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874A -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874A
KR20150135874A KR1020140062985A KR20140062985A KR20150135874A KR 20150135874 A KR20150135874 A KR 20150135874A KR 1020140062985 A KR1020140062985 A KR 1020140062985A KR 20140062985 A KR20140062985 A KR 20140062985A KR 20150135874 A KR20150135874 A KR 20150135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necklace
fastening
coupling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7714B1 (ko
Inventor
이승호
Original Assignee
이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호 filed Critical 이승호
Priority to KR102014006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714B1/ko
Priority to CN201580028181.1A priority patent/CN106455772A/zh
Priority to PCT/KR2015/005234 priority patent/WO2015182948A1/ko
Priority to US15/314,069 priority patent/US20170112240A1/en
Priority to JP2017515646A priority patent/JP2017521023A/ja
Publication of KR20150135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1/00Watch chains; Ornamental chai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3Jewellery holding or retaining articles, e.g. eyeglass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5Necklac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1Allowing quick release of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38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folding, e.g. pivoting or scissors to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4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means of coilable or bendable legs or spiral shaped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3/00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 F16M13/04Other supports for positioning apparatus or articles; Means for steadying hand-held apparatus or articles for supporting on, or holding steady relative to, a person, e.g. by chains, e.g. rifle butt or pistol grip supports, supports attached to the chest or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2005/006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comprising a suspension strap or lanyar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33Cables or cables storage, e.g. cable r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33Headphones for stereophonic communication
    • H04R5/0335Earpiece support, e.g. headbands or neck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어폰과 스마트기기를 고정하거나 탈부착할 수 있고 사용자 편의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기능의 결합부와 스마트폰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이동 중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어폰의 리시버가 고정가능한 제 1 결합부 및 스마트 기기를 착탈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하여 이동 중이나 활동 중에도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무게가 목 부분에 가해지지 않도록 분산부를 구비할 수 있어 이동하거나 활동 중에도 사용자가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크지 않아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에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어 지하철 등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시 목이 지나치게 숙여지고 팔이 아프고, 손에 지속적으로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Apparatus with necklace type for fixing and supporting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어폰과 스마트기기, 스마트기기와 목걸이를 고정하거나 탈부착할 수 있는 결합부, 스마트폰의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 및 위치조절용 거치대를 구비할 수 있어, 사용자가 이동 중에서도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 IT 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힘입어 이들 스마트 기기에 다양한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스마트기기와 주변기기를 사용자 몸에 부착 또는 밀착시켜 즉각적인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웨어러블로 만들어지는 추세이다.
그러한 추세와 더불어 본 발명은 기존의 스마트기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화 하여 휴대성과 사용의 편의성을 동시에 높이고, 이로부터 두 손을 자유롭게 하는데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귀에 대고 통화할 때 전자파를 통한 뇌종양발생가능성이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지만 지금까지는 무선 핸즈프리 사용 외에는 별다른 해결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전자파로 인한 건강상 문제점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통화, 게임, 인터넷 서핑이나 책을 읽을 수 있는 스마트 기기(스마트폰, 게임기, 전자책 등)의 사용이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나 스마트 기기에 많은 기능들이 추가되고 점점 큰 화면이 장착됨에 따라 스마트 기기의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게 되는데,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은 휴대 및 조작에 불편함을 느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두 손으로 스마트기기를 거치시 인체의 관절구조상 목이 지나치게 숙여지게 되는 불편함과 손이 자유롭지 못한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동 중에 검색, 통화 게임 등이 가능하다는 스마트 기기의 가장 큰 장점이 퇴색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2002-36079호에는 띠부재, 핸즈프리수단, 수납수단 및 연결수단을 구비한 휴대폰용 핸드프리를 구비한 목걸이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이어폰의 신호전송선이 엉키지 않고 권취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이동시 스마트 기기를 핸즈프리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462244호에는 휴대폰을 안치홈에 끼워 사용할 수 있는 목걸이 형태의 휴대폰 거치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에는 이동 중에 양손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는 거치 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 거치장치는 휴대폰 양 측면을 끼워 고정하는 구조인데, 결과적으로 상기 거치장치는 휴대폰 크기 이상의 부피를 가지므로 사용자가 이를 휴대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거치장치에 휴대폰을 고정하게 되면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려 목에 큰 힘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본 발명은 상시, 특히 이동 중이나 활동중에도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가장 편리한 위치에 착용시켜 즉각적인 사용이 가능한 목걸이 타입의 스마트 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마트기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화 하여 휴대성과 사용성을 동시에 높이고, 시용자의 두 손을 자유롭게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 사용시 전자파로 인한 위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거치하더라도 목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스마트 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별도의 거치대를 장착하여 시각적인 거리나 각도를 조절하여 지하철 등에서 사용 시 목이 지나치게 숙여지는 것을 개선하고 손으로 거치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를 목걸이에 쉽게 탈부착하고, 활동시에도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목에 건 상태에서 좌우 상하, 내외측(안쪽 바깥쪽) 방향의 전환이 자유로워 거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에 연결되는 이어폰을 고정하여 이어폰 줄이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어폰 줄을 목걸이 줄에 고정하여 미려함을 주는 스마트 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바디를 형성하는 목걸이 줄 ;
상기 목걸이 줄과 연결된 결합부 ;및
상기 목걸이 줄을 따라 위치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이어폰의 리시버가 고정가능한 제 1 결합부 및 스마트 기기를 착탈 및 회전시키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에 관계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의 리시버가 고정가능한 제 1 결합부 및 스마트 기기를 착탈하는 제 2 결합부를 구비하여 상시, 특히 이동 중이나 활동 중에도 보다 편리하게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무게가 목 부분에 가해지지 않도록 분산부를 구비할 수 있어 이동하거나 활동 중에도 사용자가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거치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크지 않아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걸이에는 탈부착이 가능하고 스마트폰과 사용자 사이의 거리나 각도 조절이 가능한 별도의 거치대를 장착할 수 있어 지하철 등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시 목이 지나치게 숙여지고 팔이 아프고, 손에 지속적으로 쥐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7의 도시된 결합부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한 것을 보여준다.
도 10 내지 도 14는 위치조절용 거치대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거,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다른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목걸이줄(10), 결합부(20), 이어폰(30)을 포함한다.
상기 목걸이줄(10)은 사용자가 목에 걸수 있도록 환형으로(인체공학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연고무, 유연성을 가진 직물, 합성수지, 가죽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20)는 상기 목걸이 줄과 연결(체결)된다.
상기 결합부(20)는 이어폰(30)의 리시버(32)가 고정가능한 제 1 결합부(21) 및 스마트 기기를 착탈 및 회전하는 제 2 결합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21)는 상기 제 2 결합부(22)의 양단에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2 결합부(22)는 두 개의 제 1 결합부(21)를 연결하며 상기 제 2 결합부와(22) 상기 제 1 결합부(21)들 사이에 제 1 회전수단(23)이 구비되어 제 2 결합부가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부(21)는 상기 이어폰 리시버(31)이 고정되는 홀(211)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홀(211) 내측은 상기 이어폰 리시버(31)가 삽입된 후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마찰력이 높은 소재, 탄성을 지닌 물질로 형성되거나 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시버(31)가 홀에 고정 및 탈착되는 방식에 특별한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홀은 리시버에 압착되거나 자력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탈부착이 용이하다.
상기 제 2 결합부는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체결부속(A, B, C)과 이와 결합되는 커플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속은 스마트 기기나 스마트 기기 케이스 뒷면에 접착 또는 리벳, 볼트, 핀 등으로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속은 회전 및 접힘 등이 가능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체결부속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2 결합부의 회전수단과 같이 회전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체결부속은 고리형과 원터치형 구조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이 고리 구조(A)인 경우 결합부(20)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 2 결합부(22)는 고리(A)가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커플링부(221), 상기 커플링부(221)에서 연장된 돌출부(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결합부에는 상기 돌출부(222)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225)가 형성된다.
상기 제 2 결합부(22)와 상기 제 1 결합부(21) 사이에 제 1 회전수단(23)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회전수단(23)으로는 회전볼, 회전핀 또는 회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회전수단으로 회전핀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제 1 회전핀은 핀의 양단에 헤드를 구비하여 핀의 이탈과 회전을 제어한다. 도 5를 참고하면, 제 1 회전수단(323)이 상기 제 2 결합부(322)를 관통하고, 상기 회전수단(323)의 양단에 헤드를 사용하여 핀의 이탈과 회전을 제어한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거치용 고리(A)는 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고리, 예를 들면 원형의 고리, 원형과 다각형의 조합형상의 고리, 삼각형상의 고리, 사각형상의 고리, 6각형상의 고리, 8각형상 등의 다각형상의 고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용 고리(A)와 이에 대응되어 체결되는 커플링부(221)는 거치용 고리(A)와 같은 형상을 포함한다.
도 2에 슬릿이 형성된 커플링부(221')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응되는 거치용 고리(A)에는 상기 슬릿에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가 슬릿에 끼워짐으로서 안정적으로 스마트기기가 고정될 수 있으며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통화버튼과 볼륨조절버튼 등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 할 수 있다.
도 3 ,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부의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120, 220)는 제 1 결합부(121, 221) 및 제 2 결합부(122, 222)를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4의 경우에도 상기 제 2 결합부(122, 222)와 상기 제 1 결합부(121, 221) 사이에 제 1 회전수단(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제 1 회전수단(미도시)은 상기 도 2의 제 1 회전수단(23)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부(122, 222)는 상기 커플링부(1221, 2221)를 고정하는 지지부(1222, 22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와 직접 결합되는 커플링 부속(B,C)에 제 2 회전수단(124, 224)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커플링부(1221, 2221)와 지지부(1222, 2222)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부(1221, 2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커플링부(1221, 2221)는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체결부속(B, C)과 원터치로 착탈될 수 있다.
도 5, 도 6, 도 7,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부의 또 다른 구현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도 6, 도 7, 도 8을 참고하면, 스마트 기기에 직접 부착하는 체결부속(A,B,C)이 없이 상기 결합부(320,420,520,620)와 스마트 기기가 직접 체결된다.
상기 결합부(320,420,520,620)에서 제 2 회전수단(24)은 상기 체결부(3221, 4221, 5221, 6221)와 지지부(3222, 4222, 5222, 6222)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3221, 4221, 5221, 622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수단(323,423)과 제 2 회전수단(324, 424)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구조와 동일한 회전핀(기능)을 도 3과 도 4, 도7과, 도8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수단(324, 424, 624)으로 공지의 회전볼 또는 회전체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커플링부(1221)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B)에 형성된 걸림턱(B1)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1223), 상기 걸림홈을 개폐하는 바(bar)(1224) 및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bar)를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부(12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커플링부(2221)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C1)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2223), 상기 걸림턱을 고정하는 바(bar)(2224) 및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bar)를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부(2225)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320)는 제 1 결합부(321), 제 2 결합부(322), 제 1 회전수단(323)을 포함한다.
제 2 결합부(322)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스마트 기기의 양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와(3221), 상기 체결부(3221)를 고정하는 지지부(3222) 및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수단(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221)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3225)이 형성된 안착부(3223) 및 상기 안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3224)를 포함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420)는 제 1 결합부(421), 제 2 결합부(422) 및 제 1 회전수단(423)을 포함한다. 제 2 결합부(422)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착탈되는 체결부(4221), 상기 체결부가 고정되는 지지부(4222) 및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수단(4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4221)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4225)이 형성되며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안착부(4223), 상기 두 개의 안착부가 동일한 거리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피니언(4227)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좌우 슬라이딩되고 일단이 상기 안착부와 결합된 슬라이딩바(4226) 및 상기 안착부에 스마트 기기를 지지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4224)를 포함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520)는 제 1 결합부(521), 제 2 결합부(522) 및 제 1 회전수단(미도시)을 포함한다. 제 2 결합부(522)는 상기 스마트 기기와 착탈되는 체결부(5221), 상기 체결부가 고정되는 지지부(5222) 및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221)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5225)에는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탄성을 지닌 물질(5230)을 구비하며,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안착부(5223), 상기 두 개의 안착부가 동일한 거리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피니언(5227) 및 상기 피니언과 맞물려 좌우 슬라이딩되고 일단이 상기 안착부와 결합된 슬라이딩바(5226) 및 상기 안착부에 스마트 기기를 분리할 수 있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부(5224)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5221)는 상기 피니언(5227)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고정핀(5228)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핀(5228)은 상기 피니언과 동축으로 결합된 기어(5229)의 톱니 홈에 인입 또는 이탈되어 피니언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목걸이는 두 개의 안착부가 동일한 거리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할 수 있어 스마트 기기를 제 2 결합부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결합부(620)는 제 1 결합부(621), 제 2 결합부(622), 제 1 회전수단(623)과 제2회전수단(62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결합부(622)는 상기 스마트 기기의 양 측면을 압착하는 집게부(6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6221)는 상기 제 2 결합부에 고정되어 스마트 기기를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집게부(6221)는 간단한 구조이며, 특히 스마트 기기에 별도의 체결부속이 없는 경우에도 고정할 수 있어 효과적이다.
상기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걸이부(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40)는 상기 목걸이줄과 이어폰의 전선 일부를 덮어 보호하고, 마이크를 내장 할 수 있고, 목걸이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추가 할 수 있으며, 목에 걸릴시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충격을 흡수하고 착용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걸이부(40)는 목과 어깨의 인체라인과 대응하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이부(40)는 천연고무, 유연성을 가진 직물, 합성수지, 섬유, 가죽 또는 금속 또는 비금속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분산부(50)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목걸이줄(10) 또는 걸이부(4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체결구(51, 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산부(50)는 벨트, 끈, 띠(멜빵) 형태로서 사용자의 등이나 옆구리 측으로 연장되어 사용자의 하의 벨트라인이나 벨트, 벨트 고리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분산부(50)는 도 1과 같이 하나의 띠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줄, 띠 또는 벨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1자,11자, X자, Y자, 역Y자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체결구(51, 51')는 바람직하게는 집게 구조 또는 안전고리 구조 일 수 있다. 상기 체결구(51, 51')가 사용자의 벨트라인이나 벨트 고리에 고정되는 경우, 스마트 기기의 무게를 분산부와 허리띠가 수용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목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힘을 허리띠나, 하의의 무게를 통해 자연스레 분산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마이크(60)는 상기 걸이부(50)의 내측에 일부가 위치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마이크의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60)는 소정 위치에 고정 가능한 볼헤드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스마트 기기에 접속되는 이어폰 잭(34)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이어폰줄(32)을 상기 목걸이줄(10)에 밀착 고정하는 조임부(70)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걸이는 상기 목걸이줄(10)의 일면과 이에 대응하는 상기 이어폰줄(31) 일면에 암수구조 방식의 착탈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 구조는 어느 한쪽면(예를들면, 이어폰줄)에는 홈, 대응되는 다른 한쪽 면(예를 들면 목걸이줄)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이들 간의 압착에 의한 결합과 분리는 상기 조임부(70)의 이동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도 4 내지 도 7의 도시된 결합부에 스마트 기기를 장착한 것을 보여준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목걸이는 스마트 기기를 눕히거나 세운 경우에도 안쪽이나 바깥쪽으로 자유롭게 거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는 위치조절용 거치대(80)를 추가로 포함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4는 상기 위치조절용 거치대의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용 거치대(80)는 상기 결합부(20)와 체결되거나 상기 결합부(20)를 고정하는 제 1 커넥트부(81), 스마트 기기 또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A, B, C)과 체결되는 제 2 커넥트부(82) 및 상기 제 1 케넥트부와 제 2 커넥트부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변형부(83)를 포함한다.
도 11을 참고하면, 제 1 커넥트부(81)는 상기 결합부(20)가 위치되고 고정될 수 있는 홈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 구조는 상기 결합부의 형상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제 2 커넥트부(82)는 스마트 기기의 결합부, 예를 들면 고리 구조의 체결부속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 2 커넥트부(82)에는 상기 체결부속의 고리가 삽입될 수 있는 슬릿(822)과 상기 고리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며 슬릿(822)을 눌러 장착, 고정할 수 있고, 다시 눌러 분리할 수 있는 구조 on-off방식의 체결구조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변형부(83)는 회전핀(831)을 구비하여 회전가능하고, 또한 제 1 커넥트부와 제 2 커넥트부와 연결되는 상단 및 하단의 힌지(832)를 구 비하여 높이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변형부(83)는 다수개의 독립적 판 구조가 상기 회전핀(831)을 통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힌지(832)나 판(831)을 볼헤드(838, 839) 구조 방식으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거치대는 상기 변형부를 통해서도 시선거리와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용 거치대(180)는 제 1 커넥트부(181), 제 2 커넥트부(182) 및 변형부(183)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트부(181)에 체결되는 상기 결합부(20)와 제 2 커넥트부(182)에 체결되는 스마트 기기 체결부속(A~C)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용 거치대(280)는 제 1 커넥트부(281), 제 2 커넥트부(282) 및 변형부(283)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트부(281)에 체결되는 상기 결합부(20)와 제 2 커넥트부(182)에 체결되는 스마트 기기 체결부속(A~C)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상기 제 1 커넥트부(181) 또는 제 2 커넥트부(182)는 상기 제 2 체결부 또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과 원터치 결합되는 커플링 구조이거나 집게 구조(82, 285)일 수 있다.
상기 변형부(183, 283)는 형상 변형이 자유로운 플렉시블 플라스틱이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조절용 거치대(380)는 제 1 커넥트부(381), 제 2 커넥트부(382) 및 변형부(383)를 포함한다.
제 1 커넥트부(381)에 체결되는 상기 결합부(20)와 제 2 커넥트부(382)에 체결되는 스마트 기기 체결부속(A~C)은 도 4와 이에 대한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 및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1)

  1. 바디를 형성하는 목걸이 줄 ;
    상기 목걸이 줄과 연결된 결합부 ;및
    상기 목걸이 줄을 따라 위치하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스마트 기기를 착탈 및 회전하는 제 2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이어폰의 리시버가 고정가능한 제 1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제 2 결합부의 양단에 체결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와 상기 제 1 결합부들 사이에 제 1 회전수단이 구비되어 제 2 결합부가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상기 이어폰 리시버가 고정되는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체결부속과 결합되는 커플링부 및 상기 커플링부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상기 체결부속이 회전하는 제 2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는 스마트 기기의 양 측면을 압착하여 고정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를 회전시키는 제 2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7. 제 3항, 제 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회전수단 및 제 2 회전수단은 회전볼, 회전핀 또는 회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이 고리 구조인 경우, 제 2 결합부는 스마트 기기의 고리가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커플링부, 상기 커플링부에서 연장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체결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스마트 기기에 부착된 체결부속과 원터치 결합되고, 상기 제 2 결합부는 상기 커플링부를 고정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 2 회전수단은 상기 커플링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에 형성된 걸림턱이 삽입 고정되는 걸림홈, 상기 걸림홈을 개폐 또는 고정하는 바(bar) 및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bar)를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부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 홈에 삽입 고정되는 걸림턱, 상기 걸림턱을 고정하는 바(bar) 및 외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바(bar)를 원래 위치로 복원하는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3.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스마트 기기의 양 측면을 압착하는 집게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4.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안착부, 상기 두 개의 안착부가 동일한 거리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피니언, 상기 안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5.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좌우 슬라이딩되고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며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개의 안착부, 상기 걸림턱에 부착된 탄성의 압착부, 상기 두 개의 안착부가 동일한 거리로 슬라이딩되도록 이동거리를 제어하는 피니언, 상기 피니언의 회전 여부를 제어하는 고정핀 및 상기 안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는 상기 스마트폰을 거치하는 경우 발생하는 무게를 분산시키는 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부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목걸이줄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체결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는 상기 목걸이줄과 이어폰의 전선 일부를 덮어 보호하고,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마이크가 상기 걸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이크의 지지대 및 연결전선이 상기 걸이부 내부에서 외부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 줄의 일면이 상기 목걸이 줄의 일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어 엉킴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걸이는 착탈 가능한 거치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거치대는 상기 제 2결합부와 체결되거나 상기 제 2 결합부를 고정하는 제 1 커넥트부,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과 체결되거나 상기 결합부를 고정하는 제 2 커넥트부 및 상기 제 1 커넥트부와 제 2 커넥트부 사이에 형성되고 회전, 각도 또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변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트부 또는 제 2 커넥트부는 제 2 체결부 또는 스마트 기기의 체결부속과 원터치 결합되는 커플링 구조이거나 집게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KR1020140062985A 2014-05-26 2014-05-26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KR101587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85A KR101587714B1 (ko) 2014-05-26 2014-05-26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CN201580028181.1A CN106455772A (zh) 2014-05-26 2015-05-26 智能手机放置挂链
PCT/KR2015/005234 WO2015182948A1 (ko) 2014-05-26 2015-05-26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US15/314,069 US20170112240A1 (en) 2014-05-26 2015-05-26 Necklace for holding smart device
JP2017515646A JP2017521023A (ja) 2014-05-26 2015-05-26 スマート機器据置用ネックレス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985A KR101587714B1 (ko) 2014-05-26 2014-05-26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874A true KR20150135874A (ko) 2015-12-04
KR101587714B1 KR101587714B1 (ko) 2016-01-21

Family

ID=54699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985A KR101587714B1 (ko) 2014-05-26 2014-05-26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70112240A1 (ko)
JP (1) JP2017521023A (ko)
KR (1) KR101587714B1 (ko)
CN (1) CN106455772A (ko)
WO (1) WO2015182948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3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목걸이형 안전센서
KR102518814B1 (ko) * 2022-11-09 2023-04-05 나기대 안전성이 도모되는 휴대폰 거치겸용 다목적 걸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23648B2 (ja) 2017-05-31 2021-08-25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
US10499134B1 (en) * 2017-09-20 2019-12-03 Jonathan Patten Multifunctional ear buds
CN108810216B (zh) * 2018-06-01 2020-06-05 常州信息职业技术学院 佩戴式通讯设备
JP6509418B1 (ja) * 2018-12-11 2019-05-08 株式会社 東亜産業 首掛け型機器
JP7452440B2 (ja) * 2019-01-24 2024-03-19 Toppan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ウェアラブル装置
US11445789B2 (en) 2019-10-18 2022-09-20 Jaclyn Dorsey Necklace accessory
GB2596049A (en) * 2020-04-28 2021-12-22 Mary Wall Catherine Jewellery support
CA3196932A1 (en) * 2020-10-15 2022-04-21 Jaclyn Dorsey Necklace accessor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800A (ko) * 2005-04-18 2006-10-23 최후림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KR20070009025A (ko) * 2005-07-15 2007-01-18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5810B1 (ko) * 2000-05-27 2003-03-15 김선태 착탈식 목걸이형 송수신장치
KR100373974B1 (ko) * 2000-08-31 2003-03-04 김성수 이어폰 세트
CN2489519Y (zh) * 2001-05-22 2002-05-01 刘梦麟 颈部挂带
KR20050107532A (ko) * 2004-05-07 2005-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용 목걸이형 이어마이크의 이어잭 접속장치
US7416099B2 (en) * 2005-10-06 2008-08-2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Neck strap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JP6243594B2 (ja) * 2011-08-23 2017-12-06 株式会社 立沢化成 吊下げ保持具
CN202613003U (zh) * 2012-05-16 2012-12-19 林志良 指环式掌控器
CN202774733U (zh) * 2012-07-26 2013-03-13 周静 手机旋转臂绑保护套
DE102012014999A1 (de) * 2012-07-28 2014-02-13 Bernd Schroeter Haltevorrichtung für Mobiltelef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9800A (ko) * 2005-04-18 2006-10-23 최후림 하드타입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 거치장치
KR20070009025A (ko) * 2005-07-15 2007-01-18 최후림 하드/소프트 전환타입의 목걸이형 동영상 및 통신단말기거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97343A1 (ko) * 2016-11-22 2018-05-31 주식회사 지인프로테크 목걸이형 안전센서
KR102518814B1 (ko) * 2022-11-09 2023-04-05 나기대 안전성이 도모되는 휴대폰 거치겸용 다목적 걸이장치
WO2024101727A1 (ko) * 2022-11-09 2024-05-16 나기대 안전성이 도모되는 휴대폰 거치겸용 다목적 걸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1023A (ja) 2017-07-27
US20170112240A1 (en) 2017-04-27
WO2015182948A1 (ko) 2015-12-03
CN106455772A (zh) 2017-02-22
KR101587714B1 (ko) 2016-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7714B1 (ko) 스마트 기기 거치용 목걸이
US10941900B2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EP3175607B1 (en) Apparatus to assist a user with holding a mobile device
US7848512B2 (en) Personal audio device accessory
US2015017349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arrying Electronic Devices
US10277724B2 (en) Ergonomic accessory for smartphones and othe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A2665519A1 (en) Stick-on security ring for a hand held device
TWM288065U (en) Storage device for mobile phone
US20160045018A1 (en) Universal retaining device for a mobile multimedia terminal
US10447831B2 (en) Ergonomic accessory for smartphones and othe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80103729A1 (en) Wearable smart band
US20060121962A1 (en) Carrying case for a mobile telephone with cord organization means
US6639985B1 (en) Phone with ear hanger assembly capable of being hung on a user's ear without help from a hand for certain period of time
KR200451725Y1 (ko) 휴대폰용 거치대
CN201418448Y (zh) 球体携带装置
KR20150001071U (ko) 고리를 장착한 스마트폰 보호 케이스
WO2013028127A1 (en) Headphone assembly
JP3112275U (ja) 送受信器保持具
CN205510155U (zh) 手机保护支架
KR101914091B1 (ko) 상의에 고정되는 이어폰 고정 기구
KR101848208B1 (ko) 휴대형 링거대
US20080019552A1 (en) Personal audio device accessory
KR20120134885A (ko) 휴대용 전자기기 고정 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배낭
KR200252672Y1 (ko) 목걸이형 이어마이크
JP2022059459A (ja) 保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