 컨텐츠 5, 컨텐츠 7, 컨텐츠 8 및 컨텐츠 10 중에서, A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7, 컨텐츠 8 및 컨텐츠 10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140)는 현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기간 이전에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되거나 디바이스(100) 자체에서 생성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만을 기초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는 외부 기기(미도시)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며, 외부 기기(미도시)는 SNS 서버, 클라우드 서버,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타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최근 1 주일 이내, 최근 1 달 이내 등에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자체적으로 생성한 컨텐츠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 최근 3달 이내, 최근 6달 이내 등과 같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들에서,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와는 무관하게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만을 기초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그에 기초하여 질문 및 그에 대해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위치를 문의하는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 구성시,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고려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는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GPS 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컨텐츠 생성 위치를 소팅 기준으로 하여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생성할 때, GPS 수신부(미도시)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산출된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서 생성된 소팅 그룹만을 포함하도록 UI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가 표 1의 속성 정보 테이블을 기초로, 컨텐츠가 생성된 위치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생성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A 지역과 B 지역만이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를 생성한 장소는?" 및 "A 지역, B 지역"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에서 기설정된 거리를 벗어나는 곳에 위치하는 C 지역은 UI 화면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바이스(100)는 클라우드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하며, 제어부(140)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통해 속성 정보 테이블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먼저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하고, 이후, 클라우드 서버(미도시)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먼저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40)는 최근에 외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디바이스(100)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먼저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고, 이들이 포함된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답변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이때, 제어부(140)는 검색 결과 화면 상에 저장부(130)에 저장된 모든 컨텐츠를 기반으로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GUI(가령, "모든 컨텐츠 검색")를 함께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GUI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통신 모듈(미도시)를 제어하여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 모든 컨텐츠에 기초하여 생성된 속성 정보 테이블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클라우드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속성 정보 테이블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UI 화면 상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답변에 부합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따르면, 디바이스(100)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 외에 통신부(150), GPS 수신부(161), DMB 수신부(163), 오디오 처리부(165), 비디오 처리부(167), 스피커(170), 센서부(180),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를 포함한다.
통신부(150)는 다양한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기기는 SNS 서버 또는 클라우드 서버 등과 같은 외부 서버(미도시) 및 디바이스(100)와 통신 가능한 타 디바이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5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51), 와이파이 칩(152), 블루투스 칩(153) 및, NFC 칩(154)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151)는 인터넷 망을 통해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다양한 컨텐츠 및 각종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 칩(154)은 3GPP, LTE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거나,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152)이나 블루투스 칩(153)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기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NFC 칩(154)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153)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 기기(미도시)에는 NFC 리더가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디바이스(100)나 외부 기기(미도시)를 이동시켜, 서로 통신 가능한 범위(약 10cm)내에 위치시키면 NFC 칩(153)에 기록된 컨텐츠가 외부 기기(미도시)로 전달된다. 다른 한편, 통신부(150)는 NFC 리더(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NFC 리더를 통해 외부 기기(미도시)에 마련된 NFC 칩에 저장된 컨텐츠를 수신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통신부(150)를 구성하는 다양한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미도시)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외부 기기(미도시)로부터 수신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속성 정보 테이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속성 정보 테이블을 외부 기기별로 매칭시켜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GPS 수신부(161)는 GPS(Gr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제어부(130)는 산출된 GPS 정보를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현재 위치한 지역을 판단할 수 있다.
DMB 수신부(163)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오디오 처리부(16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69)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비디오 처리부(169)에서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코덱은 소프트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지만, 하드웨어로도 구현될 수 있다. 비디오 처리부(163)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코덱을 포함하며, 이를 이용하여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170)는 오디오 처리부(150)에서 처리된 각종 오디오 데이터 뿐만 아니라 각종 알림 음이나 음성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센서부(180)는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 내용이나 디바이스(100)의 상태 등을 센싱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센서부(180)는 지자기 센서(181), 자이로 센서(182), 가속도 센서(183), 터치 센서(184)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지자기 센서(181)는 2축 또는 3축 플럭스게이트를 이용하여 주변 지자기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제어부(140)는 지자기 센서(181)에서 감지된 지자기 값을 이용하여, 방위각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버 장치(100)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82)는 움직임 발생시 가속도 및 가속도의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속도 센서(182)는 그 센서가 부착된 디바이스(100)의 기울기에 따라 변화되는 중력 가속도에 대응되는 센싱 값을 출력한다. 제어부(130)는 가속도 센서(182)의 출력값을 이용하여 이동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83)는 회전 운동이 일어나면, 그 속도 방향으로 작용하는 코리올리의 힘을 측정하여, 각속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제어부(140)는 자이로 센서(183)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서도 디바이스(100)의 회전을 검출할 수 있다.
터치 센서(184)는 디스플레이부(110)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184)는 정전식 또는 감압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정전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코팅된 유전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디스플레이부(110) 표면에 터치되었을 때 사용자의 인체로 여기되는 미세 전기를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센서를 의미한다.
감압식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내장된 두 개의 전극 판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였을 경우, 터치된 지점의 상하 판이 접촉되어 전류가 흐르게 되는 것을 감지하여 터치 좌표를 산출하는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의미한다. 센서부(180)는 터치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의 좌표를 검출하여 제어부(140)로 제공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8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센싱 신호에 따라 다양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터치 센서(184)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포함하는 UI 화면 상에서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을 판단하고, 터치가 이루어진 지점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선택된 옵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터치 센서(184)의 센싱 결과에 기초하여, 검색어 입력을 위한 UI 화면 상에서 검색창에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되면 가상 키보드를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가상 키보드 상에서 터치가 이루어진 좌표값에 기초하여 입력받은 검색어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지자기 센서(181), 자이로 센서(182), 가속도 센서(183) 등에 의해 디바이스(100)가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회전한 것이 감지되면, 제어부(140)는 회전 방향에 따라 화면을 전환하는 동작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디바이스(100)의 회전에 대응되도록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화면을 회전시킬 수 있다.
그 밖에, 디바이스(100)는 버튼(191), USB 포트(192), 카메라(193), 마이크(194) 등과 같은 다양한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버튼(191)은 디바이스(100)의 본체 외관의 전면부나 측면부, 배면부 등의 임의의 영역에 형성된 기계적 버튼, 터치 패드, 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버튼이 될 수 있다. USB 포트(192)는 USB 메모리나 USB 커넥터가 연결될 수 있는 포트를 의미한다. 디바이스(100)는 USB 포트(192) 뿐만 아니라 각종 연결 포트에 의해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도 함께 검색하여 공유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193)는 피사체를 촬상하기 위한 구성이다. 가령, 사용자가 카메라(193)를 통해 다양한 객체를 촬상하면, 제어부(140)는 카메라(193)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저장부(13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93) 및 마이크(194)가 마련된 경우, 제어부(130)는 마이크(19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음성이나 카메라(193)에 의해 인식되는 사용자 모션에 따라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디바이스(100)는 모션 제어 모드나 음성 제어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모션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40)는 카메라(193)를 활성화시켜 사용자를 촬상하고, 사용자의 모션 변화를 추적하여 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질문 및 그에 대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을 포함하는 UI 화면 상에서 하나의 옵션을 하이라이트시켜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의 모션(가령, 손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모션 또는 손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모션)에 따라 하이라이트를 이동시켜, 하나의 옵션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모션에 의해 선택된 응답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는 사용자 모션에 기초하여 가상 키보드 상에서 입력된 검색어를 판단하고,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는, 제어부(140)는 질문 및 그에 대한 선택 가능한 복수의 옵션에 대응되는 음성을 스피커(170)를 통해 출력하고, 출력된 음성에 대한 사용자 음성을 마이크(194)를 통해 수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마이크(194)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옵션을 판단하고, 그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140)는 마이크(194)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음성을 분석하여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검색어를 판단하고,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술한 제어부(140)의 동작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저장부(130)에는 디바이스(100)를 구동시키기 위한 O/S(Operating System)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입력되거나 설정되는 각종 데이터, 컨텐츠 등과 같이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30)에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 조작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바이스(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40)는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버스(146)를 포함한다.
RAM(141), ROM(142), 메인 CPU(143), 그래픽 처리부(14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 등은 버스(146)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나 신호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145-1 ~ 145-n)는 도 4에 도시된 각종 구성 요소들 뿐만 아니라, 그 밖의 구성 요소들과도 연결되어 메인 CPU(143)가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CPU(143)는 저장부(13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ROM(142)에는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메인 CPU(143)는 ROM(142)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O/S를 RAM(141)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메인 CPU(143)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RAM(141)에 복사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그래픽 처리부(144)는 메인 CPU(143)의 제어에 따라 각종 화면을 구성한다. 또한, 그래픽 처리부(144)는 화면에 대한 표시 상태 값을 계산한다. 표시 상태 값이란 화면상에서 객체가 표시될 위치의 좌표값, 객체의 형태, 크기, 컬러 등을 나타내는 속성값 등이 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144)는 표시 상태 값이 계산되면, 그 값에 기초하여 렌더링을 수행하여, 화면을 생성한다.
메인 CPU(143)는 센서부(180) 또는 버튼(191)에 의해 사용자가 컨텐츠 검색 명령을 입력한 것으로 판단되면, 다양한 UI 화면을 생성하도록 그래픽 처리부(144)를 제어하고, UI 화면 상에서 이루어진 사용자 조작에 기초하여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RAM(141)에 복사하고 실행시켜,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의 계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르면, 저장부(130)에는 베이스 모듈(131), 센싱 모듈(132), 통신 모듈(133), 프리젠테이션 모듈(134), 웹 브라우저 모듈(135), 컨텐츠 처리 모듈(136)을 포함한다.
베이스 모듈(131)이란 디바이스(100)에 구비된 각 하드웨어들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상위 레이어 모듈로 전달하는 기초 모듈을 의미한다.
베이스 모듈(131)은 스토리지 모듈(131-1), 위치 기반 모듈(131-2), 보안 모듈(131-3), 네트워크 모듈(131-4) 등을 포함한다.
스토리지 모듈(131-1)이란 데이터베이스(DB)나 레지스트리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메인 CPU(133)는 스토리지 모듈(131-1)을 이용하여 저장부(13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각종 데이터를 리딩(reading)할 수 있다. 위치 기반 모듈(131-2)이란 GPS 칩 등과 같은 각종 하드웨어와 연동하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다. 보안 모듈(131-3)이란 하드웨어에 대한 인증(Certification), 요청 허용(Permission), 보안 저장(Secure Storage) 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모듈이고, 네트워크 모듈(131-4)이란 네트워크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모듈로 DNET 모듈, UPnP 모듈 등을 포함한다.
센싱 모듈(132)은 외부 입력 및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고, 이를 이용하기 위한 모듈이다. 센싱 모듈(132)은 회전 인식 모듈(Rotation Recognition), 음성 인식 모듈(Voice Recognition), 터치 감지 모듈(Touch Recognition), 제스쳐 인식 모듈(Gesture Recognition)을 포함한다. 회전 인식 모듈이란 지자기 센서(181), 자이로 센서(182) 등과 같은 센서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이용하여 회전 각도 및 회전 방향을 산출하는 프로그램이다. 음성 인식 모듈은 마이크(194)에서 수집된 음성 신호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추출하는 프로그램이며, 터치 감지 모듈은 터치 센서(184)에서 감지된 센싱 값을 이용하여 터치 좌표를 검출하는 프로그램이며, 제스쳐 인식 모듈은 카메라(193)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이다.
통신 모듈(133)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이다. 통신 모듈(133)은 메신저 프로그램, SMS(Short Message Service) &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프로그램, 이메일 프로그램 등과 같은 메시징 모듈(133-1), 전화 정보 수집기(Call Info Aggregator) 프로그램 모듈, VoIP 모듈 등을 포함하는 전화 모듈(133-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34)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듈이다. 프리젠테이션 모듈(134)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34-1), UI 및 그래픽 처리를 수행하는 UI & 그래픽 모듈(134-2)을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모듈(134-1)은 플레이어 모듈, 캠코더 모듈, 사운드 처리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종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 및 음향을 생성하여 재생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UI & 그래픽 모듈(134-2)은 이미지를 조합하는 이미지 합성기(Image Compositor module),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화면 상의 좌표를 조합하여 생성하는 좌표 조합 모듈, 하드웨어로부터 각종 이벤트를 수신하는 X11 모듈, 2D 또는 3D 형태의 UI를 구성하기 위한 툴(tool)을 제공하는 2D/3D UI 툴킷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웹 브라우저 모듈(135)은 웹 브라우징을 수행하여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웹 브라우저 모듈(135)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웹 뷰(web view) 모듈, 다운로드를 수행하는 다운로드 에이전트 모듈, 북마크 모듈, 웹킷(Webkit)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처리 모듈(136)은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를 처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재생 능력 판단 모듈(136-1)은 재생 능력 정보와 컨텐츠 속성을 비교하는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 프로그램이다. 파서(136-2) 및 코덱(136-3)은 컨텐츠 처리를 위해서 비디오 처리부(167)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이다. 파서(136-2)는 통상적으로 소프트웨어로만 구현되고, 코덱(136-3)은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고 하드웨어로 구현되는 경우도 있다.
그 밖에, 네비게이션 서비스 모듈, 게임 모듈 등과 같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각종 프로그램 모듈들은 디바이스(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도 있다. 가령, 디바이스(100)가 스마트폰인 경우라면, 전자책 어플리케이션, 게임 어플리케이션 및 기타 유틸리티 프로그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의 프로그램 모듈들 중에서 일부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도 디바이스(100)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일부 생략되거나 변형 또는 추가될 수 있다. 가령, 디아비스(100)가 TV인 경우, 안테나나 튜너와 같은 하드웨어도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컨텐츠를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도면들은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속성 정보 테이블이 하기의 표 3과 같은 경우를 가정하였다.

컨텐츠 생성 위치 컨텐츠 생성 시간 컨텐츠 생성 기기
A 지역 B 지역 새벽
(0~6)
오전
(6~12)
오후
(12~18)
저녁
(18~24)
A 기기 B 기기 C 기기
컨텐츠1
컨텐츠2
컨텐츠3
컨텐츠4
컨텐츠5
컨텐츠6
컨텐츠7
컨텐츠8
컨텐츠9
컨텐츠10
먼저, 도 6과 같이, 디바이스(100)의 홈 화면에 표시된 복수의 아이콘 중 컨텐츠 검색을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검색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즉, 디바이스(10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100)의 화면 상에 아이콘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된 아이콘을 선택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표 3과 같은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컨텐츠 생성 시간에 따라 컨텐츠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 7과 같이,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과 "새벽, 오전, 오후, 저녁, 기억 안남"을 포함하는 UI 화면(210)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UI 화면(210) 상에서 "새벽"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표 3과 같은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새벽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1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검색된 검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이 검색된 컨텐츠가 1개 이하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40)는 도 8과 같이 검색된 컨텐츠 1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컨텐츠 1이 이미지인 경우, 도 8의 (1)과 같이 검색된 이미지 1을 풀 뷰 형태(221)로 출력하거나, 도 8의 (2)와 같이 검색된 이미지 1의 썸네일 이미지(222)를 명칭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8의 (3)과 같이 검색된 이미지 1의 명칭, 생성 날짜 등을 포함하는 리스트(223)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와 같은 UI 화면(210) 상에서 "오전"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표 3과 같은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오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검색된 컨텐츠는 4개이므로, 검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추가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은 컨텐츠 생성 위치와 컨텐츠 생성 기기가 되고, 컨텐츠 생성 기기에 기초하여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므로, 제어부(140)는 도 10과 같이,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는?"과 "A 기기, B 기기, C 기기, 기억 안남"을 포함하는 UI 화면(230)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UI 화면(230) 상에서 "A 기기"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표 3과 같은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A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2, 컨텐츠 3인 것으로 판단한다. 이 경우, 검색된 컨텐츠는 2개이므로, 검색 결과를 출력하기 위한 기설정된 조건에 부합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재차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한다.
상술한 예에서 컨텐츠 2, 컨텐츠 3을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은 컨텐츠 생성 위치이므로, 제어부(140)는 도 11과 같이, "컨텐츠를 생성한 위치는?"과 "A 지역, B 지역, 기억 안남"을 포함하는 UI 화면(240)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UI 화면(240) 상에서 "B 지역"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2, 컨텐츠 3 중 B 지역에서 생성된 컨텐츠 3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색된 컨텐츠 3이 동영상인 경우, 도 12의 (1)과 같이 검색된 동영상 1(251)을 자동으로 재생하거나, 도 12의 (2)와 같이 검색된 동영상 1의 썸네일 이미지(252)를 명칭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도 12의 (3)과 같이 검색된 동영상 1의 명칭, 재생 시간 등을 포함하는 리스트(253)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제어부(140)는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출력함에 있어,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GUI(도 7의 211, 도 9의 211, 도 10의 231, 도 11의 241)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GUI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검색창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하고, 검색창을 통해 검색어가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은 UI 화면(230) 상에서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GUI(231)가 선택되면 도 13과 같은 검색창(261)을 포함하는 화면(260)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검색어를 입력받기 위한 가상 키보드(262)가 함께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입력된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은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을 문의하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오전"이 선택된 상태라는 점에서, 제어부(140)는 오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 즉,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한다. 가령, 도 14와 같이 C 기기가 검색어로 입력되면 제어부(140)는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 중에서 C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 9를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인 것으로 판단하고, 도 15와 같이 컨텐츠 9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과 같이, 제어부(140)는 제어부(140)는 질문 및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출력함에 있어, 이전 UI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도 10의 232, 도 11의 242)를 함께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당 GUI가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이전에 디스플레이되었던 화면, 즉, 이전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과 같은 UI 화면(23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전 UI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도 10의 232)가 선택되면, 도 9와 같은 UI 화면(210)이 다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전 질문에 대한 답변을 다시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새롭게 선택된 답변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가령, 도 10과 같은 UI 화면(23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이전 UI 화면을 출력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GUI(도 10의 232)가 선택되어, 도 9와 같은 UI 화면(210)이 재차 디스플레이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UI 화면(210) 상에서 사용자가 "새벽"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새벽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1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1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 도 9 내지 도 11에는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GUI 및 이전 UI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GUI가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이다. 즉, 제어부(140)는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만을 포함하도록 UI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별도의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해당 GUI들을 UI 화면 상에 부가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하나의 질문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16과 같이 복수의 질문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으며, 이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및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이 제어부(140)는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 및 다음으로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과 그에 대한 답변을 포함하도록 UI 화면(27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질문에 대한 답변이 선택되면, 제어부(140)는 선택된 답변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과 같은 UI 화면(26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오전" 및 "B 기기"가 선택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오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는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인 것으로 판단하고, 컨텐츠 2, 컨텐츠 3, 컨텐츠 5, 컨텐츠 9 중에서 B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도 17과 같이 제어부(140)는 검색된 컨텐츠 4를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40)는 UI 화면 상에서 해당 질문을 스킵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스킵된 질문 생성 시 이용된 소팅 기준 다음으로 소팅 그룹의 개수가 많은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및 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은 UI 화면(210)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억 안남"을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소팅 그룹의 개수가 다음으로 많은 컨텐츠를 생성한 기기를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3 내지 도 15에서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된 후 검색어를 입력받는 것을 설명하였다. 하지만,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검색어를 먼저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홈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검색을 아이콘을 터치하면, 제어부(140)는 도 18과 같은 검색창(281) 및 가상 키보드(282)를 포함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40)는 검색창(281)에 입력된 검색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검색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와 같이 검색창(281)에 C 기기가 입력된 경우, 제어부(140)는 C 기기에서 생성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검색된 컨텐츠 4, 컨텐츠 8, 컨텐츠 9를 분류할 때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가 되는 소팅 기준 즉,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을 문의하기 위한 질문 및 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답변을 포함하는 UI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즉, 컨텐츠 4, 컨텐츠 8, 컨텐츠 9를 컨텐츠 생성 시간에 따라 분류하면 오전 그룹, 오후 그룹 및 저녁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도 20과 같이 "컨텐츠를 생성한 시간은?" 및 "오전, 오후, 저녁, 기억안남"을 포함하는 UI 화면(290)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컨텐츠 4, 컨텐츠 8, 컨텐츠 9 중에서 UI 화면(290) 상에서 선택된 답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가 "오후"를 선택하면, 제어부(140)는 속성 정보 테이블을 참조하여, 검색어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 4, 컨텐츠 8, 컨텐츠 9 중에서 오후 시간대에 생성된 컨텐츠를 검색한다. 이에 따라, 도 21과 같이, 제어부(140)는 검색된 컨텐츠 4을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을 생성한다(S310). 여기에서, 복수의 컨텐츠는,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복수의 소팅(sorting)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제1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20). 이 경우, 사용자가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1 질문에 대한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하고(S330), 제1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제1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340). 구체적으로,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 자체를 재생하거나, 제1 기준에 따라 검색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리스트는 컨텐츠 명칭, 생성 시간, 재생 시간, 썸네일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UI를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제1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특히, 본 실시 예는 복수의 컨텐츠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복수의 컨텐츠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10). 이 경우, 제1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제1 질문에 대한 제1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1 기준(a first criterion)을 획득한다(S420).
또한,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질문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30). 이 경우,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옵션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가 기설정된 개수 이상 검색되면 제1 검색 결과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 각각의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제1 기준에 부합되는 컨텐츠를 분류할 수 있는 소팅 기준을 확인하고, 각 소팅 기준에 따라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에 기초하여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소팅 가능한 소팅 그룹의 개수가 최대인 소팅 기준에 대한 질문 사항을 제2 질문으로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제2 질문에 대한 제2 사용자 응답에 기초하여 컨텐츠 검색을 위한 제2 기준(a second criterion)을 획득한다(S440). 그리고, 제1 기준 및 제2 기준을 기초로 검색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S450).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제1 질문을 생성하는 방법 및 검색된 검색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법은 도 21과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도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UI를 통해 검색어가 입력되면,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컨텐츠에 기초하여 제1 질문 또는 제2 질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검색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도시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바이스 110 : 디스플레이부
120 : 입력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부

Claims (22)

  1. 디바이스에 있어서,
    컨텐츠 검색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지 압력을 수신하는 입력부; 및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으로 소팅하기 위한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소팅 기준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기 질문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 중 컨텐츠 그룹의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그룹의 다른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상기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답변을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판단하며,
    상기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은, 상기 소팅 기준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고,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다른 질문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고, 상기 소팅 기준에 기초한 제1 질문 및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한 제2 질문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입력부는 제어하고,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두 번째로 많아지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고,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다른 질문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고,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도록 상기 입력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두 번째로 많아지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디바이스.
  6. 복수의 컨텐츠 및 상기 복수의 컨텐츠 각각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의 컨텐츠 검색 방법에 있어서,
    상기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컨텐츠를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으로 소팅하기 위한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질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 중 컨텐츠 그룹의 컨텐츠와 관련된 메타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 그룹의 다른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대응되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컨텐츠 그룹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상기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검색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답변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선택된 답변을 상기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질문에 대해 선택 가능한 복수의 답변은, 상기 소팅 기준과 관련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검색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다른 질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최대가 되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검색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팅 기준에 기초한 제1 질문 및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한 제2 질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디바이스에 저장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 질문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두 번째로 많아지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검색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의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나머지 복수의 소팅 기준 중에서 상기 검색된 복수의 컨텐츠를 컨텐츠 그룹들로 소팅하기 위한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추가 소팅 기준에 기초하여 다른 질문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상기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다른 질문에 대한 응답에 매칭되는 컨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그룹들의 수가 두 번째로 많아지도록 하는 상기 추가 소팅 기준을 판단하는, 검색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20095261A 2012-08-29 2012-08-29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KR10201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61A KR102019975B1 (ko) 2012-08-29 2012-08-29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CN201310385131.1A CN103678441B (zh) 2012-08-29 2013-08-29 设备及使用该设备的内容搜索方法
PCT/KR2013/007767 WO2014035157A2 (en) 2012-08-29 2013-08-29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JP2013177913A JP2014049133A (ja) 2012-08-29 2013-08-29 デバイス及びそのコンテンツ検索方法
US14/013,490 US9582542B2 (en) 2012-08-29 2013-08-29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AU2013309655A AU2013309655B2 (en) 2012-08-29 2013-08-29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using the same
EP13182260.3A EP2725505A3 (en) 2012-08-29 2013-08-29 Device and content searching method by interrogating the user
RU2015111167A RU2015111167A (ru) 2012-08-29 2013-08-29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оиска объектов контента, использующий это устройство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5261A KR102019975B1 (ko) 2012-08-29 2012-08-29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9741A KR20140029741A (ko) 2014-03-11
KR102019975B1 true KR102019975B1 (ko) 2019-11-04

Family

ID=4908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5261A KR102019975B1 (ko) 2012-08-29 2012-08-29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82542B2 (ko)
EP (1) EP2725505A3 (ko)
JP (1) JP2014049133A (ko)
KR (1) KR102019975B1 (ko)
CN (1) CN103678441B (ko)
AU (1) AU2013309655B2 (ko)
RU (1) RU2015111167A (ko)
WO (1) WO201403515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463B1 (ko) * 2014-05-23 2016-11-15 네이버 주식회사 검색 기반 설문조사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4166703B (zh) * 2014-07-15 2017-10-27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对象识别方法和装置
CN104199863B (zh) * 2014-08-15 2017-11-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存储设备上的文件的查找方法、装置及路由器
KR102040271B1 (ko) 2014-12-12 2019-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컨텐츠 검색 방법
USD815667S1 (en) * 2016-06-07 2018-04-17 Uber Technologies, Inc. Computing device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n icon
CN110502622A (zh) * 2019-07-03 2019-11-26 平安科技(深圳)有限公司 常见医疗问答数据生成方法、装置以及计算机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81997A1 (en) * 2006-07-25 2009-11-12 Pankaj Jain Method and a system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device
US20100211575A1 (en) 2009-02-13 2010-08-19 Maura Collin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esenting a media file on a mobile device based on relevance to a user
US20110076663A1 (en) 2003-08-18 2011-03-31 Retail Optimization Intern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survey questions and available responses
US20120016879A1 (en) * 2010-07-16 2012-01-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r interface for imag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4192B1 (en) * 1998-03-09 2001-12-25 Ronald S. Karpf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a self administered risk assessment
KR100451649B1 (ko) 2001-03-26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미지 검색방법과 장치
US20030039410A1 (en) * 2001-08-23 2003-02-27 Beeman Edward S.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image retrieval
GB0600678D0 (en) 2006-01-13 2006-02-22 Vodafone Plc Search platform
US7962500B2 (en) 2008-10-24 2011-06-14 Yahoo! Inc. Digital image retrieval by aggregating search results based on visual annotations
KR101669017B1 (ko) 2010-07-12 2016-10-25 톰슨 라이센싱 컨텐츠 검색을 위한 시스템, 방법 및 유저 인터페이스
WO2012040677A1 (en) 2010-09-24 2012-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fficient passage retrieval using document metadat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76663A1 (en) 2003-08-18 2011-03-31 Retail Optimization International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ng survey questions and available responses
US20090281997A1 (en) * 2006-07-25 2009-11-12 Pankaj Jain Method and a system for searching information using information device
US20100211575A1 (en) 2009-02-13 2010-08-19 Maura Collins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esenting a media file on a mobile device based on relevance to a user
US20120016879A1 (en) * 2010-07-16 2012-01-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user interface for imag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25505A3 (en) 2016-10-26
AU2013309655A1 (en) 2015-02-19
RU2015111167A (ru) 2016-10-20
CN103678441B (zh) 2019-05-10
CN103678441A (zh) 2014-03-26
US20140067861A1 (en) 2014-03-06
US9582542B2 (en) 2017-02-28
EP2725505A2 (en) 2014-04-30
KR20140029741A (ko) 2014-03-11
WO2014035157A2 (en) 2014-03-06
WO2014035157A3 (en) 2014-05-08
AU2013309655B2 (en) 2018-07-19
JP2014049133A (ja) 2014-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0515B2 (ja) 複数のアプリケーション実行のための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247303B2 (en) Display apparatus and user interface screen providing method thereof
US1073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pplication using icon associated with application metadata
US10386992B2 (en) Display device for executing a plurality of application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71624B1 (ko) 이동 단말의 정보 표시 방법,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보 제공 방법, 이동 단말의 제어 신호 생성 방법
KR102150514B1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1140981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28595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thereof
US20140201675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providing recommended items based on context awareness
CN103634632B (zh) 图片信息的处理方法、装置及系统
US94183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sualizing property based listing on a mobile device
KR102019975B1 (ko) 디아비스 및 그의 컨텐츠 검색 방법
US20120282950A1 (en) Mobile Geolocation String Building System And Methods Thereof
US109222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uto-naming of content,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KR101943988B1 (ko) 컨텐트 전송 방법 및 시스템, 기기와 그 기록 매체
US20140282204A1 (en) Key input method and apparatus using random number in virtual keyboard
CN111597359A (zh) 信息流的分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190137752A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10235036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thereof
EP3024205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75022A (ko) 디바이스 및 그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방법
US98861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142858B1 (ko) 지도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5002657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KR20150136315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