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4193A -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4193A
KR20150134193A KR1020140061233A KR20140061233A KR20150134193A KR 20150134193 A KR20150134193 A KR 20150134193A KR 1020140061233 A KR1020140061233 A KR 1020140061233A KR 20140061233 A KR20140061233 A KR 20140061233A KR 20150134193 A KR20150134193 A KR 20150134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pga
membrane
present
polym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1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3625B1 (ko
Inventor
김동명
강호창
최종훈
Original Assignee
강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호창 filed Critical 강호창
Priority to KR1020140061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3625B1/ko
Publication of KR20150134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4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3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3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8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ontaining added animal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nt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직 수복용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물질과 콜라겐을 포함하고,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가교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우수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a resorbable chollagen membrane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강 내 치주조직 발치에 부착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조직 수복용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콜라겐은 인체의 조직과 장기를 구성하는 구조 단백질로 결체조직의 주성분이며, 글리신, 프롤린 등 약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동물의 섬유성 단백질을 말한다. 인간의 경우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5,000 종류의 단백질 중 가장 많은 35%를 차지하고 있는 특수한 구조 단백질이다.
특히, 피부, 뼈, 힘줄에 많이 존재하고 있으며 각종 아미노산이 폴리펩타이드 형태로 결합하여 세 가닥으로 꼬여 있는 형상으로 분자량은 대략 300,000 정도로 매우 크다.
콜라겐의 종류로는 동물의 종류, 부위, type 별로 여러 종류가 있으며 각각의 특성도 다를 뿐만 아니라 구성된 단백질 등의 생체 분자나 성분도 다르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인체 적합성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재료로는 의료용과 마찬가지로 손상된 신경을 대체하기 위한 다공성 테플론 소재, 부러지거나 손상된 뼈를 대체하는 stainless steel, titanium, 연한 조직을 위한 키토산이나 콜라겐 등이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천연고분자 물질들 또한 생체재료로 응용될 수 있으며 이에는 silk, keratin, collagen, gelatin 등이 대표적이다.
이러한 생체재료들은 여러 의료용 재료 개발 및 응용에서 사용되었으나 현재의 기술 및 제품으로의 세포 및 조직 재생을 위한 기능성 소재들의 연구는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그 이유는 의공학적으로 설계된 기존의 scaffold 및 생체재료들이 내구성, 생분해성, 생적합성, 기능성 등을 모두 유지하기에는 기술적으로 어려움이 있고 특히, 콜라겐의 종류와 특성에 따라서 생체 적합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76285호(2007년1월30일)
본 발명은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구강 내 치주조직 발치에 부착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연고분자 물질과 콜라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일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가교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γ-PGA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γ-PGA 는 1 X γ-PGA 및 10 X γ-PGA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돼지 유래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콜라겐은 돼지 인대 유래 콜라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콜라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콜라겐에 천연고분자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상기 콜라겐으로는 돼지 유래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로는 γ-PGA 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γ-PGA 로는 1 X γ-PGA 및 10 X γ-PGA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는, 비화학적 가교(non-chemical cross linking) 방법을 이용하고, 5~10%의 γ-PGA (Poly Glutamic Acid)를 1 배 또는 10 배로 희석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이 제조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에 대한 생체분해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a: 실험 전, b~h: 실험 후 20 초 간격).
도 4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에 인비보(in vivo)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측면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측면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발명은 구강 내 치주조직 발치에 부착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조직 수복용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천연고분자 물질과 콜라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일 수 있다.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가교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천연 고분자 물질이 가교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경우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멤브레인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γ-PGA 같은 천연고분자 물질의 가교결합(cross linking) 현상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에는 화학적 가교결합(chemical cross linking)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유기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 복잡하고 혹시 이러한 유기 용매가 잔류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고분자 물질로 γ-PGA 를 사용할 수 있으며, γ-PGA (Poly Glutamic Acid)로는 1 X γ-PGA (순도 99% γ-PGA 5% 용액을 1배(1X) 희석한 용액) 및 10 X γ-PGA (순도 99% γ-PGA 5% 용액을 10배(10X) 희석한 용액)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PGA는 아미노산 글루타민산의 중합체로서, GA의 아미노 그룹과 GA 옆 사슬 끝 카르복실 그룹 사이에 펩티드 결합이 존재하는 형태이며, 박테리아 발효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γ-PGA 는 음식, 의약, 수 처리에 거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암 치료의 약물전달시스템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천연고분자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 친화적이고 생체적합성(bio compatibility) 도 향상된다는 장점이 있다.
콜라겐으로는 돼지 유래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돼지 유래 콜라겐이란 돼지의 표피 등의 조직으로부터 추출한 콜라겐을 의미한다. 돼지는 광우병 등의 우려로부터 안전하고 유전자 서열이 인간과 유사하여 다양한 대체 물질로 사용되고 있다. 돼지 유래 콜라겐 중 특히 돼지 인대에서 유래한 콜라겐을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특성이 더 우수할 수 있다.
흡수성이란 구강 내 치주조직 발치에 부착하여 일정 시간 경과 후 스스로 분해되거나 치주조직에 흡수되는 성질을 의미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직 수복용 흡수성 콜라겐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콜라겐을 마련하는 단계(S1), 콜라겐에 천연고분자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S2) 및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S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구조의 멤브레인을 비화학적 방법 및 가교결합(non-chemical & cross linking)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콜라겐을 마련할 수 있다(S1). 콜라겐으로는 돼지 유래 콜라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돼지 유래 콜라겐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면 개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먼저, 냉동된 돼지 피부 조각을 아세톤(acetone)에 넣고 교반하여 지방질을 제거한다. 증류수로 세척하여 아세톤을 제거한다. 지방질이 제거된 피부 조각을 HCl 등의 산 수용액에 넣고 균질화시킨다. 이를 교반 및 원심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HCl 등의 산 수용액에 넣는다.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여 상등액을 동결 건조하여 콜라겐 스폰지(Collagen sponge)를 얻을 수 있다.
돼지 유래 콜라겐은 돼지의 skin, tendon, tail 등을 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냄새와 색깔이 없고 인체와 유사한 구조의 type 1, 3 collagen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돼지 유래 콜라겐은 타 동물 (광우병 EBS 등)이나 인간 사체 (AIDS virus) 등의 병원성 전염원으로부터 안전하다. 돼지 유래 콜라겐은 pH는 7.0 이고, 분자량은 약 2000 정도이고, 인장강도와 신장률이 기존 소재보다 우수하다. 또한 돼지 유래 콜라겐의 총 단백질량은 99.9% 순도이고, 점도는 25mps 이상이고, 비중은 0.35~0.39 이다.
다음으로, 콜라겐에 천연고분자 물질을 혼합할 수 있다(S2).
천연고분자 물질로는 γ-PGA (Polyglutamic acid)를 사용할 수 있으며, γ-PGA 로는 1 X γ-PGA 및 10 X γ-PGA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일정량의 콜라겐과 γ-PGA를 fibrication buffer (sodium chloride 20~30 중량부, sodium hydroxide 1~2 중량부, di-sodium hydrogen phosphate dihydrate 3~5 중량부)에 넣어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혼합방법은 콜라겐과 γ-PGA는 각각 1.0~1.5% 혹은 1~10배의 저장용액 (stock solution)을 만들어서 fibrillation buffer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온도는 4℃ 이하와 진공을 유지하여 24~36시간 degassing 상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켜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을 제조할 수 있다(S3).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하는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 상기 S2 공정 후 cross linking solution (70~80% PBS와 20~30% 에탄올의 혼합용액)을 10~14일 간 37℃ 배양기에서 반응 처리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돼지 유래 콜라겐 준비
냉동된 돼지 피부를 해동하여 2cm x 2cm의 사각형으로 잘라낸 후, 잘라낸 피부 조각을 아세톤(acetone)에 넣고 2시간씩 2회 교반하여 지방질을 제거하고, 증류수로 5회 세척하여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상기 지방질이 제거된 피부 조각을 3mM HCl (pH 2.7) 수용액에 3%가 되도록 넣고 균질화시킨 후, 4℃에서 1일 동안 교반하고, 4℃, 40,000 x g 조건에서 1 시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얻은 침전물을 3mM HCl에 넣었다.
상기 용액을 4℃에서 3일 동안 교반하고, 4℃, 27,000 g 조건에서 1 시간 동안 원심 분리한 후, 상등액을 filter paper를 이용하여 감압 여과하였다.
감압 여과하여 얻은 상등액을 -70℃에서 얼린 후, 4일 동안 동결 건조(freeze dry)하여 얻은 콜라겐 스폰지(Collagen sponge)를 -20℃에서 보관하였다.
2. 콜라겐 멤브레인 제조
먼저, 1 X γ-PGA (4℃), 10 X γ-PGA (4℃), 0.06 N 아세트산(Acetic acid), 1.5 부피% 의 콜라겐 수용액(Collagen stock solution) (4℃), 및 50 ㎖ 코니컬 튜브(conical tube) (4℃)를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마련하고자 하는 콜라겐 용액의 최종 부피(1000 ㎕) 및 농도(1.2 부피%)를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50㎖ 코니컬 튜브(conical tube)(4℃)에 최종 부피의 10분의 1인 100㎕ 의 10 X γ-PGA (4℃)를 투입하여 1 X γ-PGA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사용할 콜라겐의 부피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1
= (1000㎕ * 1.2 부피%) / 1.5 부피% = 800 ㎕
다음으로, 10 X γ-PGA 에 다음과 같은 부피의 0.06 N 아세트산(4℃)를 투입하였다. 0.06 N 아세트산의 최종 농도는 4 부피% 이다.
다음으로, 10 X γ-PGA /0.06 N Acetic acid 에 다음과 같은 부피의 1 X γ-PGA (4℃)를 투입하였다.
(첨가할 1 X γ-PGA 의 부피) = (최종부피) - (콜라겐 부피) - (10 X γ-PGA 의 부피) - (0.06N 아세트산의 부피)
= 1000 ㎕ - 800 ㎕ - 100 ㎕ - 40 ㎕ = 60 ㎕
다음으로, 튜브 내 각 용액을 혼합한 후 얼음 위에 놓아 두었다.
다음으로, 계산된 양인 800 ㎕ 의 콜라겐을 투입하고 거품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pH는 7.0으로 맞추었다.
다음으로, 물 100 g 에 sodium chloride 25 g, sodium hydroxide 2 g, di-sodium hydrogen phosphate dihydrate 4 g을 넣어 fibrillation buffer 를 마련하고, 여기에 콜라겐과 γ-PGA 를 혼합하여 제조한 혼합 용액을 웰플레이트(well plate)에 넣고, 37℃ 인큐베이터 내에서 1시간 동안 유지하여 겔화시켰다.
이때 온도는 4℃ 이하와 진공을 유지하여 1~2시간 degassing 상태로 유지하였다.
콜라겐은 1.5% 의 저장 용액의 형태를 사용하였고, γ-PGA는 10배의 저장용액 (stock solution)의 형태를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cross linking solution (70% PBS와 30%의 에탄올 혼합용액)을 14일 동안 37℃ 배양기에서 반응 처리하여 γ-PGA를 가교시킴으로써 콜라겐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가교된 콜라겐 멤브레인을 30mm ⅹ 40mm 의 크기로 절취하여 90 % 에탄올로 dehydration 한 후 CO2 critical point drying 후 포장 및 ETO 멸균을 진행하였다.
<돼지 유래 콜라겐 멤브레인의 표면 미세 구조 관찰>
제조된 돼지 유래 콜라겐 멤브레인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도 2a 는 거친 표면, 도 2b 는 부드러운 표면).
도 2를 참조하면, 기공의 크기가 1㎛ 이하로 관찰되었으며, 일면은 표면이 거칠게 관찰되었는데, 거친 표면에는 세포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을 것임을 유추할 수 있다.
<콜라겐 종류에 따른 멤브레인의 인장강도, 신장률, 두께>
400 mm×400 mm×5 mm 크기의 알루미늄 판과, 12.5~250 ㎛ 까지 조절이 가능한 YOSHIMITSU 사의 YBA-7 applicator 와 0.1~10 mm 까지 조절이 가능한 SHEEN 사의 applicator를 사용하여 멤브레인을 제조하였다.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인장 시험방법(KS M 3054)에 의해 만들어진 멤브레인 시료 5개에 대하여 20~25℃, 상대습도 50±5%의 조건에서, 200N 로드셀(load cell)이 장착된 UTM(Shimadzu, Japan)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시편은 너비 20mm, 길이 200mm, grip 거리 10mm 이다. 시험 결과를 산술 평균한 값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편의 두께는 0.25㎛ 정밀도를 지닌 다이알 캘리퍼스(Mitutoyo, Japan)를 사용하여 필름의 상단부, 중간부, 하단부에서 취해진 시편을 각각 5번 이상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아래 [표 1]에서 type이라 함은 분리 정제한 콜라겐의 종류로 구조와 분자량, 사이즈가 서로 다른 콜라겐을 의미한다. 또한 실시예 1에서 돼지 표피 콜라겐 type I, III는 두 가지 type이 공존하는 콜라겐이다.
Figure pat00002
[표 1]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모두 치과재료에 적합한 인장강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4의 멤브레인이 인장강도가 가장 우수한데, 돼지 표피 콜라겐 보다 돼지 인대 콜라겐을 사용하는 경우 인장강도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치과재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장강도이며 인장강도만 확보되면 신장률과 두께는 문제가 되지 않으며, 신장률 3.1 MPa 과 두께 40㎛ 정도면 충분하다.
< γ-PGA의 점도에 따른 멤브레인의 인장강도, 신장률 및 두께>
γ-PGA의 점도를 15, 400, 1500cp(centipoise)로 변화시키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멤브레인에 대하여 인장강도, 신장률, 두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3
[표 2]를 참조하면, γ-PGA의 점도가 높을수록 콜라겐 멤브레인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지만, 신장률은 400cp 인 실시예 6의 멤브레인이 가장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인장강도와 신장률은 두께에 의하여도 많은 영향을 받지만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인장강도와 신장률의 변화폭은 두께의 변화폭만큼 비례하지 않았다.
또한, 멤브레인 제조 중 15 cp, 400 cp의 경우 제조가 용이하였으나 1500 cp의 경우에는 높은 점도 때문에 두께 조절이 어렵고 건조과정 중에 투명도가 떨어지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1500 cp의 경우 멤브레인의 인장강도가 크지만, 400 cp 의 경우와 비교하여 별 차이가 없었으며, 신장률 측면에서는 400cp 의 경우 1500cp의 경우보다 오히려 더 큰 값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으로부터, 콜라겐 멤브레인 제조시에 400cp를 갖는 γ-PGA를 이용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γ-PGA 의 함량에 따른 멤브레인의 인장강도 및 신장률>
γ-PGA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에 사용된 콜라겐은 돼지 인대 콜라겐 (type I, 제조: 한국 한양대학교), γ-PGA는 점도 400cp를 이용하였다.
실험방법은 플라스틱 필름 및 시트의 인장 시험방법(KS M 3054)에 의해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시료에 따른 인장강도 및 신장률은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표 3]을 참조하면, γ-PGA 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멤브레인의 인장강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신장률도, γ-PGA 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γ-PGA 의 함량이 10 중량%인 경우부터 다시 증가하여 15 중량%에서 최대값을 나타낸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콜라겐에 γ-PGA를 10 내지 25 중량% 혼합한 경우 신장률 면에서 비교적 우수하고, 특히, 콜라겐에 γ-PGA를 15 부피% 혼합한 경우 콜라겐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보다도 신장률이 더 큼을 확인할 수 있다.
<멤브레인의 구강 내 생체분해>
상기 시료 10의 멤브레인(콜라겐 70 중량%, γ-PGA 30 중량%)에 대하여 구강 내에서의 분해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기 시료 10의 멤브레인을 인공 타액에 침지시켰다.
인공 타액으로는 수산화인산칼슘(calcium phosphate-tribasic, Sigma, USA)이 50% 포화된 0.1M lactic acid 와 Carbopol 0.2% (#907, BF Goodrich, USA)를 함유하고 pH 4.0으로 조정한 용액을 사용하였다.
실험 전과 실험 시작 후 20초마다 멤브레인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으로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3 에 각각 나타내었다.
도 3a 는 실험 전 사진이고, 도 3b 내지 도 3h 는 실험 시작 후 20초 마다 순차적으로 나타낸 사진이다.
도 3b 내지 도 3h 를 참조하면, 용해 전 멤브레인은 치밀한 조직을 가지고 있었으나, 40초가 경과하면서 기공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그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조직이 서서히 분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멤브레인의 생분해도>
시료 4, 7, 9 및 14 의 멤브레인에 대하여 호기성 퇴비화 조건에서 생분해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KS M 3100-1:2003(퇴비-퇴비화 조건에서 플라스틱의 호기성 생분해도 및 붕괴도 측정 - 제1부: 적정에 의한 발생 이산화탄소의 정량법)을 적용하여 호기성 퇴비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의 발생량을 측정하였다.
각 시험병에서 발생된 누적이산화탄소의 발생량 및 누적생분해도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누적이산화탄소 발생량과 누적생분해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
(1) 누적이산화탄소 발생량(ThCO2) = MTOT × CTOT × (44/12)
여기서, MTOT 는 시험 시작 시 퇴비에 첨가된 시료 중 총 건조 고형분의 양(g), CTOT 는 시료의 총 건조 고형분에 포함된 유기탄소의 비율(g/g), 44 는 이산화탄소의 분자량, 12 는 탄소의 원자량이다.
(2) 누적생분해도(DT) = {((CO2)T - (CO2)B)/ThCO2 } × 100.
여기서, (CO2)T 는 시료가 담긴 퇴비화 용기로부터 발생한 이산화탄소의 누적량(g), (CO2)B 는 접종원 용기로부터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누적량의 평균(g), ThCO2 는 용기 속 시료에 의해 발생하는 이론적 이산화탄소의 양(g)이다.
Figure pat00005
비교예 3은 소 인대 콜라겐 (type I, 제조사-Devro사, 호주)를 사용한 흡수성 멤브레인 제품을 사용한 경우이다. 이산화탄소 발생량은 퇴비화 용기 내의 미생물에 의한 고분자 물질의 생분해도의 척도가 되는데, 이산화탄소 발생량과 생분해율이 작은 것이 우수한 것이다.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 10(시료 4)의 생분해도가 가장 낮고, 실시예 20(시료 14)의 생분해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 비보(in vivo) 테스트>
쥐의 등에 실시예 13의 멤브레인을 이식한 후 3개월, 6개월 후에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a: 이식 직후, b: 이식 후 3개월 후, c: 이식 후 6개월 후).
도 4를 참조하면, 3개월이 경과된 후에는 이식한 멤브레인이 주변 조직에 흡수되어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작아진 상태였으며, 6개월 경과 후에는 거의 전부 흡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1)

  1. 천연고분자 물질과 콜라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가교 결합된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은 γ-PG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γ-PGA 는 1 X γ-PGA 및 10 X γ-PGA 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돼지 유래 콜라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은 돼지 인대 유래 콜라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7. 콜라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콜라겐에 천연고분자 물질을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콜라겐으로는 돼지 유래 콜라겐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로는 γ-PGA 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γ-PGA 로는 1 X γ-PGA 및 10 X γ-PGA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고분자 물질을 가교시키는 단계는, 비화학적 가교(non-chemical cross linking) 방법을 이용하고, 5~10%의 γ-PGA (Poly Glutamic Acid)를 1 또는 10 배로 희석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의 제조방법.
KR1020140061233A 2014-05-21 2014-05-21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KR101663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233A KR101663625B1 (ko) 2014-05-21 2014-05-21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1233A KR101663625B1 (ko) 2014-05-21 2014-05-21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4193A true KR20150134193A (ko) 2015-12-01
KR101663625B1 KR101663625B1 (ko) 2016-10-10

Family

ID=54882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1233A KR101663625B1 (ko) 2014-05-21 2014-05-21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36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12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원자력연구원 조직수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직수복용 재료의 제조 방법
KR20190016245A (ko) * 2017-08-08 2019-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콜라겐층이 적층된 복합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31094A1 (ko) * 2018-05-30 2019-12-05 Kang Ho Chang 링형 골 이식재 제조방법
CN112672715A (zh) * 2018-07-31 2021-04-16 补骨生物技术公司 牙科双结构膜及制造牙科双结构膜的方法
KR102458881B1 (ko) * 2021-05-25 2022-10-26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메드 콜라겐, 및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치유성이 개선된 다공성 치주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285B1 (ko)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101005079B1 (ko) * 2008-10-23 2010-12-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260757B1 (ko) * 2012-04-30 2013-05-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중층 흡수성 치주조직재생유도막
KR20130101872A (ko) * 2012-03-06 2013-09-16 김형우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KR20140059421A (ko) * 2012-11-08 2014-05-16 주식회사 제네웰 생체조직 유래 소재로부터 제조된 재생 유도용 멤브레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285B1 (ko)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101005079B1 (ko) * 2008-10-23 2010-12-3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착방지막 용도의 생분해성 나노섬유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1872A (ko) * 2012-03-06 2013-09-16 김형우 골조직 재생유도용 차폐막
KR101260757B1 (ko) * 2012-04-30 2013-05-06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다중층 흡수성 치주조직재생유도막
KR20140059421A (ko) * 2012-11-08 2014-05-16 주식회사 제네웰 생체조직 유래 소재로부터 제조된 재생 유도용 멤브레인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7512A (ko) * 2016-11-21 2018-05-30 한국원자력연구원 조직수복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조직수복용 재료의 제조 방법
KR20190016245A (ko) * 2017-08-08 2019-02-1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상이한 생분해 속도를 갖는 콜라겐층이 적층된 복합 콜라겐 멤브레인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231094A1 (ko) * 2018-05-30 2019-12-05 Kang Ho Chang 링형 골 이식재 제조방법
CN112384176A (zh) * 2018-05-30 2021-02-19 补骨生物技术公司 制造环状骨移植替代物的方法
CN112672715A (zh) * 2018-07-31 2021-04-16 补骨生物技术公司 牙科双结构膜及制造牙科双结构膜的方法
CN112672715B (zh) * 2018-07-31 2022-09-23 补骨生物技术公司 牙科双结构膜及制造牙科双结构膜的方法
KR102458881B1 (ko) * 2021-05-25 2022-10-26 주식회사 씨케이바이오메드 콜라겐, 및 폴리카프로락톤을 포함하는 치유성이 개선된 다공성 치주조직 재생용 지지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3625B1 (ko)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hosh et al. Arginine-presenting peptide hydrogels decorated with hydroxyapatite as biomimetic scaffolds for bone regeneration
Chen et al. Umbilical cord stem cells released from alginate–fibrin microbeads inside macroporous and biofunctionalized calcium phosphate cement for bone regeneration
KR101663625B1 (ko) 흡수성 콜라겐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US7892572B2 (en) Orthopaedic materials derived from keratin
JP4463702B2 (ja) 伸縮性コラーゲン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用途
US20020153632A1 (en) Method of preparing a collagen sponge, a device for extracting a part of a collagen foam, and an elongated collagen sponge
US9168326B2 (en) Collagen materials and methods for obtaining same
US20060177492A1 (en) Collagen gel and process of producing the same
EA006540B1 (ru) Коллагеновая губка
JP2016502448A (ja) コラーゲンとフィブリンとが混合された組織シーラ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875264B1 (ko) 기능성 수화젤 기반의 초고속 경화 바이오 잉크 및 이의 제조방법
Galateanu et al. Silk-based hydrogels for biomedical applications
KR20150053606A (ko)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천연가교를 통한 고무성질의 물성이 강화된 생체재료물질 및 그 제조방법
Wongputtaraksa et al. Surface modification of Thai silk fibroin scaffolds with gelatin and chitooligosaccharide for enhanc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KR101536134B1 (ko) 연부조직 수복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
WO2007077660A1 (ja) 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10504B1 (ko) 화상 및 피부 결손 치료용 드레싱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76793B1 (ko) 실크 피브로인 가수분해물과 pmma를 함유하는 생체적합성 골 시멘트 조성물
CN110711264B (zh) 复合材料、医用粘合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472046B1 (ko) 골 이식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bazari et al. Promote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sing composited polycaprolactone/polyvinyl alcohol/carbopol nanofibrous scaffold
Arslan et al. Sophisticated biocomposite scaffolds from renewable biomaterials for bone tissue engineering
Craciunescu et al. Designing bio-inspired composite materials for medical applications
KR101085940B1 (ko) 콜라겐 파티클을 함유한 콜라겐 현탁액 제조방법
JP2005013457A (ja) 魚類由来コラーゲンとその熱変性物から得られ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