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643A -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 Google Patents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643A
KR20150134643A KR1020140061668A KR20140061668A KR20150134643A KR 20150134643 A KR20150134643 A KR 20150134643A KR 1020140061668 A KR1020140061668 A KR 1020140061668A KR 20140061668 A KR20140061668 A KR 20140061668A KR 20150134643 A KR20150134643 A KR 20150134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main body
body portion
desk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6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규보
Original Assignee
천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규보 filed Critical 천규보
Priority to KR10201400616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34643A/ko
Publication of KR2015013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6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1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with a part resting on the floor and another leaning on the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47B23/044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only fold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6C-shaped bed tables, e.g. foldabl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책상 위에 설치되어 기립 상태 또는 앉은 상태에서 공부 또는 사무를 보기 위한 보조책상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0.8 cm 내지 2.5 cm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너비 방향으로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SUBSIDIARY DESK INSTALLED ON DESK}
본 발명은 책상 위에 설치하도록 구성되는 보조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가볍고 컴팩트하게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에 관한 발명이다.
사무소 근무자의 경우 대부분의 일과 시간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며, 공부하는 학생들의 경우 장시간을 앉아서 공부하게 된다.
그런데, 장시간동안 앉아서 업무를 수행하거나 공부하는 것은 각종 대사질환 및 성인병의 원인이 되고, 또한 소화장애 및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집중력 저하의 원인이 된다.
특히, 허리 디스크 환자들의 경우 의자에 장시간 동안 앉아 있는 것은 오히려 일어설 경우에 비해 허리에 보다 큰 무리가 되어 매우 부담스러운 일이다.
이러한 견지에서 근래 유럽에서는 사무실 내에서 서서 일하는 풍조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책상 상판의 높이를 전동식으로 조절할 수 있는 책상이 개발 보급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전동식으로 책상 상판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의 경우, 책상 상판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모터 및 스크류 또는 전동실린더 등이 책상에 포함되어야 하므로, 그 가격이 매우 고가이며, 고장 시 이의 수리를 위해서도 전문적인 인력이 작업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각종 구성들이 포함되어야 하므로, 그 무게 역시 매우 무거워 배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기에도 매우 큰 부담이 된다.
또한, 책상의 높이를 조절하는 동안에는 모터 및 스크류의 동작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어 타 근무자에게 다소간 불편을 끼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책상 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필요 시 용이하게 책상 위에서 수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면적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무게를 갖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어서서 업무를 수행하고, 필요 시 앉아서도 업무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책상으로부터 수거하여 보관 시 컴팩트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책상 위에 설치되어 기립 상태 또는 앉은 상태에서 공부 또는 사무를 보기 위한 보조책상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0.8 cm 내지 2.5 cm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너비 방향으로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폭(D1)은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높이(H)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몸체부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가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목재 또는 목재를 이용한 합판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몸체부의 너비(W2)는 25 cm 내지 80 cm 범위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몸체부의 너비(W2)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너비(W1)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책상을 기존 책상 위에 용이하게 설치가 가능하고, 필요 시 용이하게 책상 위에서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업무 수행에 요구되는 면적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무게를 갖도록 구성되어 기존 책상 위의 면적을 이용하면서도 서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어서서 업무를 수행하고 필요 시 앉아서도 업무 수행이 가능하므로,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함에 기인하는 대사질환 및 각종 성인병, 하체 근력 약화, 소화장애 및 집중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책상으로부터 수거하여 보관 시 컴팩트하게 접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보관이 용이하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상기 보조책상이 책상 위에 펼쳐져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보조책상에서 메인몸체부가 보조몸체부에 대해 회동된 상태로 책상 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보조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보조책상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보조책상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상기 보조책상이 책상 위에 펼쳐져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2 는 상기 보조책상에서 메인몸체부가 보조몸체부에 대해 회동된 상태로 책상 위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 은 상기 보조책상의 사시도이며, 도 4 는 상기 보조책상이 접힌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5 는 상기 보조책상에 포함되는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은 책상 위에 설치되어 기립 상태 또는 앉은 상태에서 공부 또는 사무를 보기 위한 보조책상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10)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20)와,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정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상기 회동고정부재(25)를 매개로 하여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부재(30)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몸체부(10)는 미리 설정된 너비(W1)와 폭(D1)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20)는 미리 설정된 너비(W2)와 폭(D2)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0.8 cm 내지 2.5 cm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 방향으로 받침부재(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목재, 목재를 이용한 합판,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편백나무, 소나무 등의 목재로 형성된다.
상기 편백나무, 소나무는 재질이 가벼우면서도 고유의 향기를 발산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의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편백나무 또는 소나무로 구성함으로써, 이용자에게 나무 고유의 향기를 음미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전체 보조책상을 보다 가볍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의 판재로 형성되며, 소정의 너비(W1, W2)와 폭(D1, D2)을 가진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0.8 cm 내지 2.5 cm 두께의 판재로 형성된다.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두께가 0.8 c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전체 두께가 지나치게 얇아져 외부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에 의해 용이하게 파손 또는 변형되며,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의 두께가 2.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가 증대되어 용이하게 일반책상(100) 위에 설치하거나 수거 및 운반하기가 어려워진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는 50 cm 내지 90 cm 범위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키보드(210)와 마우스(220) 또는 노트북 등을 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5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책 등을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90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메인몸체부(10)의 너비가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현대 사회에서 각종 서류 작업 또는 사무실 내에서의 사무를 위해서는 컴퓨터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기존 책상(100) 위에 놓여지는 전화기(500), 카렌더(400), 서랍장(200) 등의 물품들 중에서 서서 공통적으로 업무에 필수적인 장치로서는 키보드(210)와 마우스(220) 또는 노트북 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책상 위에 설치용 보조책상에서는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일어서서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장치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최소한의 무게를 가지면서도 컴팩트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하여, 용이하게 기존 책상(100) 위에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필요 시 책상(100) 위에서 수거하여 최소한의 보관 공간 내에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견지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은 25 cm 내지 45 cm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25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키보드와 마우스 또는 책 등을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4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메인몸체부(10)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상기 보조몸체부(20)는 주로 모니터(200) 또는 독서대(미도시)를 지지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상기 메인몸체부(10)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W1)와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는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학생 또는 근무자의 공부 또는 업무 수행 시 대부분의 공책 또는 책 등 필요한 물품들은 본인의 앞 부분에 배치되며, 본인으로부터 보다 먼 공간에는 통상적으로 모니터 또는 독서대와 같이 한정된 물품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본인의 바로 앞 부분에 배치되는 메인몸체부(10)의 너비(W1)를 본인으로부터 보다 먼 거리에 배치되는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는 25 cm 내지 90 cm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가 25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니터 또는 독서대 등을 상기 보조몸체부(2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가 90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조몸체부(20)의 너비가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만약,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W2)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W1)보다 작을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몸체부(20)의 양 측부 공간에 서랍장(300), 전화기(500) 등이 배치되어, 기존 책상(100) 위의 공간 역시 공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은 20 cm 내지 45 cm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이 20 cm 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니터 또는 독서대 등을 상기 보조몸체부(10) 상에 배치시키기에 좁은 영역이 되며, 만약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폭(D2)이 45 cm 를 초과할 경우에는 보조몸체부(10)의 폭이 지나치게 커져 전체 보조책상의 무게를 경량화하기에 한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몸체부(20)의 전체 크기를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전체 크기와 동일하거나 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면서도, 보조책상을 공간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무 또는 공부를 위해 이용되는 대부분의 물품들은 상기 보조몸체부(20) 쪽보다는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를 메인몸체부(10)의 너비보다 작게 형성할 경우에는, 기존 책상(100)에서 상기 보조몸체부(20) 양측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일반 책상(100) 위에 배치되는 서랍장(300), 카렌다(400) 전화기(500) 등은 일반 책상(100) 위 또는 상기 보조몸체부(20)의 측부 공간에 배치시키고, 키보드(210), 마우스(220) 등의 업무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요구되는 장치는 상기 메인몸체부(10) 상에 배치시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몸체부(20) 상에는 모니터 또는 학생용 독서대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몸체부(10)에는 상기 모니터 또는 독서대보다 큰 너비를 차지하는 키보드 또는 노트와 필기구 등과 같이 상기 모니터 또는 독서대보다는 큰 너비를 차지하는 물품들이 주로 배치되므로, 상기 보조몸체부(20)의 너비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와 같은 정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과 보조몸체부(20)의 폭(D2)는 대략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거나,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는 경첩과 같은 회동고정부재(2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휴대하거나 보관할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도 4 와 같이 접어서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일어 선 상태에서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편 상태로 책상 위에 배치시켜 사무 또는 공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보관할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접어서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만약 앉아서 공부 또는 사무를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기존 책상(100) 상면쪽으로 회동시키고, 상기 지지부재(12) 상에 책 또는 서류 등을 거치시킨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회동고정부재(25)로서는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사이에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경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메인몸체부(10)를 기존 책상쪽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의 가장자리와 보조몸체부(20)의 가장자리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메인몸체부(10)에서 상기 회동고정부재(25)쪽 가장자리 하부(17)와 상기 보조몸체부(20)에서 상기 회동고정부재(25)쪽 가장자리 하부를 경사지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가 도 4 에 도시되는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으면서도, 도 2 에 도시되는 방향으로도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 간의 양방향 회동을 위해서는 이외에도 양방향 회전 경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에는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가 결합된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는 동일한 구성으로서, 각각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지지하므로, 도 5 에 도시된 상기 메인지지부재(30)를 예로써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는 상기 메인몸체부(10) 하면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부재(32)와 상기 고정부재(32)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부(34)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32)에 대해 상기 지지부(34)를 회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4)가 상기 고정부재(32)에 설치되는 회동축(33)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도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4)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고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34)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재(36)가 상기 지지부(34)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34) 또는 높이조절부재(36)의 하단부는 일반 책상(100)의 상면에 직접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하단부에 상기 지지부(34, 36)의 재질과는 다른, 보다 마찰력이 크면서 부드러운 합성수지재(예를 들어, 고무, 실리콘 등)로 구성되는 접촉부재(38)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부(34)가 고정부재(32)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에 대해 상기 지지부(34, 36)를 접을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접을 경우에는 상기 지지부(34)를 접어서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보다 컴팩트한 구성이 되도록 하여 보관 또는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와 보조지지부재(40, 5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책상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키도록 합성수지재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지지부재(30)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하면에 좌우 한 쌍 또는 두 쌍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좌우로 한 쌍의 메인지지부재(30)만이 설치되더라도, 상기 메인몸체부(10)에 결합되는 보조몸체부(20) 및 상기 보조몸체부(20)에 설치되는 보조지지부재(40, 50)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기립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는 상기 보조몸체부(20)의 하면에 세 개 또는 좌우로 두 쌍이 설치된다.
상기 보조몸체부(20) 하면에 세개의 보조지지부재(40, 50)가 설치될 경우에는 삼발이와 같은 형태로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가 설치된다.
그리하여,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접혀질 경우에도,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20)가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일어서서 업무 또는 공부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와 보조몸체부(20)를 모두 펼친 상태에서 업무 또는 공부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앉아서 공부를 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2 에서와 같이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일반책상(100) 상면 쪽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일반책상(100)의 상면에 키보드와 마우스 등을 놓고 작업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은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높이(길이, H) 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만약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가 고정된 길이(H)를 가지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은 상기 고정된 길이보다 크게 형성되고, 만약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길이(H)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최대한 신장된 길이 즉,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최대 길이보다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크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일반책상(100) 상면쪽으로 회동시켜 도 2 와 같은 상태가 될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 면이 일반책상(100) 상면에 대해 일정각도(a)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만약,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이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길이보다 작을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메인몸체부(10)를 일반책상(100) 상면쪽으로 회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메인몸체부(10)가 일반책상(100) 상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배치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받침부재(12) 상에 책 또는 서류를 올려 놓고 작업하기에 불안정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폭(D1)을 상기 보조지지부재(40, 50)의 높이(길이, H) 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일반책상(100) 상면쪽으로 회동시켜 도 2 와 같은 상태가 될 경우, 상기 메인몸체부(10) 면이 일반책상(100) 상면에 대해 일정각도(a) 기울어져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재(12) 상에 책 또는 서류 등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12)는 상기 메인몸체부(10)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서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너비(W1) 방향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받침부재(12)가 메인몸체부(10)의 너비(W1) 방향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12) 상에 책 또는 서류 등을 거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인몸체부(10)를 얇은 판재로 형성할 경우에도 상기 받침부재(12)가 상기 메인몸체부(10)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메인몸체부(10)에 작용되는 힘을 지지하는 역할을 발휘한다.
상기 받침부재(12)는 나사 또는 접착제 등의 수단에 의해 상기 메인몸체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기존 일반 책상(100) 위에 모니터(200) 또는 독서대를 배치시킨 상태에서 장시간 앉아서 업무를 수행할 경우, 사람의 시선이 다소 하방을 향하므로 목을 다소간 굽히게 되어, 목 또는 어깨 근육의 뭉침 또는 거북목 증상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익히 알려졌다.
이러한 현상은 두뇌로의 혈액 순환에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을 미쳐 업무 또는 공부 수행 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몸체부(20)를 기립 상태로 하고 그 위에 모니터(200) 또는 독서대를 배치한 상태에서 앉아서 작업 또는 공부할 경우에는, 사람의 시선이 정면 또는 정면에서 15도 정도의 상방으로 향하게 되므로, 목이 자연스런 수직 상태로 유지될 수 있어 목 또는 어깨 근육 뭉침 및 거북목 증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두뇌로의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여 업무 또는 공부 수행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메인몸체부
20: 보조몸체부
25: 회동고정부재
30: 메인지지부재
40, 50: 보조지지부재
100: 일반책상
200: 모니터
300: 서랍장
400: 전화기

Claims (9)

  1. 책상 위에 설치되는 보조책상으로서,
    판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의 전방에 결합되며 판상으로 형성되는 보조몸체부와;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상기 회동고정부재를 매개로 하여 서로에 대해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메인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메인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보조몸체부의 하면에는 상기 보조지지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보조몸체부를 지지하며,
    상기 메인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몸체부는 미리 설정된 너비와 폭을 가지는 사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0.8 cm 내지 2.5 cm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메인몸체부의 상면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너비 방향으로 받침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각각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의 폭(D1)은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높이(H)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에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보조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상기 보조지지부재만으로써 상기 보조몸체부가 기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지지부재와 보조지지부재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목재 또는 목재를 이용한 합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부와 보조몸체부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의 너비(W2)는 25 cm 내지 80 cm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몸체부의 너비(W2)는 상기 메인몸체부의 너비(W1)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1020140061668A 2014-05-22 2014-05-22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134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68A KR20150134643A (ko) 2014-05-22 2014-05-22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668A KR20150134643A (ko) 2014-05-22 2014-05-22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643A true KR20150134643A (ko) 2015-12-02

Family

ID=5488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668A KR20150134643A (ko) 2014-05-22 2014-05-22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346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192B1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US8459191B2 (en) Laptop computer desk
CN204292590U (zh) 一种新型多功能学生桌
KR20110058633A (ko) 휴대용 접이식 독서대
US20120235008A1 (en) Portable configurable support device
US20100155346A1 (en) Multifunctional rack structure
KR200475379Y1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004325U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134643A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KR20150134827A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US5429337A (en) Portable mini-desk
KR20150004311U (ko) 책상 위 설치용 보조책상
CN206021209U (zh) 一种可调角度的计算机键盘
KR20200001905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CN108937158A (zh) 防止书本掉落的课桌
WO2018207161A1 (en) A multi-purpose desktop accessory for reading, writing and computer usage
JP3234737U (ja) 木製卓上型傾斜調整可能な学習作業台
CN105231667A (zh) 一种带阅读架和散热装置的书桌
KR200252196Y1 (ko) 노트북 스탠드
CN206371698U (zh) 一种电子阅读器底座
CN210329794U (zh) 一种多功能桌
KR101553448B1 (ko) 독서대가 장착된 책상
CN213720550U (zh) 电脑桌写字板
CN202504580U (zh) 一种角度可调的轻便电脑桌
JP2012164053A (ja) 卓上型作業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