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3654A -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 Google Patents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3654A
KR20150133654A KR1020150069858A KR20150069858A KR20150133654A KR 20150133654 A KR20150133654 A KR 20150133654A KR 1020150069858 A KR1020150069858 A KR 1020150069858A KR 20150069858 A KR20150069858 A KR 20150069858A KR 20150133654 A KR20150133654 A KR 20150133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waveguide
optical
waveguide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86747B1 (ko
Inventor
이학규
박준오
서준규
Original Assignee
(주)켐옵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켐옵틱스 filed Critical (주)켐옵틱스
Publication of KR20150133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3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08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 G02B6/02085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wavelength response characterised by the grating profile, e.g. chirped, apodised, tilted, helical
    • G02B6/02095Long period gratings, i.e. transmission gratings coupling light between core and cladding m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057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mprising gratings
    • G02B6/020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 G02B6/02171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 G02B6/02176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 G02B6/0219Refractive index modulation gratings, e.g. Bragg gratin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mpensating environmentally induced changes due to temperature fluctuations based on composition of fibre 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Modulation, Optical Deflection, Nonlinear Optics, Optical Demodulation, Optical Logic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브래그 격자 대신 장주기 격자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시키는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클래딩 및 상기 클래딩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코어 및 제 2 코어를 포함하는 광도파로;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1 코어가 위치하는 제 1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1 장주기 격자; 상기 제 1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위치하여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는 제 1 히터;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2 코어가 위치하는 제 2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2 장주기 격자; 및 상기 제 2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위치하여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는 제 2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히터에 의해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어 상기 제 1 코어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이 클래딩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히터에 의해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된 특정 파장 성분이 상기 제 2 코어의 코어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TUNABLE OPTICAL FILTER OF TRANSMISSION TYPE USING LONG PERIOD GRATINGS}
본 발명은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브래그 격자(Bragg grating) 대신 장주기 격자(long period grating)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시키는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관한 것이다.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광통신 기술은 현재 대부분의 기간망 및 메트로망에 적용되는 기술로, 하나의 광섬유로 구성된 광선로에 파장분할 다중화하여 다수의 고속신호를 전송하는 기술이다. WDM 방식의 전송망은 광전변환 없이 일부의 광파장을 선별적으로 분기/결합할 수 있고, 또 일부는 통과시킬 수 있는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기능이 필수적이다. OADM은 전송선로에 존재하는 중간 노드들 사이를 파장 단위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의 연결성을 확장하고 그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ROADM(Reconfigurable OADM)은 전문 기술자의 투입 없이 원격지에서 노드의 분기/결합 파장을 재구성할 수 있고, 전체 망의 파장 연결 상태를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 트래픽 상황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게 함으로써 망의 유지/보수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최근 이러한 WDM 방식의 전송망에는 파장 가변 레이저 및 파장 가변 광필터를 사용하여 전송망의 유연성을 높이면서도 재고 부담과 운용 비용은 낮추려는 노력이 대두되고 있다.
파장 가변 광필터는 입력 광신호 중에서 원하는 파장만을 가변하여 필터링하는 광소자이다. 파장 가변 필터 기술로 가변 패브리-페롯 필터(Tunable Fabri-Perot Filter), 미세 기계 소자(Micro Machined Device), 마하-젠더 간섭계(Mach-Zehnder Interferometer), 광섬유 브래그 회절 격자(Fiber Bragg Gratings), 음향 광학 가변 필터(Acousto-Optic Tunable Filters), 전기 광학 가변 필터(Electro-Optic Tunable Filters), 배열 도파로 격자(Arrayed Waveguide Grating; AWG), 활성 필터(Active Filter), 링 공진기 가변 필터(Ring Resonator Tunable Filters) 등이 있다.
이러한 파장 가변 필터에 대한 설명은 D.Sadot와 E.Boimovich가 IEEE Communications Magazine의 1998년 12월호 p.50-55에 게시한 "Tunable Optical Filters for Dense WDM Networks"에 잘 설명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파로형 파장 가변 광필터 기술은 소형 제작이 가능하고, 고집적 광회로(Optical Intergrated Circuit)에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이용되는 브래그 격자는 그 격자의 주기가 약 0.5μm 내외인 단주기 도파로 격자로서, 격자의 주기가 300~800μm인 장주기 격자에 비해 격자 주기가 짧고 선폭은 장주기 격자의 1/100 정도이다. 이러한 단주기 격자를 이용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코어에 입사되는 기본모드가 격자에 의해 브래그 파장에 해당하는 파장만을 광의 입사 방향과 반대 방향의 코어모드와 결합시킨다.
도 1은 종래의 단주기 격자를 이용한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나타낸 그래프는 광필터의 각 지점에서 파장에 따른 광의 세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원에서 출사된 광대역 광이 광결합에 의해 광도파로의 일단(보다 자세하게는, 코어의 일단)에 입사될 때, 광도파로에 형성된 브래그 격자에 의해 반사되는 파장의 광이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으로 재입력되는 광과의 공진에 의해, 상기 브래그 격자의 반사 대역의 중심 파장을 갖는 발진 파장으로 되어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으로 출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반사되어 출사되는 광을 입사광과 구분하기 위하여 광 써큘레이터(Optical Circulator)와 같은 별도의 광 소자를 광원과 광도파로 사이에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도 1의 (a)는 파장 가변 광필터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의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때 상기 광필터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브래그 격자에 의해 반사되어 광 써큘레이터에서 출력되는 특정 파장 성분은 예를 들어 도 1의 (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파장 성분은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되며, 그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 것이 도 1의 (b)이고 이러한 파장 성분을 노치(notch) 형태라고 부른다.
이와 같이 도파로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브래그 격자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러한 광필터는 반사형으로만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광필터에 의해서 필터링되는 특정 파장 성분이 광의 입사 경로로 되돌아 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필터링된 광을 입사광과 구분하기 위해서는 광원과 광도파로 사이에 광 써큘레이터와 같은 광 소자를 두어야 하지만, 이는 파장 가변 광필터 장비의 고가를 초래하는 원인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2009-001183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브래그 격자 대신 장주기 격자를 이용하여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시키는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시키는 파장 가변 광필터로서, 클래딩 및 상기 클래딩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코어 및 제 2 코어를 포함하는 광도파로;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1 코어가 위치하는 제 1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1 장주기 격자; 상기 제 1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된 제 1 히터;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2 코어가 위치하는 제 2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2 장주기 격자; 및 상기 제 2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된 제 2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히터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어 상기 제 1 코어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이 클래딩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히터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된 특정 파장 성분이 상기 제 2 코어의 코어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히터는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히터는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상기 제 1 코어의 출사단에 상기 제 1 코어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흡수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온도센서 및 열전냉각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히터, 상기 온도센서 및 열전냉각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히터의 발열 및 상기 열전냉각기의 흡열을 조절하는 온도제어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도파로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광도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장주기 격자이며, 상기 광도파로,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도파로,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열광학 계수가 -9.9×10-4 내지 -0.5×10-4-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도파로의 기하학적 구조는 립(rib) 구조, 리지(ridge) 구조, 인버티드 립(inverted rib) 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 구조 또는 채널(chnnel)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는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클래딩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는 상기 제 2 코어와 상기 클래딩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투과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필터링되는 특정 파장 성분을 입사광과 구분하기 위한 별도의 광소자가 필요 없으므로, 파장 가변 광필터 장비의 저가화를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서브마이크론 정도의 정밀성을 요구하는 단주기 격자 대신, 수십μm 정도의 정밀도만을 요구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함으로써, 파장 가변 광필터의 제작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단주기 격자를 이용한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광도파로의 세부 구조 및 장주기 격자의 형성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들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광원(10)에서 출력되어 광도파로(100)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100)의 타단으로 출사시킴으로써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는, 클래딩(105) 및 상기 클래딩(105)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코어(110) 및 제 2 코어(120)를 포함하는 광도파로(100), 광도파로(100)에서 제 1 코어(110)가 위치하는 제 1 도파영역(100-1)에 형성된 제 1 장주기 격자(210), 제 1 도파영역(100-1)의 광도파로(100) 상에 형성된 제 1 히터(310), 광도파로(100)에서 제 2 코어(120)가 위치하는 제 2 도파영역(100-2)에 형성된 제 2 장주기 격자(220), 및 제 2 도파영역(100-2)의 광도파로(100) 상에 형성된 제 2 히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제 1 히터(310)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제 1 장주기 격자(210)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광도파로(100)의 일단에 입사되어 제 1 코어(110)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이 클래딩모드로 전환되고, 제 2 히터(320)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제 2 장주기 격자(220)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된 특정 파장 성분이 제 2 코어(120)의 코어모드로 전환되어 광도파로(100)의 타단으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광도파로(100)는 광원(10)에서 출력되는 광대역 광이 광학렌즈(미도시) 등을 통해 집광되어 입사되는 통로로서, 그 단면이 정방형 또는 장방형인 광도파로(100)를 사용하여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도파로(100)는 기판(400) 상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때 광도파로(100)를 지지하는 기판(400)은 실리콘, 폴리머 또는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도파로(100)는 클래딩(105)과 상기 클래딩(105)으로 둘러싸인 코어(110, 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보다 상세하게는, 클래딩(105)은 코어(110, 120)의 하부와 상부, 그리고 제 1 코어(110)와 제 2 코어(120) 사이를 덮을 수 있다. 광원(10)에서 출력되어 광학렌즈 등에 의해 집광된 광은 제 1 코어(110)의 일단으로 입사되며, 코어(110, 120)의 굴절률이 클래딩(105)의 굴절률보다 큰 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코어(110, 120)에 입사되는 광은 그 입사각에 따라 코어(110, 120)와 클래딩(105)의 경계면에서 전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제 1 코어(110)와 제 2 코어(120)는 서로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이는 제 1 코어(110)를 진행하던 광대역 광 중, 제 1 장주기 격자(210)에 의해 가변되어 클래딩모드로 전환되는 특정 파장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파장 성분이 제 1 코어(110)의 출사단(즉, 광이 입사되는 제 1 코어(110) 일단에 대해 맞은편 끝단)에서 모두 소실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클래딩(105) 내에 제 1 코어(110)와 제 2 코어(120)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해,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도파로(100)에서 제 1 코어(110)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 1 도파영역(100-1)으로 정의하고, 광도파로(100)에서 제 2 코어(120)가 위치하는 영역을 제 2 도파영역(100-2)으로 정의한다.
제 1 장주기 격자(210)는 제 1 코어(110)의 내부, 제 1 코어(110)에 인접한 클래딩(105), 또는 제 1 코어(110)와 클래딩(105)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고, 제 2 장주기 격자(220)는 제 2 코어(120)의 내부, 제 2 코어(120)에 인접한 클래딩(105), 또는 제 2 코어(120)와 클래딩(105)의 경계에 형성될 수 있다.
장주기 격자(210, 220)는 광도파로(100)에 광의 진행방향에 대해 일정한 주기를 갖는 홈을 형성하여 제작되며, 구체적으로 홈의 빈 공간(공기)이 장주기 격자(210, 220)를 형성하거나, 코어 물질에 비해 굴절률이 작은 물질이 상기 홈에 채워져 형성될 수 있다. 장주기 격자(210, 220)를 형성하는 상기 주기적인 홈은 광이 진행하는 광도파로(100)의 굴절률에 주기적인 섭동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코어모드를 같은 진행방향의 다수의 클래딩모드로 전환시키거나, 다수의 클래딩모드를 같은 진행방향의 코어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장주기 격자(210, 220)의 한 주기는 일반적으로 300~800μm 정도로서, 한 주기가 대략 0.5μm 정도인 단주기 격자에 비해 상당히 길다. 브래그 격자는 그 격자 주기의 10% 이내인 0.05μm의 정밀도로 가공이 이루어져야 격자의 특성이 나오는 반면, 장주기 격자는 30~80μm의 정밀도로만 가공되어도 격자의 특성이 나오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장주기 격자를 이용하여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브래그 격자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삽입 손실이 적고 역방향 반사율이 작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다.
한편, 장주기 격자에 의해 가변되는 파장(λp)은 다음의 [식 1]에 의해 결정된다.
[식 1]
λp=Λ(neff-nm clad)
상기 [식 1]에서 Λ는 장주기 격자의 주기(보다 상세하게는, 장주기 격자의 물리적 주기), neff는 광도파로의 유효 굴절률, nclad는 클래딩의 굴절률, m은 격자 차수이다. 장주기 격자의 주기와 굴절률의 곱은 파동에서 주기의 파수(wave number)라고 하여 일종의 운동량에 해당한다. 코어를 진행하던 광이 클래딩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그 역도 마찬가지임) 상기 코어와 클래딩 사이의 운동량 차이에 해당하는 만큼의 운동량이 장주기 격자에 의해 공급되어야 한다. 열광학 효과란, 광이 이동하는 광학매질(예를 들어, 광도파로)에 열을 가할 때 상기 광학매질의 굴절률이 변화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란 장주기 격자의 물리적 주기에 상기 광학매질의 굴절률 변화를 곱한 것을 의미한다.
광도파로(100)를 진행하던 광대역 광이 광도파로(100)에 형성된 장주기 격자(210, 220)를 만날 경우, 그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에 따라 코어모드와 클래딩모드 사이에 모드 전환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장주기 격자(210, 220)의 이러한 특징을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제작에 이용하고 있으며, 장주기 격자의 위치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히터(310, 320)는 이에 전기적 신호가 인가되면 줄열(Joule heat)을 생성 및 공급하여 광도파로(100)의 유효 굴절률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 1 히터(310)는 제 1 도파영역(100-1)의 광도파로(100) 상에 위치하여 열광학 효과에 의해 제 1 장주기 격자(21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고, 제 2 히터(320)는 제 2 도파영역(100-2)의 광도파로(100) 상에 위치하여 열광학 효과에 의해 제 2 장주기 격자(22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한다. 이 때, 각 히터(310, 320)가 그와 대응되는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제 1 히터(310)는 제 1 장주기 격자(210)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제 1 도파영역(100-1)의 광도파로(100) 상에 형성되고, 제 2 히터(320)는 제 2 장주기 격자(220)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제 2 도파영역(100-2)의 광도파로(100)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중에는 광섬유에 격자를 형성한 후, 상기 광섬유를 기계적으로 인장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격자의 주기를 변화시켜 필터링하고자 하는 파장을 가변시키는 것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파장 가변 방법은 물리적 스트레스에 의해 격자에 심한 손상을 줄 수 있고, 파장 가변의 범위 또한 크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기계적 인장 방법 대신 광도파로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터(310, 320)는 전력이 인가되어 열이 발생하는 통상적인 금속 히터는 모두 사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Cr, Ni, Cu, Ag, Au, Pt, Ti, Al 원소들 및 니크롬과 같은 이들의 합금으로 구성된 적층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발열체가 구비된 박막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도파로(100)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의 필터링은 히터(310, 3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히터(310, 320)가 동작되어 그 아래에 위치한 광도파로(100)에 부분적으로 열이 공급될 때 광도파로(100)의 유효 굴절률이 열광학 효과에 의해 변화하게 되고, 이에 따라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도 변화하게 되면서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의 필터링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때, 광도파로(100)를 구성하는 클래딩(105)과 코어(110, 120)는 열광학 효과가 우수한 폴리머(polymer)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그래프는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에 광대역 광이 입사된 경우, 각 지점에서의 파장에 따른 광의 세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작동원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광원(10)에서 출력되는 광대역 광(예를 들어, 중심 파장이 λ110인 광대역 광)은 광도파로(100)의 일단,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도파영역(100-1)의 제 1 코어(110)의 일단에 입사되며, 이 때 파장에 따른 광의 세기는 예를 들어 도 3의 (a)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 1 도파영역(100-1)에는 제 1 장주기 격자(2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도파영역(100-1)의 광도파로(100) 상에는 제 1 히터(3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히터(310)는 열을 발생시켜 제 1 도파영역(100-1)의 유효 굴절률을 변화시켜 제 1 장주기 격자(21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한다. 이에 따라, 제 1 코어(110)에 입사된 상기 광대역 광(중심 파장이 λ110인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예를 들어, 중심 파장이 λ5인 파장 성분)은 코어모드에서 클래딩모드로 전환되며,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되어 클래딩(105)으로 진행하는 특정 파장 성분을 나타낸 것이 도 3의 (b)에 해당한다. 한편, 클래딩모드로 전환되지 못하고 제 1 코어(110)에 남아 제 1 코어(110)를 진행하는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14, λ610인 파장 성분)의 광의 세기는 도 3의 (c)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필터링하고자 하는 특정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5인 파장 성분)은 클래딩(105)으로 진행하게 되며, 필터링되지 않은 나머지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14, λ610인 파장 성분)은 노치 형태로 제 1 코어(110)의 내부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제 1 코어(110)의 내부를 진행하던 상기 필터링되지 않은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14, λ610인 파장 성분)은 제 1 코어(110)와 제 2 코어(120)가 서로 이격되어 있음으로 인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열로 바뀌어 광도파로(100)의 외부로 방사된다. 이 때, 제 1 코어(110)의 출사단에 상기 제 1 코어(110)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체(500)를 위치시키면, 필터링되지 않는 파장 성분(λ14, λ610)이 보다 확실하게 제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되어 클래딩(105)으로 진행하던 특정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5인 파장 성분)은 제 2 히터(320)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제 2 코어의 코어모드로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도파영역(100-2)의 광도파로(100) 상에 형성된 제 2 히터(320)가 열을 발생시켜 제 2 도파영역(100-2)의 유효 굴절률을 변화시키면, 그에 따라 제 2 장주기 격자(220)의 광학적 주기가 변화하게 된다. 이 때, 제 2 히터(320)에 의해 발생되는 열은 상기 클래딩(105)으로 진행하던 특정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5인 파장 성분)이 제 2 코어(120)의 코어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제 2 장주기 격자(220)의 광학적 주기를 변화시키며, 이에 따라 상기 특정 파장 성분(중심 파장이 λ5인 파장 성분)은 제 2 코어(120)의 코어모드로 전환되어 광도파로(100)의 타단으로 출사하게 된다.
종래 브래그 격자와 같은 단주기 격자를 이용한 파장 가변 광필터는 그에 의해 필터링되는 특정 파장 성분이 광도파로의 입사단으로 반사되는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로밖에 구현할 수 없었다. 이 반사형 파장 가변 광필터는 필터링되는 광을 입사광과 구분하기 위해 광 써큘레이터와 같은 별도의 광 소자를 추가로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광필터 장비의 고가를 초래하게 된다. 이와 대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장주기 격자(210, 220)를 이용하고, 코어(110, 120) 사이를 서로 단절시키는 방법을 통해, 광 써큘레이터와 같은 별도의 광 소자가 필요 없는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주기 격자를 이용한 반사형 광필터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광필터 장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를 제공함에 있어서 히터(310, 320)의 열 공급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파장을 가변하여 필터링함에 있어서 온도 제어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는 온도센서(610), 열전냉각기(62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610)는 히터(310, 320)의 일측이나 양측에 구비되거나, 광도파로(1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광도파로(100)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히터(310, 320)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는 데 이용된다. 온도센서(610)는 열에 의해 전기적 성질(전압, 저항, 또는 전류량)이 바뀌는 통상적인 온도센서이면 족하며, 일 예로 써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전냉각기(620)는 기판(4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히터(310, 320)에 인가된 전력에 대한 발열량을 제어하여 정밀한 열광학 효과를 야기하는 데 이용된다. 열전냉각기(620)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흡열이 발생하는 통상의 열전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히터(310, 320)의 소모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판(400)과 열전냉각기(620) 사이에는 단열층(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히터(310, 320)와 열전냉각기(620)는 모두 0.1℃ 미만의 온도 정밀도로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온도센서(610)는 0.1℃ 미만의 정밀도로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온도센서(610) 및 열전냉각기(620)와 함께, 본 발명에서는 필터링되는 광의 특정 파장 성분이 외부 환경에 독립적으로 안정된 파장 출력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온도제어장치(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제어장치는 히터(310, 320), 온도센서(610) 및 열전냉각기(620)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온도센서(61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히터(310, 320)의 발열 및 열전냉각기(620)의 흡열을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가 외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고 재현성 및 신뢰성 좋게 필터링하고자 하는 광의 특정 파장 성분을 가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때, 상기 온도제어장치는 제어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통상적인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는 광도파로(100)의 물질이 폴리머인 폴리머 광도파로이고, 장주기 격자(210, 220)의 물질도 폴리머인 폴리머 장주기 격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폴리머 물질이 우수한 열광학 효과를 갖는 소재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광도파로(100)(클래딩(105) 및 코어(110, 120)) 또는 장주기 격자(210, 220)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저손실 광학 폴리머를 포함한다. 상기 저손실 광학 폴리머는 일반적인 폴리머에 불소(F) 등의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며,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도파로(100) 또는 장주기 격자(210, 220)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열광학 계수가 -9.9×10-4 내지 -0.5×10-4(℃-1)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수소가 불소로 치환된 UV 경화 가능한 아크릴레이트(acrylate) 계열의 폴리머, 불소계 폴리이미드, 불소 치환 폴리아크릴레이트, 불소 치환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실록산, 불소계 폴리아릴렌 에테르, 퍼풀루오르 시크로부탄 계열 폴리머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주기 격자(210, 220)를 구성하는 물질은 코어(110, 120)를 구성하는 물질과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으며, 상이한 경우에는 코어(110, 120) 물질의 굴절률보다 작은 굴절률을 갖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도파로(100)의 각 영역, 즉 제 1 도파영역(100-1)의 유효 굴절률 및 제 2 도파영역(100-2)의 유효 굴절률은 장주기 격자의 위치, 장주기 격자의 두께, 장주기 격자의 ON/OFF 비율, 장주기 격자의 차수, 클래딩 및 코어 폴리머 물질들의 굴절률, 그리고 코어의 물리적 모양의 함수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의 중심 파장을 이론적으로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광도파로(100) 및 장주기 격자(210, 220)를 폴리머를 이용하여 형성하고, 제 1 도파영역(100-1)과 제 2 도파영역(100-2)의 유효 굴절률의 변화 및 그에 따른 장주기 격자(210, 220)의 광학적 주기의 조절에 있어서, 히터(310, 320), 온도센서(610), 열전냉각기(620) 및 온도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경우, 광원(10)으로부터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원하는 특정 파장 성분만을 보다 신뢰성 및 정밀도 높게 가변하여 필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의 광도파로의 세부 구조 및 장주기 격자의 형성 위치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광도파로(100)는 클래딩(105), 제 1 코어(110) 및 제 2 코어(120)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 광도파로(100)의 기하학적 구조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립(rib) 구조, 리지(ridge) 구조, 인버티드 립(inverted rib) 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 구조 또는 채널(channel) 구조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광도파로(100)의 기하학적 구조 중에서 채널 구조를 도시한 것이며, 채널 구조 외에 다른 구조를 갖는 경우에도 제 1 코어(110)와 제 2 코어(120)는 서로 이격되어 있어야 하고, 제 1 도파영역(100-1)과 제 2 도파영역(100-2)에는 각각 장주기 격자(210, 220)가 형성되어 있어야 하며, 각 도파영역(100-1, 100-2)의 광도파로(100) 상에는 히터(310, 320)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장 가변 광필터의 동작을 위한 장주기 격자(210, 22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110, 120)의 내부 또는 코어(110, 120)에 인접한 클래딩(105)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코어모드와 클래딩모드 사이의 모드 전환이 보다 원활히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 1 장주기 격자(210)는 제 1 코어(110)와 클래딩(105)의 경계에 형성되고, 제 2 장주기 격자(220)는 제 2 코어(120)와 클래딩(105)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 및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은 자명하다.
100: 광도파로
100-1: 제 1 도파영역
100-2: 제 2 도파영역
105: 클래딩
110: 제 1 코어
120: 제 2 코어
210: 제 1 장주기 격자
220: 제 2 장주기 격자
310: 제 1 히터
320: 제 2 히터
400: 기판
500: 광흡수체
610: 온도센서
620: 열전냉각기

Claims (9)

  1.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을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시키는 파장 가변 광필터로서,
    클래딩 및 상기 클래딩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 1 코어 및 제 2 코어를 포함하는 광도파로;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1 코어가 위치하는 제 1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1 장주기 격자;
    상기 제 1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된 제 1 히터;
    상기 광도파로에서 상기 제 2 코어가 위치하는 제 2 도파영역에 형성된 제 2 장주기 격자; 및
    상기 제 2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된 제 2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 1 히터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광도파로의 일단에 입사되어 상기 제 1 코어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대역 광 중 특정 파장 성분이 클래딩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제 2 히터에 의한 열광학 효과에 의해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의 광학적 주기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클래딩모드로 전환된 특정 파장 성분이 상기 제 2 코어의 코어모드로 전환되어 상기 광도파로의 타단으로 출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히터는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히터는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가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상기 제 2 도파영역의 광도파로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코어의 출사단에 상기 제 1 코어의 코어모드를 진행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흡수체가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장 가변 광필터는 온도센서 및 열전냉각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히터, 상기 온도센서 및 열전냉각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1 및 제 2 히터의 발열 및 상기 열전냉각기의 흡열을 조절하는 온도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광도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는 폴리머로 이루어진 폴리머 장주기 격자이며, 상기 광도파로,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자외선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 상기 제 1 및 제 2 장주기 격자를 형성하는 폴리머는 열광학 계수가 -9.9×10-4 내지 -0.5×10-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파로의 기하학적 구조는 립(rib) 구조, 리지(ridge) 구조, 인버티드 립(inverted rib) 구조, 인버티드 리지(inverted ridge) 구조 또는 채널(chnnel)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장주기 격자는 상기 제 1 코어와 상기 클래딩의 경계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장주기 격자는 상기 제 2 코어와 상기 클래딩의 경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KR1020150069858A 2014-05-20 2015-05-19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KR1015867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0602 2014-05-20
KR1020140060602 201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3654A true KR20150133654A (ko) 2015-11-30
KR101586747B1 KR101586747B1 (ko) 2016-01-20

Family

ID=5486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858A KR101586747B1 (ko) 2014-05-20 2015-05-19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7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25A1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필터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디바이스
KR20180047796A (ko) * 2016-11-01 2018-05-10 김정수 파장가변필터를 이용한 광수신기 및 광수신방법
WO2018084541A3 (ko) * 2016-11-01 2018-08-09 김정수 파장 가변필터, 파장 가변필터를 이용한 광 수신기 및 광 수신방법
KR20200095875A (ko) * 2019-02-01 2020-08-11 김정수 광소자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2956B1 (ko) * 2020-06-05 2023-04-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머 광도파로 브래그 격자 가변 파장 필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0918A (ja) * 2001-06-27 2003-03-28 Fitel Usa Corp 長周期格子を使用する光学帯域通過フィルタ
US20030215185A1 (en) * 1999-12-06 2003-11-20 Cidra Corporation, Large diameter optical waveguide having long period grating therein
JP2005528651A (ja) * 2002-05-30 2005-09-2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ヒットレス波長可変光学フィルタおよびそのようなフィルタを用いる光学システム
KR20090011837A (ko) 2007-07-27 2009-02-02 (주)켐옵틱스 폴리머 광 도파로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5185A1 (en) * 1999-12-06 2003-11-20 Cidra Corporation, Large diameter optical waveguide having long period grating therein
JP2003090918A (ja) * 2001-06-27 2003-03-28 Fitel Usa Corp 長周期格子を使用する光学帯域通過フィルタ
JP2005528651A (ja) * 2002-05-30 2005-09-22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ヒットレス波長可変光学フィルタおよびそのようなフィルタを用いる光学システム
KR20090011837A (ko) 2007-07-27 2009-02-02 (주)켐옵틱스 폴리머 광 도파로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3925A1 (ko) * 2016-08-30 2018-03-08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학필터 및 이를 이용한 광학 디바이스
KR20180047796A (ko) * 2016-11-01 2018-05-10 김정수 파장가변필터를 이용한 광수신기 및 광수신방법
WO2018084541A3 (ko) * 2016-11-01 2018-08-09 김정수 파장 가변필터, 파장 가변필터를 이용한 광 수신기 및 광 수신방법
US10880004B2 (en) 2016-11-01 2020-12-29 Jeong-Soo Kim Variable wavelength filter, and light receiver and light receiving method using variable wavelength filter
KR20200095875A (ko) * 2019-02-01 2020-08-11 김정수 광소자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747B1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979B1 (ko) 폴리머 광 도파로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KR101586747B1 (ko) 장주기 격자를 이용한 투과형 파장 가변 광필터
US6522795B1 (en) Tunable etched grating for WDM optical communication systems
KR101409630B1 (ko) 접안 렌즈 및 이를 사용한 동조가능한 색분산 보상기
EP3387473B1 (en) Tunable microring resonator
US9057839B2 (en) Method of using an optical device for wavelength locking
US20070280326A1 (en) External cavity laser in thin SOI with monolithic electronics
KR101759727B1 (ko) 에포다이즈드 격자를 기반으로 한 폴리머 광도파로 가변 파장 필터의 제작방법
US9817190B2 (en) Tunable wavelength filter with embedded metal temperature sensor and its application to external-cavity type tunable wavelength laser
Lipka et al. Photonic integrated circuit components based on amorphous silicon-on-insulator technology
Heideman et al. Large-scale integrated optics using TriPleX waveguide technology: from UV to IR
JP4974918B2 (ja) 光信号処理装置および光信号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5528651A (ja) ヒットレス波長可変光学フィルタおよびそのようなフィルタを用いる光学システム
KR101845269B1 (ko) 도파로 브래그 격자를 사용한 파장 가변 광수신기
KR101679660B1 (ko) To-can 패키징을 위한 외부 공진기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Xia et al. On the design of microring resonator devices for switching applications in flexible-grid networks
US11112561B2 (en) Variable wavelength filter
Liou et al. Design and fabrication of ring resonator spectral response through-drop wavelengths selective
KR20150047699A (ko) 고효율 외부 공진기형 파장가변 레이저
KR20150047700A (ko) 메탈 온도센서 내장형 파장가변 필터 및 외부 공진기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KR101631981B1 (ko) 메탈 온도센서 내장형 파장가변 필터 및 외부 공진기형 파장가변 레이저 모듈
Ikeda et al. Silicon photonics wavelength-selective switch with contra-directional couplers
JP2010078648A (ja) 光共振器及び波長可変レーザ
Dũng The OPTICAL ROUTER UTILIZING WAVEGUIDES COMBINED WITH BRAGG GRATINGS ON SILICON PHOTONIC
Ugale et al. Modeling and characterization of cascaded long period fiber grating for ADM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5