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670A - 축분 연료화 장치 - Google Patents

축분 연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670A
KR20150134670A KR1020140061737A KR20140061737A KR20150134670A KR 20150134670 A KR20150134670 A KR 20150134670A KR 1020140061737 A KR1020140061737 A KR 1020140061737A KR 20140061737 A KR20140061737 A KR 20140061737A KR 20150134670 A KR20150134670 A KR 20150134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pe
drying furnace
boile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808B1 (ko
Inventor
윤석환
길영환
설명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원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원 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원 이
Priority to KR102014006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2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animal substances or products obtained therefrom, e.g. man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06Methods of shaping, e.g. pelletizing or briquet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2Molding or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산가에서 발생하여 별도의 처리공정을 통해 폐기되던 축분을 현장에서 가열건조하여 고형연료로 가공하되 악취발생을 억제하고 건조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분 연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축분 연료화 장치 {APPARATUS FOR MANUFACTURING OF SOLID FUEL FROM LIVESTOCK SLUDGE}
본 발명은 축분 연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축산가에서 발생하여 별도의 처리공정을 통해 폐기되던 축분을 현장에서 가열건조하여 고형연료로 가공하되 악취발생을 억제하고 건조에 따른 열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축분 연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산성 향상에 목적을 둔 집약형 축산업의 발달로 축산분뇨의 발생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축산분뇨는 일부 퇴비 등의 자원으로 재사용되고 있으나, 생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작물의 종류에 대해 사용이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사용 기간도 한정된다. 이에 일부 축산가에서 분뇨의 방치, 무단 방류 등으로 토양 및 수질오염이 발생하고 있으며, 악취 및 해충발생 등의 문제가 야기됨에 따라 가축분뇨 처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또한, 축사에서 발생한 가축분뇨를 해양배출, 공공시설을 이용한 처리도 이루어졌으나 농가에 방문하여 분을 수거하여 이송을 하는 등 처리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축산가에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가축분뇨는 일반하수나 공장폐수보다 고농도로 처리를 위한 많은 약품을 사용해야 함에 따라 기술적, 경제적인 어려움이 따랐고, 악취 등의 이유로 공공처리시설이 혐오시설로 인식되어 입지선정 시 주민의 반대, 지자체의 소극적인 업무추진 등으로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으며, 처리재의 가격상승과 수급곤란, 시설·장비의 조기 노후화, 사육두수를 초과한 자가 처리능력 등으로 활성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축산분뇨를 열선이나 화석연료를 통해 발생하는 열로 건조한 후 이를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었으나, 수분함유율이 높은 축산분뇨를 건조하기 위해서 많은 연료 및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25020호(2012.03.02. 공고) 한국등록특허 제10-0853865호(2008.08.18.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을 통해 축산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바로 축분을 처리하여 고형연료로 가공하되 열효율을 향상시켜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악취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축분 연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해 본 발명은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로,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연돌, 상기 연소로에서 발생하는 열로 스팀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 수관부 및 스팀배관을 구비한 보일러; 축분이 투입되는 투입구와,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투입구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축회전을 통해 축분을 이송하되 축방향으로 통기공이 형성된 이송스크루와, 상기 이송관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팀배관의 스팀을 복수의 지점으로 분할하여 공급하여 상기 이송관을 가열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스팀공급부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 상기 보일러의 수관부로 공급시키는 응축수수집부와, 상기 이송스크루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건조로; 상기 건조로를 통과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을 통해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기;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건조로는 상기 이송관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배기팬 및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습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일러는 상기 제습기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연돌 내부를 순환시키며 가열되도록 구성된 배기가열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로는 상기 배기가열배관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스팀공급부의 외측에 공급하여 가열하도록 구성된 예열배관과, 상기 예열배관을 통과한 공기 중 분순물을 제거하여 보일러 연소로로 공급하는 사이클론 집진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로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의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측정부와, 상기 습도측정부의 측정 결과에 따라 축분에 물을 분사하는 습도조절부와, 관리자로부터 투입된 조연제를 축분에 혼합한 후 상기 펠릿제조기로 투입하는 조연제혼합부를 구비한 컨디셔닝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산 현장으로 이동설치하여 축산분뇨를 처리할 수 있어 종래방식에서와 같은 분뇨의 수거 및 운반에 따른 비용과 노력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분뇨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는 고형연료를 열원을 생산하는 보일러에서 연소시킬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 발생하는 공기를 보일러의 폐열로 가열하여 재사용함으로 열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여 처리에 소요되는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다단의 건조실 구조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 설치장소에 대한 제약이 적고, 건조시간을 단축하고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 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의 배열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축분 연료화 장치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보일러(110)와 건조로(120)와 펠릿제조기(150)로 구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보일러(110)는 연료를 연소시켜 발생하는 열로 물을 끓여 스팀을 만들기 위한 구성으로 기본적으로 통상의 보일러에서와 같이 버너(116)를 구비하여 유류를 연료로 연소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축분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통해 최종적으로 생산되는 펠릿을 연료로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일러(110)를 통해 생산되는 스팀은 축분 건조를 위한 열원으로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일러(110)는 버너(116)를 통해 분사되는 유류 또는 펠릿과 같은 고형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로(111)와, 내부에 물이 순환하여 상기 연소로(111)에서 발생하는 열을 통해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 수관부(113)와, 상기 수관부(113) 내측의 물이 비등하면서 발생한 스팀을 외부로 이송하고 외부에서 응축된 스팀을 상기 수관부(113)로 재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스팀배관(114)과, 상기 연소로(111)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연돌(112)을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축분의 수분함유율은 60 ~70% 수준으로 이를 고형 연료화하기 위해서는 수분함유율을 10~15% 수준이 되도록 건조하여야 하며, 축분은 상기 건조로(120)에 투입되어 건조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높은 기화열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상기 건조로(120)는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로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상기 건조로(120)는 투입구(121)와, 이송관(122)과, 이송스크루(123)와, 스팀공급부(125)와, 응축수수집부(126)와, 구동부(127)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투입구(121)는 축분을 건조로(120) 내부에 투입하기 위한 호퍼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원활한 건조를 위해서는 적정한 양의 축분이 건조로(120)에 일정하게 투입되어야 하므로 정량투입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관(122)은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투입된 축분이 통과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원통 형상의 관으로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관의 배열모습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축산현장으로 이동설치가 가능토록 한다는 점과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관(122)을 복수로 구비하되 다단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첨부된 도 2에서는 상기 이송관(122)이 상기 투입구(121)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3단 즉 3층의 구조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첨부된 도 4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은 3단 구조의 이송관(122)이 2세트가 구비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투입구(121)를 통해 투입된 축분은 상기 이송관(122) 내에서의 체류시간이 길어질수록 건조가 잘 이루어지게 되나, 종래에는 체류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이송관(122)이 길어져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이송관(122)을 다단 구조로 구성함으로 이송관(122)의 길이를 줄이면서도 축분의 이송관(122) 내 체류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건조로(120)의 상부에 형성된 투입구(121)를 통해 상층의 이송관(122)으로 투입된 축분은 후술되는 이송스크루(123)의 회전을 통해 중층과 하층의 이송관을 통과하며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21)상에는 에어록밸브를 설치함으로 투입되는 축분과 함께 외부의 차가운 공기가 상기 이송관(122)으로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원활한 축분의 이송 및 건조를 위해서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복수의 이송관(122)이 층 구조를 갖도록 배열되되 상측의 이송관으로 축분의 투입이 이루어지고 이송 및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이 중력의 작용을 통해 하측에 위치한 이송관(122)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스크루(123)는 상기 이송관(122) 내부에 위치하며 축회전을 통해 축분을 이송시키면서 적절히 분쇄 및 교반함으로 건조를 촉진한다. 이때 원활한 축분의 이송을 위해서는 이송스크루(123)의 바깥지름이 상기 이송관(122)의 내측 지름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축분 건조시 가스 및 수분이 발생함에 따라 가스 및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이송스크루(123)를 따라 함께 이동하며 축분의 이송 및 건조가 원활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건조시 발생하는 가스 및 수분을 함유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도록 축분의 이송효율이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면서 이송스크루의 바깥지름을 줄여 이송관 내벽과의 틈새를 늘리기도 했다. 이런 경우 이송관 하부에 피건조물이 부착되어 원활한 이송이 불가능하며 피건조물로의 열전달이 방해되므로 건조효율이 감소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송스크루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본 발명에서는 축분의 이송효율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건조시 발생하는 가스 및 수분을 함유한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수분증발이 촉진되도록 이송스크루(123)에 축방향으로 다수의 통기공(124)을 형성한다.
이때 투입된 축분이 상기 통기공(124)을 통해 이동하거나 상기 통기공(124)이 축분으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통기공(124)은 가급적 이송스크루의 회전축에서 멀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과 스크루 사이에 지지대를 구성함으로 통기공이 크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팀공급부(125)는 상기 이송관(122)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보일러(110) 스팀배관(114)으로부터 공급되는 스팀을 통해 상기 이송관(122)을 가열한다.
종래에는 통상 이송관 외측의 한쪽 끝 부분에 스팀이 공급되고 다른 쪽 끝 부분에서 스팀이 회수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런 경우 이송관 내부의 활발한 증발작용으로 인하여 다른 쪽 끝 스팀이 회부되는 부분의 온도가 스팀 공급부 측의 온도보다 많이 낮아짐으로 인해 축분의 이송이 진행될수록 증발이 원활치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상기 스팀공급부(125)는 상기 스팀배관(114)으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복수의 지점으로 분할하여 공급하게 된다. 즉 첨부된 도 2 및 4에서와 같이 하나의 이송관(122)에 대하여 3개의 노즐을 통해 균일하게 스팀을 공급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이송관(122)의 전체에 걸쳐 균일한 온도로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3부분에서 스팀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송관의 길이 및 장치의 규격에 따라 스팀을 분할 공급하는 노즐의 개수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응축수수집부(126)는 상기 스팀공급부(125)에서 이송관(122) 및 축분과의 열교환으로 인해 응축된 스팀을 회수하여 상기 보일러(110)의 수관부(113)로 공급시키는 구성으로 응축수를 상기 수관부(113)로 이송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P)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구동부(127)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상기 이송스크루(123)를 작동시키는 모터로 구성되며, 모터의 회전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감속하거나, 복수의 이송스크루(123)의 회전 및 회전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기어박스를 구비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상기 구동부(127)는 축산현장에 공급되는 농업전력을 사용하게 되며, 본 발명이 차량에 탑재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경우 필요시 차량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이송관(122) 내부에서 축분이 건조됨에 따라 발생하는 가스 및 습기는 건조된 축분과 함께 배출될 수도 있지만, 각 이송관(122)과 연통되도록 배기관(132) 및 배기팬(131)을 설치하여 이송관(122) 내부 가스 및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건조로 외부로 강제 배출시킴으로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배기관(132) 및 배기팬(131)을 통해 배출된 공기는 다량의 습기를 함유하게 되므로 결국 건조로 내부의 습도를 높여 건조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습기를 강제적으로 제거하는 제습기(13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습기(133)는 냉각수를 통해 습기를 응축시키는 통상의 제습 원리를 통해 습기를 제거하는 산업용 또는 가정용으로 사용되는 제습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는 수냉식 기구를 추가로 설치함으로 구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건조로(120)는 기본적으로 방열구조를 갖도록 하여 외부로의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나, 상기 보일러(110)로부터 발생하는 폐열을 활용하여 건조로(120) 내부를 가열함으로 열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습기(133)를 통해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재가열하여 건조로(120) 내부, 즉 건조로(120)의 외부를 감싸고 있는 케이싱에 공급함으로 예열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보일러(110)의 연돌 내부에 배기가열배관(115)을 설치하여, 상기 제습기(133)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기가열배관(115)을 통해 연돌 내부를 순환시키며 가열한다.
또한, 상기 건조로(120)는 상기 배기가열배관(115)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스팀공급부(125) 외측에 설치된 예열배관(128)을 통해 건조로(120)에 공급함으로 예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예열배관(128) 끝 부분에 사이클론 집진기(132)를 설치함으로 상기 예열배관(128)을 통과한 공기 중 분순물을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거나, 상기 보일러(110)의 연소로(111)로 공급하여 연소공기로 사용 후 연돌로 배출할 수 있다.
사이클론 집진기(132)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보일러(110)의 연소로(111)로 공급하는 것은 축분의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수분을 함유한 공기가 통상 상당한 악취를 발생함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불순물이 제거된 공기를 보일러 연소로에 공급함으로 고열의 연소반응을 통해 악취를 제거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건조로(120)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은 이후 펠릿제조기(150)로 공급된다.
상기 펠릿제조기(150)는 적정 수준으로 건조된 축분의 조립물(造粒物)인 펠릿(pellet)을 제조하는 구성으로 제조된 펠릿은 고형연료로 사용가능하다. 건조된 축분의 경우 상당한 열량이 있어 연료로 사용가능하나, 연료로 사용함에 있어 분쇄된 형태보다는 적당한 크기의 입상물(粒狀物)로 제작함으로 취급과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상기 펠릿제조기(150)는 시중에 출시된 다양한 형태의 펠릿제조기의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건조로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을 소정의 크기를 갖는 성형틀을 사용하여 프레싱함으로 일정한 크기를 갖는 펠릿으로 제조하게 된다.
축분을 펠릿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은 축분의 수분함유율이라 할 수 있다. 축분의 수분함유율이 높을 경우 실질적으로 연소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연료로서의 사용가치가 매우 떨어지게 되며, 반대로 수분함유율이 너무 낮을 경우 펠릿으로 제조할 수 없게 되므로 펠릿제조기로 투입되는 축분의 수분함유율은 적절하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로(120)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에 대하여 상기 펠릿제조기(150)로 투입되기 전 컨디셔닝기(140)를 통해 최적의 고형연료로 만들어질 수 있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디셔닝기(140)는 기본적으로 상기 건조로(120)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의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측정부(141)와, 상기 습도측정부(141)의 측정 결과에 따라 축분에 물을 분사하는 습도조절부(142)와, 관리자로부터 투입된 조연제를 축분에 혼합한 후 상기 펠릿제조기로 투입하는 조연제혼합부(143)를 구비하게 되며, 건조된 축분을 이송스크루 방식이나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하면서 습도 측정을 비롯하여 물 및 조연제의 투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연제는 펠릿의 완전연소를 촉진하고 미연 탄소분의 발생을 방지하며 보일러(110) 내부의 크링커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위한 연소 촉진제로서 금속, 유기 화합물 및 계면활성제 등을 함유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10: 보일러 111: 연소로
112: 연돌 113: 수관부
114: 스팀배관 115: 배기가열배관
116: 버너 120: 건조로
121: 투입구 122: 이송관
123: 이송스크루 124: 통기공
125: 스팀공급부 126: 응축수수집부
127: 구동부 128: 예열배관
131: 배기팬 132: 배기관
133: 제습기 132: 사이클론 집진기
140: 컨디셔닝기 141: 습도측정부
142: 습도조절부 143: 조연제혼합부
150: 펠릿제조기 P: 펌프

Claims (4)

  1. 공급되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로(111), 상기 연소로(111)에서 발생한 배기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하는 연돌(112), 상기 연소로(111)에서 발생하는 열로 스팀을 발생시켜 배출하도록 구성된 수관부(113) 및 스팀배관(114)을 구비한 보일러(110);
    축분이 투입되는 투입구(121)와, 원통 형상을 갖되 상기 투입구(121)로부터 순차적으로 연결되도록 다단 구조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이송관(122)과, 상기 이송관(122) 내부에서 축회전을 통해 축분을 이송하되 축방향으로 통기공(124)이 형성된 이송스크루(123)와, 상기 이송관(122)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스팀배관(114)의 스팀을 복수의 지점으로 분할하여 공급하여 상기 이송관(122)을 가열하는 스팀공급부(125)와, 상기 스팀공급부(125)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모아 상기 보일러(110)의 수관부(113)로 공급시키는 응축수수집부(126)와, 상기 이송스크루(123)를 구동하는 구동부(127)를 구비하는 건조로(120);
    상기 건조로(120)를 통과하여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을 통해 펠릿을 제조하는 펠릿제조기(1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연료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120)는 상기 이송관(122) 내부에서 발생하는 가스 및 습기를 함유한 공기를 포집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배기팬(131) 및 배기관(132)과, 상기 배기관(132)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제습기(1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연료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110)는 상기 제습기(133)로부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상기 연돌(112) 내부를 순환시키며 가열되도록 구성된 배기가열배관(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건조로(120)는 상기 배기가열배관(115)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스팀공급부의 외측에 공급하여 가열하도록 구성된 예열배관(128)과, 상기 예열배관(128)을 통과한 공기 중 분순물을 제거하여 보일러 연소로(111)로 공급하는 사이클론 집진기(13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연료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로(120)를 통해 건조가 이루어진 축분의 수분을 측정하는 습도측정부(141)와, 상기 습도측정부(141)의 측정 결과에 따라 축분에 물을 분사하는 습도조절부(142)와, 관리자로부터 투입된 조연제를 축분에 혼합한 후 상기 펠릿제조기(150)로 투입하는 조연제혼합부(143)를 구비한 컨디셔닝기(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분 연료화 장치.
KR1020140061737A 2014-05-22 2014-05-22 축분 연료화 장치 KR10161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37A KR101618808B1 (ko) 2014-05-22 2014-05-22 축분 연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737A KR101618808B1 (ko) 2014-05-22 2014-05-22 축분 연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670A true KR20150134670A (ko) 2015-12-02
KR101618808B1 KR101618808B1 (ko) 2016-05-09

Family

ID=5488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737A KR101618808B1 (ko) 2014-05-22 2014-05-22 축분 연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77B1 (ko) 2016-03-14 2016-07-01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축분 연료화 시스템
KR102568376B1 (ko) * 2022-09-14 2023-08-23 바이오씨앤씨(주) 축분 에너지 펠렛 및 축분 바이오차의 제조방법
KR102640168B1 (ko) * 2023-07-12 2024-02-23 (주)규원테크 교반 장치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교반 장치의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6744B2 (ja) 2007-01-16 2010-09-01 株式会社御池鐵工所 有機廃棄物を用いた固形燃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53865B1 (ko) 2007-07-10 2008-08-26 주식회사 이레 축분자원의 연료화 장치
JP2010189457A (ja) 2009-02-14 2010-09-02 Hokushin Sangyo Kikai Kk バイオマス固形燃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4977B1 (ko) 2016-03-14 2016-07-01 주식회사 에코바이론 축분 연료화 시스템
KR102568376B1 (ko) * 2022-09-14 2023-08-23 바이오씨앤씨(주) 축분 에너지 펠렛 및 축분 바이오차의 제조방법
KR102640168B1 (ko) * 2023-07-12 2024-02-23 (주)규원테크 교반 장치를 포함하는 펠릿 제조 시스템 및 교반 장치의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08B1 (ko)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28614B (zh) 高含水率有机废弃物的处理方法和处理装置
CN102741638B (zh) 干燥浆状物质、尤其净化站泥浆及产生热能的方法和设备
CN102476907B (zh) 一种快速高效、环保节能污泥处理系统的方法
US20080251438A1 (en) Apparatus for fermenting and drying at high speed
KR100892649B1 (ko) 슬러지 건조처리 방법 및 장치
CN101210678A (zh) 一种污泥干化焚烧一体化处理方法及装置
JP2013505815A (ja) 汚泥濾過ケーキを好気的に空気乾燥する方法および装置
CN105417923B (zh) 一种污泥干化系统
JP2009216351A (ja) 木屑と有機廃棄物を燃料とする熱風発生装置
CN102557383A (zh) 一种用于污泥干化的倾斜盘式桨叶干燥机及处理方法
KR101618808B1 (ko) 축분 연료화 장치
JP2008290058A (ja) 動植物性残渣物乾燥発酵飼料・乾燥発酵肥料等製造装置
JP2010216748A (ja) 含水廃棄物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KR101210376B1 (ko) 하수슬러지 또는 음식물류폐기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모듈형 건조장치
HU218755B (hu) Eljárás és berendezés fűtőértékkel rendelkező hulladékanyag feldolgozására
KR101154826B1 (ko) 하/폐수, 음식물 슬러지 악취 및 고함수 배가스 탈취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 처리설비
JP2009220048A (ja) 含水有機汚泥の乾燥システム及び乾燥方法
JP4340510B2 (ja) 有機材料炭化装置
CN205420130U (zh) 一种污泥干化系统
JP2009242636A (ja) 高含水率有機廃棄物の燃料化方法及びバイオマス燃料
KR101369950B1 (ko) 축산 폐기물 처리 장치
JP2009202078A (ja) 含水有機廃棄物の乾燥及び造粒システム
JP2005305314A (ja) 固形物を含む廃液の処理システム
JP2006263529A (ja) 低温炭化炉を使った炭化物無臭化システム
CN202968331U (zh) 一种污泥焚烧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