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575A -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575A
KR20150135575A KR1020140061418A KR20140061418A KR20150135575A KR 20150135575 A KR20150135575 A KR 20150135575A KR 1020140061418 A KR1020140061418 A KR 1020140061418A KR 20140061418 A KR20140061418 A KR 20140061418A KR 20150135575 A KR20150135575 A KR 20150135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connector
clamping
clip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4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07294B1 (en
Inventor
남기수
최재혁
서양오
우종익
김진만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Priority to KR1020140061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294B1/en
Publication of KR2015013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5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2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2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for detaching s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on device and, specifically, to a pipe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automating assembly of pipes or a pipe and a component. The pipe connection device includes: a fixing member; a first support unit fixed to the fixing member; a connector clamping unit arranged in the first support unit and clamping a connector; a second support unit installed in the fixing member to be able to move; a pipe clamping unit arranged in the second support unit and clamping the pipe; and a mounting actuator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mounting the clamped pipe on the connector since a drive shaft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 unit and the second support unit is moved to the clamped connector.

Description

파이프 연결장치{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0001]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0002]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파이프와 부속품,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의 조립을 자동화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ipe connecting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ng the assembly of pipes and accessories, or pipes and pipe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이다.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이러한 도 1에 도시된 종래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0602호(발명의 명칭: 합성수지관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에 게재된다.The prior art shown in Fig. 1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0960602 entitled " Synthetic Pipe Connection Device and Connection Method. &Quot;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합성수지관(1, 1')은 이음관(11)과 밀착링(14)에 의해 체결되며, 열융착부(17)에 의한 열 융착, 및 고정을 위한 절개링(12) 등이 사용되고 있다.1, the first and second synthetic resin pipes 1 and 1 'are fastened by a joint pipe 11 and a fastening ring 14, and are thermally fused and fixed by a heat-sealed portion 17 A cutting ring 12 or the like is used.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통상적인 파이프 연결장치(10)는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양 파이프(1, 1')를 연결하여야 하며, 파이프 연결의 조립 공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가 있다.In the conventional pipe connecting apparatus 10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worker must directly connect the pipes 1 and 1 'manually, and the assembling process of the pipe connection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 또는 방법은 단순한 직선 형상의 파이프의 경우 조립 공차에 대한 중요성이 비교적 미약하나, 파이프의 형상이 다양해지고 있는 현 실정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Also, in the case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or metho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simple linear pipe is relatively insignificant in terms of assembly tolerance, but the present invention may lead to a problem of a pipe string having various shapes.

즉, 복잡한 형상의 파이프(도 2 참조)와 파이프 부속품, 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복잡한 형상의 파이프 간의 조립시에는 조립 공차에 대한 정확성이 요구되므로 문제가 있다.
That is, there is a problem in that accuracy in assembly tolerance is required when assembling between a pipe having a complicated shape (see FIG. 2) and a pipe fitting, or between pipes having at least two or more complicated shap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파이프와 부속품,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 간의 조립을 자동화할 수 있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connecting device capable of automating the assembly of pipes and accessories, or pipes and pip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립 공차가 정확하고, 불량율을 감소시키며, 생산성이 향상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ipe connecting device in which an assembly tolerance is accurate, a defect rate is reduced, and productivity is improv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되며, 커넥터를 클램핑하는 커넥터 클램핑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며,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파이프 클램핑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 방향으로 이동시켜 클램핑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에 장착시키는 장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xing device comprising: a fixing member; A first supporting part fixed to the fixing member; A connector clamping part disposed at the first support part for clamping the connector; A second support movably disposed on the fixing member; A pipe clamping part disposed at the second support part and clamping the pipe; And a mounting actuator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driving shaft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mov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mped connector to mount the clamped pipe to the clamped connector, Devic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vertical portion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 bent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vertical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는, 커넥터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안착부; 상기 커넥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 상기 수직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안착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절곡부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커넥터 안착부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nector clamping portion includes: a connector sea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A connecto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nector seated i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A connector moving actuator disposed in the vertical portion, for moving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forward; And a connector fixing actuator disposed on the bent portion to move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moved forward.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 안착부 또는 커넥터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nector further comprises a sensor disposed at the connector seat or the connector securing section for sensing whether the connector is seated.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 안착부 또는 커넥터 고정부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or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is detachably disposed.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일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안착부;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를 파이프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ipe clamping portion includes a pipe seating portion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corresponding to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pipe; A pipe fixing part fixing the pipe seated on the pipe seating part; And a pipe fixing actua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moving the pipe fix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seating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타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배치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pipe arrangement / calibration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ipe.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 안착부, 파이프 배치 교정부 또는 파이프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 sensor disposed at the pipe seat,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or the pipe fix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pipe is seated.

바람직하게, 상기 파이프 안착부, 파이프 배치 교정부 또는 파이프 고정부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ipe seating portion,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ortion or the pipe fixing portion is detachably disposed.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며, 클립을 상기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ip further comprises a clip clamping part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for mounting the clip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pipe.

바람직하게, 상기 클립 클램핑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돌출된 샤프트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집게부; 상기 집게부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부의 타측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격부를 상기 집게부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클립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lip clamping unit includes: a clamp unit having a central portion hinged to a shaft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unit and having a fixing groove to which a clip is fixed, A separato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tch and separating the other side of the catch; And a clip actuator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moving the separation por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catch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집게부의 대향면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이격부가 상기 집게부에서 해제시 상기 집게부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pring may further include a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of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grip unit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grip unit when the grip unit releases the grip unit.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fixing groove for detecting whether the clip is seated.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 파이프 클램핑부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또는 제2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두 개씩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제2 지지부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을 두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 first communication hole extended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pipe clamping portion, And a clip clamping unit which is disposed at two holes corresponding to the holes 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s and which is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two second supporting units and which mounts the clip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two pipes.

바람직하게, 상기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 파이프 클램핑부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세 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 개의 제2 지지부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을 세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eferably, 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a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 first communication hole extended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pipe clamping portion,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dispos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respectively. The clip clamping mechanism is disposed at each of the three second support portions, And further compris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와 부속품, 또는 파이프와 파이프 간의 조립 공차가 정확하며, 신속하게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ffective in that the assembly tolerance between the pipe and the fitting, or between the pipe and the pipe is correct and can be quickly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파이프 조립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조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and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by automating the pipe assembling proces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파이프, 커넥터 및 클립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 클램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prior art pipe connecting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a connector and a clip assembled.
3 is a front view of a pipe connec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rear view of the pipe connecting device shown in Fig. 3;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lip cl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are the same as the generic meanings of the terms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where the terms used herein contradict the general meaning of the term, they shall be as defined herein.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도 2는 파이프, 커넥터 및 클립이 조립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a connector and a clip assembled.

도 2를 참조하면, 조립된 파이프(20)는 크게 제1 파이프(21), 제2 파이프(22) 및 커넥터(23)를 포함하며, 조립된 커넥터(23)와 파이프(21, 22) 부분을 다시 한 번 견고히 고정시키는 클립(24)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assembled pipe 20 includes a first pipe 21, a second pipe 22 and a connector 23, and the assembled connector 23 and the pipe 21, 22 And a clip 24 to securely secure the clip 24 once again.

도시된 것과 같이, 조립된 파이프(20)는 유입구(21a)에서 배출구(22a)까지 관로가 직선이 아닌 복잡한 형상을 지닌다. 이러한 조립된 파이프(20)는 자동차의 내연기관 또는 각종 기계장치에 조립되므로, 정밀한 조립 공차가 요구된다.As shown, the assembled pipe 20 has a complicated shape, rather than a straight line, from the inlet 21a to the outlet 22a. Since the assembled pipe 20 is assembled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various mechanical devices of an automobile, a precise assembly tolerance is required.

이러한 파이프(20)는 금속관 또는 고무 호스와 같은 비금속관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고무 호스(rubber hose)로서 실시되고 있다.The pipe 20 may be formed of a metal pipe or a nonmetallic pipe such as a rubber hose, and in the embodiment, it is implemented as a rubber hose.

도 2에 도시된 것은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2-way 방식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단일 파이프, 커넥터 또는 클립이 연결되는 1-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n개의 파이프, n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넥터, 또는 n개의 클립을 조립하는 n-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2 is a two-way system in which two pipes are connected,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a one-way system in which a single pipe, a connector or a clip is connected, and n pipes and n communication holes are formed A connector, or an n-way system in which n clips are assembled.

또한, 본 발명은 직선 형태의 파이프에도 적용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2-way 파이프를 연결하는 장치 구성을 일례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lso,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straight pipe, a configuration of a device for connecting the 2-way pipe shown in FIG. 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or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파이프 연결장치를 후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 클램핑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a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 FIG. 6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lip cl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기준으로, 이하, z 방향은 지면에서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x 방향은 두 개의 제2 지지부(130)의 이동 방향을 의미하고, y 방향은 상기 x 방향과 y 방향에 각각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3, the z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the x direction mean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two second supporting portions 130, and the y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x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n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고정부재(110), 제1 지지부(120), 제2 지지부(130),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또는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3,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mber 110, a first supporting portion 120, a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a connector clamping portion 140, And may include a portion 150 or a mounting actuator 160. In addition,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ip clamping unit 170.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측면(111)을 제외한 각 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프레임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측면(111) 중앙부에 후술할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클립 클램핑부(170)가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11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개구(111a) 안에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가 이동될 수 있다.3 to 5, the fixing member 110 may be formed as a frame of a hexahedron having open sides except for the upper side 111,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xing member 110 may be formed with an opening 111a at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ide 111 so that a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a pipe clamping portion 150 and a clip clamping portion 170 may be disposed. , And the pipe clamping part 150 can be moved in the opening 111a.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지지부(120)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된 수직부(121)와, 상기 수직부(121)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3 and 5, the first support portion 120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10 and includes a vertical portion 121 fixed to the fixing member 110, And a bent portion 122 bent at the distal end.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제1 지지부(120)에 배치되며, 커넥터(23)를 클램핑할 수 있다.3 and 5, the connector clamping part 140 is disposed on the first support part 120 and can clamp the connector 23.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커넥터(23)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안착부(14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안착부(141)는 커넥터(23)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or clamping portion 140 may include a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23 and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may be formed in a shape of the connector 23 It can be detachably arranged on the drive shaft of the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커넥터 고정부(14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커넥터(23)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커넥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고정부(143) 또한 커넥터(23)의 형상에 따라 다른 높이를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connector clamping portion 140 may include a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and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may fix the connector 23 seated o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 That is,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can press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or 23 seated o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downward to fix the connector 23. Since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also has a different height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connector 23, it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driving shaft of the connector fixing actuator 144 to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수직부(121)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or clamping unit 14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disposed on the vertical portion 121 to move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forward, 142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또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는 상기 절곡부(122)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를 이동시키는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connector clamping unit 140 includes a connector fixing actuator 144 which is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122 and moves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moved forward And this connector fixing actuator 144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또한, 일실시예는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 또는 커넥터 고정부(143)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23)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커넥터 감지센서(14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커넥터(23)가 커넥터 안착부(141) 또는 고정부에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커넥터 감지센서(145)로 인하여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detection sensor 145 disposed i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or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to detect whether the connector 23 is seated. When the connector 23 is not correctly detected by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or the fix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stop the driving of the connector clamping portion 140 due to the connector detecting sensor 145, Can be prevented.

요컨대, 도 3과 같이 커넥터 안착부(141)가 y축을 기준으로 후진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커넥터(23)가 안착되면,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는 y축을 기준으로 전방을 향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를 이동시키고, 상기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z축을 기준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커넥터(23)를 가압함으로써, 커넥터(23)의 클램핑 구동이 완성된다. 이 후, 파이프(21, 22)와 조립이 완료되면 역순으로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이 진행될 수 있다.3, when the connector 23 is seated i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with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y-axis, the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moves the y- And the connector fixing actuator 144 moves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z-axis and presses the connector 23 to move the connector 23 Is completed. Thereafter, when assembly with the pipes 21 and 22 is completed, the driving of the connector clamping part 140 can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지지부(130)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제2 지지부(130)는 대략적으로 z축 방향으로 배치되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어 있는 후술할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축에 고정되어 x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3 to 5, the second support part 130 may be movably disposed on the fixing member 110. In addition, Specifically, the second support part 130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arranged substantially in the z-axis direction, and may be fixed to a driving shaft of a mounting actuator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ixed to the fixing member 110 it can be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배치되며 파이프를 클램핑할 수 있다.3 to 5, the pipe clamping part 150 is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130 and can clamp the pipe.

구체적으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일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안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는 파이프의 절곡 형상 및 직경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pipe clamping part 150 may include a pipe seating part 151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0 and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side of the pipe. The pipe seating part 151 may be detach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30 because it is effective to have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bending shape and diameter of the pipe.

또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파이프 고정부(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상기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파이프의 상부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고정부(153) 또한 파이프의 형상에 따라 다른 형상을 가지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후술할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의 구동축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pipe clamping part 150 may include a pipe fixing part 153 and the pipe fixing part 153 may fix the pipe seated on the pipe seating part 151. [ That is, the pipe fixing part 153 can press the upper part of the pipe seated on the pipe seating part 151 downward to fix the pipe. Since the pipe fixing portion 153 also has a different shap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pipe, it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driving shaft of the pipe fixing actuator 154,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를 파이프 안착부(15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pipe clamping part 150 further includes a pipe fixing actuator 154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ing part 130 and moving the pipe fixing part 153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fitting part 151 And such a pipe-fixed actuator 154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또한, 일실시예의 파이프 클램핑부(15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타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는 파이프(21, 22)와 부속품(23, 24), 또는 파이프(21)와 파이프(22)의 조립 공차를 정확하게 유도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파이프(21, 22) 일단이 정확하게 안착되고, 상기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파이프(21, 22) 타단이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파이프(21, 22)의 조립공차가 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는 착탈 가능하게 상기 제2 지지부(130)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ipe clamping unit 150 may further include a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152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130 and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ipe . This pipe arrangement correcting section 152 is for precisely guiding the assembly tolerances of the pipes 21 and 22 and the accessories 23 and 24 or the pipes 21 and 22. That is, when one end of the pipe 21 or 22 is correctly seated in the pipe seating part 151 and the other end of the pipe 21 or 22 is correctly seated in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art 152, The assembly tolerance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can be made accurate. Accordingly,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art 152 can be detachab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130. [

또한, 일실시예는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 또는 파이프 고정부(153)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파이프 감지센서(15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파이프가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 또는 파이프 고정부(153)에 제대로 감지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파이프 감지센서(155)로 인하여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pipe detection sensor 155 disposed in the pipe seating part 151,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art 152 or the pipe fixing part 153 to detect whether the pipe is seated or not have. When the pipe is not properly detected by the pipe seating part 151,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art 152 or the pipe fixing part 153, the pipe clamping part 150 is driven by the pipe detecting sensor 155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efective product or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요컨대,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구동이 완성되면, 상기 커넥터(23)에 형성된 연통홀(미도시)의 위치는 상기 파이프(21, 22)의 일단과 대응되게 위치된다. 이 후,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150)의 파이프 안착부(151) 및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파이프(21, 22)가 정확히 안착되면, 상기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가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가 파이프(21, 22)를 고정한다. 이 후, 후술할 장착 액추에이터(160)에 의해 상기 제2 지지부(130)를 상기 커넥터(23)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파이프(21, 22)가 상기 커넥터(23)의 연통홀에 삽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connector clamping unit 140 is completely driven, the position of the communication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onnector 23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When the pipes 21 and 22 are correctly seated in the pipe fitting part 151 and the pipe fitting part 152 of the pipe clamping part 150, the pipe fixing actuator 154 is inserted into the pipe fitting part 151 151 so that the pipe fixing portion 153 fixes the pipes 21, 22.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23 by the mounting actuator 16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pipes 21 and 22 can be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holes of the connector 23 .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일실시예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상기 제2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130)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23) 방향으로 이동시켜 클램핑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23)에 장착시키는 장착 액추에이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축의 방향은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안착된 커넥터(23)의 연통홀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장착 액추에이터(160)는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3 to 5, one embodiment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110 and the driving shaft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so that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is fixed to the clamped connector 23, And a mounting actuator 160 for mounting the clamped pipe to the clamped connector 23. The direction of the driving shaft of the mounting actuator 160 is arrang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connector 23 seated o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141. This mounting actuator 160 may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가 커넥터(23)의 연통홀에 삽착되어 견고하게 체결된다고 하여도, 상기 파이프와 연통홀이 체결된 부위에 클립(24)을 체결하여 더욱 사용에 따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lip clamping unit 170. [ Even if the pipe is fixedly attached to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connector 23, the clip 24 can be fastened to the portion where the pipe and the communication hole are fastened to further improve durability according to use.

도 3 및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배치되며, 클립(24)을 상기 파이프(21, 22)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킬 수 있다.3 and 6, the clip clamping part 170 is disposed on the second support part 130 and the clip 24 can be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구체적으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돌출된 샤프트(131)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클립(24)이 고정되는 고정홈(171a)이 대향되게 형성된 집게부(171)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lip clamping part 170 is hinged to a shaft 131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art 130, and has a fixing groove 171a to which the clip 24 is fixed at one side, And may include a catch 171.

또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을 이격시키는 이격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부(172)는 후술할 클립 액추에이터(173)의 구동축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격부(172)의 폭은 상기 집게부(171) 타측의 평소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집게부(171) 타측에 삽입 시 상기 집게부(171) 타측을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The clip clamping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separator 172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 unit 171 and spaced apa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lamp unit 171, May be disposed on the drive shaft of the clip actuator 1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width of the spacing part 172 is larger than the usual width of the other side of the grip part 171, and the other side of the grip part 171 can be spaced apart when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grip part 171.

또한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는 상기 이격부(172)를 상기 집게부(171)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클립 액추에이터(173)를 포함하며, 이러한 클립 액추에이터(173)는 상기 제2 지지부(130)에 고정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로써 구현될 수 있다.The clip clamping part 170 includes a clip actuator 173 for moving the spacing part 172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ing part 171. The clip actuator 173 is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art 130, And can be implemented as a pneumatic cylinder.

또한, 상기 집게부(171)의 대향면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이격부(172)가 상기 집게부(171)에서 해제시 상기 집게부(171)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17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24)이 고정된 집게부(171)의 일측은 상기 이격부(172)의 구동에 의해 상호 인접하게 되고 클립(24)이 벌려지지만, 상기 이격부(172)가 원상태로 복귀하면, 벌려진 클립(24)의 복귀력에 의해 집게부(171) 일측 및 타측은 초기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클립(24)이 불량품일 수 있으므로, 별도의 스프링(174)을 두어 더욱 확실한 집게부(171) 구동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The spring 174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atch 171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catch 171 when the catch 172 is released from the catch 171. [ As shown in FIG. One side of the clip portion 171 to which the clip 24 is fixed is brought close to each other by the driving of the separation portion 172 and the clip 24 is opened. However, when the separation portion 172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lamping unit 171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tate by the returning force of the clip 24. [ However, since the clip 24 may be a defective product, a separate spring 174 may be provided to more reliably drive the gripper 171.

또한, 실시예는 상기 고정홈(171a)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24)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클립 감지센서(175)를 더 포함하여, 클립(24)이 상기 고정홈(171a)에 제대로 안착되지 아니할 경우, 이러한 클립 감지센서(175)로 인하여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으며, 불량품 또는 제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The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clip detection sensor 175 disposed in the fixing groove 171a and sensing whether the clip 24 is seated or not so that the clip 24 is properly seated in the fixing groove 171a It is possible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clip clamping unit 170 due to the clip detecting sensor 175 and to prevent the defective product or the product from being damaged.

요컨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이격부(172)가 집게부(171)의 타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힌지부의 회동으로 인해 집게부(171)의 일측이 상호 인접해지고, 이러한 구동은 고정된 클립(24)을 벌릴 수 있다. 이 후, 파이프(21, 22) 일측을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시키게 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안착된 파이프 일측은 상기 벌려진 클립(24)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파이프가 전술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커넥터(23)에 삽착되면, 상기 클립 액추에이터(173)는 원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이격부(172)를 상기 집게부(171) 타측에서 빼내게 되고, 이러한 구동에 의해 상기 집게부(171) 일측은 원상태로 이격되어 벌려진 클립(24)을 파이프(21, 22)에 클램핑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6, when the spacing portion 172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ing portion 171, one side of the clamping portion 171 is adjacent to each other due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portion, The clip 24 can be opened. One side of the pipes 21 and 22 is then seated on the pipe seats 151 and one side of the pipes seated on the pipe seats 151 is positioned inside the open clips 24. When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connector 23 by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lip actuator 173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and the separating portion 172 is pulled out from the other side of the catching portion 171, So that one side of the clamping unit 171 can be clamped to the pipes 21 and 22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0)는 도시된 것과 같이 2-way 체결구조에 대해 설명되고 있다. 2-way 체결구조에서는 상기 커넥터(23)가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또는 제2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두 개씩 배치되며, 클립(24)을 두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spect to a 2-way fastening structure as shown. In the 2-way fastening structure, the connector 23 may include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extending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130, the pipe clamping portion 150,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clip 24 is connected to one end And a clip clamping unit 170 mount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전술한 것과 같이 단일 파이프(21), 커넥터(23) 또는 클립(24)이 연결되는 1-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n개의 파이프, n개의 연통홀이 형성된 커넥터(23), 또는 n개의 클립(24)을 조립하는 n-way 방식에도 적용될 수 있다.This technical idea can also be applied to the one-way system in which the single pipe 21, the connector 23 or the clip 24 is connected as described above, and the connector 23 having n pipes, n communication holes, Or in an n-way manner in which n clips 24 are assembled.

예를 들어, 3-way 체결구조에서는 상기 커넥터(23)가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지지부(13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 액추에이터(160)는 상기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세 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 개의 제2 지지부(130)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24)을 세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3-way fastening structure, the connector 23 may include a body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extended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have. In this case, the second supporting part 130, the pipe clamping part 150, and the mounting actuator 160 are arranged in three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The clip clamping unit 170 may further include a clip clamping unit 170 that is disposed on each of the three second support units 130 and that mounts the clip 24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three pipes.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의 구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7 is a flowchart showing a driving sequence of the pipe conn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일단, 클립(24)을 집게부(171) 일단에 형성된 고정홈(171a)에 장착한다(S100). 이러한 경우, 상기 고정홈(171a)에 구비된 클립 감지센서(175)에 의해 클립(24)이 정확히 고정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클립 액추에이터(173)가 구동될 수 있다(S200). 클립(24) 클램핑은 전술한 것과 같이, 상기 이격부(172)가 상기 집게부(171)의 타단에 진입하여 이격시키면, 상기 집게부(171)의 일단이 상호 인접하여 클립(24)을 벌릴 수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7, the clip 24 is once attached to the fixing groove 171a formed at one end of the clamping unit 171 (S100). In this case, if it is detected that the clip 24 is correctly fixed by the clip detection sensor 175 provided in the fixing groove 171a, the clip actuator 173 may be driven (S200). As the clip 24 is clamped, when the spacing portion 172 enters and separates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ching portion 171, one end of the catching portion 171 is adjacent to the clip 24, You can.

이 후, 커넥터(23)를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장착한다(S300). 이러한 경우,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구비된 커넥터 감지센서(145)에 의해 커넥터(23)가 정확히 고정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는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클립(24)이 정확히 상기 집게부(171)에 장착되어 상기 클립 액추에이터(173)가 구동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는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아니면,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상기 커넥터(23)가 정확히 장착된 것이 상기 커넥터 감지센서(145)에 의해 감지될 경우에 상기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142)에 의해 전방으로 위치될 수 있다. 어쨋든, 상기 커넥터 안착부(141)에 커넥터(23)가 정확히 장착되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144)는 상기 커넥터 고정부(143)를 이동시켜 커넥터(23)를 고정시킬 수 있다(S400).Thereafter, the connector 23 is attached to the connector seat 141 (S300). In this cas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connector 23 is correctly fixed by the connector detection sensor 145 provided on the connector seating part 141, the connector seating part 141 is moved by the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And may be moved forward and positioned. When the clip 24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lip 171 and the clip actuator 173 is driven, the connector seat 141 is moved forward by the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 Or may be positioned forward by the connector moving actuator 142 when the connector 23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onnector seat 141 as detected by the connector detection sensor 145. The connector fixing actuator 144 moves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143 to fix the connector 23 when the connector 23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onnector mounting portion 141 and is moved forward (S400).

이 후, 파이프(21, 22) 일단을 상기 파이프 안착부(1151)에 장착한다(S500). 여기서, 파이프(21, 22) 일단에 상기 커넥터(23)의 연통홀이 삽입되므로, 상기 파이프(21, 22) 일단에는 기름과 같은 윤활제를 도포하고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장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이프 안착부(151)에 구비된 파이프 감지센서(155)에 의해 파이프 일단이 정확히 고정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파이프(21, 22) 타단을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장착한다(S500). 이러한 경우, 상기 파이프 배치 교정부(152)에 구비된 파이프 감지센서(155)에 의해 파이프(21, 22) 타단이 정확히 고정되었다는 것이 감지되면, 상기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154)가 구동되여 상기 파이프 고정부(153)를 파이프(21, 22) 일단에 고정시킬 수 있다(S600).Thereafter,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is attached to the pipe seating part 1151 (S500). Since the communication hole of the connector 23 is inserted into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a lubricant such as oil may be applied to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and the pipe may be attached to the pipe seating part 151 . In this case, when it is detected by the pipe detection sensor 155 provided in the pipe seating part 151 that one end of the pipe is correctly fixed, the other end of the pipes 21 and 22 is mounted to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art 152 S500). In this cas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other end of the pipes 21 and 22 is correctly fixed by the pipe detection sensor 155 provided in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152, the pipe fixing actuator 154 is driven, The portion 153 can be fixed to one end of the pipes 21 and 22 (S600).

이 후, 상기 단계들이 완전하게 진행되면, 장착 액추에이터(160)의 구동에 의해 파이프(21, 22)가 커넥터(23)에 장착된다(S700). Thereafter, when the above steps are completed, the pipes 21 and 22 are mounted on the connector 23 by driving the mounting actuator 160 (S700).

이 후, 클립 액추에이터(173)의 구동은 해제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함으로써, 클립(24)은 상기 파이프(21, 22)와 커넥터(23)의 결합면을 견고히 고정하고, 전술한 액추에이터들의 구동은 역순으로 진행되어 초기상태로 복귀된다(S700).Thereafter, the drive of the clip actuator 173 is released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so that the clip 24 firmly fixes the mating surfaces of the pipes 21, 22 and the connector 23, and the driving of the above- Proceeds in reverse order and returns to the initial state (S700).

전술된 각 구성요소의 구동순서는 클립 클램핑부(170), 커넥터 클램핑부(140), 파이프 클램핑부(150) 및 장착 액추에이터부(160)의 순서로 구동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클립 클램핑부(170)와 커넥터 클램핑부(140)의 순서가 바뀔수도 있다. 물론, 초기 상태의 복귀는 진행 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The driving sequence of each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driven in the order of the clip clamping unit 170, the connector clamping unit 140, the pipe clamping unit 150, and the mounting actuator unit 160. However, The order of the clip clamping part 170 and the connector clamping part 140 may be changed. Of course, the return to the initial state can proceed in the reverse order of the proceeding order.

이러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연결장치(100)에 의해, 자동화를 구현하여 인건비 감소, 생산성 증가, 불량품 감소를 도모함과 동시에 조립 공차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With the pipe connect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ion can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labor cost, increase the productivity, reduce the defective product, and accurately implement the assembly tolerance.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nge and its equivalent range.

100: 파이프 연결장치 110: 고정부재
120: 제1 지지부 121: 수직부
122: 절곡부 130: 제2 지지부
140: 커넥터 클램핑부 141: 커넥터 안착부
142: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 143: 커넥터 고정부
144: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 145: 커넥터 감지센서
150: 파이프 클램핑부 151: 파이프 안착부
152: 파이프 배치 교정부 153: 파이프 고정부
154: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 155: 파이프 감지센서
160: 장착 액추에이터 170: 클립 클램핑부
171: 집게부 172: 이격부
173: 클립 액추에이터 174: 스프링
175: 클립 감지센서
100: pipe connecting device 110: fixing member
120: first support part 121: vertical part
122: bent portion 130: second supporting portion
140: Connector clamping part 141: Connector seating part
142: connector moving actuator 143: connector fixing portion
144: Connector fixing actuator 145: Connector detection sensor
150: pipe clamping part 151: pipe fitting part
152: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153: pipe fixing unit
154: Pipe fixing actuator 155: Pipe detection sensor
160: mounting actuator 170: clip clamping part
171: clamping unit 172:
173: clip actuator 174: spring
175: Clip detection sensor

Claims (15)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는 제1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배치되며, 커넥터를 클램핑하는 커넥터 클램핑부;
상기 고정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2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며, 파이프를 클램핑하는 파이프 클램핑부; 및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되고 구동축이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지지부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 방향으로 이동시켜 클램핑된 상기 파이프를 클램핑된 상기 커넥터에 장착시키는 장착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A fixing member;
A first supporting part fixed to the fixing member;
A connector clamping part disposed at the first support part for clamping the connector;
A second support movably disposed on the fixing member;
A pipe clamping part disposed at the second support part and clamping the pipe; And
And a mounting actuator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 driving shaft fixed to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and moving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lamped connector to mount the clamped pipe to the clamped connector,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말단에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upport portion includes a vertical portion fixed to the fixing member and a bent portion bent at an end of the vertical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클램핑부는,
커넥터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커넥터 안착부;
상기 커넥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커넥터를 고정시키는 커넥터 고정부;
상기 수직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 안착부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커넥터 이동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절곡부에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된 상기 커넥터 안착부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 고정부를 이동시키는 커넥터 고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nector clamping portion comprises:
A connector seating portion formed to correspond to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A connector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connector seated i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A connector moving actuator disposed in the vertical portion, for moving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forward; And
And a connector fixing actuator which is disposed in the bent portion and moves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moved forwar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안착부 또는 커넥터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커넥터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connector detection sensor disposed at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or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connector is sea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안착부 또는 커넥터 고정부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nector seating portion or the connector fixing portion is detachably disposed.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클램핑부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일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안착부;
상기 파이프 안착부에 안착된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파이프 고정부;
상기 제2 지지부의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 고정부를 파이프 안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파이프 고정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4,
Wherein the pipe-
A pipe seating par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part and corresponding to a part of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pipe;
A pipe fixing part fixing the pipe seated on the pipe seating part;
And a pipe fixing actuator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upport portion to move the pipe fix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pipe sea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 타단의 외측면 일부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파이프 배치 교정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disposed on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unit and corresponding to a part of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pip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 파이프 배치 교정부 또는 파이프 고정부에 배치되어 상기 파이프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파이프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pipe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pipe seat,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unit or the pipe fixing unit to detect whether the pipe is seate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 안착부, 파이프 배치 교정부 또는 파이프 고정부는 착탈 가능하게 배치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the pipe fitting portion, the pipe arrangement correcting portion or the pipe fixing portion are detachably arrang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에 배치되며, 클립을 상기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lip clamping unit disposed at the second support unit and adapted to attach the clip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ne end of the pip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클램핑부는,
상기 제2 지지부에 돌출된 샤프트에 중앙부가 힌지 결합되며, 일측에 클립이 고정되는 고정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집게부;
상기 집게부의 타측에 삽입되어 상기 집게부의 타측을 이격시키는 이격부; 및
상기 제2 지지부에 고정되며, 상기 이격부를 상기 집게부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클립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clip-
A clamping part hinged at the center of the shaft protruding from the second support part and having a fixing groove fixed to one side thereof so as to face the clip;
A separator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of the catch and separating the other side of the catch; And
And a clip actuator fixed to the second support portion and moving the spacing portion to the other side of the clamping portio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의 대향면에는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어 상기 이격부가 상기 집게부에서 해제시 상기 집게부에 복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pring connect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opposite side of the clamping unit to provide a return force to the clamping unit when the clamping unit is released from the clamping unit.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홈에 배치되어 상기 클립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클립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clip detection sensor disposed in the fixing groove for detecting whether the clip is se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및 제2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 파이프 클램핑부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또는 제2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두 개씩 배치되며,
상기 두 개의 제2 지지부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을 두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a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extending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pipe clamp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two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or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Further comprising a clip clamping portion disposed on the two second support portions and adapted to mount the clip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two pip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중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서 연장 형성되어 파이프에 삽입되는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지지부, 파이프 클램핑부 및 장착부는 상기 제1 연통홀, 제2 연통홀 및 제3 연통홀에 대응되는 방향에 세 개씩 배치되며,
상기 세 개의 제2 지지부에 각각 배치되며, 클립을 세 개의 파이프의 일단 외주면에 장착시키는 클립 클램핑부를 더 포함하는 파이프 연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or includes a body having a hollow portion, a first communication hole,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extending from the body and inserted into the pipe,
The second support portion, the pipe clamp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are arranged in three direc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Further comprising a clip clamping portion disposed on each of the three second support portions and adapted to mount the clip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end of the three pipes.
KR1020140061418A 2014-05-22 2014-05-22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KR1016072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18A KR101607294B1 (en) 2014-05-22 2014-05-22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418A KR101607294B1 (en) 2014-05-22 2014-05-22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575A true KR20150135575A (en) 2015-12-03
KR101607294B1 KR101607294B1 (en) 2016-03-30

Family

ID=54871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418A KR101607294B1 (en) 2014-05-22 2014-05-22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2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81B1 (en) * 2020-10-05 2022-02-1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Double Pi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244B1 (en) * 2020-06-26 2022-06-07 김동석 Nut faste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54021A (en) 2000-11-15 2002-05-28 Isuzu Motors Ltd Assembling device for hose and clip
KR100960602B1 (en) 2009-06-30 2010-06-07 대연정공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lastic pi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2481B1 (en) * 2020-10-05 2022-02-15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Automatic Welding System for Double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294B1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37996B (en) Intake unit
JP4652363B2 (en) Metal mounting device
US11325667B2 (en) System for changing height of hanger mounting plate
JP3790992B2 (en) Intake manifold mounting structure
KR101607294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KR101593306B1 (en) Work table for a pipe connecting device
KR10160729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pipes
CN207080702U (en) Installation instruction geometrical clamp
JP5191948B2 (en) Intake manifold
KR20110095882A (en) Pressure sensing module having an intergrated seal plate and method of assembling pressure sensing module
EP2620335A1 (en) Supporting leg structure, concrete pump vehicle and oil pipe assembling method
JP6165662B2 (en) Manifold solenoid valve
KR101181609B1 (en) Fixing member for clamp
JP2010265870A (en) Intake manifold
JP6134285B2 (en) Manifold solenoid valve
FR3055649B1 (en) ELEMENT OF SEPARATION OF A ROOM WITH MEANS OF JUNCTION OF SIDING WITH ELASTIC CORE
FR3074557A1 (en) DEVICE FOR MAINTAINING AT LEAST ONE INSULATION ON A CONDUIT, CONDUIT EQUIPPED WITH SAID HOLDING DEVICE
JP2001234902A (en) Conditioning device for air pressure
JP2015059431A (en) Intake manifold
JP4483373B2 (en) Piping support device
CN220398868U (en) Detection jig
CN112025182A (en) Mounting bracket total tailor-welding tool and using method thereof
JP2016079835A (en) Injector unit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1299008B2 (en) Fluid line system for guiding fluid,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and air condition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in particular a HVAC device
WO2022174422A1 (en) Bracket for connecting dragging teaching device to rob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