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5100A -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5100A
KR20150135100A KR1020150069382A KR20150069382A KR20150135100A KR 20150135100 A KR20150135100 A KR 20150135100A KR 1020150069382 A KR1020150069382 A KR 1020150069382A KR 20150069382 A KR20150069382 A KR 20150069382A KR 20150135100 A KR20150135100 A KR 201501351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main body
auxiliary
desk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192B1 (ko
Inventor
천규보
Original Assignee
천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규보 filed Critical 천규보
Publication of KR20150135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5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2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 A47B1/03Extensible tables with insertable leaves arranged in the centre and fixed frames the leaves being foldable or revolv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47B3/08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 A47B3/087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with foldable top leaves with struts supporting the leg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사이에는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는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도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놓여지는 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SUBSIDIARY DESK PUT ON DESK}
본 발명은 책상 위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가볍고 컴팩트하게 구성되며 앉아서 또는 서서 공부 또는 사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에 관한 것이다.
사무소 근무자의 경우 대부분의 일과 시간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며,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 장시간을 앉아서 공부하게 된다.
그런데, 장시간동안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공부하는 것은 각종 대사질환 및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또한 소화장애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특히, 허리 디스크 환자들의 경우 의자에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것은 오히려 일어설 경우에 비해 허리에 보다 큰 무리가 되어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근래 유럽에서는 사무실 내에서 서서 일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책상 상판의 높이를 전동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동식으로 책상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의 경우,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 및 스크류 또는 전동실린더 등이 책상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고장 시 이의 수리를 위해서도 전문적인 인력이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구성들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가격이 고가이고 그 무게 역시 매우 무거워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기에도 매우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안에는 모터 및 스크류의 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어 타 근무자에게 다소간 불편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필요 시 용이하게 책상 위에서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면적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무게를 갖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어서서 업무를 수행하고, 필요 시 앉아서도 업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책상으로부터 수거하여 보관 시 컴팩트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사이에는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는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도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놓여지는 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몸체부는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가 상기 보조몸체부 또는 연결몸체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가장자리부분이 책상 상면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보조몸체부는 수평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몸체부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지지면 상에 놓여지는 대상물을 상기 받침부재가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에 대해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지지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의 하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몸체부의 폭을 D3 라 하고, 상기 고정부의 높이를 H1 이라 할때, H1 - 1 (cm) ≤ D3 ≤ H1 + 1 (cm) 의 관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는 두 개의 메인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가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책상을 기존 책상 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필요 시 용이하게 책상 위에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면적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무게를 갖도록 구성되어 기존 책상 위의 면적을 이용하면서도 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어서서 업무를 수행하고 필요 시 앉아서도 업무 수행이 가능하므로,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함에 기인하는 대사질환 및 각종 성인병, 하체 근력 약화, 소화장애 및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책상으로부터 수거하여 보관 시 컴팩트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하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이 일반 책상 위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 및 연결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책상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가 접혀진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내부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이 일반 책상 위에 배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 및 연결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가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책상의 측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책상의 배면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가 접혀진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9 는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내부사시도이며, 도 11 은 상기 책상의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연결몸체부에 대해 접혀진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2 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설치되는 받침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1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10)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20)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상기 보조몸체부(20)의 사이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부(70)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상기 연결몸체부(70) 사이에는 회동고정부재(15)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20)와 상기 연결몸체부(70) 사이에도 회동고정부재(25)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상기 연결몸체부(20)는 회동고정부재(15)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몸체부(20)와 상기 연결몸체부(70)는 회동고정부재(25)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에 놓여지는 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12)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12)의 높이(HS)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목재, 목재를 이용한 합판, 또는 종이를 이용한 합판, 합성수지재, 가벼운 금속 판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소정의 너비(W1, W2)와 폭(D1, D2)을 가진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0.8 cm 내지 1.6 cm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는 50 cm 내지 85 cm 범위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노트북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5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책 등을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8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으며, 기존 책상 위의 공간을 지나치게 많이 차지하고, 기존 책상 상면에 용이하게 설치 및 수거하기에 불편한 단점이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너비(W1, W2)는 최소한 지지부재(30, 40, 50)들에서 2 개의 회동지지부 길이(H2)에 상기 회동지지부(34, 36)의 두께(TH)를 합한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현대 사회에서 각종 서류 작업 또는 사무실 내에서의 사무를 위해서는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기존 책상(100) 위에 놓여지는 전화기, 서랍장 등의 물품들 중에서 서서 일할 때 업무에 필수적인 장치로서는 키보드와 모니터, 마우스, 또는 노트북 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에서는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일어서서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장치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컴팩트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용이하게 기존 책상(100) 위에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필요 시 책상(100) 위에서 수거하여 최소한의 보관 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은 20 cm 내지 35 cm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2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책 등을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3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메인몸체부(10)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상기 보조몸체부(20)는 주로 모니터(200) 또는 독서대(미도시) 또는 책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은 20 cm 내지 35 cm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이 2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니터 또는 독서대 등을 상기 보조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이 3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조몸체부(10)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몸체부(20)의 전체 크기를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크기와 가공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에는 연결몸체부(70)가 배치된다.
상기 연결몸체부(70)는 바람직하게는 상면과 하면이 평평한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부(70)의 너비는 상기 메인몸체부(10) 및 보조몸체부(20)의 너비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상기 연결몸체부(70)를 매개로 하여 경첩과 같은 회동고정부재(15, 2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첩(15, 25)은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상면에는 상기 받침부재(12)를 제외한 일체의 구성이 없이 전체가 매끈한 상면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고정부재(15, 25)들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및 연결몸체부(70)의 하면에 설치되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는 회전이 가능하지만,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와 연결몸체부(70)가 모두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상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는 회전되지 못한다.
왜냐하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 상기 경첩(15, 25)들이 고정되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의 상면 경계부분은 일종의 자유단 상태가 되어, 상기 경첩(15, 25)들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지만,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 경계부분은 고정단 상태가 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상면 경계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상면 경계부분에는 서로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하면 경계부분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의 하면 경계부분들이 경첩들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 상면에 힘이 가해진는 경우에도 유동되지 않고 안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비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가 접혀지는 경우에는, 하면 경계부분들을 중심으로 상면 경계부분들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및 연결몸체부(70)의 하면에 경첩들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는 접혀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메인 지지부재(30)는 대략 상기 받침부재(12)가 배치되는 부분의 하면에 설치되고, 앞 부분의 보조지지부재(40)들은 상기 경첩(25) 부근에 좌우 한 쌍 설치되고, 뒷부분의 보조지지부재(50)는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후방 중심부분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및 연결몸체부(70) 상면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안정적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가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 세 개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들이 삼발이 형태로 상기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조지지부재(50) 만으로써도 상기 보조몸체부(20)가 수평지지면을 이루면서 안정적으로 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가 보조몸체부(20)에 대해 회전되어 도 2 및 3 에서와 같이 경사지지면을 형성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몸체부(20)는 안정적으로 수평지지면을 이루고, 이때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방 가장자리 부분이 일반 책상(100)의 상면에 접촉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20)가 매우 안정적인 상태로 수평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비록, 첨부 도면에서는 상기 경첩(15, 25)들이 양측에 각각 두 개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두 개의 회동부분을 가지는 하나의 경첩이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2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가 모두 일직선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일반 책상(100) 상면에 올려지는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 상에 책 또는 모니터와 키보드 등을 올려놓고, 서서 일 또는 공부를 할 수 있고,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상기 보조몸체부(2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이 일반 책상(100) 상면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몸체부(20)는 수평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몸체부(20) 상에는 모니터 또는 독서대를 배치시키고, 상기 메인몸체부(10)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서류 또는 책을 배치시켜 앉아서 일 또는 공부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메인몸체부(1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가장자리 부분이 일반책상(100) 상면에 닿도록 배치시킬 경우, 일반 책상(100) 상면에는 키보드 또는 책 등을 놓고 이용할 수 있다.
그리하여, 도 3 및 5(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의 경계부분(74)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을 일반 책상에 닿도록 하거나, 도 4 및 5(b)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사이의 경계부분(72)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을 일반 책상에 닿도록 할 수 있다.
도 3 및 5(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의 경계부분(74)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이 일반 책상에 닿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일반 책상 상면(100)이 이루는 각도가 a1 이 되고, 일반 책상 가장자리부(110)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까지의 거리가 E1 이 된다.
도 4 및 5(b)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사이의 경계부분(72)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이 일반 책상에 닿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일반 책상 상면(100)이 이루는 각도가 a2 가 되고, 일반 책상 가장자리부(110)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까지의 거리가 E2 가 된다.
이때, 상기 각도 a2 가 a1 보다 크며, E2 는 E1 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부(1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마치 독서대와 같은 상태로 앉아서 일 또는 공부를 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사이의 경계부분(72)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을 일반 책상 상면에 닿도록 하는 경우, 일반 책상의 가장자리부분(100)으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까지 보다 긴 거리(E2)가 확보되므로, 일반 책상 상면에서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몸체부(7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의 경계부분(74)을 중심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부분이 일반 책상에 닿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일반 책상(100) 상면과 이루는 각도가 보다 완만한 경사 각도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넓이에 연결몸체부(70)의 넓이를 더하여 보다 넓은 경사지지면(10, 70)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메인몸체부(10)만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거나,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모두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는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에 대해 고정설치되는 고정부(32, 42)와 상기 고정부(32, 42)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부(34, 36, 44, 46)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지지부(34, 36)가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하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동지지부(34, 36)의 하단부(36)는 끼움결합이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연결몸체부(70)의 폭을 D3 라 하고,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측면 상 전체 높이를 H1 이라 할때, H1 - 1 (cm) ≤ D3 ≤ H1 + 1 (cm) 의 관계로 형성된다.
상기 측면 상 전체 높이라 함은 상기 지지부재를 완전히 접었을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 또는 보조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상 최고 높이를 의미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연결몸체부(70) 및 보조몸체부(20) 사이에 설치되는 경첩은 중앙 부분에 회전을 위한 축이 설치되며, 상기 세 개의 몸체부(10, 70, 20)들이 서로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그 경계부분들이 서로 다소간 멀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의 측면 상 높이(H1)에 대해 1 cm 정도의 여유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몸체부들(10, 20, 70)이 대략 "ㄷ" 형상으로 접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몸체부(70)의 폭(D3)은 2 cm 내지 6 cm 범위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상기 연결몸체부(70)를 중심으로 접을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와 연결몸체부(70)가 측단면 상 정확한 "ㄷ" 형상에 가깝게 접혀지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고정부(32, 42)에 대해 상기 회동지지부(34, 36, 44, 46)를 회전시켜 일 직선 상태로 펼친 상태에서의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전체 높이(H1 + H2)는 20 cm 이상 30 c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높이가 20 cm 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의 높이가 너무 낮아져 일반 책상 위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서서 일 또는 공부를 하기에 부적당한 높이가 되며, 상기 지지부재들의 높이가 30 cm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일반 책상 위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서서 -- 일 또는 공부를 하기에 지나치게 높게 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은 상기 지지부재(30, 40, 50)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일반 책상 상면쪽으로 접을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20)가 안정적으로 기립된 수평지지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에는 양 측부에는 두 개의 메인지지부재(30)가 설치며, 상기 두 개의 메인지지부재(30)를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쪽으로 접을 경우, 도 8 에서와 같이 중간 부분이 끊어진 "ㅡ"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중간 부분이 끊어진 "ㅡ" 형태는 대략적인 ㅡ 자 형태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상기 메인지지부재들이 접혀지는 경우 그 하단부가 책상의 중심 부분을 향하도록 다소간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좌우로 한 쌍의 메인지지부재(30)만이 설치되더라도, 상기 메인몸체부(10)에 결합되는 보조몸체부(20) 및 상기 보조몸체부(20)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부재(40)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안정적인 기립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몸체부(20)에는 세 개의 보조지지부재(40, 40)가 설치되되, 상기 보조몸체부(20)에서 상기 회동고정부재(25)에 가까운 전방 부분의 양 측부에 한 쌍의 보조지지부재(4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서 후방 중심부에 하나의 보조지지부재(5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보조몸체부(20) 하면에 세개의 보조지지부재(40, 50)가 설치되어 삼발이와 같은 형태로 상기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도록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20)가 안정적인 기립 상태(수평지지면 유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일반 책상(100) 상면으로 접혀질 경우에는, 상기 세 개의 보조지지부재(40, 50)들과 메인몸체부(10)의 전단부가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므로, 상기 보조몸체부(20)가 더욱 안정적인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들이 접혀지는 경우 도 8 및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연결부분이 끊어진 대략적인 "T" 형상으로 접혀지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연결부분이 끊어진 대략적인 "T" 형상은 상기 보조몸체부의 양 단부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부재들(40)이 접혀지는 경우 그 하단부가 상기 연결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다소간 기울어져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의 회동지지부(34, 44, 54)들이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과 보조몸체부(20)의 하면이 서로 만나는 방향으로 접혀지는 경우,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 간의 간섭 없이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접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도 10 과 같이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도 1, 2 와 같이 편 상태로 책상 위에 배치시켜 사무 또는 공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접어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에는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각각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므로, 상기 메인지지부재(30)를 예로써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는 상기 메인몸체부(10) 하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32)와 상기 고정부(32)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동지지부(34, 3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지지부(34, 36)는 그 길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 사용자의 키 높이에 적절하도록 높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상기 회동지지부(34, 36)의 하단부(36)는 회동부몸체(34)에 대해 끼움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단부(36)는 상기 회동부몸체(34)의 재질과는 다른, 보다 마찰력이 크면서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회동지지부(34, 36)가 고정부(3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에 대해 상기 회동지지부(34, 36)를 접을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회동지지부(34, 36)를 접은 상태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연결몸체부(70)에 대해 접어 컴팩트한 구성이 되도록 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또는 목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일어서서 업무 또는 공부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모두 펼친 상태에서 업무 또는 공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앉아서 공부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3 내지 5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일반 책상(100)의 상면으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경사지지면을 구성하는 상기 메인몸체부(10)에는 서류 또는 책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일반책상(100)의 상면에 키보드와 마우스 등을 놓고 작업할 수 있다.
기존 일반 책상(100) 위에 모니터 또는 독서대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람의 시선이 다소 하방을 향하므로 목을 다소간 굽히게 되어, 목 또는 어깨 근육의 뭉침 또는 거북목 증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익히 알려졌다.
이러한 현상은 두뇌로의 혈액 순환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쳐 업무 또는 공부 수행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몸체부(20)를 기립 상태로 하고 그 위에 모니터 또는 독서대를 배치한 상태에서 앉아서 작업 또는 공부할 경우에는, 사람의 시선이 정면 또는 정면에서 15도 정도의 상방으로 향하게 되므로, 목이 자연스런 수직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목 또는 어깨 근육 뭉침 및 거북목 증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뇌로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업무 또는 공부 수행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높이(HS)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높이(HS)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두께(TS) 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2)의 높이(HS)와 두께(TS)는 상기 받침부재(12)가 메인몸체부(10) 상에 설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며, 따라서 상기 받침부재(12)가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설치된 상태에서 수직 방향의 치수를 높이(HS)라 하고, 수평방향의 치수를 두께(TS)라 한다.
즉, 상기 받침부재(12)가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0, 40, 50)들이 기립된 방향 즉, 높이 방향으로의 치수를 높이(HS)라 하고, 이에 수직한 방향 즉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수평지지면을 이루는 경우에 상기 수평지지면에 평행한 평면 방향으로의 치수를 두께(TS)라 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에는 책 또는 키보드 등이 얹혀지며, 사람의 손은 주로 상기 메인몸체부(10)에서 상기 받침부재(12)가 배치되는 부분에 얹혀진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부(10)에서 사람의 손이 얹혀지는 상기 받침부재(12) 배치부분에 메인몸체부(10)의 두께보다 큰 치수의 높이를 가지는 받침부재(1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12)를 슬림하게 구성하고 전체 메인몸체부(10)의 두께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사람의 손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보다 긴 쪽의 가장자리부분을 가로지르도록 상기 받침부재(12)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작용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외부로부터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작용되는 하중에 의한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10)에 키보드가 얹혀지는 경우, 상기 받침부재에 사람의 손목을 받친 상태에서 키보드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장시간의 키보드 사용에 의한 손목 손상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부재(12)의 높이(HS)는 1 cm 내지 5 cm 범위로 형성된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메인몸체부
20: 보조몸체부
15, 25: 회동고정부재
30: 메인지지부재
40, 50: 보조지지부재
70: 연결몸체부
100: 일반책상

Claims (6)

  1.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기 위한 상기 보조지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보조몸체부의 사이에는 판상으로 형성되는 연결몸체부가 설치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는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 사이에도 회동고정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는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가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에 놓여지는 대상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상기 보조몸체부와 상기 연결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가 상기 보조몸체부 또는 연결몸체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회전되어 상기 메인몸체부의 가장자리부분이 일반 책상 상면에 놓여지는 경우,
    상기 보조몸체부는 수평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몸체부는 경사지지면을 형성하여 상기 경사지지면 상에 놓여지는 대상물을 상기 받침부재가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가공 오차 범위 이내에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되,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상기 보조지지부재는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에 대해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대해 상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지지부를 포함하여,
    상기 회동지지부가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의 하면을 향해 접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몸체부의 폭을 D3 라 하고,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가 접혀진 상태에서의 측면 상 높이를 H1 이라 할때,
    H1 - 1 (cm) ≤ D3 ≤ H1 + 1 (cm) 의 관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는 두 개의 메인지지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몸체부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들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가 수평지지면을 이루는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9382A 2014-05-23 2015-05-19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17291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2618 2014-05-23
KR1020140062618 2014-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5100A true KR20150135100A (ko) 2015-12-02
KR101729192B1 KR101729192B1 (ko) 2017-04-24

Family

ID=54883394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558A KR20150135077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3562A KR20150135079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3560A KR20150135078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9382A KR101729192B1 (ko) 2014-05-23 2015-05-19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20150003177U KR20150004329U (ko) 2014-05-23 2015-05-19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15A KR20150135113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12A KR20150135112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09A KR20150135111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558A KR20150135077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3562A KR20150135079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63560A KR20150135078A (ko) 2014-05-23 2015-05-07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177U KR20150004329U (ko) 2014-05-23 2015-05-19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15A KR20150135113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12A KR20150135112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50070109A KR20150135111A (ko) 2014-05-23 2015-05-20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2015013507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87914A (zh) * 2017-05-25 2017-08-25 东台市梁垛镇春林家具厂 一种带散热功能的组合折叠办公桌
CN109259434B (zh) * 2018-11-17 2022-05-10 北京华谛盟家具有限公司 智能化u型会议桌
KR102093582B1 (ko) * 2019-09-10 2020-03-25 김승민 공간활용성이 향상된 선반 내장형 컴퓨터 책상
CN111904150B (zh) * 2020-06-15 2022-04-08 宁波大学 一种智能自动散热电脑桌
CN113749400B (zh) * 2021-09-08 2022-08-26 郑姝晴 一种学生用学习折叠架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815Y1 (ko) * 2003-05-09 2003-07-31 영 신 김 접이식 식탁겸용 다리미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192B1 (ko) 2017-04-24
KR20150135079A (ko) 2015-12-02
KR20150135078A (ko) 2015-12-02
KR20150135113A (ko) 2015-12-02
KR20150135112A (ko) 2015-12-02
KR20150135077A (ko) 2015-12-02
KR20150004329U (ko) 2015-12-02
KR20150135111A (ko) 2015-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192B1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US8649166B2 (en) Multi-positionable portable computer
JP2008504604A (ja) ラップトップスタンド
US20210059402A1 (en) Folding stand for electronic device
CN202146059U (zh) 具有变形桌板的笔记本电脑桌
US11234510B2 (en) Device and stand assembly
KR200475379Y1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N215258999U (zh) 一种笔记本电脑的可调节支架
KR20150004325U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10086213A (ko) 저울식 독서대
KR101091790B1 (ko) 요통환자용 컴퓨터 키보드 책상
CN209782112U (zh) 折叠便携式电脑支架
CN210539696U (zh) 一种可多角度调节的电脑桌
KR20090068974A (ko) 노트북 컴퓨터용 거치대
KR20150134827A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134643A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004311U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0252196Y1 (ko) 노트북 스탠드
CN205318335U (zh) 一种多角度调节键盘
TW202032057A (zh) 可調式承載架
KR20200087959A (ko) 관절식 팔 책 받침대
CN204925907U (zh) 一种方便携带的电脑
KR20200044302A (ko) 모니터 받침대를 이용한 간이 책상
US20240130519A1 (en) Device workstations with multi-way leveling adjustability, arcuate base, and accessory attachment features
CN212298361U (zh) 笔记本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