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674A -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674A
KR20150135674A KR1020140062207A KR20140062207A KR20150135674A KR 20150135674 A KR20150135674 A KR 20150135674A KR 1020140062207 A KR1020140062207 A KR 1020140062207A KR 20140062207 A KR20140062207 A KR 20140062207A KR 20150135674 A KR20150135674 A KR 20150135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ston
discharge
orifi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2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토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토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토넷
Priority to KR1020140062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5674A/ko
Publication of KR20150135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6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01F35/717613Piston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805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valves, gates, orifices or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여 토출할 수 있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로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로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공급부의 유체를 미리 설정된 일정량만큼 흡입하여 상기 유체배출부로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정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피스톤이 정량조절부의 내부로 정량의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어 유체를 같은 비율로 희석하거나 혼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A dispensing device of the fluid quantitative}
본 발명은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여 토출할 수 있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 20-0403749호(2005. 12. 07 등록)의 "자동조절 정량약품투입기"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자동조절 정량약품투입기는 동력 및 무동력 구동장치의 회전하는 힘에 의하여 이송축이 회전을 하고 이송축에 설치되어있는 주입구 피스톤 왕복축 왕복축스프링 호수계폐링이 회전을 하며 한쪽은 높고 한쪽은 낮은 왕복축이 고정된 유량조절나사 위를 회전을 하면서 왕복운동을 하고 왕복축에 연결되어 있는 피스톤이 왕복축에 의하여 왕복운동을 하며 피스톤이 흡입할 때 주입구는 흡입구에 접촉을 하여 약액을 흡입하고 계속 회전하면서 피스톤이 토출을 할때 주입구는 토출구에 접촉하여 약액을 토출하여 약액을 투입시키고 이때 편심으로 설치된 호수개폐링이 회전을 하며 호수개폐축을 밀어 올렸다 내렸다 하면서 호수누름대를 올렸다 내렸다 하며 흡입할때는 흡입구쪽을 열고 토출구쪽은 닫으며 토출할때는 토출구쪽은 열고 흡입구쪽은 닫으며 주입구가 회전을 하면서 미세하게 약액이 역류하는 약액의 역류를 차단하며 약품을 투입하고 유량조절나사를 오른쪽으로 돌리면 안으로 들어가 왕복축의 왕복거리가 길어지게하여 피스톤의 왕복거리도 길어져 약액이 많이 투입되게하고 왼쪽으로 돌리면 밖으로 나오며 왕복축의 이동거리를 적게하며 피스톤의 왕복거리도 적게하여 약액이 적게 투입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자동조절 정량약품투입기는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슬러지나 결정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약품을 투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주입구가 회전하면서 약액을 흡입 및 토출하므로 주입구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약액의 일부가 토출구에 도달하지 못하고 자동조절 정량약품투입기의 내부에 누설되어 흡입된 양만큼 토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약액의 누설로 인해 자동조절 정량약품투입기의 내부가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연결되어 있어 유체가 일정한 경로로만 유동할 수 있고, 유체를 흡입한 만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동일한 비율로 희석 또는 혼합할 수 있으며,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는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로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로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공급부의 유체를 미리 설정된 일정량만큼 흡입하여 상기 유체배출부로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정량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정량조절부는 상기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유입공간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된 유체를 미리 설정된 일정량만큼 수용하는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오리피스에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오리피스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량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유체의 미리 설정된 일정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유체배출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배출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출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를 저장한 용기가 끼워지는 용기끼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스톤이 정량조절부의 내부로 정량의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어 유체를 같은 비율로 희석하거나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유체구입에 따른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설치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구성하는 개폐부재가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이 개방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으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구성하는 개폐부재가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를 구성하는 피스톤이 차단되는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1 내지 도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100)는 유체공급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체공급부(110)는 하기에 설명될 정량조절부(130)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유체공급부(110)는 용기끼움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끼움부(115)는 원통 상자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체공급부(110)의 상부로 끼워져 정량공급부(130)의 상부에 위치하여 제1 용기(200)와 정량공급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용기끼움부(115)의 하부의 일측에는 유체투입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유체투입부(117)는 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용기끼움부(115)와 연결되고, 타측은 정량조절부(130)의 상측과 연결되어 제1 용기(200)에 수용된 유체가 용기끼움부(115)를 통과하여 정량공급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100)는 유체배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체배출부(120)는 정량조절부(130)로 공급된 유체를 제2 용기(205)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유체배출부(120)는 정량조절부(1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관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유체배출부(120)는 유체투입부(117)와 이격되어 서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투입부(117)의 지름과 비슷하거나 지름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체배출부(120)는 토출체크밸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토출체크밸브(125)는 개폐볼과, 개폐볼의 축에 끼워진 탄성부재로 구성되어 탄성부재가 토출체크밸브의 내부에서 개폐볼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토출체크밸브(125)는 유체배출부(1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정량조절부(130)에서 유체배출부(120)로 배출되는 유체가 다시 정량조절부(130)가 위치된 방향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토출체크밸브(125)는 하기에 설명될 피스톤(135)을 밀면 압력에 의해 유체가 개폐볼과 탄성부재를 밀면서 유체가 유체배출부(120)로 배출된다. 유체가 배출된 후, 개폐볼과 탄성부재가 원상복귀되면 유체배출구(120)가 밀폐되어 유체가 정량조절부(13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피스톤(135)을 당기면 유체배출부(120)의 입구를 막고 있는 개폐볼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유체가 배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100)는 정량조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량조절부(130)는 유체공급부(110)에서 유체를 유입하여 유체배출부(120)로 토출할 수 있다.
한편, 정량조절부(130)는 오리피스(131), 피스톤(135), 개폐부재(1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오리피스(131)는 정량조절부(130)의 내부를 유입공간(132)과 수용공간(133)으로 구획할 수 있다. 한편, 오리피스(131)는 중앙에 오리피스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공간(132)에 유입된 유체가 오리피스구멍(131')을 통과하여 수용공간(133)으로 이동할 때, 오리피스구멍(131')에 의해 유체가 이동하는 이동공간의 크기가 좁아졌다가 다시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유체의 압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피스톤(135)은 수용공간(133)에 구비되어 좌우로 이동하며 유체를 흡입하고, 유체배출부(120)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피스톤(135)은 두부(136)와 연결부(137)로 구성될 수 있다.
두부(136)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두부(136)의 일측이 오리피스(131)의 일측과 맞닿을 수 있고, 좌우로 움직이면서 개폐부재(138)와 같이 오리피스(131)를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유체를 흡입하거나 배출할 수 있다.
연결부(137)는 두부(136)에 연장형성되어 두부(136)의 둘레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고, 정량조절부(130)의 끝단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피스톤(135)은 솔레노이드 밸브(13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피스톤(135)의 외측에는 이동거리제한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이동거리제한부(140)는 피스톤(135)이 이동하는 거리를 제한하여 피스톤(135)에 의해 정량조절부(130)로 유입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거리제한부(140)는 스토퍼로 구현될 수 있다.
개폐부재(138)는 유입공간(132)에 구비되어 개폐부재(138)의 일측이 오리피스(131)의 타측과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138)는 유체공급부(110)와 오리피스(131)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즉, 개폐부재(138)가 유체공급부(110)와 오리피스(131)를 밀폐하여 유체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유체가 다시 유체공급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138)는 오리피스(131)와 맞닿는 부분은 씰부재(139)로 형성되어 오리피스(131)와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개폐부재(138)는 솔레노이드 밸브(134')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100)는 피스톤(135)의 이동거리를 이동거리제한부(140)로 설정하고, 구동모터(미도시)가 작동하면,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밸브(134')가 개폐부재(138)를 당겨 유체투입부(117)와 오리피스(131)를 개방한다. 유체투입부(117)와 오리피스(131)가 개방되면, 제1 용기(200)에 수용된 유체가 용기끼움부(115)와 유체투입부(117)를 거쳐 정량조절부(130)의 유입공간(132)으로 유체가 일부 유입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134)가 피스톤(135)을 당기면 유체가 유입공간(132)과 오리피스구멍(131')을 거쳐 수용공간(133)에 유입된다. 그 다음, 다시 솔레노이드 밸브(134')가 개폐부재(138)를 밀어 유체공급부(110)와 오리피스(131)이 차단되면, 피스톤(135)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유체는 토출체크밸브(125)를 거쳐 유체배출부(120)로 배출된다.
이때, 유체배출부(120)로 배출된 유체는 제2 용기(205)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이 정량조절부의 내부로 정량의 유체를 흡입하고 토출할 수 있어 유체를 같은 비율로 희석하거나 혼합할 수 있다.
또한, 유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일 수 있어 유체구입에 따른 유지비용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110 : 유체공급부
115 : 용기끼움부 117 : 유체투입부
120 : 유체배출부 125 : 토출체크밸브
130 : 정량조절부 131 : 오리피스
131' : 오리피스 구멍 132 : 유입공간
133 : 수용공간 134,134' : 솔레노이드 밸브
135 : 피스톤 136 : 두부
137 : 연결부 138 : 개폐부재
139 : 씰부재 140 : 이동거리제한부
200 : 제1 용기 205 : 제2 용기

Claims (8)

  1. 미리 설정된 일정량의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로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
    상기 유체공급부로 공급된 유체를 배출하는 유체배출부, 및
    상기 유체공급부의 유체를 미리 설정된 일정량만큼 흡입하여 상기 유체배출부로 토출시키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정량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조절부는
    상기 유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유체를 임시적으로 수용하는 유입공간과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유입공간에 유입된 유체를 미리 설정된 일정량만큼 수용하는 수용공간으로 구획하는 오리피스, 및
    상기 피스톤의 작동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를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오리피스에 기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오리피스와 맞닿는 부분에 구비되는 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조절부는
    상기 피스톤의 이동거리를 제한하여 상기 유체의 미리 설정된 일정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배출부는
    상기 유체배출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다시 상기 유체배출부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토출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는
    상기 유체를 저장한 용기가 끼워지는 용기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KR1020140062207A 2014-05-23 2014-05-23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KR201501356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07A KR20150135674A (ko) 2014-05-23 2014-05-23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2207A KR20150135674A (ko) 2014-05-23 2014-05-23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674A true KR20150135674A (ko) 2015-12-03

Family

ID=5487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2207A KR20150135674A (ko) 2014-05-23 2014-05-23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567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9314A (zh) * 2022-06-30 2022-11-01 吴成华 一种纺织业用污水环保排放加速沉淀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59314A (zh) * 2022-06-30 2022-11-01 吴成华 一种纺织业用污水环保排放加速沉淀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2891B1 (en) Mixing ring for dissolving a portion of solute in a portion of solvent
JPS59177929A (ja) サツクバツクポンプ
US9144351B2 (en) Vacuum prime foam pumps, refill units and dispensers
RU250824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септической подачи большого количества порций текучей среды
WO2013137339A1 (ja) 液体材料吐出機構および液体材料吐出装置
KR20150049741A (ko) 약품투입기용 부구장치
JP7338799B2 (ja) 二流体ノズル噴霧装置
KR20150135674A (ko) 유체의 정량 토출장치
KR20190086348A (ko) 처리액 공급 장치 및 그의 탈기 방법
KR101624103B1 (ko) 수액 정량 공급장치
CN101183220B (zh) 药液供给装置
JP3701181B2 (ja) 多液混合圧送装置
WO2018030123A1 (ja) 点滴灌漑システム
KR101948487B1 (ko) 약품자동투입장치
JP2007002787A (ja) 給水装置
US10279942B1 (en) Automatic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disruptions in the flow to a dispensing apparatus
KR20190022319A (ko) 처리액 공급 장치
KR20160021608A (ko) 유체 혼합장치
KR101902674B1 (ko) 유동체 공급 장치 및 성형 장치
JP6478753B2 (ja) 液体吐出装置
KR20180040011A (ko) 엘피아이용 연료펌프모듈
KR20030014823A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US10618071B2 (en) Discharging device for the discharge of liquid media
US20240017278A1 (en) Foam-at-a-distance dispensers having small volume pump chambers and valve arrangements for same
JP2015057973A (ja) 家畜用薬剤混入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